[[분류:광둥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분류:국가역사문화명성]] [include(틀:광둥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광둥성|{{{#000,#ddd 광둥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中山, ruby=Zhōngshān)][ruby(市, ruby=Shì)] | [ruby(中山, ruby=Zung1saan1)][ruby(市, ruby=Si5)]}}}'''[br]중산시 | Zhongshan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中山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광둥성]] 중산시 쑹위안루1호[br]广东省中山市松苑路1号 || ||<-2> '''{{{#ffff00 지역}}}''' || [[중난]] || ||<-2> '''{{{#ffff00 면적}}}''' || 1,783.67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중국본토에서 현급행정체제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몇몇 도시중 하나다.예)광둥성 둥관시, 간쑤성 자위관시, 하이난성 단저우시]''' || 8가도(街道), 16진(镇) || ||<-2> '''{{{#ffff00 시간대}}}''' || UTC+8 (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전체인구}}}''' || 4,418,060명 ^^(2020년)^^ || ||<-2> '''{{{#ffff00 인구밀도}}}''' || 2,477명/km² || ||<-2> '''{{{#ffff00 HDI}}}''' || 0.793 ^^(2016)^^ || ||<-2> '''{{{#ffff00 서기}}}''' || 궈원하이(郭文海) || ||<-2> '''{{{#ffff00 시장}}}''' || 샤오젠신(肖展欣)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456억 9,200만 ^^(2020)^^ || || '''{{{#ffff00 1인당}}}''' || $10,342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국화]] || || '''{{{#ffff00 시목}}}''' || 봉황목 || ||<-2> '''{{{#ffff00 차량번호}}}''' || '''粤T'''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香'''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4420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769''' || ||<-2> '''{{{#ffff00 우편번호}}}''' || '''523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GD-20''' ||}}}}}}}}} || ||<-3> [[http://www.zs.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남부 [[광둥성]]에 위치한 도시이다. 구칭은 샹산([ruby(香山, ruby=Xiāngshān)])으로, 이 명칭이 사용되었을 당시에는 [[주하이시]]와 하나였으며 현재도 이 명칭으로 부르는 사람들이 간혹 보인다. 주장 강 삼각주 도시권의 일부로, 북쪽으로 [[광저우시]] 및 [[포산시]], 서쪽으로 [[장먼시]], 남쪽으로 [[주하이시]]와 접한다. == 명칭 == 샹산(香山)이라는 명칭은 중산시 내에 있는 산인 우구이산(五桂山)에 진귀한 꽃들로 덮혀있다는 것에서 나온 명칭으로, 현재 중산시의 과거 명칭이자 별명으로 불리며, 과거 중산시와 같은 행정구역이었던 주하이 역시 샹산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사람이 있다. 중산(中山)이라는 명칭은 [[대만|중화민국]]의 건국자이자 임시 대총통이었던 [[쑨원]]의 별명인 중산(中山)에서 나온 명칭으로, 쑨원의 사망일자인 [[1925년]] [[3월 12일]]에 새로 붙은 이름이다. == 역사 ==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과거에는 독자적인 행정구역 없이 [[선전시]]와 묶여있었으며, [[송나라]] 대에 향산현(香山县)이 설치되면서 독자적인 행정구역이 생겨난다. [[명나라]] 대 까지 [[주하이시]] 및 [[마카오]]까지도 향산현 관할이었으나, 마카오의 경우 [[1553년]]에 [[포르투갈]] 상인이 임대하면서 떨어진다. [[아편전쟁]]의 주요 격전지이기도 했는데, [[임칙서]]가 [[아편]]을 금지시키고 상인을 추방시킨 당시 향산현에 군대를 주둔시키면서 전투가 일어난 것이었다. [[신해혁명]]의 본격적인 시작지 중 하나이기도 하였으며, [[중일전쟁]] 시기에는 [[일본군]]이 점령하기도 하였다. [[중화인민공화국]] 시기에는 [[포산시]] 관할이었으며, [[1952년]]부터 중산시 권역 행정구역들이 하나하나 독립하기 시작하더니 [[1983년]]에 완전히 독립되면서 [[지급시]]로 승격된다. == 교통 == 관내에 [[중산역]](中山站)과 [[중산베이역]](中山北站)이 있으며, [[광주도시간철도]](广珠城际铁路)가 지나간다. 도시 내 [[도시철도]]는 없으나 대신 [[BRT]]가 운행중이다. 공항은 없고 [[광저우 바이윈 국제공항]]을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