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사)] [목차] == 개요 == '''중국어교사'''는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서 [[표준중국어|중국어]], [[중국어(교과)|생활중국어]] 등의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이다. 중국어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중국어교육과]]를 나오거나 대학 [[중어중문학과]]에서의 교직이수를 해야 한다. [[1990년대]]까지는 [[정자(한자)|정체자]] 위주의 대만식 [[표준중국어|중국어]]로 가르쳤다. 그래서 [[화교/대한민국|재한 화교]] 출신 교사나 [[한문교사]]가 [[중국어(교과)|중국어]] 수업을 담당했다. 내용 측면에서 [[한문(교과)|한문]]과 큰 차이점이 없었고, [[한어병음|병음]], [[주음부호|주음]]만 가르치면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중관계|한중수교]] 이후 [[정자(한자)|정체자]] 대신 [[간체자]] 위주로 교육과정이 개편되고 [[조선족]], [[한족]] 출신 [[중국인|중국 대륙인]] [[이민|이민자]]나 [[외국인 노동자 문제|외국인 노동자]]가 증가하면서 [[한문(교과)|한문]]과 멀어지게 되었다. 1997년부터 중국어 교사 선발이 시작되었으며 중국의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중국어가 유망한 언어로 손꼽히게 되면서 인기가 늘어나 매년 꾸준히 선발인원이 나왔다. [[2000년대]] 중반에는 [[중국어(교과)|중국어]]가 크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러나 제2외국어 자체의 수요가 떨어지고 [[반중/국가별 사례/대한민국|반중 감정]]의 심화로 학생들이 중국어를 꺼리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2022년에는 사상 최초로 선발인원이 0명이라는 상황이 터졌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907133400797|#]] [[분류:교사]][[분류:중국어]][[분류:언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