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단어 == === 中文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중국어)] 혹은 "[[중어중문학과]]"에서처럼 "중국 문학"의 줄임말로 쓰이기도 한다. === 中門 === 가운데에 있는 문. 주로 건물 구조상으로는 나눠져있지 않은 방의 중간에 미닫이문을 설치해 나눠놓은 것을 말한다. [[방]]이 기본적으로 하나인 분리형 [[원룸]]에서 자주 쓰는 말이다. [[현관]]에서 거주공간까지의 시야를 차단하거나 [[복도]]에서 들리는 [[소음]]을 제어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현관에 벗어놓은 신발에서 나오는 오염물질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간혹 학교나 병원처럼 부지가 넓은 시설에서 [[정문]], [[후문]]과 함께 쓰이면서 '정문보단 작고 후문보단 좀 큰' 출입문을 중문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청주시]]에서는 [[충북대학교]] 중문이 "충대 중문" 식으로 지명처럼 쓰이고 있다. 대개 [[사창동]] 주민센터가 있는 [[번화가]] 일대를 일컫는다.[*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 쪽문이라는 표현도 쓴다. [[KAIST]]에서는 학교 앞 거리를 쪽문이라고 부른다.] ==== 中門(버스) ==== [[버스/출입문|버스 출입문]] 중 차체 중간에 있는 문을 중문이라고도 한다. 보통의 2문형 시내버스에서는 [[현대 카운티|카운티 2도어]]가 아닌 이상 전문으로 타고 중문으로 내리며, 카운티 2도어는 중문으로 타고 후문으로 내린다. 그러나 일부 [[직행좌석버스]]와 [[광역급행버스]]는 입석 금지 이루 좌석확보를 위해 중문을 막고 좌석을 추가로 장착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대체로 한국과는 반대로 중문으로 타서 전문으로 내린다. === 重文 === 국어학에서 병렬 접속문을 일컫는 용어이다. [[최현배]]의 용어로는 "거듭[[월]]"이라고도 하였다. 다만 한국어의 경우 종속 접속문과 대등 접속문을 구별하기가 어려워 복문(複文)과 합쳐서 다루는 것이 근래의 일반적인 경향이라고 한다. == 중문(中文),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의 지명 == [[중문동]], 중문관광단지, 중문·색달해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자는 中文으로 1.1 문단과 동일하다. == [[우중문]](于仲文), [[수나라]] 인물 == 수나라 장군이다. 한국사에서는 [[고구려-수 전쟁]]에서 [[을지문덕]]과 대적한 것으로 유명하다. 을지문덕이 보낸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 수나라 장군 우중문에게 보낸 시)가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