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본 동 안에 위치한 대규모 택지지구, rd1=중산마을)] [include(틀:일산동구의 법정동)] ||<-2> '''[[고양시|{{{#000000,#dddddd 고양시}}}]] [[일산동구|{{{#000000,#dddddd 일산동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중산동}}}'''[br]中山洞 | Jungsan-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고양시 || || '''일반구''' || 일산동구 || || '''행정표준코드''' || 4128510200 || || '''관할 행정동''' || 중산1동, 중산2동 || || '''하위 행정구역''' || 36통 257반 || || '''면적''' || 2.84㎢ || || '''인구''' || 44,866명[*A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5,797.89명/㎢ || [목차] [[파일:4327_7928_1514.jpg|width=520]] '''중산1동 행정복지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산로 224에 위치해 있다. [[파일:FB_IMG_1641384406639.jpg]] 중산2동 행정복지센터.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하늘마을1로 2 풍산프라자 6층에 위치해 있다. [[2025년]]까지 행정복지센터 신축 예정이다. == 개요 == 중산동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관할의 [[법정동]]이자 [[행정동]]이다. == 특징 == * 관내에 역이 하나도 없다. [* 고봉로에서 동구-서구가 나뉘므로 일산역 광장이 중산동 관할이라는 것은 말이 안된다. 과거 동구-서구 분리 이전이라도 그때는 일산2동이었지 중산동은 없었으므로 역사상 중산동이 일산역 광장을 관할한 적은 없었다. 원래 일산2동(1992년 설치)의 이름은 '''중동'''이었다. 중동을 중산동과 헷갈린 것으로 추정된다. 중동이 일산2동으로 바뀐 건 [[1997년]].] * 관내에 시립 도서관이 하나도 없다. 한뫼도서관은 일산서구 일산2동에 위치한다. 그나마 모당공원작은도서관이 유일한 공립도서관이다. * 중산동 안에 이마트가 있는데 이름은 풍산 이마트다.[* 풍산역이 앞에 있긴 하다.] * 고양시 전체에서 인구수가 '''손에 꼽힐만큼 많다.'''[* 다만 탄현동과 행신동도 만만치 않다. 다만 이 3개동 모두 분동될 예정이라 그 이후에는 그냥 평범한 수준으로 전락하게 된다.] * 고양시 3개구 전체 중 도시 동 중에서 관내 노인인구가 매우 많다.[* 농촌동까지 포함하면 이웃한 고봉동이 제일 많다.] * 그런데 안곡중학교와 중산초등학교는 어떻게 된건지 신입생이 줄어들지 않는다.[* 고봉초, 하늘초, 모당초, 중산중, 안곡초는 줄고있다.] * 버스노선이 '''고양시에서 제일 발달된 곳중 하나이다.''' 중산동을 거쳐가는 버스만 해도 수십대다.[* 여의도, 영등포, 홍대, 서울역, 연세대, 강남역, 디지털미디어시티, 광화문을 환승 없이 갈 수 있다. 게다가 기점과 가까워 '''100% 확률로 아침시간에 앉아서 갈 수 있다.'''] * 중산역, 한뫼공원역 떡밥이 오래 전부터 돌았는데 아무런 진전이 없다.[* 인천 2호선 연장 구간으로 검토되기도 했으나 확정되지는 않았다.] * '''올림픽 규격 트랙과 축구장이 있다.''' * [[유은혜|모 전 장관]]이 중산동에 거주하고 있다. * [[백성운|전 고양군수]]도 이 동네에 살았다. == 역사 및 명칭의 유래 == 기존에는 소위 구일산 또는 북일산이라 불리던 현재의 [[일산역]] 인근에 의존하는 평범한 농촌지역 중 하나였다. 그러던 중 [[일산신도시]]가 개발되면서 그와 맞물려 [[경의선]] 선로 이북 지방에 별도로 조성될 택지지구(중산지구)로서 처음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인구가 지속적으로 늘면서 본래 [[일산구]] [[일산동(고양)|일산동]]에 속해 있었던 본 지역이 일산구가 일산동구와 일산서구로 분리될 [[2005년]] 무렵 일산동에서 중산동으로 분리 신설되어 일산동구에 속하게 됨으로써 본 행정구역이 탄생하게 되었다. 당연하게도 동 이름의 유래는 택지지구 이름이었던 중산지구였는데, 그 지구 이름이 바로 뒤편에 있는 [[고봉산]]을 염두에 두고 지어진 이름이기 때문에 이름의 유래는 고봉산인 셈. 마을에 바로 붙어서 등산로가 있을 정도여서 중산(中山)동이다. 일산구 분구에 따른 중산동 설치는 일산2동에서 중산동을 떨어내는 방식이었는데, 일산2동의 초창기 명칭은 바로 "중동"이었다. [[1994년]] 중동으로 행정동이 설치되었다가 [[1999년]] 일산2동으로 바뀌었고[* 법정동 일산동에 따른 행정동 일산동은 일산1동으로 변경, 일산3동은 일산1동에서 분리 설치. 일산4동(현 정발산동)은 정작 일산4동으로 설치됐다.] 2005년 중산동이 일산2동에서 떨어져나왔다. 고양시의 행정기관 청사가 으레 그렇듯 분동 초기에는 중산마을의 일신프라자(해태쇼핑사거리 파리바게트 뒷건물)에 [[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9530|위치]]하였다가 현위치로 옮기게 되었다. 중산동 파출소, 중산동 소방서, 중산동 주민센터, 중산동 우체국, 중산동에 위치한 은곡신협이 바로 옆건물로 이어져 있다. 또한 중산동 주민센터 맞은편이 [[올림픽]] 규격 [[육상]]트랙을 갖춘 중산체육공원이다. [[고양종합운동장]]이 들어서기 전까지는 고양시내 육상경기는 중산체육공원에서 했다. [[사전투표]]는 중산동 주민센터 '''5층'''에서 한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사전투표자들에 대해 엘리베이터 이용을 금지했는데, 덕분에 5층에서 사전투표를 하고 나올 때 중산동 주민센터 옥상의 '''비상탈출구'''를 통해 투표 완료자들이 밖으로 나가는 장관을 연출했다. [[2020년]] [[덕양구]] 분구에 맞춰서 맞은편 [[탄현동]]과 같이 분동을 추진중이다. 2021년 5월 초에는 해당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사이버 설명회도 열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5795232&code=61121111&cp=nv|#]] [[2021년]] [[9월]] 최종 확정된 동 경계는 [[https://cdn.mygoyang.com/news/photo/202110/65564_82123_589.jpg|링크]]상 지도와 같다. 크게 복음병원 사거리를 기준으로 왼쪽(하늘마을)이 중산2동, 오른쪽이 중산1동 관할이라 보면된다. 단 사거리의 정자가 있는 공원과 안곡습지와 소개울 단독주택지구와 약산마을은 2동관할이다. (안곡초는 1동 관할) 참고로 이 동 경계는 [[고양시의회]]를 통과하고 입법예고까지 마친 최종 확정이므로 변경 가능성은 없다. 참고로 2동의 청사는 현 하늘 2단지 후문 맞은편의 하나님의교회 옆 LH소유부지(중산동 1705번지)로 확정되었다.[[http://www.mygoyang.com/news/articleView.html?idxno=65564|기사]] 참고로 이 부지는 일산2지구[* 하늘마을 일대의 개발 명칭] 계획 초기부터 동사무소[* 당시는 '동 주민센터'나 '행정복지센터' 등의 명칭이 아니라 '동사무소'라는 명칭을 쓰고 있었다.] 부지로 되어 있었다. 그리고 현재의 하나님의교회 주차장으로 쓰고 있는 부지(행복센터 예정지와 하나님의 교회 사이에 있는 주차장)이 파출소 부지였다. 그래서 파출소 부지가 교회측으로 넘어갈때 2단지에서 말이 많았다. == 이모저모 == 일산동구에서 통칭 구일산 지역으로 분류되는 유일한 동이다.[* 단 이 부분은 하늘마을 1~2단지와 [[고양대로]] 오른쪽 중산동에 한하며 아이파크나 3~5단지는 거리상으로도 그렇고 구일산 보다는 정발산쪽이 더 가깝다.] 물론 과거 일산읍의 중심지라는 뜻을 담고 있는 구일산이 아니라 경의선 이북 지역 전체를 가리키는 '북일산' 지역이라 불리는 곳은 일산동구에도 [[고봉동]], [[산황동]], [[식사동]], [[풍동(고양)|풍동]] 등 몇 군데 있긴 하다.[* 고봉동, 풍산동, 식사동 등은 '''북일산''' 생활권에는 포함될 지라도 구일산 생활권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애당초 구일산이라는 지명이 고양군 중면 '''"일산리"'''에 소속되어 있던 지역 중 [[일산신도시]] 개발에서 제외된 지역을 의미하는데, 일산리에 포함되어 있던 지역은 일산1동, 일산2동(현재의 일산2동 + 중산동), 일산3동, 일산4동(정발산동)으로 구일산 지역은 일산1,2동과 중산동을 의미하게 된다. 구일산과 구일산이 아닌 나머지 경의선 이북지역은 "북일산"으로 불린다. [[은행]] 지점명이라거나 [[KT]] 전화국 관할구역이라던가...] 동네 전체의 분위기는 딱 적당히 발전된 배후지구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위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일산신도시]]의 부속 택지지구인 중산지구가 개발됨으로서 생겨난 동네인데, 덕분에 무려 일산동구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동이다.[* 고양시 전체로 치면 일산서구의 탄현동이 제일 많고 그 다음이 일산서구 송산동, 그 다음이 중산동 순이다.] 당연히 일산신도시 지역이 인구가 더 많지만 그쪽은 행정동이든 법정동이든 구역이 자잘하게 쪼개져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중산동의 인구가 가장 많은 것. 심지어 한때는 일산동구와 일산서구를 통틀어도 인구가 가장 많았으나, 옆동네인 탄현동에 [[일산 두산 위브 더 제니스]]가 입주를 시작하게 되면서 밀려났다. 대단지인 [[일산 센트럴 아이파크]]가 지어지며 전세가 역전될 줄 알았는데 탄현동에 [[일산 에듀포레 푸르지오]]가 생기면서 기존과 도찐개찐이 되었다.[* 아이파크 2000세대, 에듀포레 + 제니스는 3300세대다.] 하지만 인구 수에도 불구하고 한적한 마을 같은 분위기가 된 이유가 몇 가지 있다. 일단 이 동네가 산업시설이 거의 없어 상주 인구 자체는 적은 전형적인 베드타운형 인구 구조를 보이는데다, 그마저도 고봉산, 경의선을 때문에 신도시 지역과 단절되어 일산교를 건너야 진입할 수 있는 도로 구조, 북일산 권역에서는 그나마 잘 갖춰진 녹지 등으로 인해 인구의 30%가 노인[* 통계에 의하면 30.4%라고 한다. 윗동네 고봉동의 노인 인구가 20%대임을 감안하면 엄청난 격차...]이라 그렇다. 이 와중에도 작은 소생활권이 세 개 정도로 나누어져 있다. == 관할 행정동 == === 중산1동 === ||<-2> '''[[고양시|{{{#000000,#dddddd 고양시}}}]] [[일산동구|{{{#000000,#dddddd 일산동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중산1동}}}'''[br]中山一洞 | Jungsan 1(il)-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고양시 일산동구 중산1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고양시 || || '''일반구''' || 일산동구 || || '''행정표준코드''' || 3960139 || || '''관할 법정동''' || 중산동 || || '''하위 행정구역''' || 19통 137반 || || '''면적''' || 1.40㎢ || || '''인구''' || 20,884명[*A] || || '''인구밀도''' || 14,917.14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고양시 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홍정민]] ,,(초선),, || ||<-2> '''경기도의원 | 제8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택수 ,,(초선),, || ||<-2> '''고양시의원 | 아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공소자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해련]]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엄성은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중산로 224 (중산동 1573-4) || || [[http://www.goyang.go.kr/dong/dong01/dong01_5/dong01_5_10/dong01_5_10_tab1.jsp|중산1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 중산2동 === ||<-2> '''[[고양시|{{{#000000,#dddddd 고양시}}}]] [[일산동구|{{{#000000,#dddddd 일산동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중산2동}}}'''[br]中山二洞 | Jungsan 2(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고양시 일산동구 중산2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기초자치단체''' || 고양시 || || '''일반구''' || 일산동구 || || '''행정표준코드''' || 3960140 || || '''관할 법정동''' || 중산동 || || '''하위 행정구역''' || 17통 120반 || || '''면적''' || 1.41㎢ || || '''인구''' || 23,982명[*A] || || '''인구밀도''' || 17,008.5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고양시 병'''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홍정민]] ,,(초선),, || ||<-2> '''경기도의원 | 제8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택수 ,,(초선),, || ||<-2> '''고양시의원 | 아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공소자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해련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엄성은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하늘마을1로 2 (중산동 1806) || || [[http://www.goyang.go.kr/dong/dong01/dong01_5/dong01_5_12/dong01_5_12_tab1.jsp|중산2동 행정복지센터]] || [clearfix] == 중산동의 마을 == === 중산마을 === [[중산마을]] 문서 참조. === 산들마을 === 정확하게는 산들마을 1, 2단지. 산들마을 3~6단지는 일산서구 일산동에 속한다. 중산마을과 하늘마을의 중간 위치격이라고 할 수 있으며 경의선과 [[고봉로(고양)|고봉로]], [[고양대로]]가 마을을 흙 토(土)자로 가로지르는 형태라 중산동 전체에서 교통만큼은 가장 편리한 소생활권이다. 중산마을과 비교하자면 아파트 단지들도 꽤 있긴 하지만 그것보다 상업시설 비중이 좀 더 큰 편. === 하늘마을 === [[하늘마을]] 문서 참조. === 약산마을 === 과거에는 하사관주택으로 불렸던 곳으로 인근의 백마부대의 사단장이었던 [[노태우]]에 의해 복무 사관들의 주거를 책임지기 위해 개발된 주택지구가 마을 형성의 배경이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70402109923813004|#]] 현재는 군인거주자 보다는 민간 거주자가 많은, 전형적인 도시 외곽지역의 낙후지로써 남아 있다. 재개발을 추진하였으나 실패하였고, 일산3구역 개발[* 하늘2단지와 4~5단지 사이에 있는 현대아이파크 및 자유로마트 맞은편에 한때 롯데마트가 들어선다고[[* #|https://news.joins.com/article/23145660]] 했던 대지, 일산역 인근 뉴티운 지구인 일산3지구와는 다르다.]에 곁다리로 껴서 개발을 추진했으나 이마저도 무산되었고 결국 주민주도로 지역주택조합을 만들어서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조차도 진척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9070402109923813004|#]] [[http://m.dbstv.co.kr/article.php?aid=1560589489352656005|#]] [[http://www.kyeonggi.com/news/articleView.html?idxno=120265|#]] 현재 약산마을에는 크게 노태우 사단장이 추진한 하사관주택지구 건설 당시 생긴 단독주택들, 그리고 그 주택들 일부가 헐리면서 1980년대 후반 ~ 90년대 초반에 지어진 다세대 주택 및 빌라, 2000년대 후반과 2010년대 중반 등에 약산마을의 미개발지에 생긴 빌라[* 흔히 길거리에 붙어있는 빌라 광고들을 생각하면 된다.]들로 나뉘어 있다. 상권은 [[고양대로]]쪽 마을 초입에 있는 몇몇 가게들이 전부이다. 과거엔 나름대로 규모가 큰 슈퍼가 있었으나 2018년경 CU편의점으로 바뀌었고, 초입에 있는 큰 빌딩(DJ골프샵이 있는 빌딩)에는 목욕탕과 학원도 있었으나 현재는 모두 사라졌다. == 시설 == 물론 가장 큰 시설(?)이라 할 만한 건 여러 차례 언급된 고봉산이다.[* 단 고봉산은 중산동과 고봉동에 걸쳐서 있다.] 주말만 되면 [[고봉산]]에 오르는 아줌마 아저씨들을 볼 수 있다. 또한 중산마을에 중산공원으로 불리는 조금 큰 공원이 있는데, 인조잔디 축구장과 달리기 트랙, 배드민턴장에 테니스장까지 갖추고 있어 가을만 되면 일산의 온갖 학교들이 여기서 운동회를 하느라 정신이 없다. 구일산을 통틀어서 가장 큰 공원으로서, 탄현과 본일산에서도 많이들 산책하러 와서 밤에도 사람들로 붐빈다. 중산공원에서 [[고봉로(고양)|고봉로]] 맞은편에는 [[한뫼도서관]]이 있다. 다만 한뫼도서관은 일산서구 일산2동 관할이다. 고봉산과 중산공원버프로 공원이 크게 부족한 구일산 권역의 몇 안 되는 쉼터 역할을 하는 동네가 바로 이곳 중산동으로, 이것만 봐도 얼마나 한적하고 조용한 동네인지 가늠해 볼 수 있다. 한편 고봉산 바로 근처, 중산마을과 산들마을 사이 애매한 곳에 [[연세대학교/삼애캠퍼스|연세대학교 삼애캠퍼스]]가 있다. [[KB국민은행]] 연수원도 있는데, 이 연수원은 원래 [[군대]]이던걸 중산지구 개발에 따라 고봉산 건너편으로 철수하면서 군부대 부지를 [[개조]]/[[재개발]]한 것이다. 위병소만 입구로 개조하고 나머지 시설은 전부 다 철거 후 신축한 듯. 수도권 지역에서 최대크기의 금융기관 연수원이고 [[여의도]]에서도 그리 멀리 떨어져있지 않아 국민은행 외에도 [[금융위원회]]나 [[금융감독원]] 주관의 세미나가 열리기도 한다. 그래서 간혹 [[높으신 분들]][* [[2015년]]에 [[임종룡]] [[금융위원회]] 위원장과 [[최경환]] [[기획재정부장관]]이 왔다!]이 출몰하신다. 국민은행 연수원으로 가는 길에 중산마을약수터[* 원래 [[연세대학교]] 삼애캠퍼스 안에서 용출되는 약수를 관을 뚫어 이리로 연결한 것이다.]가 있어 매일 18:00-22:00까지는 물 뜨러 오는 사람들이 많다. 중산마을에 있는 세광교회 뒤로 국민은행 연수원까지 이어지는 길은 원래 군부대 진입로이던걸 중산지구 개발과정에서 확장 개조한 것이다. 세광교회 뒤편 - 안곡초등학교 노선은 원래 없었다가 중산지구 개발 때 12단지 뒤까지 부분개통하고[* 이 때는 바로 안곡습지공원 쪽 논두렁길을 따라 [[고봉산]]까지 올라갈 수 있었다. 안곡습지공원 개발에 따라 이쪽 길은 폐쇄당했다.], 산들마을/하늘마을 만들 때 12단지 - 안곡초등학교까지 신설되었다. === 상권 === [[고봉로(고양)|고봉로]] 상의 일산교를 건너야 [[일산신도시]] 외곽에 진입할 수 있는 만큼 실제로도 신도시 지역에서 거리가 좀 되고, 그에 따르는 심리적 거리도 무시가 못 할 수준이라 소생활권 별로 자그마한 자체 상권이 생겨나 있다. 대표적인 것이 중산마을의 해태쇼핑 사거리 등이다. 하지만 좀 더 큰 범위로 보았을 때, 그냥 생각없이 일산교 건너 고봉로 타고 쭉 내려가면 '''고양시 전체를 통틀어 최대의 번화가인 [[라페스타]]와 [[웨스턴돔]]'''이라 중산동 사람들이 놀거나 쇼핑할 때 라페스타와 웨스턴돔 이외의 다른 곳 갈 생각 자체를 별로 안 한다. 뭐 세부적으로 따지자면 가장 구석에 있어서 어디를 가도 시간이 좀 걸리는 중산마을은 전통적으로 주엽/대화 상권과의 연계가 강하고, 하늘마을은 교통 연계가 잘 된 마두/백석 상권과의 연계가 강한 편이긴 하지만 어디 살든 놀고 먹고 마시고 쇼핑하러 갈 때 1순위는 버스타고 일산동구청 [[고양 BRT]] 정류장에 내리는 것. 그나마 [[이마트]] 풍산점이 중산동 관내[* 중산동 관내이긴 한데 [[풍산역]] 앞이고 풍동2지구 [[보금자리주택]] 계획(테마마을 1단지만 짓고 무산크리)에 따라 지어진 거라 중산 시가지에서는 꽤 거리가 된다. 그나마 하늘마을 주민들이라면 걸어서 갔다 올 만한 거리가 되고, 중산동 소생활권을 모두 관통하는 유일한 버스인 [[고양 버스 070]]도 바로 앞에 서긴 한다.]에 들어서는 등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 중산동의 교통 == 나름 교통도 편리하다. 일단 도로의 경우 고양시 전체를 통틀어 가장 중요한 도로 중 하나인 [[고양대로]]가 동을 관통하고, 일산 지역을 북동-남서 방향으로 가르며 서울 방향으로만 발달된 일산의 간선도로를 중개해 주는 또 하나의 중요한 도로인 [[고봉로(고양)|고봉로]]가 동 경계 바로 옆을 지나가서 차를 끌고 타지로 나가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 중산동에서는 그저 보조간선 중 하나인 탄중로에 주간선도로 역할이 걸려 있어 [[경의로]]나 고양대로로 무조건 탈출하고 시작해야 하는 서쪽 옆동네 [[탄현동]]이나, 고양대로가 근처로 지나가는 건 좋은데 일산 시내지역으로 나가는 백마로가 영 애매한 위치에 있는 동쪽 옆동네 [[식사동]], [[풍동(고양)|풍동]] 지역에 비하면 도로 상황이 조금 더 나은 편. 다만 윗동네 봉일천(파주시 [[조리읍]])에서 일산으로 내려오는 최단 거리가 바로 고봉로를 타는 것이기에, 봉일천 수요가 몰려들어 베드타운 치고 통행량이 생각보다 많다는 게 주의할 점이다. 고속도로의 경우 가장 가까운 나들목은 [[주교동]]에 위치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고양IC]]이며, [[평택파주고속도로]] 전 구간이 개통할 경우 인근 [[설문동]]에 [[설문IC]]가 생길 예정이다. 버스의 경우 자체 수요도 수요지만 중산동 수요만으로는 버스 숫자를 설명하기 좀 힘들 정도로 많은데, 아마 차고지 버프가 아닐까 생각된다. 탄현 차고지의 경우 어차피 [[중앙로(고양)|중앙로]] 접속이 힘든 만큼 그냥 고봉로를 타는 경향이 있고, 식사동 차고지의 경우 식사동 인구가 적어서 손님이나 더 받고 가자는 느낌으로 중산동을 지나간다. 구일산 차고지(일산터미널)의 경우 [[고양대로]]를 타고 서울 쪽으로 가려면 하늘마을을 지나가야 하고, 성석동 차고지는 일산 쪽으로 나오려면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무조건 중산동을 지나가야 한다. 무려 [[공항버스]]도 들어온다![* 공항버스 7400번. 이 버스는 원래 [[킨텍스]] 수요를 노리고 만든 건데, 식사 차고지 출발 차량이고 고양시 외곽에 있는 킨텍스의 특성상 고양 시내에서 표정속도를 높일 이유가 전~혀 없어서 인구밀집 지역인 중산동을 겸사겸사 지나가는 것이다.] 다만 모든게 서울 아니면 지하철역과의 연계를 위주로 짜여진 고양시의 버스교통 특성상 중산동 동내(洞內)의 교통수단은 매우 미약한 편으로, 심지어 중산동 내에서 주민센터를 가기 위해 버스를 갈아타야 하는 경우도 있다. * 중산마을 경유 버스 * 마을버스 : --[[고양 버스 034|034]]-- [* 현재 운행 중지], [[고양 버스 070|070]], [[고양 버스 078|078]], [[고양 버스 091|091]] * 일반시내버스, 지선버스, 따복버스 : [[파주 버스 3|3]], [[고양 버스 11|11]], [[고양 버스 60|60]], [[파주 버스 70|70]], [[파주 버스 90|90]], [[고양 버스 95|95]], [[고양 버스 96|96]], [[서울 버스 7727|7727]][* 고봉로쪽 중산1단지 정류장(설문동 차고지 방향)에 정차한다. 참고로 서울방향 중산1단지 정류장은 행정구역상 서구 탄현동 관할이다.] * 일반좌석버스, 간선버스 : [[서울 버스 703|703]], --[[고양 버스 871|871]]--, [[고양 버스 921|921]] *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공항버스, 시외버스 : [[고양 버스 1200|1200]], [[광역급행버스 M7412|M7412]], [[공항버스 7400|7400]] * 산들마을 경유 버스 * 마을버스 : [[고양 버스 070|070]], [[고양 버스 071|071]], [[고양 버스 081|081]], [[고양 버스 090|090]] * 일반시내버스, 지선버스, 따복버스 : [[파주 버스 20|20]], [[파주 버스 90|90]], [[고양 버스 95|95]]. [[고양 버스 96|96]], [[파주 버스 567|567]], [[서울 버스 7728|7728]] * 일반좌석버스, 간선버스 : [[서울 버스 703|703]], [[서울 버스 771|771]], [[고양 버스 830|830]],-- [[고양 버스 871|871]] --, [[고양 버스 921|921]] *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공항버스, 시외버스 : [[고양 버스 1200|1200]], [[고양 버스 1900|1900]], [[시외버스 5000|5000]] * 하늘마을 경유 버스 * 마을버스 : [[고양 버스 010|010]], [[고양 버스 070|070]] , [[고양 버스 081|081]], [[고양 버스 087|087]][* 경유라고 하기는 그렇지만 풍산역 이마트 정류장(밤가시방향)이 중산동(중산2동)에 있으니 관련은 있는 셈이다. 참고로 동국대 방향 정류장은 행정구역상 풍동이다.], [[고양 버스 090|090]] * 일반시내버스, 지선버스, 따복버스 : [[파주 버스 20|20]], [[파주 버스 90|90]], [[고양 버스 95|95]]. [[고양 버스 96|96]], [[고양 버스 999|999]], [[파주 버스 567|567]], [[서울 버스 7728|7728]] * 일반좌석버스, 간선버스 : [[서울 버스 703|703]], [[서울 버스 771|771]], ~~[[고양 버스 871|871]]~~ *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공항버스, 시외버스 : [[고양 버스 1900|1900]], [[공항버스 7400|7400]] * 약산마을 경유 버스 * 약산마을 내부 진입노선 : 없음[* 산비탈에 자리잡은 탓에 버스가 다니기엔 어려움이 있긴 하다.] * 약산마을 정상부(마을회관 쪽) 초입까지 오는 버스 : [[고양 버스 010|010]] * 그외 : 고양대로의 약산마을 버스정류장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하다. 약산마을 고개 위쪽에 사는 사람들은 내려와야 한다. * 일반좌석버스, 간선버스 : [[서울 버스 703|703]], [[서울 버스 771|771]], -- [[고양 버스 871|871]] --[* 현재 운행중지] *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공항버스, 시외버스 : 없음[* 1900번은 지나는 가지만 정차하지 않는다.] 철도 교통의 경우, 동 관내에 역은 없다. 중산마을과 산들마을 주민은 남서쪽 옆동네 일산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일산역]]을 많이 이용하며, 하늘마을 주민은 남동쪽 옆동네 풍동에 위치한 같은 노선의 [[풍산역|풍산역]]을 많이 이용하는 편. 과거 [[고양 경전철]] 계획이 있었을 때는 중산마을에 신설역이, 산들마을과 하늘마을은 각각 옆동네인 일산동과 풍동에 역이 들어설 계획이 있었으나 경전철 건설이 완전 백지화되면서 소리소문 없이 묻혔다. 애초에 탄현~풍동을 잇는 구간은 고양 경전철 전체 건설 계획에서도 최후로 밀린 터라 지역 주민들은 그런 계획이 있었는 줄도 모르는 사람이 대다수다. == 정치 == 위에도 언급되었는데 일산 지역에서 노인 비율이 가장 높은 행정동이다. 고양시청이랑 뭘 좀 하다보면 중산동을 보고 반 농담삼아 "고양시 공식 [[실버타운]]"이라고 할 정도. 그 덕분인지 [[선거]] 때 투표율도 '''유의미하게 높다'''[* 고양시 평균보다 5-10% 정도 높다. [[제18대 대통령 선거]]때는 투표율이 80%를 넘겼다!]. 다만 이 동네는 [[진보]] 성향이 굉장히 강하다. 고양시 전체에서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이나 [[정의당]]같은 비 민주당계 진보정당 지지율은 이 중산동이 제일 높다. 항상 8% 이상 득표율을 너끈하게 찍는다. [[2014년]] 지방선거 때 경기도의원 후보로 나온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후보가 중산동에 아무런 연고가 없었음에도 11%나 나온 무시무시한 진보동네다. 민주당계 정당이라고 예외는 아니라서, 외지인들은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가장 높은 지역을 보통 장항동 쪽으로 알고 있는데, 실제로는 중산동의 지지율이 훨씬 더 무시무시하다. 하늘마을과 산들마을이 지역의 민주당계 정당 지지율을 견인하며, 그나마 낮은 중산마을의 민주당계 정당 지지율도 40%는 거뜬히 넘고 거의 50%를 바라보는 수준. 이곳은 노인들이 우르르 몰려가 진보정당을 뽑는, 일반적인 생각과는 좀 다른 그림이 펼쳐지는 곳이다. == 난개발 == 중산마을, 하늘마을 개발로 [[신도시]]는 아니어도 정비된 택지지구 정도의 이미지가 있는데, 하늘마을 뒤편에 은근히 [[난개발/경기도|난개발]]이 심한 지역이 있다. 옆동네 풍동2지구가 무산되었지만, 풍동2지구가 추진되던 시절의 영향을 받아 소규모 개발이 반복된 곳이다. 일산동구 중산동 [[고봉산]] 산자락 뒤편(1724~1737번지 일대)에 '''다세대 빌라로 떡칠된 동네'''(통칭 소개마을[* 이 동네에 있는 도로명이 소개울길, 소개길 등이다. 아이파크 개발 이전 해당 지역을 흐르던 소하천의 이름이 소개울천[* [[http://www.goyang.go.kr/resources/www/pdf/content/pdf-life-rivername_dictionary.pdf|링크]]에 따르면 제1수계는 한강, 제2수계는 장월평천(서부수로)로 되어 있다. [[공릉천]]이나 장진천, 도촌천 수계가 아니다.이고 여기에서 이름이 나온 것이다. 하늘마을에는 소개교라고 해서 이 작은 개울 위를 지나는 [[교량]]에 이름이 붙어 있다.])가 바로 그것이다. 개나리공원이라는 작은 도시공원이 있으나 여기는 [[고봉산]]에 가려서 햇빛도 잘 안 들어오고 빌라 주제에 3~5층으로 층고도 높은 녀석들이 많아서 산에 가까운 쪽은 습기가 차고 햇빛이 안 들어오는 불편이 있다. 결정적으로, 이 동네에 [[도시철도]]나 [[광역철도]]망은 고사하고 '''[[마을버스]]조차 거의 없었지만''' 최근 [[고양 버스 010|010번]]이 기점을 바꾸면서 들어오게 되었다. 걸어서 안곡고등학교 방면까지는 나가야 버스를 탈 수 있다.[* 실제로 버스가 이곳을 지나가려면 선형을 이상하게 뒤틀어야 한다.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이곳을 지나가려면 하늘마을은 사과 깎듯 비켜나갈 수밖에 없고, 중산마을은 [[고양대로]] 경유 노선엔 전혀 관심이 없는데다, 전원 분위기를 좋아하는 중산동 주민들 자체가 '''고봉산을 깎았던 이 개발에 부정적인 입장이었기 때문에''' 힘을 모아줄 가능성도 낮다. [[고봉산]]을 관통하는 터널(본 문단에도 있지만 중산동 주민들이 반발한 이유는 이 터널 때문이었다)을 쓰면 중산마을 - 소개마을 간 마을버스 정도는 놓을 수 있지만 [[공기수송(교통)|수요가 없다]]. 이래저래 육지의 섬 맞는듯.] [[고봉산]] 뒤편인 데다 조용하고 등산하기는 좋아서 50~60대 은퇴자들이 자리를 잡는 편이다. 젊은 사람들은 이 지역에 신축 빌라 [[광고]]한다고 혹해서 낚여가지고 입주하지는 말자. 진짜 [[헬게이트]] [[난개발/경기도|난개발]]이 뭔지 느낄 수 있다. 위 문단의 소개마을 지역과 중산/산들마을을 잇기 위해 [[고봉산]]에 [[터널]]을 뚫고 산을 깎아서 안곡초등학교 앞쪽으로 이어지는 도로를 놨는데, 이 [[도로]] [[건설]]에 대해서 중산마을 주민들이 강력 반발하면서 '''터널이 만들어지면 [[콘크리트]]를 구해와서 다시 메워 버리겠다'''는 수준까지 갔으나 결국 생태터널로 합의보고 간신히 [[2010년]] 개통되었다. 이 과정에서 중산마을 주민들은 일산동구청 앞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이기도 하였다. 하여간 중산마을 - 소개마을 간 도로는 생태터널로 개통되어 하늘마을로라는 도로명을 받았으며, 주변에 구 고봉산 등산로[* 원래 이쪽 등산로가 산들마을 1,2단지 개발 이전에는 논밭이었고, 중산마을 12단지 아파트 뒷길에 연결되어 있었으나 이 생태터널과 습지공원 조성과정에서 아파트 뒷길과 고봉산 논밭 등산로 연결부분을 폐쇄하였다. 그래서 12단지 뒷길이 이상한 모양으로 불쑥 튀어나오는 형상이 된 것이다.]를 폐쇄하고 만든 안곡습지공원이 생겼다. 소개마을보다 더 가면 성석동-식사동 접경지역에 [[빌라]] [[난개발/경기도|난개발]]이 소개마을보다 더 심각한 지역이 있다. [[2010년대]] 들어서 개발이 '시작'된 지역으로, 이름은 약산마을이다. 약산마을은 중산동-구일산 지역에서 성석동으로 불리는 지역으로, 거주민들도 동만 중산동이지 식사동으로 아는 사람이 더 많다. 중산동 [[주민센터]]보다 식사동 주민센터가 훨씬 가깝다. == 기타 == [[파일:qd2qm75.jpg]] [[일산 센트럴 아이파크]] [* 하늘마을 2단지와 3.4단지 사이의 논밭지역(일명 "소개울")에 [[2015년]] [[현대산업개발]]이 [[일산 센트럴 아이파크]]를 짓기로 하였다.(중산동 49-1번지) 하늘마을 8단지로 배정되지 않고 뜬금없이 아이파크 1단지가 될 예정이다. 사전에 기존 하늘마을 주민들에겐 통보가 없었던 듯 하며... 갑자기 당한 2단지에서는 개발 반대 현수막을 거는 등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그래도 [[미분양]] 없이 [[분양]][[주택청약]] 마감에 [[http://gvalley.heraldcorp.com/detail.php?number=17133|성공했다]]. 그리고 지금은 중산동에서 가장 높은 부동산 상승폭을 기록중이다.] 근방에 SBS 탄현제작소가 있어 가끔 방송국에서 드라마 촬영도 하러 온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산동구, version=294)] [[분류:일산동구의 법정동]][[분류:일산동구의 행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