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중러국경'''은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이다. == 상세 == 중러국경은 중국과 러시아의 국경으로 일부 지역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접해 있고, 대부분의 국경 지역이 [[러시아]]쪽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유대인 자치주]]와 [[중국]]쪽의 [[지린성]], [[헤이룽장성]], [[내몽골 자치구]]에 위치해 있다. 자연 국경도 존재하며 [[아무르강]], 우수리강, 아르군강, [[한카 호]]가 중러국경의 자연경계를 이루고 있다. == 역사 == 19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이 [[청나라]]로부터 영토를 할양 받으면서 청나라-러시아 제국간의 국경이 형성되었다. [[연해주]]도 러시아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20세기에 러시아 제국이 [[러시아 혁명|혁명]]으로 몰락하고 [[소련]]이 출범하면서 소련-중국 국경이 생겼다. 당시의 국경은 [[중앙아시아]] 5개국이 소련의 행정구역에 속했기 때문에 지금의 국경보다는 매우 넓었다. 20세기 중반에 국경지역에서 [[중국-소련 국경분쟁|중국과 소련간의 국경분쟁]]이 일어나자 긴장감이 높아지기도 했다. 현 중러국경의 대부분은 19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이 몰락하는 청나라로부터 땅을 뜯어내면서 확정되었다. 현재는 러시아령이 아니지만 중앙아시아와 중국 사이의 국경, 그리고 아직 러시아령인 [[알타이 공화국]] 지역의 국경이 당시 청나라-러시아 제국간의 국경으로서 형성되었다. 또한 동부의 [[연해주]]도 러시아가 [[베이징 조약]]으로 뜯어내면서 현 중러국경의 동부가 생성되었다. 참고로 [[1969년]] 이 국경지역에서 일어난 [[중소 국경 분쟁]]의 원인 또한 이 조약에서 확정한 국경에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러시아 제국인 이 조약에서 국경의 기준을 강 중부가 아니라 중국쪽 강변을 기준으로 삼았고 이에 의해 우수리 강의 새로운 섬들도 러시아령이 되어야 했을 터인데 소련 성립과 중국의 공산화 이후 중국이 불평등한 [[러시아 제국]]의 조약의 개정을 요청하고 새로운 섬들의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생겨난 것. 또한 [[1912년]] [[신해혁명]] 당시 소련이 [[복드 칸국]]을 지원하면서 몽골 지역의 중러국경이 사라졌다. 이때, 그리고 소련시절 까지는 중앙아시아 5국이 러시아령이였기에 중러국경이 훨씬 길었으나 현재는 [[소련 해체]]로 국경 길이가 많이 줄어든 상황이다. 91년에 소련이 [[소련 해체|해체]]되면서 중앙아시아쪽은 중국-카자흐스탄 국경, 중국-키르기스스탄 국경, 중국-타지키스탄 국경이 되고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접한 일부 지역과 [[러시아 극동]], [[극동 연방관구]]지역의 중국과 접한 지역만이 중러국경이 되었다. == 영토 분쟁: 종결 == [[중국-소련 국경분쟁|중국과 러시아는 소련 시절에 영토분쟁]]이 있었는데, 2000년대에 [[아무르 강]]의 일부 섬들을 각각 중국 땅과 러시아 땅으로 인정하면서 영토 분쟁을 해결했다. 이후로 2008년 러시아 극동지역 헤이샤쯔(러시아명 다우스리)섬 분할 방법이 확정되면서 중국과 러시아의 마지막 국경분쟁은 마무리 되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3070113#home|#]] == 관련 문서 == * [[국경]] * [[중러관계]] * [[청러관계]] / [[중소관계]] * [[중소 국경 분쟁]] * [[아무르강]] * [[한카 호]] * [[러시아 극동]] / [[극동 연방관구]] [[분류:국경]][[분류:정치지리]][[분류:중러관계]][[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