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include(틀:중국의 이동통신사)] ||<-2> {{{+1 '''中国广播电视网络集团有限公司'''}}}[br]{{{-2 '''China Broadcasting Network Co Ltd.'''}}}[br]'''CBN'''[br]'''중국광파전시네트워크집단''' || ||<-2> [[파일:1a1fc462f768f6f.jpg|width=90%]] || || '''약칭''' ||중국광전집단(中国广电集团), CBN || || '''정식 명칭''' ||중국광파전시네트워크집단유한공사 || || '''종류''' ||중앙국유기업(공기업) || || '''본사위치''' ||{{{-1 [[베이징시]] [[시청구]] 바이윈루 10}}}[br]北京市西城区白云路10号 || || '''창립년일''' ||2014년 4월 17일 || || '''업종''' ||통신업 || || '''사업 지역''' ||중국 본토 || || '''서비스[br]이동통신''' ||4G [[LTE]], 5세대 [[NR]] || || '''대표''' ||량샤오타오(梁晓涛) CEO || || '''지배 구조''' ||[[파일:중국 국장.svg|width=20]]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국무원]] 100% || || '''상장 여부''' ||비상장 || || '''외부 링크''' ||[[http://www.cbn.cn|회사 홈페이지]] || || '''창업자''' ||우춘융(吴纯勇), 룽허왕(融合网) (공동 창업자)||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의 광전총국이 운영하는 제4 이동통신사집단으로 2014년 4월에 국무원이 발표한 '''삼망융합'''[* 三网融合 : 번역하면 '''방송통신융합''' 이라는 뜻으로 방송과 통신, 인터넷을 하나의 광케이블로 통합하는 정책인데 중국대륙에서는 2010년 6월 30일에 일부도시가 시범실시지역으로 선정되었다.]'''의 총체적인 추진방안'''정책에 의해서 우춘융(吴纯勇), 룽허왕(融合网) 두 사람에 의해서 중국의 제4 이동통신사로 설립되었다. == 상세 == 중국광전총국네트워크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직속 기구이자 언론을 감독하는 기구인 [[국가광파전시총국]](광전총국)이 운영하는 제4 이동통신사집단으로, 5G 서비스 허가를 받아서 대주주인 차이나 브로드 캐스트 네트워크가 보유한 중국 전국의 유선 TV 네트워크를 활용해 4G & 5G 서비스 망을 구축 할 계획 이다. 그룹내 대표 회사인 중국광전네트워크는 국가전력망공사, 알리바바 등이 전략적 투자자로 중국광전의 지분을 보유했다고 한다.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5세대 이동통신으로, 중국광전은 방송용인 700 Mhz 대역 주파수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이동통신에 사용하며, 700Mhz는 차이나모바일 주파수 자원과 상호 보완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다. 중국광전이 기존의 3대 이통사와 본격적인 경쟁을 할 수 있으려면 적어도 3~5년이 걸릴 것으로 본다. 그전까지 중국광전은 이들과 경쟁보다는 상호 자원 공유, 협력 확대를 공생관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 기타 == * 계열사 중국광전은 3대 이통사와 달리 설립 초기부터 민영기업 DNA가 존재하며 혼합소유제개혁에서 차이나유니콤 같은 오래된 국유공기업보다 더 비교우위가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사실상 국유기업이라해도 민영기업처럼 운영한다는 말이다. * 중국광전네트워크의 전체 통신장비 중 60% 이상이 [[화웨이]]의 통신장비를 사용한다. 나머지는 [[ZTE]] 장비다. * [[5G]] 망의 경우에는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처럼 [[차이나모바일]]과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5417|공동으로 망 구축을 한다.]] 이 경우 중국 5G 망 구축에서 비용 절감은 물론이고 [[차이나유니콤]] & [[차이나텔레콤]] vs 차이나모바일 & 중국광전과 2대2 대결 구도가 만들어진다. [[분류:중국의 통신회사]][[분류:중국의 중앙국유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