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우편회사]][[분류:우편]][[분류:중국의 중앙국유기업]] [include(틀:세계의 우체국)] [[파일:1605541448147.jpg|width=1000]] ||<-2><#c7000b> {{{+4 {{{#ffffff '''중국우정'''}}}}}}[br] {{{#ffffff 中国邮政集团有限公司 [br]China Post Group Co.Ltd}}} || ||<-2> [[파일:중국우정 로고.svg|width=100%]] || || {{{#ffffff '''정식명칭'''}}} ||<-2>중국우정집단유한공사 || || {{{#ffffff '''종류'''}}} ||<-2>중앙국유기업 || || {{{#ffffff '''본사 소재지'''}}} ||[[베이징시]] [[시청구]] 진룽다제 3[br]北京市西城区金融大街3号 || || {{{#ffffff '''설립년'''}}} ||[[2005년]] [[7월 20일]]^^([age(2005-07-20)]주년)^^ || || {{{#ffffff '''업종'''}}} ||[[금융업]], [[물류업]] || || {{{#ffffff '''시가총액'''}}} ||'''123조 8,777억원^^(2022. 01. 10.)^^''' || || {{{#ffffff '''상장 여부'''}}} ||비상장 기업 || || {{{#ffffff '''직원 수'''}}} ||311,000명^^(2018)^^ || || {{{#ffffff '''대표'''}}} ||류아이리(刘爱力) || || {{{#ffffff '''지배 구조'''}}} ||[[중국 국무원]] 100% || || {{{#ffffff '''홈페이지'''}}} ||[[http://www.chinapost.com.cn|[[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중국본토)^^ [[http://yjcx.chinapost.com.cn/qps/yjcx|[[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0]]]]^^(추적페이지)^^ || || {{{#ffffff '''본사 위치'''}}} ||[include(틀:지도, 장소=北京市西城区金融大街3号,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화인민공화국]]의 [[우체국|우편]] 업무를 담당하는 중앙국유기업으로, 건국당시 처음에는 중국인민우정(中国人民邮政)이라는 이름으로 탄생하였으며 지금의 중국우정(中国邮政)은 2005년 7월 정개분리원칙에 의해서 설립되었고 이때 자회사인 [[중국우정저축은행]](中国邮政储蓄银行)도 탄생했다. == 상세 == [[청나라]]의 [[이홍장]]에 의해 설립된 '대청국우정'이 중국의 우편 사업체의 시초이며,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이 이어받아 [[중화우정]]으로 이름을 바꾼 이후 [[1949년]] 이전까지 중국 대륙의 우편 업무를 담당하였으나, 국공 내전 이후 [[중화민국]]이 [[타이완]]으로 철수하면서 중화우정까지 타이완으로 데리고 가자,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새로 설립한 기관이 중국우정이다. [[1971년]] [[국제연합]] 총회를 통해 [[중화민국]]이 축출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회원국이 되면서, [[만국우편연합]]에서도 [[중화우정]]을 대신하여 중국우정이 중국을 대표하는 우편 사업체가 되었다. 만국우편연합은 중국우정의 가입일을 [[중화우정]]의 가입일인 1914년 1월 3일로 표기하고 있다. [[http://www.upu.int/en/the-upu/member-countries/southern-asia-and-oceania/china-peoples-rep.html|만국우편연합의 중화인민공화국 설명]] 사실 이는 국제연합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중화인민공화국]]의 가입일은 1945년 10월 24일로 표기되고 있다. 어차피 주권 국가만 가입이 가능한 관계로 상관없기는 하다. 국제적으로 중화민국(대만)은 주권국가가 아니라고 하기 때문이다. [[1976년]]에 중국우정이 UPU에 가입하면서 [[중화우정]]은 옵저버로 강등되고, [[차이잉원]] 총통이 당선되자 [[2017년]]에 중국 정부가 UPU에 압력을 가해 중화우정을 UPU에서 제명했다. 2019년 12월 28일 중국우정집단공사에서 명칭을 변경해 재탄생했다. == 영업 지역 == [[홍콩]], [[마카오]], [[타이완]]을 제외한 [[중국]]본토에서 우편 배달 업무를 맡고 있다. [[홍콩]]과 [[마카오]]는 [[일국양제]]에 의해 간접 통치하여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우편 사업체가 [[홍콩우정]] 및 [[마카오]] 우체국으로 따로 있으며[* 우체국 주권국가 코드만 중국과 합쳐져있고, 법인과 네트워크 등은 독립적이다. 게다가 [[홍콩]]-[[중국]]본토, [[홍콩]]-[[마카오]], [[마카오]]-[[중국]]본토는 국제 우편으로 취급한다. 즉, 반 독립적 조직이다.] [[타이완 섬]]은 사실상 [[중화민국]]이라는 아예 다른 나라이므로 [[중화우정]]이 [[대만]]의 우편 사업을 맡고 있다. == 우표 == || [[파일:2019猪小样.png|width=100%]] || || '''2019년 신년 기념우표''' || || [[파일:A12021CHINAPS.png|width=100%]] || || '''2021년에 발행된 문화재 우표''' || 중국우정집단공사의 [[우표]] 디자인 센스는 전 세계적으로 안 좋기로 악명이 높다. 그 디자인 안 좋다는 [[미국우정공사]] 우표도 [[다시 보니 선녀 같다|다시 보니 선녀같게]] 만들어버리는 [[아스트랄]]함과 형편없음을 자랑하는데, [[보통우표]]건 [[기념우표]]건 간에 디자인이 저질을 넘어서 [[중국]]에는 이렇게 인재가 없나를 보여준다고 신명나게 비판된다. [[우표 수집]]가들에서도 중국 우표 들어간 것이 발각되면 컬렉션의 값을 후려칠 정도이니 대체 얼마나 디자인이 쓰레기 같은 지 알 만 하다. 우표 수집가들이 자선[[경매]] 형식으로 자신의 컬렉션 [[전시회]]를 열 때, 항상 중국의 우표가 있는지 없는지를 감시하고 연다. 중국 우표가 1장이라도 들어가 있으면 그 전시회의 가치는 급전직하하며, 아예 인정을 못받기도 한다. [[중국인]] 우취가들도 중국우정의 디자인 센스를 비판한다. 다만 이렇다고 모든 중국 우표가 쓰레기 취급 받는 건 절대 아니고, 높은 희소도나 인기를 가진 중국 우표들은 당연히 그에 걸맞는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보통 가장 유명하고 비싸게 거래되는 중국 우표는 [[1980년]]에 발행된 [[https://blogs-images.forbes.com/richardlehmann/files/2020/01/CHP1586.gif?|원숭이해 연하우표]]나, [[1967년]] 발행된 [[마오쩌둥]]의 [[http://pro61587f.pic9.websiteonline.cn/upload/mao_bgcn.jpg|시(詩) 우표]] 등이 있다. 또한 [[2021년]]에 [[https://www.spb.gov.cn/gjyzj/c100040/202106/b67255f7c87c43a09194ebb6a721e46d.shtml|이렇게 발행된 우표]]처럼 문화재 사진이 삽입된 우표도 나쁘지 않은 평가를 받는다. 과거 중국인민우정 시절에는 국가명 표시를 [[중국어]]로만 하였으나 현재는 [[영어]] '''CHINA'''를 병기하고 있다. [[https://www.spb.gov.cn/gjyzj/c100037/c100150/common_listmore.shtml?channelId=0521b56a6e5043f2b05e538df8befad9&code=c100040|여기]]서 발행 우표를 일람할 수 있다. 다만 이 괴악한 디자인 센스는 어디 가지 않아서, [[2023년]] 발행한 토끼해 연하우표는 그야말로 기괴하다는 혹평을 받으며 전세계적인 비웃음을 샀다. 심지어 이 우표를 디자인한 사람은 전술한 원숭이해 연하우표를 디자인한 사람이다.[* 이 우표 디자이너는 2016년 원숭이해 우표를 디자인하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3699659?sid=104|#]] 다만 발매된 이후에는 이 괴악한 디자인 덕분에 오히려 컬트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 CI 변천사 == || [[파일:Ministry_of_Posts_and_Telecommunications_,PRC.png|width=200px]] || [[파일:중국우정 로고.svg|width=200px]] || || [[1949년]] ~ [[1996년]] || [[1997년]] ~ 현재 || == 여담 == [[알리익스프레스]]나 [[이베이]] [[중국]] 셀러에게서 해외직구를 할 시 '''매우 높은 확률'''로 당첨되는 배송사다,[* 극소수의 확률로 [[홍콩우정]]이나 [[싱가포르 포스트]]가 당첨되기도 하고, 고가의 물품인 경우 [[DHL]]이나 [[페덱스]] 등의 사설 업체가 당첨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그런지 배송 속도도 천차만별인데, 닷새만에 배달되는 일이 있는가 하면[* 물류 창고에서 물건을 해당 국가로 보내려 하는데, 운이 좋게 그 때 물건이 물류 창고에 들어온 경우다. 게다가 중국은 한국의 바로 이웃나라다 보니 시간만 잘 맞으면 [[일본]]과 함께 물건을 가장 빠르게 받을 수 있는 국가인 점도 크다.], 두 달이 지나도 안 오는 일도 있다.[* 물건을 판매하는 셀러가 물건을 늦게 보내 배송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다. 한 달 반 정도가 지나도 물건이 안 온다면 셀러에게 물건을 언제 보냈냐고 물어보는 것이 좋다.] 특송이 아니라 일반 등기우편이라서 항공사 물류창고로 넘어간 시점(accepted by air carrier)에 항공배송 시작이라고 뜨지만 운좋게 컨테이너 빈자리 채우기에 당첨되어 비행기에 실리는 시점이 다음날일 수도 있고 아니면 배정된 컨테이너가 가득 찰 때까지 2~3주 기다릴 수도 있다. 여기도 운이 좋지 않으면 '''[[북한]]으로 오발송되어 시간을 끌거나 물건이 증발'''하는 등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진다. 또, 이 배송사가 트래킹(택배 조회)가 잘 안 된다는 점을 이용, 이 배송사로 물건이 갈 경우 셀러에게 물건이 도착 안 했다고 거짓말을 하고 물건을 하나 더 받아먹는 일이 있었으'''나'''[* 주로 트래킹이 지원되지 않는 배송 서비스로 배송이 될 경우, 사기를 많이 쳤었다.], 요즘엔 피해 사례가 인터넷에 알려지면서 그런 편법을 아는 셀러가 많아져 그런 편법은 잘 통하지 않는다.[* 그래서 요즘엔 정말 값싼 물건을 보내는 경우가 아니면, 왠만해선 다 트래킹이 지원되는 배송 서비스로 보내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요즘 중국 배송사들의 트래킹 시스템도 좋아져서 덜미가 잡히기도 한다. 그래도 배송사에서 제공되는 트래킹 시스템의 경우 중국까지만 조회가 되고 끝나는 경우가 많아 그걸 이용해 보려는 [[세상은 넓고 병신은 많다|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요즘은 알리바바 그룹에서 해외물류 지원을 확대하면서 차이냐오(菜鸟)라는 국제물류자회사의 트래킹 시스템을 알리익스프레스 내에 연결해놓아 중국우정 등기편의 추적이 많이 편해졌다. 한국 우체국에서 배송완료가 되면 알리에서 배송완료 되었으니 피드백 적어달라는 메일이 올 정도. 그리고, [[한국]]에 들어와서도 배송 트래킹 번호를 [[국제특급우편]]조회 사이트에 넣으면 [[한국]]에 들어와서 어디까지 배송 진행이 되었는지 다 나온다. 그러나, 요즘에도 가끔씩 아직 이 편법을 모르는 초보 셀러들을 상대로 위의 방법대로 물건을 뜯어내고선 그걸 [[병신|자랑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런 사람을 보면 꼭 해당 쇼핑몰과 판매자에게 신고를 해 주자. 중국우정의 추적페이지는 [[http://yjcx.chinapost.com.cn/qps/yjcx|여기]]이다. == 사고 ==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여기 봉투에 정체 모를 씨앗이 나왔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4789786|#]] 채소와 허브, 꽃 등의 씨앗으로 밝혀졌는데([[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787760?sid=104|#]]), 이후 중국의 쇼핑몰들이 매출을 부풀리기 위해 임의로 발송한 것으로 밝혀져 일단락되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8&aid=0004482526|#]] == 항공 우편 == 자체 화물운송을 위하여 화물항공사인 [[중국우정항공]]을 자회사인 중국우정속달물류의 자회사로 운영하고 있다. IATA코드는 CF, ICAO코드는 CYZ, 콜사인은 CHINA POST이다. [[보잉 737]] 계열 항공기를 운영중인데 초창기에는 [[중국남방항공]]과 합작운영하였으나 현재는 남항 지분을 전량인수하여 독자운영중이다. == 주요 자회사 == * 중국우정속달물류(中国邮政速递物流): EMS(Express Mail Service)를 전담하는 자회사로 [[중국우정항공]]이 자회사로 있다. * [[중국우정저축은행]](中国邮政储蓄银行): 중국의 6대 국유상업은행으로 중국본토에서 가장많은 영업점을 보유하고 있다. * 중국우정생명보험(中邮人寿保险): 우리나라의 [[우체국보험]]처럼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자회사로 홍콩의 [[AIA생명]](友邦保險)이 25%정도 지분 투자를 했다. * 중국집우(中国集邮): 우표를 생산 및 판매하는 자회사 == 둘러보기 ==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