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중국의 문화]][[분류:중국의 검열]] [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상위 문서, top1=중국/문화 검열)]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목차] == 개요 == [[중국]]의 문화 콘텐츠 [[검열]] 사례들을 정리하는 문서이다. == 외국[* 대만, 홍콩, 마카오, 싱가포르 등 같은 중화권은 제외.] 콘텐츠 == === 한국 문화 콘텐츠 === [[한한령#s-2|한한령]] 문서 참조. === 영화 === [youtube(8R-FQTY4KJk)] 중국판 스크린 쿼터제가 할리우드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동영상 특히 영화 분야가 가장 심한데, [[중국공산당]]의 정치적 입장뿐만 아니라 자국 영화 산업 보호라는 측면에서 외국 영화에 대해 엄격하게 심의하는 편이다. [[중국]]은 아직 [[영상물 등급 제도]]가 없고 심의에서 전체 상영가와 심의 불가 2개밖에 내리지 않는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38&aid=0000337236|출처]]. 심의 불가가 떨어지면 제작자가 알아서 문제가 된 부분을 삭제하는 식이다. 거기에 중국판 [[스크린 쿼터제]]가 있어서 영화관에서 외국 영화는 1년에 34편만 스크린에 걸 수 있게 제한되어 있다. 이것도 지금은 많이 완화된 편인데, 1994년 이전에는 외국 영화가 수입되는 것이 손에 꼽을 수준이었고, 그나마도 공산권 영화가 대부분이었으며, [[서유럽]]이나 [[미국]]에서 제작된 영화는 더더욱 적었다. 그러다가 1994년에는 1년에 10편씩 스크린에 거는 조건으로[* 물론 당시 [[중국]] 영화계가 TV 대중화로 인해서 위기를 맞게 되자 이를 타개하려고 시행한 면도 없지는 않다. 실제로 1970년대 대비 1990년대 초반의 영화 관객수는 절반 이하로 뚝 떨어지던 상황이다.] 외국 영화의 정기적인 수입이 허가되었고, 2001년에 2배로 증가하여 20편으로 증가하다가 2012년에 [[조 바이든]]이 시진핑과 손수 협상을 벌여서 34편으로 증가시킨 것이다. 물론 중국 내에서도 중산층이 크게 늘어서 문화적인 욕구가 크게 늘기도 하고, 무엇보다도 통상충돌 완화 목적이 크지만 말이다. 그래서 할리우드 대작 영화들의 수입이 어처구니 없는 이유로 불허되는 일은 많이 줄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저 쿼터를 0.5개, 0.2개 식으로 적용해서 34편보다는 많이 수입되고, 그 이후로는 할리우드에서 중국 자본의 투자를 받거나 중국 시장을 의식해서 알아서 꼬리를 내리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러나 34편 외의 나머지 영화들은 매단제로 분류가 돼서 제작사는 판권 수익만 얻을 수 있고, 중국 자본의 투자를 받거나 중국 합작 영화는 외국 영화로 분류되지 않지만, 중국 배우가 일정 비율 이상으로 출연해야 하는 등 조건이 매우 까다롭다. 수입 쿼터 제한이 완화되었다고 해도 [[홍콩]]과 [[대만]] 등을 제외한[* [[홍콩]]은 일단 [[중국]]과 별도의 통치 체계가 적용되지만 중국의 [[특별행정구]]이며, [[대만]]은 국가이지만 [[하나의 중국]] 정책에 따라 중국의 일부로 취급해서, [[대만 영화]]와 [[홍콩 영화]]만은 수입 쿼터 제도가 적용되지 않는다.] 여타 국가 영화까지 수입할 정도의 쿼터가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직도 많은 해외 영화들이 극장에 내걸리지 못한다. 그래서 경제력이 어느 정도 올라온 이후에도 중국에서 외국 영화를 마음껏 보려면 인터넷에 불법으로 올라오는 외국 영화들을 봐야 하기 때문에 국가에서 복돌이 짓을 장려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홍콩에서 가까운 광둥성같은 지역은 외국 영화 보려고 홍콩으로 가는 일도 더러 있다고 한다. 그나마 TV로 외국 영화가 방영되는 경우도 있기에 100% 적용되는 건 아니지만, 가장 직접적인 수익이 되는 티켓 수입을 거둬들이기가 힘들다. [[중국]] 자본을 끌어들이는 등의 방식으로 합작해 영화를 만들면 중국 영화로 취급해 수입 쿼터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이름이 널리 알려진 [[할리우드]] 영화 대작을 제외하면 중국 시장에 많은 영화를 영화관에 올리기 위해서는 합작이 필수다. ==== 예시 ==== 아래에 상영 금지 사례가 몇 개 소개되어 있다. 그 중 몇몇은 정치 문제나 사상 문제와 관련이 없는 영화임에도 상영금지되었는데, 검열당국이 이유를 어거지로 설명하려는 애잔함(?)이 느껴진다. 이 경우에는 폭력성이 어쩌구, 선정성이 어쩌구, 전개가 비현실적이다 어쩌구 하는 이유를 붙이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쿼터 초과 때문에''' 상영되지 않은 영화들이 많다. 이 때문에 중국에서도 상영금지된 영화들 중에서 정치 문제와 별 상관이 없는 영화들이 상영금지된 이유에 대해 비웃는 반응이 많다. 특이하게도 [[쏘우 시리즈]]는 검열을 피해갔다. <절혼거 : 유희중계>라는 이름으로 [[직쏘]]가 개봉되었다. 한 마디로 잔인하다고 개봉 중지한 건 들쭉날쭉인 셈. *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 ''''영혼이 주변에 진을 친다''''는 이유로 상영 금지. * [[캐리비안의 해적: 세상의 끝에서]]: [[주윤발]]이 연기한 중국계 해적인 '샤오펑'이 호색하고 비열한 이미지로 등장했다고 주윤발이 등장하는 장면을 대거 삭제, 절반으로 줄였다. 대머리, 상처투성이 얼굴, 긴 수염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0455183|할리우드의 '악마적 중국인' 이미지]][* 아마도 [[푸 만추]]를 말하는 듯 하다.]에 부합한다는 것이 중국의 주장. * [[클라우드 아틀라스]]: 중국 배우 [[저우쉰]]의 베드신과 [[동성애]] 묘사 장면이 삭제됨에 따라 중국판의 경우 전체 172분의 분량 중 [[http://star.mk.co.kr/new/view.php?mc=ST&no=59442&year=2013|40분 가량이 날아갔다]]. * [[왕의 남자]]: [[동성애]] 장면이 나온다고 중국 개봉 거부를 당했다. * [[브로크백 마운틴]]: [[왕의 남자]]와 동일한 이유로 개봉 불가 판정. * [[브래드 피트]]는 1997년에 [[달라이 라마]]가 등장하는 《[[티베트]]에서의 7년》(Seven Years in Tibet)이라는 영화에서 주연을 맡은 후 [[중국 정부]]가 10년 넘게 그의 중국 입국을 불허했던 적이 있다. [[https://www.ytn.co.kr/_sn/1406_201611161633021339|브래드 피트 中 방문, 입국금지 풀려 20년 만에 성사]] * [[마틴 스콜세지]] 감독의 《[[쿤둔]]》 역시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문제 때문에 개봉 불허했으며, 스콜세지는 중국 입국이 불허되어 있었고 2012년에 풀렸다. 그리고 [[해리슨 포드]]의 경우 쿤둔의 각본을 적었던 전 아내인 멜리사 매티슨을 따라 [[티베트]] 문제를 비판하다가 중국 입국이 금지당했다. * [[미션 임파서블 3]]: [[상하이]]를 낙후된 지역으로, 관광지로 유명한 시탕(西塘)을 범죄의 소굴로 묘사한다는 이유로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39383|일부 장면 삭제 요구]]. 하지만 정작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은 [[알리바바 그룹|알리바바]] 스폰서 덕분인지 '''[[인도]]와 중국 분쟁 지역인 [[카슈미르]]가 나오는데도 중국에서 개봉을 허가받았다.''' [[미션 임파서블: 폴아웃]]의 경우 중국에서 큰 성공을 거두기도 했다. * [[맨 인 블랙 3]]: 외계인이 [[중국인]]으로 변장한 장면, 특수 장치로 중국인의 기억을 지우는 장면, [[차이나타운]]의 총격전 장면 등을 [[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mode=sub_view&popup=0&nid=04&c1=04&c2=02&c3=&nkey=201206011156093|13분 가량 삭제]]. * [[007 스카이폴]]: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중국 경찰]]이 살해당하는 장면과 악역인 [[라울 실바]]가 중국에서 고문을 받았다는 설정 때문에 [[http://news.mt.co.kr/mtview.php?no=2013012212413345647|주요 장면 삭제 및 자막 수정]]. * [[픽셀(영화)|픽셀]]: [[알카노이드]]가 [[만리장성]]을 때려부수는 장면이 중국 당국의 심기를 거스를까봐 [[타지마할]]을 부수는 걸로 [[http://news.joins.com/article/18318096|변경]]. --인도 정부는 무시해도 되나보다.-- * [[그래비티(영화)|그래비티]]: 위의 《픽셀》과 마찬가지로, 중국 시장을 고려하여 본래 중국이 [[인공위성]]을 폭파시킨 것으로 설정하려 한 것을 [[러시아]]의 소행으로 바꾸고, 후반부에 중국 항공우주기술의 우수함이 돋보이는 장면을 집어넣었다. 중국 정부는 이에 대한 보답 차원으로 그래비티의 개봉 일시를 앞당겨 상영시켜주었고, 덕분에 중국에서만 7,000만 달러 이상의 수입을 거두어 해외 흥행 순위 1위를 기록하였다. --적당히 눈치 봐서 성공한 케이스-- * [[나비효과(영화)|나비효과]]: '''시간여행 영화는 역사를 존중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https://www.wikitree.co.kr/articles/236860#_ace|상영 금지]]. 정작 몇 년 뒤 [[보보경심|시간여행을 소재로 한 자국 드라마]]가 나왔는데 말이 안 되는 궁색한 변명이다. --[[문화대혁명|역사를 존중하는 분들]]이 [[천안문 6.4 항쟁|이런]] 거 [[동북공정|하셨어요?]]-- * [[다크 나이트(영화)|다크 나이트]]: [[홍콩]]이 돈 세탁하는 장소로 묘사됐다는 이유로 개봉 금지. 하지만 정작 홍콩에서는 잘만 상영되었다. * [[매드 맥스: 분노의 도로]]: [[무정부 상태]]와 폭동을 묘사했다는 이유로 '''개봉 불가''' 판정. 덕분에 이 영화가 여러 나라에서 평단과 관객들의 큰 호평을 받았지만 중국 개봉이 무산되는 바람에 손익 분기점을 넘기는 데 실패했다. * [[캡틴 필립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0/31/0200000000AKR20151031035400075.HTML?input=1195m|미 해군의 활약상을 그린다는 이유]]로 중국 상영 좌절. * [[게이샤의 추억(영화)|게이샤의 추억]]: [[중일관계|이야기가 너무 민감하다]]는 이유, [[장쯔이]] 등 [[중국인]] 또는 중국계 배우들이 [[일본인]]을 연기하는 것이 거슬린다는 이유로(...) 상영 불허. * [[별에서 온 그대]] 영화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22&aid=0000072370|외계인이 나와선 안 된다]]는 심의규정'''을 이유로 제작 무산. * [[크림슨 피크]]: '영화 속에 [[귀신]]이 나오는 것이 영적인 존재에 대한 숭배 또는 미신을 촉진한다'고 주장하며 개봉에 제동을 걸었다. * [[다빈치 코드]]: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china/130846.html|갑자기 상영 중단.]]''' * [[아바타(영화)|아바타]]: '''[[나비족]]이 인간에 대항하는 장면이 [[http://magazine2.movie.daum.net/movie/39019|중국 소수민족들의 폭동을 조장할 수 있다]]는 이유'''로 개봉을 금지하려다가 자국민들의 반발로 개봉을 허용했지만, [[중국 정부]]가 제작에 참여한 《공자》의 흥행을 위해 아바타 상영관 수를 규제, 축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바타는 2015년 전까지 '''중국 최고 흥행 기록을 세웠다.''' * [[월드워Z]]: 원작인 [[세계대전Z]]에서는 좀비 최초 발생지가 [[중국]]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중국 개봉 무산을 우려했던 영화 제작진에서 주인공이 방문하는 사실상의 좀비 근원지 중 한 곳을 '''[[한국]]으로 수정.''' 그 외 [[인도]] 등이 근원지로 언급된다. 그러나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국 검열 당국이 내린 결정은 '''[[https://www.theguardian.com/film/2013/jun/04/brad-pitt-china-world-war-z|중국 상영 금지]].''' --꼴 좋다-- '''완전히 죽지 않은 존재가 등장'''한다는 것이 불허 이유. 그런데 같은 좀비물인 [[워킹 데드(드라마)|워킹데드]]는 [[http://m.asiae.co.kr/view.htm?no=2013110715423720740#cb|검열을 통과]]했다. * [[내 여자친구를 소개합니다]]: 개봉 하루만에 상영 금지 조치가 내려졌는데, 경찰관들이 희화화된 모습이 [[중국 정부]]의 [[높으신 분들]]의 심기를 거슬렀기 때문. * [[데드풀(영화)|데드풀]]: 폭력성과 노출, 선정적인 언어 등의 문제로 상영 금지. * [[디파티드]]: 중국 스파이가 등장하고 중국이 대만에 핵무기를 사용하려 한다는 설정 때문에 [[http://entertain.naver.com/read?oid=140&aid=0000006282|중국 상영 금지]]. * '''[[화려한 휴가]]''': 군부독재 정권과 계엄군에 저항하는 시민들의 모습을 담았다는 이유로 상영 금지. * [[툼 레이더(영화 시리즈)|툼 레이더2]]: 중국을 무법천지로 묘사해 [[http://www.movist.com/movist3d/read.asp?type=14&id=6103|상영 금지]]. * [[노아(영화)|노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6898754|종교적이라는 이유]]로 상영 불허. * 한중 합작 영화 《웨딩 바이블》은 제목인 [[성경|바이블]]이 종교적이라는 이유로 검열 과정에서 《웨딩 다이어리》로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57&aid=0000555064|제목이 변경]]됐다. *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 일부 장면 삭제. * [[엑스맨: 아포칼립스]]: [[예수]], [[하켄크로이츠]], [[낫과 망치]], [[세계무역센터(붕괴 이전)|구 세계무역센터]]가 [[http://www.etobang.co.kr/bbs/board.php?bo_table=movie&wr_id=113169&sca=&sfl=top_n&stx=day&sst=wr_comment&sod=desc|삭제되었다]]. --공산국가에서 낫과 망치를 왜?--[* [[중소결렬]] 때문에 소련의 상징을 쓰기 싫었던 것으로 보인다.] 차례대로 원본과 수정본. ||[[파일:엑스맨_아포칼립스_오프닝_1.png|width=300]]||[[파일:엑스맨_아포칼립스_오프닝_1_수정본.jpg|width=300]]|| ||[[파일:엑스맨_아포칼립스_오프닝_2.png|width=300]]||[[파일:엑스맨_아포칼립스_오프닝_2_수정본.jpg|width=300]]|| ||[[파일:엑스맨_아포칼립스_오프닝_3.png|width=300]]||[[파일:엑스맨_아포칼립스_오프닝_3_수정본.jpg|width=300]]|| ||[[파일:엑스맨_아포칼립스_오프닝_4.png|width=300]]||[[파일:엑스맨_아포칼립스_오프닝_4_수정본.jpg|width=300]]|| ||[[파일:엑스맨_아포칼립스_오프닝_5.png|width=300]]||[[파일:엑스맨_아포칼립스_오프닝_5_수정본.jpg|width=300]]|| * [[장고: 분노의 추적자]]: 중국 상영용 편집판까지 만들면서 중국 상영에 공을 들였음에도 불구하고, 검열 당국의 명령으로 [[https://www.yna.co.kr/view/AKR20130411200500009|첫 상영 1분만에 영화관 화면이 꺼졌다.]] 작중 등장하는 1, 2컷의 알몸 노출씬이 검열관의 심기를 거슬렸다고 한다. 이후 문제 장면들 수정 후 재상영 허가. * [[킹스맨: 시크릿 에이전트]]: 영화의 하이라이트인 [[http://extmovie.maxmovie.com/xe/kingsman/6907952|교회 씬 삭제]]. 그나마 원래 아예 개봉 못할 뻔 했던 걸, 중국 검열 당국과의 타협으로 간신히 개봉할 수 있었다. 다행히(?) [[높으신 분들]] 머리통으로 불꽃놀이하는 건 용케 통과됐다. * [[로건(영화)|로건]]: 14분 분량 삭제. 딱히 폭력적이거나 잔인한 장면이 아닌 부분까지 삭제됐다. * [[고스트버스터즈(2016)|고스트버스터즈]]: 귀신이 나오는 이유로 '''상영 금지'''를 내렸다. * [[수어사이드 스쿼드(영화)|수어사이드 스쿼드]]: [[http://entertain.naver.com/movie/now/read?oid=117&aid=0002797779|어둡고 무정부적이라는 이유]], 무능하고 악랄한 정부 묘사, 악당이 세계를 구한다는 내용, 인챈트리스의 [[부두교]]적 주술 표현이 중국의 미풍양속을 저해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중국 개봉이 무산. * [[탑건(영화)|탑건 3D]]: '''항공전에서 압도적인 미국의 위용을 묘사한다는 이유'''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5&aid=0000982123|상영 금지]]. * [[부산행]]: 유령과 좀비는 허용될 수 없다는 근거를 들어 [[https://news.joins.com/article/21609362|개봉이 무산되었다]](...) 그래도 인터넷 VOD는 허가됐는지라 많은 인기를 끌었다. * [[에이리언: 커버넌트]]: [[http://bbs.ruliweb.com/av/board/300013/read/2299403|분량 대거 삭제]] * [[벤허(2016년 영화)]]: [[예수]]와 관련된 장면들 대거 삭제. 그래도 2016년판은 편집 후 개봉할 수 있었지만 '''[[벤허(1925년 영화)|1925년판 벤허]]'''는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2902150020920300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29-02-15&officeId=00020&pageNo=3&printNo=3048&publishType=00020|기독교적이라는 이유로]] [[국민당]]이 상영을 금지했던 유구한 역사가 있다. * '''[[택시운전사]]''': 위의 [[화려한 휴가]]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상영 금지. 또한 영화와 관련된 뉴스와 평론이 [[천안문 6.4 항쟁|천안문 사태]]를 [[http://app.yonhapnews.co.kr/YNA/Basic/SNS/r.aspx?c=AKR20171005046500074&did=1195m|연상시킬 수 있다는 이유로 삭제되었다.]] * [[2017년]] 중국 영화 시장에 [[인도 영화]]인 [[당갈]]이 개봉해서 중국에서 대박을 쳤는데, [[2017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이 터지자 당갈의 성공으로 중국에서 개봉하려고 심의를 신청했던 인도 영화들을 중국 광전총국이 줄줄이 개봉 금지 처분했다. *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beijing-film-festival-drops-call-me-by-your-name_kr_5ab9a12ee4b008c9e5fa8965|영화제 상영 취소]]. * [[겟 아웃(영화)|겟 아웃]]: 중국에서 개봉 못함. * [[데드풀 2]]: '''자세한 사유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하여튼 개봉 금지''' 결정. *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 종교 문제 및 폭력적인 장면 때문에 개봉금지. * '''[[1987(영화)|1987]]''': '''민주화'''를 다루고 있다는 이유로 개봉 금지. 심지어 [[엠타임]]과 [[도우반]]에서 1987 항목이 '''삭제'''되고, 중국에서 1987 관련 언급을 한 모든 인터넷 글들을 삭제하며, 1987이나 When the Day Comes 등으로 검색할 수 없게 '''필터링으로 막혀 있다.''' * [[곰돌이 푸 다시 만나 행복해]] [[파일:곰돌이 푸 시진핑.jpg]] [[곰돌이 푸]]에 극도로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는 [[중국공산당]]답게 이 영화 역시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382&aid=0000665456|상영 금지]]. 쿼터가 없다는 해명을 하는 듯 하지만 역시나 [[http://uk.businessinsider.com/christopher-robin-banned-in-china-reportedly-because-of-memes-2018-8|곰돌이 푸가 시진핑을 닮았다는 이유]]로 금지되었다고 추측하고 있다. [[파일:NISI20180809_0000185301_web.jpg]] [[중국]]에서 해당 영화가 검열에 걸려서 개봉 금지되자, 대만 네티즌이 중국 정부를 까더니 '''[[대만 외교부]] 공식 [[트위터]]에서 중국을 까서''' 국제 문제로 비화했다.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809_0000386482&cID=10101&pID=10100|한국 기사]], [[https://edition.cnn.com/2018/08/08/asia/winnie-the-pooh-taiwan-intl/index.html|CNN]] 보도. 이에 큰 논란이 되자 [[2018년]] [[8월 9일]](한국 시간) 외교부가 관련 트윗을 삭제하였다. * [[신과함께(영화)|신과 함께 시리즈]]: 애초에 영화 자체가 사후 세계랑 귀신에 대해 다루는 데다가 인과 연에서는 소수민족인 [[여진족]]까지 등장한다. 그리고 배급사까지 [[롯데엔터테인먼트|롯데]]인지라 이런 여러 가지 이유로 개봉금지. * [[안시성(영화)|안시성]]: 개봉 금지는 물론이고 [[1987(영화)|1987]] 이후로 10개월만에 [[엠타임]]과 [[도우반]]에서 [[기록말살형|항목 삭제 조치]]를 당했다. 공식적으로 이유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고구려]]를 중국 역사라고 우겨대는 [[중국공산당]]에서 자기네 세력이 털리는 내용의 작품을 가만 두는 게 이상하다. [[모순|'''중국의 논리대로라면 요동에서 일어난 일련의 전쟁들은 그냥 내전이라는 말일 텐데, 그럼 굳이 왜 이걸 치부라고 간주하고 숨기기 바쁠까?''']][* 그뿐만 아니라 [[남송]]의 [[악비]]도 중공 역사관에 따르면 당시 큰 그림을 보지 못하고 [[몽골족]]-[[여진족]]-[[한족]] 중화 대통합을 막아 결사항전하려던 우매한 인물이라고 하는데, 이건 일제의 [[내선일체]] 논리처럼 중국인들도, 심지어 공산당원들 자신들도 믿지도 않는 뻘소리며, 악비를 마음 속으로 배신당한 비운의 영웅이라 생각하고, 오늘도 그를 처형한 내부의 적인 [[진회]]의 무릎꿇린 동상에 침을 뱉고 있다.] *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동성애]] 코드 때문에 원래는 바로 상영 금지 처분을 먹었어야 하지만 중국 내에서 개봉 요구가 너무 많아서 광전총국이 결정을 미루고 있다가 결국 '''문제가 되는 장면은 모조리 삭제하고''' 개봉했다. '''무려 35분 분량이 삭제됐으며''', 미처 다 검열하지 못했는지 중국 개봉판에는 '''영상 중간에 먹칠'''까지 해서 가린 부분이 꽤 된다. * [[맘마 미아! 2]]: [[정교회]] [[성당]]에서의 유아[[세례]]식 장면을 삭제하고 개봉하였다. 하지만 본 사람들은 다들 알겠지만, '''이 부분이 영화의 하이라이트 부분이다.''' *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 노출 장면을 검은 색으로 검열시켜 개봉시켰다. *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이소룡]] 비하 논란으로 상영금지. 참고로 이건 중국 말고도 이소룡 유족들과 전세계 팬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던 부분이다. [[쿠엔틴 타란티노|타란티노]]가 [[킬 빌]]로 이소룡과 [[중국 문화]]의 존중심을 보여왔고, 중국의 '''보나 필름 그룹'''이 제작사 리스트에 올라와져 있는 걸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셈. * [[기생충(영화)|기생충]]: "기술적 이유"라는 핑계로 상영이 금지되었다.[[https://www.mk.co.kr/news/world/view/2019/07/576593/|#]] 빈부격차 묘사가 중국 사회를 어지럽히고, 마지막에 범죄자가 죽거나 경찰관들에 체포되지 않는 등의[*스포일러 나머지는 죽거나 체포되었지만 정작 [[김기택(기생충)|김기택]]은 저택에 숨어살았기때문.] 이유로 검열된 것으로 추측된다. * [[조커(2019)|조커]]: 조커의 추종자들과 고담 시민들이 폭동을 일으키는 후반 장면이 [[중국공산당]] 독재에 반대하는 중국인들의 움직임이 될까봐 개봉 금지. * [[몬스터 헌터(영화)|몬스터 헌터]]: 동양인 비하 발언 장면으로 개봉 금지. * [[노매드랜드]], [[이터널스(영화)|이터널스]]: 중국 출신 감독 [[클로이 자오]]의 중국 비판 발언 때문에 개봉 금지. *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알 수 없는 이유[* 여러 방면으로 추측이 나오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발표한 사유는 없다. 자세한 것은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평가#s-3.3|항목 참조]].]로 개봉금지. *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알 수 없는 이유[* 마지막 전투씬의 자유의 여신상과 [[장진호(영화)]]개봉을 의식했다는 등 여러 방면으로 추측이 나오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발표한 사유는 없다..]로 개봉금지. * [[닥터 스트레인지(영화)|닥터 스트레인지]]: 중국 검열을 우려한 제작진이 원래 [[티베트인]]으로 설정되어 있던 에인션트 원을 [[켈트족]]으로 인종, 성별을 변경하는 [[http://m.mydaily.co.kr/new/read.php?newsid=201604250728731121|자체검열]]을 실시.[* 다만 [[중국]]은 핑계고 원래 의도는 [[화이트워싱]]인 거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 * [[파이트 클럽]]: 결말 부분에서 주인공이 총을 쏘는 장면과 건물 폭발 장면 등 12분 가량 삭제. 원작자 [[척 팔라닉]]은 이를 두고 "중국에선 모두가 해피 엔딩을 맞았다"며 조롱하는 트위터를 올리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032791|#]] * [[탑건: 매버릭]]: 피트 미첼이 입는 재킷에서 나온 일본 국기([[일장기]])와 중화민국 국기([[청천백일만지홍기]])가 등장하는 장면으로 개봉 금지. 수입 쿼터뿐만 아니라 상영 자체를 제한하거나 아예 금지하기도 한다. 일명 '[[할리우드 블랙아웃]]'이라고 해서 [[http://news1.kr/articles/?3066817|중국의 영화 성수기인 명절이나 여름 휴가철에 외국 영화의 상영을 전면 금지하는 것이다.]] 물론 그 자리는 [[중국 영화]]가 차지한다. 특히 이 중국 영화 중에는 중국 정부의 체제 선전을 위한 영화들도 적지 않다. 한 예로 2017년 여름에는 블랙아웃을 단행하는 한편, [[중국인민해방군]]의 역사를 다룬 영화인 건군대업을 45% 이상 차지하도록 명령하기도 했다. 이 기간에 개봉 일정이 겹칠 경우 2, 3달 정도 외국 영화 개봉이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300342|연기]]된다. === 드라마 === * [[미국 드라마]]: 인터넷에서 [[http://www.wsj.com/news/articles/SB10001424052702304163604579527683976216624?mg=reno64-wsj&url=http%3A%2F%2Fonline.wsj.com%2Farticle%2FSB10001424052702304163604579527683976216624.html|규제 중]] * [[빅뱅 이론(시트콤)|빅뱅 이론]]: [[http://www.ajunews.com/view/20140428164617605|검열 후 일부 장면을 수정 및 삭제]] 하고 방송했다. * [[NCIS(드라마)|NCIS]]: [[http://tvdaily.asiae.co.kr/read.php3?aid=1398651932689864002|온라인 상영 중단]] 명령. * [[왕좌의 게임]]: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부분들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3&aid=0009174492|검열 후 삭제]]되었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6&aid=0001523884|시즌 8도 예외가 아니다]]. 더군다나 아래의 예능 항목에도 나와있지만 중국에서는 [[HBO]] 홈페이지 접속이 차단되어있다. [[영국]] 언론은 전투 장면이 '''중국 검열관들의 분노를 부추겼고''' 검열판을 본 '''중국팬들은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 [[별에서 온 그대]]: [[외계인]] 등장이 심의에 걸려 [[도민준]]의 직업이 [[소설가]]로 변경되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2/01/0200000000AKR20160201181600033.HTML|"외계인은 NO!"...'별그대' 도민준, 중국TV서는 소설가로]]. * [[태양의 후예]]: [[중국]] 입장에서 미묘할 수 있는 남북 관계를 다룬 장면이 중국 방영판에서는 편집되었다. 예를 들면 남북간의 대치 장면 등. 드라마가 큰 인기를 얻자 중국 내 각 매체들에게 드라마 홍보를 자제하라고 직접적으로 [[http://www.nocutnews.co.kr/news/4573235|지시]]했다. * 전면적으로 '''[[한한령]](限韩令/限韓令·[[한류]] 금지령)'''이 내려졌다. 한국 드라마·영화·예능 프로그램과 한국 작품을 리메이크한 콘텐츠가 모두 방송 금지된다. 단, 이미 심의를 통과한 작품이나 방송 포맷을 정식으로 구입한 예능 작품은 예외라고 지침이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3&oid=025&aid=0002660772|#]] 실제로 2016년 10월부터 한국 연예인들의 중국 활동 규제를 강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839028|#]] 광전총국 관계자가 밝힌 한한령의 이유 중 하나가 가관인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1/23/0200000000AKR20161123063800083.HTML?input=1195m|남성 이미지가 너무 유약하게 표현되어서]]'''[* 실제로 중국의 혐한 네티즌들이 가지고 있는 편견 중 하나다.]라고 한다. 그리고 온라인에서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437&aid=0000139555|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조치는 한국의 [[THAAD]]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자세한 것은 [[주한미군 THAAD 배치 논란/외교 영향]] 문서로. * [[2017년]]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회의를 앞두고 인터넷에서 동영상 서비스 중인 [[미국 드라마]], [[영국 드라마]], [[태국]] 드라마들을 대거 삭제. 공산당에서는 저작권 문제를 내세우고 있지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6&aid=0001264592|공산당에 비판적인 콘텐츠를 차단하려는 당국의 검열]]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 [[울트라맨 티가]]: 현지에서 국민 특촬이라고 할 정도로 압도적인 인기를 누렸지만 2021년 9월 당국이 폭력성과 선정성이 묘사된 [[아동용 애니메이션]] 등에 퇴출령을 내려 국내 주요 콘텐츠 플랫폼 등에서 일제히 사라졌다. 그 이유는 본작이 폭력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927137700083|#]] 다른 울트라맨은 금지되지 않았으며 티가가 울트라맨 시리즈에서 특별히 폭력성이 높은 것도 아니라서 티가의 "누구나 울트라맨이 될 수 있다." 라는 주제가 공산당 심기를 건드려서 그렇다는 소리가 있다. === 애니메이션 === [[2005년]]부터 외국 [[애니메이션]]의 [[황금시간대]] 방영을 금지하고 있다(오후 5시-오후 9시). 이후 법이 보다 강화되면서 사실상 외국 애니메이션의 중국 지상파 방영이 막힌 상태. 1980-90년대에는 금지가 아니었는데, 어린이 시간대에 외국 애니메이션이 시청률에서 앞서면서 중국 애니메이션이 밀리다 보니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아예 외국 애니메이션 방영 금지를 법제화한 것이다. 엄밀히 말하자면 100% 금지는 아니기는 하지만,[* 실제로 한국에서 만들어진 해외 타깃 목적 애니메이션인 [[치치핑핑]]이 방영된 바 있다.] 여하튼 덕택에 중국 소학생들은 학기 중에 외국 애니메이션을 아침이나 주말에나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 [[일본 애니메이션]] ==== [[일본 애니메이션]]들은 [[중일관계]]가 흔들릴 때마다 방송금지 압박을 받는 등 [[http://www.ajunews.com/view/20150409120642599|덩달아 수난을 당하고 있었다]]. [[http://www.ytn.co.kr/_ln/0104_201504122228212729|YTN 영상 뉴스]]. 다만 2020년까지는 다소 심의가 널널했던 편이었는데, 한국에서는 단지 [[왜색]]이 강하다는 이유 만으로 [[극우 미디어물]]로 무분별한 낙인이 찍히거나 심한 수위 문제로 방송사의 검열을 받은 작품이 수입이 안 되는 경우가 많은데 중국에서는 멀쩡히 무삭제로 서비스하는 사례가 많았다. 특히 한국은 일본의 옛날 복식이 나오면 왜색이라고 하여 좋게 보지 않는데 중국은 옛날부터 이에 대해서 크게 규제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일본의 옛 복식이나 문화는 중국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인식, 중일전쟁에서 결국 중국이 이겼으므로 일본군이 나오더라도 사상적으로 문제가 있지 않으면 결국 패배자가 나오는 것이라 보고 크게 신경쓰지 않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히카루의 바둑]] 중국 실사판에서는 사이가 일본 옛날 옷을 입고 나오지만 규제되지 않았다. [[사무라이 트루퍼]]나 [[마신영웅전 와타루]]같은 작품이 멀쩡히 방영된 전례도 있다.] 그 외에도 [[나치 독일|나치]]처럼 서구권에서 논란이 되는 소재를 쓰는 작품들도 중국에서는 멀쩡히 서비스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정치성 논란이 불거질 것을 피해 관련 작품의 수입을 꺼리는 경향이 있으나 중국에서는 [[Dies irae(게임)/애니메이션|Dies irae]]같은 작품도 멀쩡히 서비스 중이다.] 중국이 대한민국과 같은 국민 정서와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그러나 2021년부터는 심의 기준이 강화되었다. 1분기 방영작인 [[무직전생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애니메이션 1기)|무직전생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 사태로 중국 공산당에서 처음부터 체제나 사회에 혼란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한 작품들은 전부 금지시키는 방향으로 강화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때문에 앞으로는 왜색이 심한 작품들도 검열이 된다고 와전되기도 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2021년에 신설된 중국 공산당의 검열은 기존 작품들도 적용하여 심의에 걸리면 전부 서비스 중단 조치가 들어가는데, 2021년 4월 신작 중 [[마이코네 행복한 밥상/애니메이션|마이코네 행복한 밥상]], [[좀비 랜드 사가 리벤지]]같은 작품은 왜색이 있어도 서비스 중이기 때문이다. 왜색보다는 공산당의 체제나 사상에 반하는지가 주요 심의요인인 듯하다.] 실제로 신작 방영의 불허는 물론 기존에 서비스하던 작품들도 강화된 심의에 따라 많은 작품들이 서비스를 갑작스레 중단하는 사례가 늘었다. 기존에는 서비스사에 자율로 맡겼지만 이제는 심의가 생겼다고 한다. [[https://akiba-souken.com/article/50683/|#]] 다만 방영 도중에 검열에 걸려 중단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인지 사전에 완성본 전체를 보고 심의하는 특징이 있다. 그래서 2021년 4월부터 사전 제작이 아닌 작품들은 동시 방영이 안 되고 1달 정도 텀을 두고 방영되고 있다.[* 이전에는 대부분 일본에서 방영하면 일주일 이내에 올라왔다. 그래서 2021년 4월부터 중국에서 동시 방영되는 작품은 제작이 이미 끝난 작품이라는 것이 된다. ([[좀비 랜드 사가 리벤지]], [[불멸의 그대에게(애니메이션 1기)|불멸의 그대에게]], [[NOMAD 메갈로 복스 2]] 등)] 또한 검열을 통과한 작품도 장면이 삭제되거나 화면이 수정되는 등의 검열이 매우 늘었다고 한다. [[https://akiba-souken.com/article/52110/|#]] 한 분기마다 절반 가까운 작품들이 알 수 없는 이유로 검열되고 기존 작품도 검열되어 사라지는 상황이라 꾸준히 성장하던 중국의 일본 애니메이션 시장은 초토화 되어버렸다. 정말로 알 수 없는 것이 중국 공산당의 심의 기준만 나와있고 검열 사유는 알려주지도 않고 검열해버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카야노 아이]]가 나오는 작품은 [[야스쿠니 신사]] 참배 논란으로 일부 작품이 검열을 당했으나 그 와중에도 [[요리왕 비룡 더 마스터]], [[시원찮은 그녀를 위한 육성방법]], [[호리미야(TVA)|호리미야]] 같은 일부 작품은 그대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안녕, 나의 크라머(애니메이션)|안녕, 나의 크라머]] 같이 왜 검열됐는지 이유도 모를 작품도 있다. 그래서 중국을 제외한 넷상에서는 검열 사유에 대한 추측이 마구잡이로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애니메이션 감독 [[타카마츠 신지]]는 많은 애니메이션들이 중국 심의를 의식해 방영이 연기되고 있으며 일본 애니메이션 계에 사전 제작 시스템이 정착될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러나 일본 애니메이션에 가장 많은 돈을 지불하는 나라는 미국이고 중국의 심의 기준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중국 시장을 의식하고 일본 애니메이션의 표현이 위축되거나 중국 시장을 잃어 업계가 큰 타격을 받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https://youtu.be/gtuqMMVyAL4|#]] 정리하면 중국 시장의 리스크가 너무 커져서 시장으로서의 가치가 소멸했기 때문에 중국을 위해 건전한 작품을 만든다거나 중국에 맞춘 작품을 만드는 일은 이젠 없을 거라는 것이다. 다만 이 모든 검열은 어디까지나 중국 본토 지역에 한해서이며, 중국 공산당의 통치가 미치지 않는 [[홍콩]], [[마카오]], [[대만]]은 검열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런데 또 2022년 4월부터는 일부 장면 검열을 조건으로 대부분의 애니메이션을 허용해주고 있다. 특히 전 분기였으면 절대 통과되지 못 했을 수위의 [[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애니메이션 1기)|여성향 게임 세계는 모브에게 가혹한 세계입니다]]와 [[서머타임 렌더/애니메이션|서머타임 렌더]] 그리고 냉전시대를 모티브로 한 [[스파이 패밀리]]가 심의를 통과해 중국에서도 놀라는 반응이 많다. [[코로나 19]]로 인해 [[상하이 봉쇄]] 등 여러 사건이 일어나 민심이 흉흉해지는 가운데 오락물을 풀어서 민심을 달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유력하게 나오고 있다. 그런데 또 2022년 7월에는 늑장 심의에 심의 강화로 대부분의 애니메이션이 방영 중단이 되는 사태가 발생했다. 일본 측 관계자 말에 따르면 7월 신작 애니메이션은 10개도 통과가 안 될 것 같다고 한다. 그런데 다음 분기엔 또 많이 통과되었다. 그냥 심의 기준이 지멋대로다. 관계자 말로는 이는 중국 검열 당국이 완전한 갑의 위치에 있어서 자기들 맘대로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이나 미국의 유머 사이트에서 중국은 일본 애니메이션의 피를 흰색으로 검열해서 [[정액(체액)|정액]] 같다는 글이 자꾸 올라오는데 사실과 다르다. 중국은 예전부터 출혈 묘사에는 관대했으며[* [[귀멸의 칼날/애니메이션|귀멸의 칼날]]도 2021년 이후 일부 성적인 묘사는 검열되었으나 출혈 신은 대부분 그대로다.] 2021년부터 지나치게 폭력적인 장면이 있는 애니메이션은 해당 장면을 지우거나 아예 방영을 못 한다. 중국이 아무리 검열을 심하게 한다고 해도 피가 정액처럼 보이는 엉터리 검열을 할 이유가 없다. 지우는 게 가장 빠르고 편하다. 그러나 중국이라면 그럴 것 같다는 이미지 때문인지 이런 이미지가 [[가짜 뉴스]]처럼 마구 퍼지며 믿는 사람 또한 많다.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애니메이션|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서비스 정지 되었다가 2022년에 자막을 수정해 다시 서비스 재개했다. 그런데 "좋아한다.", "사랑한다." 라고 하는 표현이 전부 다른 표현으로 대체되었다. 중국 공산당에서 미성년자, 학생들의 연애 및 성관계를 전면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미성년자 남녀가 서로 사랑한다고 말하는 묘사를 전부 금지시켰다고 한다. [[https://s.akiba-souken.com/article/55086/?page=2|#]] * [[명탐정 코난]]: 한때 중국 정부에서 매우 싫어하던 작품으로 관영 언론에서 [[http://www.ajunews.com/view/20150424141502413|범죄 교과서]]로 낙인 찍으면서 비판했다. 그러나 '''정작 명탐정 코난 극장판은 매년 잘만 개봉시켜준다.''' 그것도 Wide 개봉으로. Wide 개봉하는 대신에 상영횟수에 제한을 받는다.[* 명탐정 코난 극장판이 개봉하게 되면 하루에 6회 이상 상영할 수 없다. 따라서 극장별 스크린 한 개 정도만 확보 가능하다.] 그래도 2017년이 되어서야 처음 개봉한 [[포켓몬스터 극장판]]보다는 낫다. 그리고 코난을 무조건 싫어하던 것도 옛말로 2017년 기준 TV판도 [[빌리빌리]]에서 일부 에피소드를 제외하고 꾸준히 정식 서비스 중이다. 2017년 유혈 표현에 대해서 조금 관대한 심의 기준이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범죄를 저질러도 언젠가는 잡힌다." 쪽에 중심을 두고 일부 민감한 소재를 건들지만 않으면 관대하게 봐주고 있다. 참고로 아래의 극장판도 개봉만 허가를 안 해준 거지 VOD는 다 있으며 심지어 절해의 탐정까지 무검열로 멀쩡히 서비스 중이다. ||<-2> [[명탐정 코난 극장판]] [[중국 영화]] [[영화 시장|시장]] 개봉 허가 여부 || || 개봉 허가 || 개봉 금지[br](금지 사유) || || [[명탐정 코난: 칠흑의 추적자]](2009) || [[명탐정 코난: 전율의 악보]](2008)[br](국가기간시설물 폭파 및 범죄 유발) || || [[명탐정 코난: 침묵의 15분]](2011) || [[명탐정 코난: 천공의 난파선]](2010)[br](테러리즘 유발) || || [[명탐정 코난: 화염의 해바라기]](2015) || [[명탐정 코난: 11번째 스트라이커]](2012)[br](범죄 및 테러리즘 유발) || || [[명탐정 코난: 순흑의 악몽]](2016) || [[명탐정 코난: 절해의 탐정]](2013)[br]('''[[자위대]] 묘사''') || || [[명탐정 코난: 제로의 집행인]](2018) || [[명탐정 코난: 이차원의 저격수]](2014)[br](-) || ||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2019) || [[명탐정 코난: 진홍의 연가]](2017)[br]([[카루타]] - '''[[도박]] 소재''')[* 카루타는 도박이 아닌데 어처구니가 없다고 밖에 할 말이 없다. 참고로 중국은 한국보다 왜색에 관대해서 왜색 때문에 개봉이 막힌 것은 아니다. [[중국]]에서 [[왜색]]은 당당히 허용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중일전쟁]]에서 [[일본군]]이 [[중국인]]들을 그렇게 많이 죽였어도 '''결국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이긴 것은 중국이니까!'''"라는 마인드로 쿨하게 넘어간다.] || || [[명탐정 코난: 비색의 탄환]](2021) || ||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2022) || || * '''[[극우 미디어물]]''': 한국 방송사나 출판계에서조차 대부분 거부되는 마당에, 당연히 중국에서는 이런 거에 대해 거의 거부시키는 편이다. 심지어 [[두번째 인생을 이세계에서]]는 아예 애니메이션 자체가 제작이 취소가 될 정도로 압박을 주기도 한다. 다만 한국에 비해 극우 사상이 담기지 않았다면 일본 군복이나 병기, 욱일기가 나오는 것에는 관대한 편으로 [[우주전함 야마토]], [[골든 카무이]]같은 작품은 무검열로 통과됐다. *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2975476&memberNo=156429|여캐들의 복장은 물론 신체까지 강제검열되었다.]] * [[극주부도(애니메이션 1기)]]: 주인공 타츠의 문신이 삭제되었다. * [[스파이 패밀리(애니메이션 1기)]]: 청부업을 하고 돌아온 요르의 핏자국들이 흰색으로 수정되었다.[* 피 검열은 스파이 패밀리 말고도 쓰르라미 울적에 와 드래곤볼 Z 역시 피 색깔을 흰색으로 수정되어버린 바람에 오히려 더 이상해지고 장르가 바뀌는 황당한 일이 있었다고...] * [[Fate/Zero/애니메이션]] [[http://bbs.ruliweb.com/hobby/board/300015/read/766443|인터넷에서 상영을 중지시켰다.]] 하지만 정작 [[Fate/stay night [Unlimited Blade Works]|페스나 UBW]]나 [[극장판 Fate/stay night [Heaven's Feel\]|헤필 극장판]], [[Fate/Apocrypha/애니메이션|아포크리파]], [[Fate/EXTRA Last Encore|라스트 앙코르]] 등 다른 페이트 애니메이션들은 잘 방영했다. 또한 [[Fate/Grand Order|페그오]]도 일본 외 지역에선 가장 먼저 시작되었으며, 지금도 중국에서 서비스 멀쩡히 한다. 그러나 Zero도 2017년 유혈 표현 규제 완화 이후로 [[빌리빌리]]에서 다시 서비스 중이다. [[https://www.bilibili.com/bangumi/play/ss1650/|#]] Zero는 사상적인 문제로 검열된 게 아니라 2017년 이전까지 규제하던 귀신이나 유혈 묘사가 문제였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중국에서 Fate/Zero는 한때 규제되었음에도 국민 애니 수준의 인기를 자랑한다. 감독인 [[아오키 에이]]와 각본가 [[우로부치 겐]]의 인기도 사상을 초월한다. 뒤늦게 다시 등록 되었음에도 조회수가 1억을 넘었을 정도.] * [[Free!]]: [[동성애]] 및 [[보이즈 러브|BL]]을 연상시킨다는 이유로 작중 캐릭터의 근육질을 모조리 열화시킨 채 방영. * [[동급생(2016)|동급생]]: [[동성애]]를 나타내는 [[보이즈 러브|BL]]물이라 검열. * '''[[스튜디오 지브리]] 작품들''': [[2018년]]까지 '''이유는 모르겠지만 그냥 수입금지'''가 걸렸다. [[2018년]] [[11월]] 드디어 수입금지령이 해제됐다. * [[이웃집 토토로]]: [[2018년]] [[12월 14일]], '''개봉 30년만에 [[영화관]] 상영 허가'''가 떨어졌다. 그동안 이웃집 토토로는 중국에서 개봉 금지되어 있었다. * [[2018년]]에야 지브리 작품들에 대해서 수입 금지가 해제되자, [[이웃집 토토로]](2018), [[마녀 배달부 키키]](2019),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19) 등 지브리의 대표 작품들이 [[중국 영화]] [[영화 시장|시장]]에 [[인터스텔라]]마냥 한참 있다가 개봉하게 되었다. * [[크레용 신짱]]: 중국에서 100% 검열 없이 주야장천 프리패스 통과시켜주기로 유명한 작품 1. 단, 애니메이션은 황금시간대에는 불가능하고 심야 애니메이션으로 방영하고 있다. 하지만 극장판은 제한 없이 마음껏 중국 극장에 상영된다. 한국보다도 빠르게. * [[도라에몽]]: 중국에서 100% 검열 없이 주야장천 프리패스 통과시켜주기로 유명한 작품 2. 이는 도라에몽이 코끼리 에피소드[* [[노진구]]랑 [[도라에몽(도라에몽)|도라에몽]]이 과거에 [[일본군]]한테 괴롭힘 당하는 코끼리를 구하는 에피소드로, 일본군 장교한테 '곧 일본은 패배할 거잖아요.'라고 비웃었다. 이 때문에 일본에서는 [[넷 우익]]한테 욕을 바가지로 먹었지만, 정작 중국 네티즌들한테는 상당히 호평을 받았다.] 등 작사가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내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실제로 도라에몽 작가 세대는 2차 세계대전으로 군대에 끌려가 개고생한 사람들이 많아서 [[반전주의]] 성향이 강하다.] 도라에몽 극장판 같은 경우는 중국에 개봉해서 박스오피스 1위도 자주 먹는다. * [[디지몬 어드벤처 tri.]]: 1편인 [[디지몬 어드벤처 tri.: 제1장 재회]]만 개봉 허용되고 이후 작품은 전부 개봉 금지. ''''[[히메카와 마키|국가 권력에 있는 캐릭터]]가 다른 의도를 가지고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게 [[중국 공산당]]의 심기를 건드렸기 때문이다. * 이후 나온 [[디지몬 어드벤처 라스트 에볼루션: 인연]]의 악역 [[메노아 벨루치]]는 일반인이라는 설정을 통해 중국의 검열을 회피했다. 실제로 중국에 디지몬 극장판을 개봉하는 데에 성공하여 코로나 와중에도 무려 2,000만 달러를 벌어들였다. * [[소드 아트 온라인 -오디널 스케일-]]: [[유우키 아스나]] 목욕씬 등 성적 묘사 분량 8분치를 삭제했지만, 그래도 개봉은 해서 700만 달러 이상 벌었다. 근데 정작 논란의 [[카야바 아키히코|카야바]] 미화 묘사랑 중국 유저들의 일본 서버 침공은 그대로 두었다는 게 아이러니하다. 참고로 소드 아트 온라인 2기의 [[스고우 노부유키|스고우]] [[강간]] 묘사도 대거 편집당했다. * [[호소다 마모루]]의 작품들: 후술하다시피 모두 금지된 바 있다. 다만 최근 [[빌리빌리]]에서 시간을 달리는 소녀의 정식 서비스를 [[https://www.bilibili.com/blackboard/topic/tokikake_web.html|게시했고(중국 내에서만 감상 가능)]] 이후 썸머워즈, 늑대아이, 괴물의 아이도 차차 서비스 예정이라고 되어있다. '''[[영화관]] 상영은 영원히 금지'''되었고, [[VOD]]로만 나중에 검열을 통과한 것이다. * [[시간을 달리는 소녀(애니메이션)|시간을 달리는 소녀]]: 2006년 당시에는 '''인간은 시간을 넘어다닐 수 없다는 이유로''' 금지된 바 있다. 정작 나중에 [[미국 영화]] 등에 쏟아지는 타임루프물은 대거 검열을 통과해서 개봉되었다. 심지어 [[중국 영화]]에도 타임루프물 대거 양산 중. * [[썸머 워즈]]: '''[[도박]]([[고스톱]])이 소재'''라 금지. * [[늑대아이]]: '''[[수인]]물''' 금지. * [[괴물의 아이]]: '''수인물'''이라 직접 개봉은 금지되고, [[2016년]] 베이징국제영화제 때 딱 1번만 상영되었다. * [[데스노트/애니메이션|데스노트]]: 사후세계와 죽음을 다루고 청소년의 사상에 나쁜 영향을 준다며 금지령을 내렸다. * [[잔향의 테러]]: 10대 소년에 의한 테러 공격을 그린다고 금지되었다. * [[진격의 거인/애니메이션|진격의 거인]]: '''[[2014년]]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홍콩 우산 혁명]] 당시 홍콩 [[민주화]] 시위대가 __진격의 거인을 [[홍콩 민주화 운동]]을 탄압하는 [[중국 공산당]]으로 비유해서 사용__했다.''' 특히 우산 혁명 당시 시위대에 등장했던 '''거인 얼굴에 [[시진핑]] 얼굴을 합성한 그림'''이 결정적으로 시진핑의 분노를 샀다. 사실 일본 내에서도 거인을 중국에 비유한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많이 떠돌아다녔던 건 사실이다. * [[주술회전 0]]: [[MAPPA]]가 주술회전 0 트위터 홍보글에 [[https://sputnik.kr/news/view/5255|대만을 국가로 인정했다는 이유로]] 개봉이 금지되었다. 하지만 팬들의 반발[* 참고로 중국에서 [[주술회전]]은 잠시 [[귀멸의 칼날]]을 제치고 점프 만화책 판매량 1위를 했을정도로 엄청난 수준의 인기를 자랑한다.]로 추후 블루레이,VOD는 정상발매. * [[학원묵시록 HIGHSCHOOL OF THE DEAD/애니메이션|학원묵시록 HIGHSCHOOL OF THE DEAD]]: 잔혹한 장면과 야한 서비스씬이 많다고 금지. * [[PSYCHO-PASS]]: 작품에서 묘사되는 게 지금 중국의 문제점하고 많이 닮은지라 쉽게 통과해줄 리가 없다. 덩샤오핑과 시진핑을 포함한 중국 정부의 주요세력이 문화대혁명 시절에 모택동이 이끌던 홍위병들에 의해 피해를 입은 자들이기에, 혁명 혹은 국가전복 관련 소재에 편집증적인 증오를 드러내고 있다. 잔향의 테러가 검열당한 것과 비슷한 맥락. * [[귀멸의 칼날]] *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 편]] : 1기는 검열을 통과하였지만 정작 극장판 무한열차는 개봉이 아예 금지되었다. 하지만 이후 TVA 버전인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TVA)|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은 통과되었던걸 생각하면 비슷한 시기에 개봉된 항일 애국주의 영화 [[800(영화)]]를 의식한게 아니냐는 의견이 많다. * [[귀멸의 칼날: 환락의 거리편]] : [[다키]]를 비롯한 [[https://epicstream.com/article/demon-slayer-season-2-faces-censorship-in-china|여캐들의 복장 노출이]][[https://n.news.naver.com/article/025/0003195527|검열되었고.]] 유곽이랑 창촌 등 성적인 대사랑 묘사들이 많이 순화되고 줄어들었다.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애니메이션|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마루타 묘사 논란으로 사과하고 수정하겠다고 했음에도 불구하고 [[도우반]]에서 항목이 지워지고 [[빌리빌리]] 서비스가 중단 되고 여러 상품의 출시가 금지되는 등 매우 강도높은 검열이 이루어졌다. 마루타의 피해 규모는 한국보다 중국이 크기 때문에 훨씬 민감하다. 다만 도우반의 항목은 나중에 부활했다. * [[쓰르라미 울 적에 업]]: 작중 등장하는 주요 소재인 [[히나미자와 증후군]]이 중국의 [[아편]] 역사 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유사한 바이러스성을 띄고 있어 공산당의 심의에 걸린 것으로 보인다.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 거의 [[금서]] 취급. [[샤를 지 브리타니아]]의 '부를 재분배한 중국이 어떻게 됐는가? 게으름뱅이만 남았다.' 라는 연설이나 [[마오쩌둥|마오]]라는 이름의 [[마오(코드 기아스)|미치광이 스토커 악역]], 일본이 중국의 민주화 해방을 이끄는 전개 등 중국 입장에선 폭탄 덩어리 작품이다. 당연히 금지. 그래서 방영 당시 [[마크로스 F]]가 중국 인기를 다 가져갔다. 극장판은 이런 묘사를 다 뺐지만 단단히 밉보였는지 수입이 되지 않았다. *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TV판, [[극장판 교향시편 에우레카7 포켓이 무지개로 가득]]: [[티벳]], [[파룬궁]] 탄압을 연상케 하는 내용이 있어서 금지. 다만 이런 게 안 나오는 [[에우레카 세븐 AO]]와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하이에볼루션]]은 검열을 통과했다. * [[이 멋진 세계에 축복을!]]: 알 수 없는 이유로 2021년부터 애니와 [[코노스바 모바일! - 판타스틱 데이즈|게임]]이 전부 금지되었다. [[카야노 아이 야스쿠니 신사 참배 사건]] 영향이거나 선정성이 문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 [[월드 트리거]]: 팔, 다리 혹은 목이 잘려나가는 장면이 모조리 검열되었다. * [[홍랑(만화)|홍랑]]: 공산당 까려고 만든 만화와 애니메이션. 공산당이 있는 한 영구봉인 작품이다. * [[파티피플 공명/애니메이션|파티피플 공명]]: 중국 위인 [[제갈량]]을 비웃음거리로 모욕했다는 이유로 금지. 2022년 4월 신작 중 몇 안 되는 금지 작품이다. * [[무직전생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애니메이션 1기)|무직전생 ~이세계에 갔으면 최선을 다한다~]]: 처음에는 서비스를 했었으나 주인공의 성희롱 등 노골적인 성적 묘사가 다수 나오며 이를 불편하게 여긴 중국의 애니메이션 리뷰어 스트리머와 애니메이션 시청자들이 '''서비스 업체인 [[빌리빌리]]가 운영하는 [[공산당]] 직통 신고처에 신고를 날리면서''' 결국 검열을 받아 서비스가 중단되었다. 더불어 이 문제로 한동안 중국에서 일본 애니메이션 서비스가 부진해지고 심의 기준도 강화되는 등 타격도 있었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로. * [[86 -에이티식스-/애니메이션|86 -에이티식스-]]: 소수민족에 대한 탄압을 소재로 하는데, 이를 불편해하는 공산당의 검열로 수입조차 되지 않았다. 다만 원작의 경우 암암리에 중국인들에게 인기가 많은 모양. * [[괴롭히지 말아요, 나가토로 양(애니메이션 1기)|괴롭히지 말아요, 나가토로 양]] * [[수염을 깎다. 그리고 여고생을 줍다./애니메이션|수염을 깎다. 그리고 여고생을 줍다.]] * [[도쿄 리벤저스(애니메이션 1기)|도쿄 리벤저스]]: 서적판과 마찬가지로 작품에 등장하는 卍자와 청소년 폭력조직들을 주제로 하였기에 중국 청소년들이 비행청소년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로 수입금지조치를 내렸다. * [[섀도 하우스(애니메이션 1기)|섀도 하우스]] * [[MARS RED]] * [[Fairy 란마루 ~당신의 마음을 구해드리겠습니다~]] * [[전투원, 파견합니다!/애니메이션|전투원, 파견합니다!]] * [[요란 THE PRINCESS OF SNOW AND BLOOD]] * [[안녕, 나의 크라머(애니메이션)|안녕, 나의 크라머]] * [[궁극 진화한 풀다이브RPG가 현실보다도 망겜이라면/애니메이션|궁극 진화한 풀다이브RPG가 현실보다도 망겜이라면]] * [[【최애의 아이】(애니메이션 1기)|【최애의 아이】]]: 중국 사회에서는 미성년자의 임신을 매우 불경한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검열되어 정식 수입이 불발되었다. 단, 이는 애니메이션판 한정으로 원작 만화책(E-Book 형태)은 빌리빌리를 통해 멀쩡히 서비스 중이다. 그렇다고 중국인들도 순순히 참기만 하는 건 아니라서 [[칼리굴라 효과|그래도 볼 사람들은 불법 스트리밍과 다운로드를 감행하기도 한다.]] ==== [[미국 애니메이션]] ==== * [[곰돌이 푸]]: [[곰돌이 푸#s-6.1|해당 문서]]로. * [[월-E]]: 중국 상영 금지. * [[사우스 파크]]: 원래 중국 사이트에 검색만 하면 나오게 되었으나, '''[[Band in China]]'''라는 에피소드로 인해 중국 공산당이 검색어를 전부 없애버렸다. * [[Happy Tree Friends]] ==== [[유럽 애니메이션]] ==== * [[패트와 매트]]([[체코슬로바키아]] → [[체코]]): 중국 방영시 상당수 에피소드가 검열로 삭제.[* 더 웃긴건 체코는 사회주의 국가였다.] == 서적 == >“김 실장, 중국이 언제쯤 ISBN을 개방할 것 같아요?” >내가 출근한 지 며칠 안 되었을 때, 김영사 박은주 사장은 따로 나를 불러 이런 질문을 했다. >“글쎄요. 아마 쉽지 않을 듯한데요.” >'''ISBN은 국제표준도서번호로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도서에 부여되는 고유번호이다. 보통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관련 당국이 출판사에 아무 조건 없이 이 번호를 발급해주지만 중국은 그렇지 않다. 580여 개 국유 출판사에만 심사를 통해 매년 정해진 숫자의 ISBN을 제공하며 2천여 개의 민영출판회사는 꽤 높은 액수의 ‘관리비’를 국유 출판사에 납부함으로써 ISBN과 출판사 명의를 빌려 책을 낼 수 있다.''' 예컨대 2019년 9월에 출판돼 베스트셀러가 된 중국어판 『82년생 김지영』은 비록 표지에는 귀저우인민출판사(貴州人民出版社)의 이름이 찍혀 있지만, 사실 이 책의 저작권을 한국에서 수입하고 번역, 편집, 인쇄, 유통, 마케팅까지 모두 진행한 곳은 대형 민영출판회사 베이징모톄도서유한공사(北京磨鐵圖書有限公司)이다. 귀저우인민출판사는 그저 돈을 받고 ISBN을 제공하고 정부에서 요구하는 검열 절차를 대신 밟아줬을 뿐이다. >'''사회주의 중국은 이렇게 ISBN을 무기이자 자원으로 삼아 출판을 통제한다. 정부가 ISBN을 분배해주지 않으면, 그리고 그 분배된 ISBN을 출판사가 또 민영출판회사에 분배해주지 않으면 아예 책을 낼 수 없으므로 이 강고한 수직 구조 안에서 출판 주체들은 항상 긴장한 채 정부가 제시하는 이념을 따른다. 그러니 어떻게 중국이 쉽게 ISBN을 개방해 무료로 배포하겠는가?''' >‘공산당이 망하지 않는 한, 중국에서 ISBN이 개방될 일은 없을 겁니다, 사장님.’ >---- >김택규, 번역가 K가 사는 법, 68~69페이지. 서적도 검열하는데 [[노벨문학상]] 수상자 [[가오싱젠]], [[노벨평화상]] 수상자 [[류샤오보]], [[파룬궁]]의 창시자 리훙쯔, [[대기원시보]]의 9평 공산당, 기타 여러 인권 [[변호사]]들이 쓴 수많은 서적들이 중국 내에서 출판 금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5년 한 해 동안 중국 내에서 몰수된 출판물은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306_0013939474&cID=10101&pID=10100|1500만 건]]에 이른다. * [[조정래(소설가)|조정래]]의 소설 《[[정글만리]]》는 [[2014년]] 중국에서 출판될 예정이었지만, 중국 당국의 검열에 막혀 2016년까지 출판되지 못하고 있다.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50827010005735|관련 사이트]]. * 홍콩 우산 시위에 우호적 의사를 표명했던 중국학, 중국철학의 대가인 위잉스 [[프린스턴 대학교]] 교수의 책들이 광전총국의 명령으로 중국 출판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7180715|금지]]됐다. [[http://tw.aboluowang.com/2014/1011/456379.html|대만 기사]]. * [[힐러리 클린턴]]의 자서전 《힘든 선택들》이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2637947|금서로 지정]]. * [[김훈(소설가)|김훈]]의 소설 《[[칼의 노래]]》, [[전상국]]의 소설 《[[우상의 눈물]]》, [[일연]]의 역사서 《[[삼국유사]]》의 중국 출판 [[http://www.segye.com/content/html/2007/07/30/20070730001469.html|거부]]. 《삼국유사》의 경우 중국이 [[고구려]]를 자국의 역사로 주장, 삼국이라는 단어를 수용하지 않기 때문에 출간을 회피했다. * 2016년 3월, [[홍콩]]의 영문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변호사 위안위라이(袁裕來)가 [[타오바오]]를 통해 홍콩 및 대만 서적 14권을 구매했다가 불법 출판물 소지 혐의로 당국에 책을 모두 몰수당한 사실을 보도했다. 이 보도 직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의 중국 내 [[웨이보]] 계정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09/0200000000AKR20160309060500089.HTML?input=1195m|차단됐다]]. * 홍콩의 서점가에서 [[중국공산당]]을 비판하고 치부를 파헤치는 서적들이 [[http://www.nocutnews.co.kr/news/4415745|자취를 감추기 시작]]했다. * [[2012년]] 한때 [[http://kr.sputniknews.com/korean.ruvr.ru/2012_09_21/88882519/|일본인이 집필한 도서 출판 금지령]]을 내렸다. [[댜오위다오]] 문제 관련 보복 차원으로 취해진 조치. * [[난징대학]] 역사학과 교수였던 가오화(高華)의 서적에 대한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6&no=61857|출판 금지명령]]이 내려졌다. * 뚜렷한 혐의 없이 기독교 서점 주인에게 [[https://www.opendoors.or.kr/persecution/asia/china-bookstore-sentence/|'''징역 3년형을 선고.''']] * 인터넷에서 [[보이즈 러브|BL]] 소설을 쓴 여성 20명이 [[http://joara.com/romancebl/board/board_view.html?idx=217109&sub_bbsid=view_free&sl_search=&sl_keyword=&orderby=&page_no=3|체포됐다]]. [[http://newsphere.jp/world-report/20140423-2/|일본 언론 기사]]. [[2018년]] [[10월]]에는 BL 소설을 쓴 [[동인녀]]에게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0476504|징역 10년을 선고]]'''했는데 '''성폭행 가해자보다 더 무거운 형을 부과했다는 비판'''이 나왔다. * [[후난성]]에서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를 [[http://mentalfloss.com/article/57528/10-things-china-has-banned|금서로 지정]]했다. 작중 동물이 사람의 말을 하며 사람처럼 행동하는 것은 인간과 동물이 동급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아이들에게 심어준다는 것이 그 이유. * [[2015년]] 말부터 [[홍콩]]에서 중국 공산당을 비판하는 서적을 주로 취급하던 '코즈웨이베이 서점'의 경영자들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03/0200000000AKR20160103022600074.HTML|갑자기 실종되는 일이 벌어졌다.]] 한동안 이들의 행방을 알 수 없다가 중국 당국에서 이들이 중국 본토에 입경했을 때 억류했음을 밝혔다. 이들은 풀려나기는 했지만, 이 서점은 결국 문을 닫아야 했다. * [[2017년]]부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102968|외국산 아동용 서적 및 출판물 판매 제한 지침]]을 하달했다. 이에 따라 [[타오바오]]는 모든 외국 출판물 판매를 금지했으며, 중국에 번역되는 외국산 서적의 수는 수천권에서 몇백권으로 줄어들 전망. [[홍콩]]과 [[마카오]]에서 집필된 서적들도 포함된다. *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1097984|'''외국 대학에서 만들어진''' 중국 비평 학술지에 담긴 논문들도 건드린다.]] 케임브리지 대학 출판부에게 문화대혁명, 천안문 사태, 홍콩의 민주화 시위, 위구르과 티베트 문제 등 중국 정부에 민감한 주제를 다룬 논문 300여 개를 삭제하라고 지시한 것이 받아들여진 것. 서구 학계와 언론은 중국의 개가 된 케임브리지대를 비난하고 있다. * [[피터 나바로]]의 저서가 중국에서 [[http://m.ttac.ajunews.com/view/20180605185735695|금서화 됐다]]. * [[귀신]]을 의미하는 [[한자]]인 [[鬼]] 자체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684635|검열하기 시작했다]]. * [[토마 피케티]]의 저서 '자본과 이데올로기'는 중국 출판사로부터 중국의 불평등을 다룬 부분을 삭제하라는 요구를 받아 중국 출간에 차질을 빚고 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8&aid=0002510930|#]] 2016년에 중국의 도서 검열 반대 운동을 펼쳐 왔던 아셰트 출판사의 마이클 피에슈 CEO가 [[J. K. 롤링]]과 함께 [[2016년]] 미국 펜상(PEN Award)의 수상자로 선정됐다. 펜상은 표현의 자유와 인권을 위해 힘 쓴 작가들과 출판업자들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중국 교육부가 중국을 고의로 모욕하거나 중국의 주권과 안보를 훼손하는 내용의 논문을 해외에 출판해서는 안된다는 규정을 발표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084038?sid=104|#]] === [[라이트 노벨]] === * [[노 게임 노 라이프]]: 1권 중에서 나온 '''"압정과 공포 정치, 세뇌를 반복한 독재자는 어느 세상에서나 암살당해 끝장난다"'''고 한 언급이 '''공산당의 일당체제 붕괴를 연상'''시키며, "모든 국가에 대해서 선전포고한다"라는 대사가 규제에 검열되어서 중국 판매 중지. [[http://asianbeat.com/ko/feature/culture_watch/261.html|해당 사이트]]. 그런데 [[2019년]] 노 게임 노 라이프의 [[극장판]]인 [[노 게임 노 라이프 -제로-]]는 또 검열을 통과해서 [[중국 영화]] [[영화 시장|시장]]에 개봉됐다. 일관성이라고는 전혀 없는 [[중국 공산당]]식 검열 기준을 알 수 있다.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19권 [[프리실라 바리에르]]의 탈의 일러스트가 [[https://twitter.com/LoremIpsumVerb/status/1568183083496607746|삭제되었다.]] 또한 [[샤울라]]의 가슴 역시 [[https://twitter.com/LoremIpsumVerb/status/1568183905097850882|검열]]되었는데, 22권 표지에서는 아예 샤울라가 [[https://twitter.com/LoremIpsumVerb/status/1568183379908083714|삭제되었다.]] 검열도 검열이지만 문제는 검열 후 표지에 주인공인 [[나츠키 스바루]]가 등장한다는 것. 작가는 1권부터 현재까지 의도적으로 표지에 스바루를 등장시키지 않고 있으며, 최종권 표지에 등장시킬 예정이라고 했으나 중국에서는 이미 22권 표지에 등장해버린 어처구니 없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 일본 만화 서적 === * [[도쿄 리벤저스]]: 작품에 등장하는 卍자와 폭력적인 내용을 주제로 하였기에 중국 청소년들이 비행청소년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로 수입금지조치를 내렸다. * [[하이큐!!]]: 26권의 [[신사(신토)|신사]] 참배 내용과 [[부적|오마모리]]과 관련된 내용을 모조리 삭제한 채 발매되었다. 그 외에 [[일장기]]가 그려진 [[국가대표]] 져지를 입은 [[우시지마 와카토시|우시지마]] 장면도 삭제되었다. 그러나 재인쇄판에선 '''일장기를 땜질하고 그 위에 중국 국기인 [[오성홍기]]를 그려넣는 [[현지화]]를 강행했다.''' 때문에 중국은 물론 일본의 하이큐 팬들의 반발이 심했다. * [[주술회전]]: [[시부야 사변]]에서 메이메이의 [[카미카제]] 발언 부분이 문제가 되어 일시적으로 수입금지 조치가 되어 중국의 모든 서점에서 해당 주술회전 책들이 회수되는 사태가 있었으나 추후 다시 수입이 재개, 코믹스에서 문제가 되는 메이메이의 전투씬이 통째로 검열당했다. 의외로 켄쟈쿠가 중국 수뇌부를 방문하는 씬은 그대로 묘사. 다만 중국 대부분의 독자가 검열을 피해 해적판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검열의 실효성이 사실상 없다시피 하다. == [[중화권]]([[홍콩]], [[대만]] 등) 콘텐츠 == 홍콩과 대만 등 [[중화권]]에서 제작된 콘텐츠에도 규제와 검열이 똑같이 적용된다. * [[무간도]]와 [[살파랑]]: 중국에서 범죄, 느와르 영화는 '''무조건 악당은 자수(또는 죽음)하는 결말로 끝맺어야 한다.''' 때문에 무간도와 살파랑의 중국 대륙판은 홍콩판과 '''180도 다른 결말을 맺는다.'''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466032|스포일러 주의]]. * [[탕웨이]]는 《[[색계]]》의 정치적 논란 때문에 중국 내 활동을 제한 당했다. * '''[[홍콩 영화]]''': [[중국 공산당]]은 홍콩 반환 당시 자유로운 영화 제작 환경을 약속했지만, 홍콩 영화가 중국 대륙에서 개봉을 하려면 중국 공산당의 검열을 거쳐야 했고, 공산당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는 영화들은 무조건 검열에서 '''개봉 불가'''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홍콩 + 마카오 + 대만[* 이 3곳을 합해도 인구가 3000만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아무리 1인당 GDP가 대륙에 비해 월등히 높은 지역이라도 13억 대륙에 비하면 인구가 1/40 이하에 불과하기 때문에 당연히 티켓 파워가 후달릴 수밖에 없다. 한편 [[싱가포르]]는 중화인민공화국과 비슷하게 방송이나 영화에 대한 심의가 엄격하다.]만으로는 수익이 제대로 나기 힘들기 때문에,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홍콩 영화계는 중국 공산당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민감한 주제를 다루는 영화 제작을 기피하기 시작했다. * 2009년 방영한 홍콩 인기 드라마 《[[https://zh.wikipedia.org/wiki/%E5%A4%A9%E8%88%87%E5%9C%B0_(%E7%84%A1%E7%B6%AB%E9%9B%BB%E8%A6%96%E5%8A%87)|천여지]]》는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5440568|내용이 잔인하다는 이유]]로 중화권 드라마 최초로 중국 대륙 방영이 금지됐다. 그러나 잔인성은 표면적이고 '''[[천안문 6.4 항쟁|천안문 사태]], [[파룬궁]]''' 등 중국 정치의 민감한 부분을 풍자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 아예 '''[[http://img.secretchina.com/dat/media/16/2014/06/29/20140629202823586.JPG|공산당 비판 현수막이 걸린 장면]]이 찍힌''' 홍콩 드라마 [[http://programme.tvb.com/drama/theultimateaddiction|점금승수]](2014년 방영)의 경우도 똑같이 중국 방영 금지 처리. * [[등려군]]의 노래: [[냉전]] 말기인 90년대까지 "자본주의적이며 퇴폐적"이라는 이유로 금지곡이었다. 다만 등려군뿐만 아니라 대만에서 발표된 대부분의 노래들도 금지곡이었다. 2000년대에 이미 해금되었고, 현재는 공산당 고위관원들도 즐겨 부르며, '''심지어 [[시진핑]]도 젊은 시절 등려군의 광팬이었다.''' 사실 등려군의 노래는 워낙 인기가 많아서 검열되던 시기에도 단속 경찰도 등려군 노래를 즐겨 듣는다고 할 정도로 별로 큰 효과는 없었다. * [[옥보단]] 3D: 너무 수위가 높아서 [[http://media.daum.net/tvnews/view.html?cateid=100000&newsid=20110301205213374&fid=20110301205213374&lid=20110301205206810|중국 대륙 상영 금지]]. * [[이연걸]]이 출연한 영화들의 중국 개봉이 대거 무산됐다. 《[[보디가드(홍콩 영화)|보디가드]]》는 [[중난하이]]의 보디가드[* 설정상 작중 이연걸은 [[덩샤오핑]]의 보디가드 출신이다.]가 홍콩에 가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이유(...)로, 《더 독》은 [[인종차별]]적이라는 이유, 《로미오 머스트 다이》는 [[마피아]]계를 배경으로 한다는 이유, 《키스 오브 드래곤》은 [[중국 경찰]]이 해외에 나가 싸우고 살인을 하는 것이 중국 대륙 이미지에 먹칠한다는 이유로(...) 상영 금지. [[http://news828.ndsoft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348|이연걸 中 영화검열에 발끈]] * 대만의 심포닉 [[블랙 메탈|블랙]] / [[데스 메탈]] 밴드인 [[Chthonic]]의 경우 멤버들의 정치 성향[* [[티베트 독립운동|티베트 독립]] 및 [[중화민국]]의 자치권 행사를 주장하고 있다. 심지어 멤버 중 한 명은 대만 독립을 지지하는 정당인 [[시대역량]] 소속 국회의원이니 말 다했다.] 및 가사 문제로 중국 대륙 내 앨범 활동 및 공연 활동을 비롯해 방송 활동이 금지되었다. * 홍콩 인기 사극 [[궁심계]]의 후속작으로 홍콩([[TVB]]) - 중국([[텐센트]]) 합작으로 제작된 《궁심계2심궁계(宮心計2深宮計)》는 검열 과정에서 ''''중국 대륙의 권력투쟁을 연상케 하는 궁중 암투를 다루고 있어 방영하기에 부적절하다''''고 여겨져 중국 대륙 방영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0101559|연기됐다]]. 아래에서도 언급하지만 중국 대륙에서는 궁중 암투물도 검열 대상이다. == 자국 콘텐츠 == 자국 콘텐츠에도 얄짤없다. *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독립운동]] 때문에 부활[* 정확한 의미를 따지자면 환생이고 '''[[달라이 라마]] 자리를 계승'''한다는 뜻이다.]을 다루는 작품도 금지를 먹었다. 달라이 라마가 죽었다가 부활하거나, 새로운 달라이 라마가 나타나도 [[중국 정부]]에서 절대 인정하지 않겠다는 셈이다. * 19차 당대회에 채택한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를 아이돌 가수, 인기 배우들에게 선전하라고 주문한 것 으로 드러났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9724366|#]] * 중국 최대 모바일 기반 뉴스 포털인 터우탸오(頭條)가 공산당원을 채용해 콘텐츠 점검을 시행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791963|#]] === 영화 === 해외에서는 상까지 수상했지만, 정작 자국에서는 개봉하지 못한 영화들이 제법 있다.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58854|중국 독립영화의 오늘]]. * [[패왕별희]]: 중국에서는 [[https://www.ntdtv.kr/news/china/news-censored-in-china/4503.htm|상영 금지]]됐다. [[천카이거]] 감독은 중국 사회의 모순을 자신의 작품에 그려냈었으며, [[공산당]]이 좋아하지 않았었다. 지금은 [[나와 나의 조국]], [[장진호(영화)]] 같은 선전 영화 잘만 찍는다. * [[자장커]] 감독의 《천주정》은 [[농민공]] 문제와 부조리한 중국 사회의 일면을 스크린에 묘사하는 바람에 [[http://www.nocutnews.co.kr/news/1197212|중국 상영 금지]] 처분을 받았다. 천주정은 66회 [[칸 영화제]]에서 각본상을 수상했고 황금종려상에 노미네이트되기도 했다. * 역시 농민공이 처한 현실과 그들의 애환을 고발한 장뤄이 감독의 《귀향 결혼(回家結婚)》 역시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4/28/0200000000AKR20150428076700009.HTML|상영 금지]]. * [[위화]]의 소설을 원작으로 기반으로 한 [[장이머우]] 감독의 영화 《[[인생(영화)|인생]]》은 문혁시기 [[홍위병]]의 만행을 적나라하게 묘사하는 등, 근현대사의 민감한 부분을 건드려 오랫동안 상영 금지 처분을 받았다. * 《북경자전거(1994년작, 원래 이름은 17세의 자전거(十七岁的单车)》: 왕샤오솨이(王小帥) 감독 작품인데 영화 제작사측이 당국의 심사를 받지 않고 [[베를린 영화제]]에 출품했다는 이유를 들어 [[http://www.newspim.com/news/view/20150603000345|중국 내 상영을 금지했다]]. * [[중국 정부]]에 비판적인 [[독립영화]]에 대해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한다. 베이징 독립 영화제의 경우 2012년에는 영화제가 '''시작하자마자 전기가 끊기고,''' 2014년에는 아예 영화제 자체가 개막 당일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972720|취소]]됐다. * '''[[소학교]] [[반장(학교)|반장]] 선거 과정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가 상영 금지'''됐다. 상영 금지 사유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영화 내용 자체가 [[민주주의]]의 원리를 묘사하는 것이고, 이는 '''"[[중국인]]은 선거에 부적합하다"는 [[중국 공산당]]의 선전 논리와 배치되기 때문'''에 금지된 것으로 [[http://media.daum.net/entertain/culture/newsview?newsid=20080512110213424|추정된다]]. * [[로예]]: 금지 처분을 많이 받은 감독으로도 유명하다. [[수쥬]], 천안문 사태를 다룬 [[여름궁전]], 스프링 피버가 있다. * CCTV 전 앵커인 차이징(柴静)이 제작한 다큐멘터리 영화 언더 더 돔은 [[스모그]] 등 중국 환경 문제를 고발해 호평을 받았으나 사비의 출처를 알 수 없다, [[원정출산]] 의혹 등의 공격을 받은 후 [[http://news1.kr/articles/?2128333|동영상 사이트에 올라온 영상이 차단]]되고 언론 인터뷰도 삭제됐다. * 자국 및 일부 홍콩 영화에 대한 평점이 낮게 나오자 평점을 낮게 준 네티즌들을 '''[[해커]]로 몰아붙이며 비난하고'''(...) [[영화 평론가]] 검열과 [[http://m.kmib.co.kr/view.asp?sid1=all&arcid=0923669857&code=11142200|평점 개입]]을 했다. * [[숨바꼭질(2013)|숨바꼭질]]의 중국판 리메이크인 착미장(捉迷藏)은 '''중국 정부가 심의하지 않은 카메라 렌즈로 촬영했다고 개봉일이 연기되었다.'''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chinesedramas&no=7678|#]] * [[영혼의 순례길]]은 [[티베트]]를 소재로 했다는 이유로 [[2015년]]에 개봉을 금지했다가, [[미국 영화]] 시장에서 개봉하고 나서인 [[2017년]] [[6월 20일]]에 와서야 개봉을 허용했다. * 광전총국이 조작된 역사를 홍보하거나, [[성유물|성스러운 유물]], [[엑소시즘|악령 빙의]] 등을 다룬 20개 분야 콘텐츠를 촬영할 수 없도록 지침을 만들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730082700009|中 영화도 종교 검열…'기적·치유' 성경 내용 금지]] === 드라마 === 2015년 말, 중국 방송영화TV연합회와 드라마제작산업협회가 제정한 '드라마내용 제작 통칙'이 2016년 초, 중국의 각 방송국으로 하달되어 [[중국 드라마]]에 대한 대대적인 검열이 시작되었다. 새로 제정된 제칙에 따르면 '''[[동성애]], [[불륜]], [[미성년자]]의 폭행, 음주 및 성행위[* 그래서 대부분의 고등학생 커플이 키스도 못하고 대학생이나 사회인이 되어서 첫키스를 한다], [[흡연]], [[귀신]][* 중국에서 제작된 중국 토종 귀신인 [[강시]]는 예외로 한다. 강시를 어떤 방식으로든, 공권력이든, 개인의 힘으로든 강시를 물리치는 드라마는 통과된다. 그 예로 어떤 여인이 경찰을 찾아와 강시를 물리쳐 달라고 하소연하자 경찰이 강시를 물리쳐 준 내용이라던지...](...), [[시간여행]], [[무속]]'''과 관련된 내용은 [[중국 드라마]]에서 방영될 수 없게 된다. 이는 단순히 전통적 가치를 지키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시진핑]]이 추진하고 있는 미디어·문학·예술 분야 지침 제정 관리·통제 강화 정책의 연장선에서 만들어진 지침이다. 웹드라마들이 파격적인 소재로 인기를 끌면서 웹드라마들의 소재가 이번 검열 사항에 많이 포함되었다. [[중국 드라마]]는 대부분 후시녹음을 하는데 검열에 걸린 대사가 있으면 다시 후시녹음으로 검열을 피해가기도 한다. BL드라마로 유명한 [[산하령]]에선 남주 온객행의 섹드립이 다 평범한 대사로 후시녹음되었다. 검열된 산하령은 이게 왜 BL드라마라는 거야? 라는 평이 나올 정도. 중국은 [[계획생육정책|산아제한정책]]을 국시로 삼았던 만큼 작중 [[미혼모]], 혼외자에 관한 내용이 등장하면 매우 민감하게 반응했다. 다만 산아제한정책을 폐지하면서 이것과 관련된 검열 완화 가능성은 높다. 또 [[불륜]]과 [[첩]] 제도에 대해서도 굉장히 민감해 한다. 드라마 속에서 바람을 피운 남녀와 첩은 드라마 속에서 '''절대로 행복하게 끝나선 안 된다.''' 반드시 결말부에 자신의 과오를 반성하던가 불행하게 끝을 맺어야 한다.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756296|하지만 현실은... 남이 하면 불륜, 내가 하면 로맨스]]-- 재벌이나 대기업을 나쁘게 묘사하는 것도 금지된다. 중소기업이나 해외기업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중소기업은 짝퉁을 만들어, 중소기업 제품은 품질이 별로야 라는 대사가 그냥 나올 정도로 아무 검열이 없다.] 만약 대기업이 정말 사회적 논란을 일으켰어도 재벌의 친척, 입양한 자식이나 임원이 악의를 가지고 총수를 노려서 그런 것이지 총수는 전혀 무관한 것으로 나온다. 그 이유는 중국의 재벌은 대부분 공산당에선 명예공산당원으로 임명받았기 때문에 드라마에서 공산당원에 대한 나쁜이미지를 만들면 안되기 때문이다. 스포츠스타를 나쁘게 묘사하는 것도 금지된다. 이들도 대부분 명예공산당원으로 임명되기 때문이다. 공산당뿐만 아니라 공산당원이 가진 직업에 대한 나쁜 묘사도 검열될 수 있다고 봐야 한다. 위에서 언급된 [[무간도]]와 [[기생충(영화)|기생충]]의 사례처럼 [[중국 드라마]] 속 범법 행위는 '''반드시 공권력에 의하여 응분의 대가를 받는 결말 혹은 범법자의 죽음으로 끝을 맺어야 하고'''[* 설사 주인공이 악인을 개인적으로 용서하더라도, 악인은 그것과 별개로 반드시 공권력에게 처벌을 받아야 한다.], 체제를 수호하는 [[중국 경찰]] 등 '''공권력을 긍정적으로 묘사해야 한다는 지침'''도 있다. 따라서 다른 나라 드라마 속에서는 [[클리셰]]처럼 종종 등장하는 사회 고발적인 장면을 찾아보기 힘들다. 대표적인 것이 정부의 치부를 드러내는 행동, 가령 가난하고 빽 없는 [[농민공]][*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도시로 이주해 온 시골 출신 저소득, 저임금 노동자.]이 임금 체불이나[* 실제로 농민공들의 임금이 체불되는 사례가 중국에서 흔하다.] 정부 정책에 항의하기 위해 분신 자살을 하는 장면 등도 당연히 등장할 수 없다. 혹시나 이런 장면이 나올 경우, 모범 답안은 현장으로 달려온 [[중국 경찰]]이 농민공의 고충을 들어 주면서 공명정대하게 자살 소동을 무마하는 것이다.[* 일례로 [[한국 영화]] 《[[변호인(영화)|변호인]]》을 본 일부 [[중국인]]들은 '''"한국에서는 저런 내용의 영화가 그대로 개봉할 수 있느냐?"''' --한국이 공산주의 국가인 줄 안 건가?-- 고 놀라워했다. 물론 변호인 역시 내용이 내용인 만큼 중국에서 개봉되지 못했고, 중국인들은 동영상 사이트 등지에서 알음알음 봐야 했다.] 2009년과 2011년, 광전총국은 5월부터 7월까지 황금시간대에 건국 기념일, [[공산주의]] 관련 드라마만 방영할 것을 위성 채널 방송국들에 지시했다. 특히 2011년에는 공산당 창립 90주년을 맞이하여 해당 시간대에 방영하던 탐정 수사물, 타임슬립물, 슬픈 내용의 드라마를 공산주의물로 바꿀 것을 지시했다. [[http://www.entgroup.cn/news/Policies/1626495.shtml|중문]]. [[2017년]]에도 19차 당대회를 앞두고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9392616|사극, 청춘 드라마 방영을 금지]]. 역사적 허무주의를 조장한다는 이유로 2019년 6월까지 사극 금지령이 내려졌다. 이는 TV·인터넷서 6월까지 신작 방영 불가조치로 무협, 판타지, 역사, 신화, 궁중 암투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사극에 방영금지 조치가 내려진다고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190325071400083?section=international/all|중국, 역사왜곡 이유로 '사극 금지령']]. 검열을 쉽게 피해가는 방법은 현대극이면 로맨스, 사극이면 가상의 국가를 배경으로 한 작품을 찍는 것이다. 그래서 중국에선 로맨스 가상사극이 매년 수십작품씩 나온다. ==== 예시 ==== * [[무미랑전기]] : [[판빙빙]]이 입은 [[당나라]] 시대 의상이 가슴골이 보인다는 이유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22&aid=0000097200|방영 중지]]. 이후 CG로 하나씩 다 가린 후에야 방영되었다. * 보보경정 : 전작 《[[보보경심]]》에서 [[타임슬립]]이 중요한 소재로 등장했는데, 광전총국에서 이후 모든 드라마에서 '''시간 여행, 환생을 드라마 소재로 삼는 것을 금지'''시키는 바람에 중요 내용들이 잘려 나갔다. 그런데 타임슬립 금지라면서 한국판 리메이크작인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는 광전총국 검열을 통과했다. * 미혼처(未婚妻) : 여주인공이 [[미혼모]]라는 이유로 심의 탈락, 스토리 수정 후에야 심의 통과. * [[꽃보다 남자|일기래간유성우(一起来看流星雨)]]: 작중 고등학생의 연애를 묘사하는 것이 문제되어 원작, 한국판과 달리 주인공 및 주역들이 고등학생이라는 설정이 없어졌다. 대신 중국 정규 학제에 없는 (대학교와 비슷한) 예비학교 학생들이라는 설정이 추가됐다. * 이에 앞서 2002년에는 꽃보다 남자 대만판 드라마인《유성화원》에 대해 방송 정지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 다수의 [[보이즈 러브|BL]] 드라마 : 통칭 탐개극. 10대 소년들의 동성애를 묘사한다는 이유로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2/25/0200000000AKR20160225166300009.HTML|중국 내 주요 사이트에서 삭제]].[* 이후 [[http://ize.co.kr/articleView.html?no=2016103010467225982|남성의 영혼이 여성의 몸 안에 들어갔다는 방식]]으로 BL물 검열을 피해가고 있다.] 이후 검열을 피하기 위해 BL 드라마 속 동성애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0&aid=0003163581|사회주의자 형제애]]'''라고 부르고 있다. * 《진혼》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6608349&memberNo=32660183&vType=VERTICAL|#]] * 《상은(上瘾)》 * 《[[진정령]]》 * 《[[산하령]]》 * 《장공안》 * 노사만상호(老师晚上好) * 웹 드라마 [[태자비승직기]](太子妃升职记) : [[여장남자]]가 나온다는 이유로 [[http://www.ajunews.com/view/20160304072048046|역시 삭제]]. 정작 예능 프로그램이나 경극에서는 멀쩡히 여장남자가 나오고, 중국 내 여러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여장남자가 나와서 인기를 얻은 사례가 엄연히 있고, 수가 적지만 경극에도 여장남자가 나와서 모순적이라는 비판이 있다. * 여죄(余罪) : 경찰을 소재로 한 드라마인데 캐릭터 설정이 현실의 중국 경찰과 맞지 않고, 가치관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 * 2016년도판 귀취등(鬼吹灯) : 방송국에서 '''한창 방영 도중 갑자기 TV 방영 중단되고 다른 프로그램으로 급하게 대체'''됐다. 중국 현지에서는 드라마 속에 등장하는 [[귀신]] 등 초자연적인 현상 때문에 방송 중단된 것으로 추정 중. * [[여의전]], [[연희공략]] : 궁중 사극이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277&aid=0004403292|너무 사치스러워 사회주의 이념에 저촉되는 병폐가 심각하다]]''''는 비판을 받은 후 편성을 삭제하고 다른 작품으로 대체. * [[녹비홍수]] : 원작에서 가장 중점이 되고, 주인공의 캐릭터 형성의 핵심이었던 타임슬립 설정이 사라졌다. * 평범적영요 : 한국 드라마 [[미생]]의 리메이크작. 알 수 없는 이유[* 추측이지만 [[한한령]]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로 제작완료 후 '''3년간''' 방영이 되지 않았다. 그러다 2019년 대대적인 사극금지령으로 인해 어부지리로 편성을 받는데 성공했다. * 가기여몽지해상번화 : 알 수 없는 이유로 약 '''5년간''' 편성을 받지 못하다가 2021년부터 방영했다. * 천하장안 : 2017년에 크랭크업했지만 2021년 기준, 방영되지 못하고 있다. 사유는 [[이세민]]의 역성혁명과 건국이야기를 다룬 드라마라서. * 곽거병 : [[무제(전한)]] 시절의 장군 [[곽거병]]의 관한 드라마. 2017년 말에 크랭크업했지만 2021년 기준, 방영되지 못하고 있다. 정확한 사유는 나오지 않았지만 추측에 의하면 [[중국 공산당]]이 한 무제를 싫어한다고. * 광영시대 : 조연배우 중 하나인 조립신이 일본 침략 미화 발언[* 2019년 4월 2일, 자신의 웨이보에 "일본이 북경을 침략했을 때, 왜 그들은 문화유산을 뺏거나 고궁을 불태우지 않았을까?"라고 썼다.]으로 논란에 휩싸이며 영원히 중국 연예계에서 퇴출됨에 따라 합성으로 해당 배우가 지워지거나, 다른 배우로 대체되는 등 검열이 있었다. 이 논란으로 주연으로 출연했던 드라마 '남연재필록'은 아예 방영이 무산되어 [[흙오이]]가 되었다. === 예능 프로그램 === 이른바 '예능 프로그램'이라고 부르는 쇼,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규제와 검열도 있다. 광전총국은 '일반 대중의 인식과 괴리된 유희성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외설과 허세 및 물질 만능주의를 배격한다'라고 명시하며 오락 프로그램들을 규제하고 있다. 허나 웃긴 건 '''그러면서도 외국 프로그램 포맷의 무단 표절에 대해 제때 제재를 가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 -- 중간 광고를 못 빼는 건 덤-- 그래서 검열에 빡친 네티즌들로부터 "자국 드라마 소재는 제한하면서 외국 프로그램 표절은 왜 징계 못하냐"며 까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현재까지도 별로 달라진 건 없는 편. * 빠바취날(爸爸去哪儿): 한국 TV 프로그램 코너 《[[아빠! 어디가?]]》의 판권을 수입해 [[후난 방송영상 그룹|후난위성 TV]]에서 방영한 오락 프로그램으로, 광전총국의 미성년자의 리얼리티쇼 출연 자제령 때문에 제작이 중단됐다. 방송국이 거액으로 제작한 프로를 강제적으로 종료하는 데 관한 비판도 있다. 정부가 상업 방송에 이래라 저래라 개입하는 건 좀 지나치다는 의견.[* 한국에서도 일부 연예인 자녀들이 이런 프로에 출연한 후 거액의 CF로 2차 소득을 올리기도 하며, 일반인은 웬만한 재능으로 데뷔하기도 힘든 연예인을 세습 또는 무임승차하는 것에 대한 비판이 여럿 있었다. [[http://www.hani.co.kr/arti/culture/entertainment/703653.html?_fr=|기사 1]], [[http://www.entermedia.co.kr/news/news_view.html?idx=2844|기사 2]], [[http://koreantoday.com.au/%EC%B6%9C%EB%B0%9C%EC%84%A0%EC%9D%B4-%EB%8B%A4%EB%A5%B4%EB%8B%A4-%EC%97%B0%EC%98%88%EC%9D%B8-%EC%9E%90%EB%85%80-%ED%8A%B9%ED%98%9C-%EB%85%BC%EB%9E%80-%EA%B2%89%EA%B3%BC-%EC%86%8D/|기사 3]]. 특히 중국은 빈부차가 극심하기 때문에, 위화감을 부추길 수 있는 이런 연예인 출연은 막는 듯...] * [[홍콩]], [[대만]]과의 관계가 삐걱댈 때마다 이들 지역 출신 예능 프로그램 사회자의 방송 출연에 대한 규제가 있다. 광전총국에서 사회자 하차를 요구하는 일이 종종 있다.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902005&code=61131811&cp=nv|TV 쇼에서 서구식 라이프스타일을 배격]]하겠다고 한다. * 미국 [[HBO]]의 시사 코미디쇼 [[존 올리버|Last Week Tonight]]는 시진핑을 [[곰돌이 푸]]로 희화화하는 중국 네티즌들을 단속하는 중국 당국을 [[https://www.youtube.com/watch?v=OubM8bD9kck|풍자했다가]] 중국에서 HBO 홈페이지가 먹통이 되고, 진행자 [[존 올리버]]의 이름이 [[http://sf.koreatimes.com/article/20180625/1187016|검열당했다]]. === [[만화]] === [[파일:166f320e8e43ec8bb.png]] * 소녀전선 그리폰 일상만화: [[소녀전선]]에서 내놓은 공식 4컷 만화에 ''''Poo''''라는 [[의성어]]가 등장한다고 [[중국 공산당]]에서 [[검열]]시켜서 만화가 삭제되었다. Poo라는 의성어의 발음이 [[시진핑]]이 "자기와 닮았다"는 이유로 기를 쓰고 검열하는 [[곰돌이 푸]]('''Pooh''')와 발음이 같기 때문이다. --남의 스타킹을 벗겨서 씹어먹는 건 검열 사유가 아닌가 보다.-- === [[애니메이션]] === * 소홍군장정기: [[홍군대장정]]을 다루는 애니메이션으로, 제목을 봐도 짐작이 가겠지만 원래는 어린 [[홍군]] 병사의 이야기를 다루는 체제선전물이었다. 그런데도 금지가 된 건 [[소년병]]을 주제로 다뤘기 때문이다. 원래 공산권 국가에서는 청소년들에 대한 사상교육 차원에서 청소년들이 주인공이 되어 공산혁명에 참가하는 이야기가 자주 있는 편이었다. 하지만 근래에는 소년병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무시할 수는 없어서, 주인공들은 대개 정규군이 아닌 게릴라 부대에 참가하는 식으로 타협을 보고 있다. 그런데 홍군은 정규군이라서 자국 군대의 이미지를 실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금지가 된 것. * [[소녀전선 인형소극장]] 치유편 10편: 원판에서는 [[HK416(소녀전선)|HK416]] 스킨 중 가슴의 [[바스트 모핑]] 부분이 검열되었으며[* [[G11(소녀전선)|G11]]이 [[국수]]를 먹는 그림으로 가려졌다.], 중간에 [[빈유]] 드립으로 빡친 [[UMP45(소녀전선)|UMP45]]가 HK416의 가슴을 때린 장면에서 HK416의 비명 역시 비프음으로 검열당했다. 일본어판에서는 검열 없이 정상적으로 방영. [[https://youtu.be/GpEUaaJ8pk8|중국어 더빙 원본]], [[https://youtu.be/zjQAFJYIK_Y|일본 더빙판]]. * 《菲梦少女2》: 菲梦少女2이라는 제목으로 [[후난 방송영상 그룹]] 카툰 채널이 방영하던 애니메이션 [[샤이닝 스타(애니메이션)|샤이닝 스타]]가 ''''캐릭터들이 모두 염색을 하고 화려하고 이상한 옷을 입어 어린이들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시청자의 신고에 의해 광전총국의 제재를 받았다(...). [[https://www.sohu.com/a/404816651_115479|관련 기사(중국어)]]. * [[자객 오육칠]] 시즌 1: 한 달간 중국 내에서 내려갔었다. '''사유는 제목에 "[[자객]]"이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어서. 사실 이것 외에도 복합적인 요소로 내려간 것도 있다.''' 상세한건 [[자객 오육칠#s-7.1|자객오육칠 검열]] 문서 참조. 약 한 달간 중국인들은 자객 오육칠을 시청할 수 없었으나 2021년 10월 중순 이후로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는데, 중국 내에선 더 이상 제목에 "자객"을 포함하지 않게 되었다. == 음악 == 음악 역시 금지곡 지정과 해당 뮤지션 중국 대륙 내 활동 금지 처분 등으로 검열한다. * [[https://en.wikipedia.org/wiki/Tibetan_Freedom_Concert|자유 티벳 콘서트(위키)]]에 참가한 뮤지션들은 모두 중국에서 활동 금지 및 금지곡 처분을 받았다고 보면 무방하다. 참가 명단을 보면 알겠지만 공연 주 기획자인 [[비스티 보이즈]]를 주축으로 존 리 후커 등의 거장부터 [[U2]], [[R.E.M.]], [[라디오헤드]], [[블러]], [[노엘 갤러거]], [[펄 잼]],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레드 핫 칠리 페퍼스]], [[소닉유스]], [[비요크]] 등등의 거물급 뮤지션들이 대거 참가한 대형 공연. 그동안 묻히는 듯 싶었다가 아래에 후술한 비요크의 상하이 티벳 발언 사건[[https://www.theguardian.com/world/2008/mar/05/china.musicnews|(2008년)]]에 화들짝 놀랬는지 그 후 [[오아시스(밴드)|오아시스]]의 [[https://www.nme.com/news/music/oasis-297-1303708|2009년 중국 공연 취소 및 입국금지 처분]]을 시작으로 중국 당국이 관련 검열 방침을 세웠다는 것이 알려졌다. * 노래 제목에 중국의 심기를 건드릴 만한 제목의 곡 역시 금지곡으로 지정되었다. 대표적으로 '[[https://youtu.be/0lBjcaMokvo|Free Tibet]]'라는 [[EDM]]곡이 중국 내 금지곡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들어보면 알겠지만 이 곡엔 가사라곤 [[산스크리트어]]로 중얼중얼거리는 게 전부이다. 즉, 제목에 'Free Tibet'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금지곡으로 지정된 것. 그러나 이 곡은 [[osu!]]라는 게임을 이용해 우회적으로 이용하면 들을 수 있다. [[https://osu.ppy.sh/beatmapsets/490402#mania/1045287|#]] 이 게임 자체는 중국에서 차단되지 않았다.], 이 곡을 만들고 리믹스한 'Hilight Tribe', 'Vini Vici'가 입국 금지 되었으며, 특히 Vini Vici가 이 사실을 모르고 중국 공연을 위해 입국을 시도하려다가 거절된 적이 있다. 외에 이 곡을 공연에서 튼 적이 있는 DJ도 걸러내는 듯 하나, [[Armin Van Buuren]]의 경우 [[루마니아]]의 공연에서 이 곡을 튼 적이 있으나 중국에 잘만 다녀오고 있는 걸로 보아 케바케인 듯. ~~아님 중국 당국이 미처 알아채지 못했거나~~ 심지어 2019년 Vini Vici가 [[벨기에]]의 EDM 페스티벌인 [[Tomorrowland]]에서 이 곡이 나올 때 신나게 [[중국]]의 국기인 [[오성홍기]]를 흔들어댄 자국민을 유튜브나 SNS에 공개된 영상을 샅샅이 뒤져서 중국에서 [[https://www.facebook.com/91882717724767/posts/31001001825649852/|체포했다고 밝혔다.]] 후술할 메이저 DJ [[Zedd]]도 반체제인사로 낙인찍혀 영구입국금지를 당한 이후 중국에선 [[울트라 뮤직 페스티벌|UMF]], [[Tomorrowland]]등의 EDM 라이브 영상이 죄다 막혔다. * [[아이슬란드]] 가수인 [[비요크]]가 중국 공연 도중 '티베트'라고 외치는 바람에 공연을 강제중단된 바 있으며 바로 추방되었다. 이후 영구 입국금지 당했다. * [[롤링 스톤즈]]의 중국 공연에서 세트 리스트 중의 일부를 공연하는 것이 중국 당국에 의해 금지되었다. [[https://www.nme.com/news/music/the-rolling-stones-114-1246866|#]] 'Street Fighting Man', 'Brown Sugar', 'Honky Tonk Women', 'Let's Spend The Night Together' 등등 밴드 커리어에 있어 아주 중요한 노래들을 뭉터기로 금지 처분. ~~앙꼬 없는 찐빵~~ 금지된 노래는 다른 노래로 대체 되었다. ~~이쯤 되면 공연을 안 막은 게 용할 지경~~ * [[밥 딜런]]의 2010년 중국 공연이 석연치 않은 이유로 중국 당국의 허가가 나지 않아 취소되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0/04/06/2010040600120.html|#]] 다음 해인 2011년에 들어서야 중국 공연을 할 수 있었는데, 'Blowin' in the Wind', 'The Times They Are A-Changin'', 'Subterranean Homesick Blues' 등 소위 '저항 문화'를 담았다고 평가받는 밥 딜런의 대표곡들이 빠진 [[https://www.setlist.fm/setlist/bob-dylan/2011/workers-gymnasium-beijing-china-6bd242fe.html|세트 리스트를]] 공연 전 중국 당국에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4961437&code=11110000&sid1=spo?|미리 제출했다는 사실이 유출되어]] 큰 논란이 일었다. 뉴욕타임스, 가디언 등의 서방 언론에선 이에 대해 [[https://www.theguardian.com/music/2011/apr/10/bob-dylan-china-censorship|비판적]]인 논조의 기사를 실으며 밥 딜런과 중국 당국을 격렬하게 비판하였다.[* [[밥 딜런]]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다른 이도 아닌 저항과 자유, 시민권의 아이콘 그 자체인 그가 중국의 전체주의적 검열 방침에 수그리는 모양새가 되어서 서양권 지식인들 사이 큰 충격이 있었다. 그 배신감 때문에 서방언론 측 비판 논조가 격렬했던 것.] 그렇게 어렵게 성사시킨 밥 딜런의 중국 공연은 중국 내부에서 비아냥이 섞인 혹평을 받았다. [[http://www.segye.com/newsView/20161016001768|#]] ~~욕 다 먹으며 굽히고 들어가서 중국맛 통수 당하고 돌아온 딜런 옹~~ * [[케이티 페리]]가 2015년 대만 공연에서 [[해바라기 운동]]을 연상시키는 의상을 입고 [[청천백일만지홍기]]를 두른 사진이 유출 된 이후 중국 내 활동 및 입국이 전면 금지 되었다. [[http://www.vogue.co.kr/2017/11/21/138000/|#]] * [[레이디 가가]][* [[달라이 라마]]를 만났다는 이유로 [[중국 정부]]가 중국 공연 금지를 공언하고 있다.], [[비욘세]] 등의 팝 음악을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8/27/2011082700397.html|천박하고 저질스러운 음악]]으로 규정, 중국 웹사이트들에 삭제 명령을 내렸다. [[자유]]를 언급한 가사가 문제가 됐다고 한다. * [[2015년]], 내용이 불건전하다는 이유로 120개곡을 금지곡으로 [[http://news1.kr/articles/?2370837|지정]]. 그 중 하나는 노래 가사 중 '''"머리를 흔들어라"는 부분이 "약을 흔들어라"와 발음이 비슷하게 들리면서 마약을 조장할 수 있다고 지적'''해서 금지곡으로 지정된 것. * 120개의 금지곡 중 17개의 리스트를 차지한 [[래퍼]]는 [[http://afpbbnews.co.kr/articles/2567|투옥]] 됐다. * 금지곡 다운로드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바이두]]를 [[http://www.kcinsmu.com/database.php?mode=localinformation&submode=view&page=51&number=1301&keyfield=&key=&PHPSESSID=8e696b30dc9a8fb38bdc3becb52409a5|처벌]]. * 중앙 정부뿐 아니라 지방 정부 역시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04/22/0200000000AKR20110422102800097.HTML|금지곡을 지정]]. * 공연 무대에서 [[달라이 라마]]의 사진을 사용한 [[본 조비]], 달라이 라마의 생일을 축하했던 [[마룬 5]]의 중국 공연이 [[http://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88950|취소됐다]]. * 한국 가수를 포함해서 홍콩, 대만, 미국 등의 연예인, 가수, 밴드들을 블랙리스트에 등재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http://m.news.naver.com/memoRankingRead.nhn?oid=001&aid=0008928741&sid1=104&date=20170101&ntype=MEMORANKING|#]] * [[그래미 어워드]]가 중국 투어를 위해 달라이 라마를 만난 [[레이디 가가]]와 행실이 불량하다는 이유로 중국 공연이 무산된 [[저스틴 비버]]를 [[http://heraldk.com/2017/08/03/%E4%B8%AD-%EC%8B%9C%EC%9E%A5%EC%97%90-%EA%BC%AC%EB%A6%AC%EB%82%B4%EB%A6%B0-%EA%B7%B8%EB%9E%98%EB%AF%B8%EC%96%B4%EC%9B%8C%EB%93%9C%EA%B7%9C%EC%A0%9C%EC%A0%95/|제외할 예정]]. * 약물 사용을 권장하고 [[여성혐오]]를 조장한다는 이유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3&aid=0003347428|힙합 가수, 팔에 문신 새긴 가수 출연 금지령 하달]].[* 기사 댓글에서 중빠인지 [[우마오당]]인지 분간이 안 가는 네티즌들이 중국 당국을 열심히 옹호하고 있다.][* 이 래퍼는 PG One이다.] 체제에 반하는 영향력 있는 래퍼의 출현을 두려워하는 듯. * [[천안문 항쟁]]을 연상시킨다며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0748097|천녀유혼 2의 주제가를 검열]].[* 천녀유혼 2는 천안문 항쟁이 있던 1989년에 제작, 이듬해 개봉한 영화다. 그리고 실제로 주제가(인간도)를 작사·작곡한 황잔(黃霑)은 언론 인터뷰에서 이 노래가 천안문 사태를 다룬 것이라고 인정한 바 있다.] * [[Zedd]]의 본인 계정 트위터에서 자신의 중국 입국 및 활동이 영구적으로 금지되었다고 밝혔다. 사유는 [[Band in China]] 에피소드가 방영된 이후 [[사우스 파크]] 트위터에 좋아요를 눌렀기 때문이라고. [[https://www.nme.com/news/music/zedd-permanently-banned-china-liking-south-park-tweet-2556713|#]] * [[로체스터 대학교]] 소속 이스트만(Eastman) 음대 필하모니의 2019년 중국 순회공연에서 [[한한령]]의 적용으로 [[대한민국]] 국적 학생들의 입국 비자가 끝내 나지 않아 학교 측에서 이들을 제외한 채 중국 공연을 가겠다고 밝혔으나, [[https://13wham.com/news/local/politics-invades-eastman-philharmonia-tour-to-china-south-korean-musicians-unwelcome|#]] 이에 대해 미국 각지에서 비판 여론이 일자 공연을 연기(사실상 취소)하는 일이 일어났다. [[https://news.naver.com/main/ranking/read.nhn?mid=etc&sid1=111&rankingType=popular_day&oid=023&aid=0003483472&date=20191030&type=1&rankingSeq=1&rankingSectionId=104|#]] * [[노래방]]에서 부르지 말아야 할 금지곡을 지정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4&oid=214&aid=0001141493|#]] * [[성악가]]인 [[류커칭]]이 [[시진핑]] 국가주석을 닮았다는 이유로 SNS 계정이 3번이나 날라갔다. * [[의용군 진행곡]]을 불러도 체포된다.[[https://youtube.com/watch?v=qEVpivIO6l0|#]] 가사에 노예가 되기를 거부하는 자가 나오기 때문. == [[2021년 중국 연예계 정풍운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21년 중국 연예계 정풍운동)] [[2021년]] 하반기 들어 청소년에 악영향을 준다는 명목으로 [[보이 그룹]] 아이돌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대중문화 규제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사교육 규제, 게임 규제와 함께 시행되는 대규모 규제 및 검열의 일환이다. 아이돌 팬덤 문화가 중국 공산당과 시진핑 정권의 체제 안전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한거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는중이며 과거 [[마오쩌둥]] 시절 [[정풍운동]]의 재림이라는 소리까지 나오는 중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3&oid=025&aid=0003133302|#]] == 공연(뮤지컬 등) == 그 유명한 [[해서파관 사건]]에서 알 수 있듯 희곡, 연극 등 공연 예술에 대한 검열과 탄압 역시 존재한다. * [[가오싱젠]]: 중국에서 그의 희곡들이 공연 금지되는 등 탄압을 받아 [[프랑스]]로 망명. 그 후 '''중국계 작가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됐다.''' * [[베를린]] 샤우뷔네 극단이 공연한 [[노르웨이]] 극작가 [[헨리크 입센]]의 <[[민중의 적]]>을 [[2018년]] 베이징 공연 당시 관객들이 배우들과 소통을 하며 '''중국의 환경 문제, 중국 당국의 억압에 대한 불만을 쏟아내자'''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0&aid=0003169654|난징 공연이 취소되고 웨이보에 올라온 평들('''"136년 전의 극에서 중국의 현재를 봤다."''')이 삭제됐다.]] 다만 관객들의 토론 참여가 포함된 내용의 극의 중국 공연이 허가되고, 그것도 중국 최고 극장인 베이징 국가 대극원에서 공연된것 자체가 해가 서쪽에서 뜬 급으로 이례적이긴 하다. == 게임 및 IT == 이쪽도 사정이 다르진 않는데 이곳을 관리하는 조직으론 언론, 출판 분야와 온라인 게임 검열, 심의를 담당하고 판호를 발급하는 국가신문출판총서(國家新聞出版總署)가 있다. 2016년 2월에 발표한 [[http://www.gamemeca.com/news/view.php?gid=1024543|중국의 게임 및 IT 규제]]는 외국계 및 외국계 합자 기업의 인터넷∙콘텐츠 사업을 제한하려는 [[중국 공산당]]의 의도가 드러난다. 외국 콘텐츠를 공산당이 통제, 자국 기업을 보호하겠다는 취지뿐 아니라, '''[[사회주의]] 체제를 긍정적으로 다룬 작품을 지지'''한다는 내용이 규정에 들어 있다. [[http://bbs.ruliweb.com/ps/board/300421/read/30569918?page=1|2016년 7월 1일부터 실시되는 더 강화된 게임 심의, 검열]]을 통해 게임 검열도 이전보다 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https://www.joongang.co.kr/amparticle/22137022|사회주의 체제를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게임의 예시]]'''. [[시진핑]]의 어록이 게임 내에 등장한다. 심지어 게임 조항에는 모든 온라인 게임은 아래와 같은 요소를 담지 말아야 한다. >1. 중국 헌법을 위반하는 모든 것 >2. 중국 국가 통합, 일치성, 주권을 위협하는 모든 것 >3. 국가의 이익, 안보를 해치는 모든 것[* 대표적인 게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 [[배틀필드 4]].] >4. 민족, 인종, 종교에 대한 혐오를 부추기거나 민족 전통과 문화를 해치는 모든 것[* 당연하지만, 인종차별 같은 혐오에도 반대한다.] >5. 중국 정부의 종교 정책에 반하는 미신을 조장하는 모든 것 >6. 음란물, 약물, 폭력, 도박에 대한 모든 것 >7. 공공 도덕이나 중국의 문화 및 전통을 해치는 모든 것 >8. 중상, 모략 및 권리를 침해하는 모든 것 >9. 법을 위반하는 모든 것 이 중 한가지만 위반을 해도 바로 '''출시 및 발매 금지다.''' 2019년 4월 22일, 판호 발급 기준이 새로 정해졌는데, 기존보다 많이 빡세졌다. [[https://sports.news.naver.com/esports/news/read.nhn?oid=439&aid=0000018202|#]] >1. 판호 승인 게임의 총량을 제한한다. 판호 신청을 3번 해서 떨어지면 신청을 받지 않는다. >2. 뽑기의 확률을 백분율(%)로 표기하면 안 되고 '몇 번 하면 나온다'는 식으로 표시해야 한다. >3. HTML5 게임을 판호 심사 대상에 포함한다. >4. 서로 싸우는 종류의 게임에서는 어떠한 종류의 액체도 흘러서도 안 된다. (유혈 묘사 전면 금지) >5. 게임명에 영어가 들어가면 안 되며 표준 간체로만 게임명을 정할 수 있다. >6. 게임에 비표준어, 속어, 줄임말이 들어가면 안 된다. >7. 포커와 마작 게임은 심사하지 않는다. (판호 거부) >8. 게임이 속편을 가지고 있는 시리즈물일 경우 신청서에 미리 언급해야 한다. >9. 온라인게임에 오프라인 콘텐츠가 있는 경우 이를 표시하고 설명해야 한다. >10. 중국의 역사, 정치 및 법률에 대한 연출할 때 사실(史實)만을 담아야 한다. >11. 판호 심사를 신청한 중국 퍼블리셔는 청소년 중독 방지 시스템을 적용해야 한다. >12. 결혼 시스템이 있는 게임의 경우, 미성년자에게 해당 시스템을 오픈해선 안 된다. >13. 종교, 미신, 운명을 시스템이나 내용에 적용하면 안 된다. [[모여봐요 동물의 숲]] 사태 이후인 2020년 4월 13일에 중국 전용 서버를 갖추고, 중국인들의 타 서버 접속을 막는 정책을 예고했다. 게임 회사들은 곤혹스러운 입장이지만 세계의 게이머들은 [[배그/핵|배틀그라운드의 핵 문제]] 등과 관련된 [[만악의 근원]]인 중국 게이머들이 사라진다는 것에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그 외에 게임 내용에 전염병, 좀비, 종말 같은 소재를 다뤄서는 안 되고, 맵 에디팅 기능도 허용되지 않으며, 유저가 게임 내에서 조직을 결성할 수 있는 것도 금지된다.[* 2019 홍콩 민주화 시위 등 여론 형성 단체 생성 가능성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이 때문에 [[테일즈런너]]에서도 길드전이 삭제되었다.]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628817|#]] 이렇게 검열이 심각해서 온라인 게임이 아닌 오프라인 플레이가 가능한 비디오 게임은 중국 시장을 정면으로 공략하지 않고 홍콩, 대만 등에 정발하고 표준중국어 번역을 넣는 식으로 우회하고 있다. 그러면 중국에서는 편법으로 그걸 구입해서 한다. 홍콩의 인구를 생각하면 대한민국 게임 시장보다 더 많이 팔릴 리가 없는데도 게임 시장 규모는 더 크다. 중국인들이 우회구매하기 때문이다. === 게임 === * [[2016년]]부터 네트워크게임관리시행방법으로 [[인터넷 실명제|본명 인증]]이 게임 업계에서 필수화되었으며, 중국어로 문화 콘텐츠를 표현하는 것을 강제하는 듯하다. * [[2021년]] 중국의 관영 매체에서 ''''게임은 아편''''이라는 발언이 문제가 되어 중국의 대다수 게임 주가가 박살나는 현상도 생기기도 하였다. 이후 게임 업계에 세금 혜택을 없애거나 청소년의 게임 자체를 막으려는 시도가 이어지며 규제에 열을 올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1080408423032997|링크]] 그리고 [[https://www.yna.co.kr/view/AKR20170107034200089|2017년에 도입된 셧다운제]]를 강화하여, 18세 미만 미성년자는 금요일을 제외한 평일은 아예 게임을 금지시키고 금요일, 주말, 휴일에 한해 정해진 1시간(오후 8~9시)만 온라인 게임을 할 수 있게 만드는 초강력 [[셧다운제]]를 내놓았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830157200074|#]] 또한 당분간 신규 게임 판호의 발급 중단, 즉 신규 게임 서비스 허가도 제한시켰다. * [[강철의 왈츠]]: [[일본 제국]]의 전차들의 이름이 검열당해서 가상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변경 사항은 개발사가 직접 운영하는 중국과 한국 서버에만 적용되었다. 일본 제국이 아닌 경우는(ex. 현대 일본, [[나치 독일]] 등) 검열되지 않았다. * [[궨트: 더 위쳐 카드 게임]]: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oegame&no=5507043|이렇게 바뀌었다.]] [[https://www.reddit.com/r/gwent/comments/9qzpmw/take_a_look_at_all_the_censored_cards_art_of/|원문]]. * [[닌텐도]] 게임: 의외로 오래 전부터 중국 본토에 소재한 닌텐도의 자회사 [[iQue]]를 통해 꽤 많은 닌텐도 콘솔과 게임이 정식 수입되어 왔다. [[닌텐도 스위치]]를 위시한 미정발 기기 역시 타오바오를 비롯한 온라인 오픈마켓 채널을 통해 쉽게 구할 수 있는 상황. 이후 닌텐도 스위치의 몇몇 게임이 중문화를 지원하다가 닌텐도와 [[텐센트]]와 손을 잡고 2019년 12월 10일 닌텐도 스위치가 정식으로 발매되었다. 닌텐도 게임 자체는 국내/해외 기준으로 전체이용가 게임들이 많아 검열에서 상당히 자유로운 것으로 보인다. * [[모여봐요 동물의 숲]]: 앞서 설명한 닌텐도 게임 중 이례적으로 검열을 받은 사례로, 형식적으로는 중국 내에서의 판매 승인을 받지 않은 비공식 제품의 유통을 단속하는 것이라고 보여지지만,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628195|#]] [[홍콩]]에서는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민주화 운동]]에 이용되면서 실질적으로는 게임 내 커스터마이징 기능으로 중국을 비판하는 콘텐츠들이 만들어져 유포된 것이 그 이유라고 추측되고 있으며, [[https://www.gamemeca.com/view.php?gid=1627977|#1]],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8&no=15022712|#2]] 중국 내 판매 금지에 화난 게이머들이 홍콩의 학생 운동가인 [[조슈아 웡]]의 트위터를 테러하기도 하였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aseball_new8&no=15000184|#]] 이에 조슈아 웡은 "성난 게이머들이 정부는 비난하지 않고 나만 탓한다." 라고 비웃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411037700083|#1]], [[https://news.v.daum.net/v/20200411144354419|#2]] * [[던전앤파이터]]: [[리그 오브 레전드]]와 유사한 이유로 게임 내 해골이 수정되며 [[귀검사/남자|남귀검사]]는 모바일 게임판에서 귀수가 회색 처리되고 붉은 색채가 강한 [[버서커(던전 앤 파이터)|버서커]]는 눈이 멀쩡해지도록 변경되었다. 더불어 [[대전이]] 이전 절대악에 가깝게 묘사되던 제국에 대한 묘사가 대전이 직후 부드럽거나 긍정적으로 묘사했다. 물론 오리진 이후로 제국의 취급이 원래대로 돌아가자 이벤트나 신규 던전 중 일부에 중국적인 요소를 넣는 모습을 보여줬다. 심지어 [[천계전기]]는 결말부가 용두사미인 데다 주역이자 황제가 된 [[황녀 에르제|에르제]]를 천계의 원수인 용족과 같이 모습을 드러냈음에도 지나치게 찬양하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심지어 라이브 서버 업데이트 전엔 반란을 일으킨 자들을 모조리 참형에 처하라는 스크립트까지 존재했다. * [[도타 2]]: 마찬가지로 해골 및 피 등의 요소를 [[http://bbs.ruliweb.com/pc/board/1003/read/1064106|삭제]]하고 영웅 그래픽을 수정하였으며, [[해골 왕]]이 [[망령 제왕]]으로 리메이크되었다. * [[라이프애프터]]: 로나시티 업데이트 이후 캐릭터 코스튬의 팬티가 속바지로 대체되었다. * [[로스트아크]]: 중국 서버에 캐릭터들의 노출 정도와 혈흔 표현 등이 검열되었다. 이 과정에서 한국 서버에도 그대로 패치가 적용되는 문제가 발생해 최근 로스트아크에 곱지 않은 여론과 맞물려 조롱을 듣고 있다. 사측은 한국 서버에 표현 수정이 적용된 것은 오류라는 입장. *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와 마찬가지로 해골 관련 표현들을 최대한 없애려고 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카서스]]의 중국 일러스트, 물론 지금은 비주얼 업데이트로 해골에서 유령으로 바꿨으니 문제는 없을 듯. 비슷하게 사이온도 카서스와 동일한 이유로 비교적 빠르게 비주얼 업데이트가 진행되었으며, 모바일 버전인 와일드리프트에서도 [[쓰레쉬]]의 수정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정작 [[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체제 전복과 자유, 혁명을 꿈꾸는 챔피언]]은 멀쩡하게 출시되었다. 또한 [[피]]를 검열하기 위해 [[블라디미르(리그 오브 레전드)|블라디미르]]와 [[다리우스(리그 오브 레전드)|다리우스]]의 피 색깔이 검은색으로 나온다. * [[메이플스토리2]]: 중국 진출을 앞두고 게임 내 [[해골]] 오브제 등을 삭제 또는 수정하고 있는데, 이걸 '''한국 서버에서 진행하고 있다.''' 한국 유저들은 [[http://maview.nexon.com/Kch/DetailView?s=14133|중국의 심의를 통과하기 위해서]] 바꾸는 거 아니냐고 의심하고 있다. * [[명일방주]]: [[명일방주/사건 사고#s-3|해당 문서]]로. * [[모바일 게임]]: 2016년 7월 1일부터 광전총국의 판호가 권고에서 의무제로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60713001550543|변경.]] [[http://www.thisisgame.com/webzine/nboard/212/?n=62886|관련 기사]]. * [[바이오하자드 RE:2]]: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797556&memberNo=24985926|판매 금지]]. 이유는 경찰 조직을 부정적으로 묘사했기 때문. 이를 우회하기 위한 [[https://www.dogdrip.net/196146456|중국인들의 눈물겨운 노력]]. * [[배틀필드 4]]: [[http://news.zum.com/articles/10791016|국가안보를 위협하는 문화 침략]]으로 규정하고 발매 금지. 또한 웨이보에서는 배틀필드 4를 검색 금지어로 지정. 게임 중 [[미군]] 입장에서 [[중국군]]과 [[중국 정부]]를 부정적으로 그리는 장면 등이 있었기 때문. --그리고 그 후 스토리상으로 중국은 미국에게 털리고 미군과 러시아군이 다시 맞붙게 된다.-- * [[벽람항로]]: [[일본 제국]]을 모티브로 한 사쿠라 엠파이어 소속 함선들 명칭 개병 및 동물화. * [[블레이드 앤 소울]]: [[마공]]을 받아들인 주인공이 사악한 제국 관군을 도와 백성들을 수탈, 학대하는 장면들과 부패한 정부를 묘사하는 여러 가지 퀘스트들, 야심 많은 하급 군관 황보석이 하극상을 일으켜 장군으로 승진하는 장면들이 삭제되었다. 그 야심 많은 하급 군관 NPC는 아예 게임에서 삭제, 존재 자체가 사라졌다. 문제는 그 NPC가 '''한국 블레이드 앤 소울에서는 굉장히 인기가 많던 NPC'''였다.[* 겉으로 봤을 때는 백성들을 함부로 대하고 승진에 대한 욕망으로 하극상을 일으키는 잔인무도한 인물이지만, 사실 그는 부하들을 중히 여기는 상관, 부패한 제국의 정치를 걱정하고 개혁을 주장하는 충신, 공공연하게 뇌물이 오가는 궁정 내부에서 내시들의 뇌물을 칼 같이 거절하는 청백리라는 사실이 스토리를 진행하면서 밝혀진다.] 중국 입맛에 맞게 갈아엎은 내용을 '''한국에 그대로 역수입'''한 동시에 '''기존 한국 서버의 스토리와 필드를 삭제'''해 유저들에게 욕을 들어먹었다. * [[브롤스타즈]]: 중국 서버에서 글로벌 서버의 맵 곳곳에 있던 [[해골]]이 선인장으로 대체되었다. 또한 [[브롤스타즈/브롤러|브롤러]] 중 하나인 [[비비(브롤스타즈)|비비]]의 스킨인 '좀비비'는 원래 진짜 좀비 느낌이 강했지만 정식 출시될 때 좀비 코스프레 느낌의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중국 테마의 시즌인 시즌 10과 홍콩/대만계 브롤러인 [[팽(브롤스타즈)|팽]]이 아예 취소됐다. * [[붕괴3rd]]: 메인 메뉴의 터치 시스템은 초창기엔 머리(이마), 얼굴, 팔, 흉부, 복부(배), 고간, 허벅지 별로 나뉘었으며, 대응하는 부위를 터치할 시 호감도가 상승하며 반응 또한 다른 편이었다. 이후 규제를 받은 뒤 출시된 캐릭터들은 상대적으로 약한 반응을 보여주다 결국 모든 캐릭터의 터치 시스템이 말풍선 개념으로 도입되고, 플레이 시간에 따라 호감도가 상승하도록 변경되어 상호 작용이 상당히 감소하였다. 그나마 이런 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한국, 일본 서버에선 초기에 존재하던 캐릭터 한정으로 과거 터치 시스템을 존치하고 있다. * [[소녀전선]]: 노출도가 높은 일러스트를 대대적으로 검열 후 수정. 이외에도 [[나치 독일]]과 관련된 요소[* [[Kar98k(소녀전선)|카구팔]] 모자의 철십자 문양, [[C96(소녀전선)|C96]]과 [[MP40(소녀전선)|MP40]]이 팔에 찬 완장 등.]는 다수가 검열되어 삭제되거나 문양이 바뀌었고, [[일본 제국]] 시절 총기인 [[100식 기관단총]]을 모티브로 한 전술인형 [[100식(소녀전선)|100식]]은 벚꽃을 의미하는 '앵화(櫻花)'로 개명. * [[슈퍼 마리오 메이커 2]]: [[동물의 숲]]과 마찬가지로 유저들은 에디팅 기능이 있는 게임을 금지하는 규제 정책으로 인해 온라인 샵에서 퇴출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스타크래프트 2/캠페인/자유의 날개|게임 내 캠페인]]에서 [[아크튜러스 멩스크|독재 정권]]에 대항하는 [[레이너 특공대|혁명]]을 묘사'''한다는 이유로 중국 내 출시 및 판매가 금지되었다가 2011년에서야 중국 시장 출시를 허가받았다. 중국 출시 이후에도 '''캠페인이 봉인'''되어 버리는 바람에, 중국판에서는 스타크래프트 2의 스토리를 제대로 감상할 수 없게 됐다.[* 비공식적으로 대만판을 간체화한 버전을 즐기는 [[중국인]]들이 좀 있다.] 거기에다 그 타도 대상인 [[테란 자치령|독재 정권]]의 상징색이 (의도하지는 않았겠지만) 하필 중국 공산당을 상징하는 '''빨간색'''이다. --어지간히도 뒤가 켕겼나 보다.-- --[[제사해 운동|저 혁명은 해로운 혁명이다.]]--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oegame&no=1410380|P2P 사이트에서 스타크래프트2가 보이던 이유]]. * [[심즈 프리플레이]] : [[동성결혼]]이 등장한다는 이유로 [[https://sports.news.naver.com/e_sports/news/read.nhn?oid=442&aid=0000081683|중국 서비스 중단]]. * 온라인 게임 도덕위원회: 게임 서비스를 '''중지시키거나 아예 출시하지 못하게 만드는''' 권한을 가진 기관이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766296|#]] 2018년 12월에만 [[http://www.gamepl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5814|중국 내에서 서비스 중인 9개 게임에 서비스 불허를]],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89432&utm_source=naver&utm_medium=outlink&utm_campaign=simon&utm_content=89432&nogate|11개 게임에 대대적 수정 명령]]을 내리는 등의 일을 하고 있다. * [[용과 같이 시리즈]] : [[용과 같이 제로: 맹세의 장소]]가 시리즈 최초로 번체 중문화가 되어 대만/홍콩에 발매되었고 그 이후 기존작들의 리메이크 및 리마스터 버전들도 대만/홍콩에 번체 중문화되어 발매되고 있으나 중국 내 판매는 한번도 된 적이 없다. 사실 생각해 보면 그럴 수 밖에 없는게 1편([[용과 같이: 극]])에서는 7장과 최종장에서 부패한 정치인 [[진구 쿄헤이]]가 수장으로 있는 정부 기관(MIA)이 직접 적으로 등장하는 데다, 3편 역시 도중에 경시청 [[시큐리티 폴리스]]가 적으로 나오기에 아웃, 4편도 [[무나카타 세이시로]]와 경찰 경호대가 최종보스로 나오는 건 물론 스토리 중간중간에 부패한 경찰 조직 묘사가 나오므로 아웃, 6편도 [[양명연합회|양명연합회와 이와미 조선]] 그리고 그들과 붙어먹은 정치계 거물 다이도지 미노루에 대한 내용 때문에 아웃(...). [[용과 같이 7]]의 경우에는 범죄자 미화랑 [[아라카와 마사토|체제 전복]] 등을 이유로 중국 내 판매 금지. 위의 바이오하자드 RE: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남신이문록 등 다른 이름으로 우회 판매가 이루어지는 상황. [[https://m.ruliweb.com/ps/board/300001/read/2206533|#]] * [[원신]]: [[https://arca.live/b/genshin/41973087?mode=best&target=all&keyword=반응&p=1|당장 이 게시물만 봐도]] 현재 중국 내부에서 시진핑의 한 마디에 검열[* 시진핑의 냥파오(여자 뺨치는 남자 연예인)는 서구의 미적 기준이며 사회의 악이라는 한마디와 함께 게임업계에도 불똥이 튀었다. 어느 독재자나 그렇듯 독재의 하나의 일환으로 성적 관련 문제/오락에 탄압을 가하는데 시진핑은 그 일례를 철저히 따르고 있는 중이다. 어디 멀리 볼 것없이 [[박정희]] 때도 문화검열을 하였고 노출을 금기시하며 탄압하였다.]이 얼마나 심각해진지 알 수있다. 글로벌 서버는 해당이 되지 않아 그나마 다행인 부분이지만 중국 서버 이용자들은 이에 항의하는 게시물을 작성했다가 게시물 삭제, 계정 영구 정지 등 소리소문없이 흔적을 감추는 중. 결국 2022년 1월 초에 중국당국의 검열에 의해 [[진(원신)|진]], [[모나(원신)|모나]], [[로자리아(원신)|로자리아]], [[엠버(원신)|엠버]] 등 4명의 캐릭이 검열되며 글로벌 서버에도 패치가 되었으나 글로벌 서버의 공식 스토리 영상도 검열버전으로 통일화시킨다는 이야기에 제대로 타격을 입었다. 이 사례로 인해 [[유라(원신)|유라]], [[라이덴 쇼군]], [[요이미야]]와 같은 캐릭터도 검열될 것이라는 유저들의 예측도 나오고 있는 편이다.[* 이와 동시에 류웨이CEO가 만든 COGNOSPHERE라는 '''싱가포르 국적''' 자회사를 만들어 운영 중이며 이 자회사가 에픽스토어와 같은 곳에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이로 인해 나날이 심해지는 중국 검열을 피하기 위한 방주가 아니냐는 관측도 있으나 이번 글로벌 서버 공식 스토리 영상도 전부 검열 버전으로 통일화한다는 조치로 인해 일말의 희망이 꺼지고 있다.]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해골, 시체 등의 이미지를 보이게 해서는 안 된다는 지침 때문에 언데드 몬스터들이 살을 붙인 채(...) 등장했다. 대략 [[http://www.inven.co.kr/board/powerbbs.php?come_idx=3903&l=109665|이런]] [[http://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oegame&no=2485716&page=1|식]]으로 바꿔놨다. 특히 언데드, 해골, [[강령술]]이 판을 치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리치 왕의 분노|리치 왕의 분노]]는 국가신문출판총서에서 [[http://news.joins.com/article/4348493|불건전하고 폭력적이라며 판호 발급을 수년간 거부해]] 심의 과정이 매우 오래 걸렸고,[* 현지 퍼블리셔의 분쟁도 출시 지연의 원인이었다.] 그 결과 다른 나라에서는 리치 왕의 분노 후속판인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대격변|대격변]]이 나오는 마당에, 중국만 홀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불타는 성전|불타는 성전]]에 몇 년간 머물러 있었다. 심의 과정에서 [[죽음의 기사|사망기사]]의 이름이 부문기사로 바뀌었다. * [[Europa Universalis 시리즈]], [[Hearts of Iron]] 시리즈: [[티베트]]를 독립국으로 표현했고, Hearts of Iron의 경우는 [[타이완섬]]을 일본의 땅으로 표현했다는 점을 역사왜곡이라며 출시 금지를 먹었다. 그러나 당시 티베트는 독립국이었고, 타이완섬은 일본에게 점령당한 상태였다.[* 게다가 [[계계군벌|광서군벌]] [[전계군벌|운남군벌]] [[염계군벌|산시군벌]] [[성스차이|신강군벌]] [[서북군벌#s-2.2|마가군벌]] 등 군벌이 죄다 독립국으로 나타난것도 영향이 크다. 또 무엇보다 타이완이나 대륙이나 중국에서 거짓 위 僞 까지 사용하며 위만주국이라 크게 비판하는 [[만주국]]도 등장하고 [[몽강자치연합정부]]도 등장한다.] [[한국]]으로 치자면 [[천년의 신화]] 같이 [[한국]]이 [[고구려]], [[백제]], [[신라]]로 분리되어 나온다는 이유로 금지한 것과 같은 격이다. --사실 국민당 때문이 아닐까-- * [[전함소녀]]: 노출이 심한 일러스트는 물론, 노출이 심하지도 않은 일러스트까지 대대적으로 검열당했으며, 일본 출신 함선들 이름이 단체로 동물 및 식물이름이 되어 말 그대로 동물원이 되어버렸다.[* 동물원(...)의 법칙성에 대해 정확히 말하면, 전함=해양생물, 순양함=육상생물, 구축함=식물, 항모=조류 계통으로 검열명이 잡힌다. 후발주자인 [[벽람항로]]에서는 아예 검열명이 동물원화된 요소를 일본 모티브인 사쿠라 엠파이어의 캐릭터 테마에 적지 않게 반영한 듯한 모습도 보여준다.] 심지어 초기에는 함재기의 히노마루까지도 검열을 해서, 한 때 일본 함재기들이 단체로 불량식품이 되기도 했었다. 이에 개발사인 [[모에판타지]]는 다운로드 홈페이지를 교묘하게 바꾸거나 검열 해제 코드를 만들어두었지만, 검열이 강화되었는지, 현재는 검열 해제가 불가능하다. *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 GLA의 [[천안문]] 공격과 공산당 전복, [[싼샤 댐]] 파괴, 홍콩 컨벤션 센터 파괴 미션이 있다는 이유로 발매 금지되었다. * [[콘솔 게임]] 전반: 중국은 2015년에서야 콘솔 게임기 판매를 허용했다. 중국 당국이 비디오 게임은 아동에게 악영향을 끼친다는 이유로 2000년 콘솔 제조, 판매를 금지했기 때문이다.[* 사실 전면 금지는 아니었기에 [[소니]]는 [[PS2]]를 중국에 정발할 수 있었으며, 닌텐도는 [[iQue]]를 통해 GBA부터 3DS까지 자사 휴대용 콘솔을 거의 모두 정발할 수 있었다.] 2015년 이후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Xbox One]]을, 소니가가 [[PS4]]와 [[PS Vita]]를 중국 대륙에 정발하였다. 하지만 [[높으신 분들]]의 압박에 의해[* 외국 폭력 게임을 정발 콘솔에서 돌릴 수 있게 하면 안 된다는 게 요지. [[베이징 시]] 문화국에서는 직접 [[Grand Theft Auto V|게임 이름]]을 거론해가면서까지 지적하기도 했다.] 엑박원은 [[지역코드]]가 걸려 있으며, PS4와 비타에서는 해외 PSN에 로그인 금지 조치가 내려졌다. 그리고 게임 타이틀 정발은 여전히 상당히 힘든 편으로, 중국 [[PSN]]의 게임 목록만 봐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콘솔 합법화 이전부터 암시장을 통해 [[게임기]]를 손쉽게 구할 수 있었다. [[선전(도시)|선전]] 등을 통해 [[홍콩]]이나 [[대만]]에 풀린 콘솔과 (번체) 중국어 게임이 중국으로 밀수입되었으며, 특히 [[타오바오]] 등이 부상한 뒤로는 이런 밀수 콘솔을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아무튼 이 문제점으로 인해 규제가 있었던 시절에도 유명무실했다.[* [[플레이스테이션]], [[Xbox(콘솔)|엑스박스]] 모두 중국 공장에서 생산한 걸 보면, 타국 수출 용도로만 생산하는 건 문제가 없는 것 같다.] 그러나 판매가 허용된 지금에도 콘솔 게임의 내용에 대한 검열은 지속될 전망이기 때문에, 중국 시장에 대한 회의적 시각이 여전하다. * [[킹덤 하츠 III]] : [[http://bbs.ruliweb.com/news/board/300001/read/2176935|중국 게임 정보 사이트]]에서 [[푸|곰돌이 푸]]만 안 보이게 칠해놨다. [[시진핑]] 비유 때문으로 추정. 그런데 [[https://www.dogdrip.net/185875513|검열 과정에서 한 개 놓친 것이 확인됐다]]. ~~[[코렁탕|코로 마라탕 먹게 생겼다]].~~ * [[폴아웃 시리즈]]: 미국과 중국의 핵전쟁을 다룬 바 있는 이 게임은 [[폴아웃 쉘터]][* 2019년 하순 중국판 출시.]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리즈가 중국에서 정발되지 않았다. 우리가 중국판 제목으로 알고 있는 '이진여생(異塵餘生)' 은 대만과 홍콩에서의 타이틀명이고,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통용되는 타이틀명은 '복사(辐射, 방사능)' 다. * [[포트나이트]] 중국판: 테스트 운영이 실시된 지 불과 2주 만에 서비스 종료가 고지됐다.[[https://bbs.ruliweb.com/family/2086/board/300007/read/2243793|#]] * 해외 게임 전반: 중국어판은 [[간체자]] 버전보다 [[정체자]] 버전이 훨씬 많은데, 간체자를 사용하는 중국에서는 심의에 막혀 발매되지 못하고 정체자를 사용하는 대만, 홍콩에서만 발매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특히 플랫폼이 콘솔인 게임들은 더욱 그렇다. * [[홈프론트]]: 중국의 심기를 거스르지 않기 위해 제작사에서 미국을 침공하는 적국을 중국에서 북한으로 변경하는 '''자체검열''' 실시. * [[Fate/Grand Order]]: 간체 중국어판이 검열을 받았는데 2018년에 서번트 일부가 일러스트 검열을 당했고[* 부디카, 마타하리, 슈텐도지, 라이코, 고르곤] 이후 2021년 9월 게임계 검열이 심해지면서 [[불야성의 어새신]]의 진명과 일러, 목소리 일부가 검열되었고 이후 중국계 서번트 대부분이 진명이 삭제되고 일러스트, 음성이 변경 및 삭제되었다. * [[KOF XIV]]: [[http://v12.battlepage.com/??=Kof.Talkforkof.View&page=2&category1=18&no=2281&category2=0|여캐의 노출이 대폭 줄었다.]] * [[PUBG: BATTLEGROUNDS|PLAYERUNKNOWN'S BATTLEGROUNDS]]: 게임 내 낙하산에 다른 언어 버전에서는 보이지 않는 [[http://game.dailyesports.com/view.php?ud=2017112413161721756|군사훈련]]이라는 글자가 뜬다. 광전총국에서 ''''[[http://www.inven.co.kr/webzine/news/?news=188143|사회주의 가치와 중화민족의 도덕규범을 해친다]]''''고 비판하자 중국 배급사인 [[텐센트]]가 '배틀그라운드의 폭력성을 낮추고 '''사회주의 가치를 주입하겠다''''고 공언한 것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 [[http://news1.kr/articles/?3160735|텐센트 '배틀그라운드' 中 출시..."사회주의 가치 주입"]]. 덧붙여 배틀그라운드와 유사한 중국 모바일 게임 와일드니스 액션은 '''[[시진핑]] 어록'''을 게임 내 배경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6&aid=0001318611|빨간 플랜카드로 도배]]했다. * [[Plague Inc.]]: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때문에 해당 게임의 인기가 상승하고 커스텀 시나리오가 제작되자, [[2020년]] [[2월 27일]] [[중국 공산당]] 정부에서 검열 처분하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11434207|기사]]. * [[Roblox]]: 글로벌 사이트가 차단되었다. 이전에는 [[텐센트]]의 [[罗布乐思|Roblox 서버]]가 있었으나 서비스 종료되었고 현재 중국에서는 [[QQ]]의 Roblox만 이용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Natural Disaster Survival|자연재해가 나오는 게임]]을 금지한다. * [[마인크래프트]]: [[https://m.blog.naver.com/pkpai/221516885954|유저들이 채팅으로 섹드립 치는 걸 본 공산당이 심의 문제로 모장하고 유통사 넷이즈에 경고 처분을 내렸다.]] 그러나 넷이즈는 이미 채팅의 필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억울하다는 입장. * [[저지 아이즈: 사신의 유언]]: 위에서 언급한 [[용과 같이 시리즈]]와 세계관을 공유하며, 용과 같이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여기서도 정부 기관인 [[후생노동성]]이 흑막으로 나오는 건 물론이고 아예 후생노동성 요원들(후생노동성의 자객)과 경찰관들이 직접 전투에서 적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아웃. 역시나 대만/홍콩에 번체 중문화되어 발매된 게 전부다. * [[제5인격]]: [[재앙의 도마뱀|루키노]]의 무기와 [[울보(제5인격)|로비]]의 무기가 검열에 걸려 순화되었다.[* 각각 [[펜치]], --아니 근데 이게 더 잔인한데...-- 나뭇가지, 도끼로.] 또한 [[이토 준지]] 콜라보 [[꿈의 마녀]] 스킨 그림 속의 소녀는 검열로 인해 중국 서버에는 판매도 되지 못했다. 또한 [[노란 옷의 왕(제5인격)|하스터]]의 얼굴이 혈액을 연상짓게 하는지 빨간색에서 파란색으로 수정, [[거미(제5인격)|거미]], [[공장장(제5인격)|공장장]], [[광대(제5인격)|조커]]의 얼굴 수정, 광기의 의자의 고정 역할을 하는 가시덤불이 안전바로 수정되었다. 이외에도 갖가지 스킨과 캐릭터 외관이 검열되었다. 문제는 검열된 일부 요소는 스토리에 설정구멍을 일으키고 있고, 더 심각한 건 이 검열이 중섭 뿐만 아니라 글로벌 서버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이다. ==== [[포켓몬스터]] ==== [[포켓몬스터]]의 [[중국]] 검열 문제는 문단을 따로 설정해야 할 정도로 내용이 복잡해서 따로 작성한다. [[포켓몬스터 시리즈]]는 [[게임]]으로 출발해서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등 다양한 매체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중국 공산당]]은 '''[[장쩌민]] 때부터 [[포켓몬]]을 기를 쓰고 틀어 막았다.''' 포켓몬스터를 [[장쩌민]], [[후진타오]], [[시진핑]]이 철저하게 틀어막게 된 이유는 '''포켓몬스터가 反 [[중국 공산당]], [[중국]] [[민주화]] 운동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게임에서 [[포켓몬]]을 포획하면 [[포켓몬 트레이너]]가 이름을 지을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의 다른 포켓몬 트레이너와 포켓몬을 교환할 수 있다. 때문에 외국에서 [[민주화]] 사상이 중국으로 전파되거나, 중국 내 민주화 운동가들이 포켓몬에 특정 이름을 붙이거나, 특정한 아이템을 쥐어주는 방식으로 [[암호]]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정부 운동의 근원이 될 수 있다''''는 의미로 철저히 금지하고 있는 것이다. [[포켓몬 GO]]도 당연히 [[중국]]에서 검열됐다. 외국인도 포켓몬 GO를 중국에서 실행할 수 없게 [[백도어]]를 통해 방해 코드를 심었다. [[https://www.forbes.com/sites/erikkain/2017/01/10/pokemon-go-isnt-coming-to-china-any-time-soon/|기사]]. 포켓몬스터 시리즈는 게임도 판매 금지, [[포켓몬스터 SPECIAL]]만 허용되다 포케스페도 38권 이후로 중국 본토에 발매되지 않는다. [[포켓몬스터 SPECIAL]]은 [[중국]]에 [[2015년]] 38권이 나온 이후 [[2016년]] [[시진핑]]에 의해 판매 금지되고 만화책도 전량 [[리콜]] 처분됐다. [[포켓몬스터]] [[http://pokemon.com|글로벌 홈페이지]]는 [[2016년]] [[12월]]까지 중국에서 [[황금방패]]로 [[인터넷 검열]] 당하고 있었다. 정말로 [[2017년]]에 장장 '''19년 8개월간 유지된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수입금지가 해제'''되었다!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우리 공산당이 달라졌어요]] 급으로 충격적인 사건으로 불릴 정도. [[2017년]] [[11월 11일]] [[포켓몬스터 극장판]] [[볼케니온: 기계왕국의 비밀]]이 [[중국]] 개봉이 허가되면서 포켓몬스터의 전면 수입금지 조치가 해제되었다. [[포켓몬스터 SPECIAL]] 수입 재개 및 [[포켓몬스터]] 본가 및 외전 [[게임]]까지 발매가 허용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듯하다. 그러나... [[2019년]] [[10월 13일]]에 포켓몬 관련 사건 사고가 터졌다. [[파일:pokemon_wechat.png]] > "I love Team Rocket! No matter how many people say they’re bad guys, I’ve loved them since I was a little kid. No matter how many times they fail, they get back up and keep chasing after their dreams, and seeing them do that gives me courage too. Thank you, Jessie, James, and Meowth." > "난 [[로켓단 삼인방]]을 좋아해! 수많은 사람들이 로켓단을 악당이라 말해도, 나는 어렸을 때부터 로켓단을 좋아했어, 로켓단 애들은 매번 실패하더라도, [[피카츄(한지우)|그들의 꿈]]을 위해 로켓단은 매일 일어나지. 그런 로켓단이 나한테 용기를 준다고. 고마워, [[로사(로켓단 삼인방)|로사]], [[로이(로켓단 삼인방)|로이]], [[나옹(로켓단 삼인방)|나옹]]. > - [[중국]] [[광저우]]의 한 네티즌 [[중국]]에서는 [[광저우]] 센트럴 스포츠 센터의 직원이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과 연계하여 [[중국과 NBA 간 갈등 사태]]와 관계된 발언을 [[위챗]]에 올렸다. 해당 내용은 [[로켓단 삼인방]]에 들어간 "Rocket"이라는 단어 때문에 [[휴스턴 로케츠]]와 유사하여 휴스턴 로케츠 및 [[홍콩]] 시위대를 지지한 것으로 의심받았다. 그러자 위챗 내에서 거대한 논쟁이 됐고, [[중국 공산당]]의 압력을 받은 [[텐센트]]에서는 해당 사용자의 계정을 [[검열]] 처분했다. 해당 사용자는 결국 공개 사과문을 올리고 [[하나의 중국]]을 지지한다고 말하고 나서야 계정을 복구할 수 있었다. '''[[포켓몬스터]]는 이 때문에 또 다시 [[중국]]에서 검열 처분당했다.''' [[https://soranews24.com/2019/10/15/man-in-china-says-he-likes-pokemons-team-rocket-on-social-media-company-makes-him-issue-apology/|기사 1]], [[https://www.animenewsnetwork.com/interest/2019-10-15/man-in-china-apologizes-for-praising-pokemon-team-rocket-due-to-possible-allusion-to-hong-kong-support/.152253|기사 2]]. 이후 2019년 12월 10일에 [[닌텐도 스위치]]가 중국 본토에서 정식으로 발매되었는데, 발매 예정 소프트웨어에 [[포켓몬스터 레츠고! 피카츄·레츠고! 이브이]]가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역시 위의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에 연관되어서 '''포켓몬스터 게임 시리즈는 중국에서 다시 검열 처분'''당했다. 결국 출시가 무산됐으며 닌텐도 홈페이지에서도 중국 출시 일정을 삭제되어, 소드·실드와 뒤이어 나올 브릴리언트 다이아몬드·샤이닝 펄,아르세우스 레전드도 출시가 불투명되었다. 다만 이 사건 터진 후 뮤츠의 역습 에볼루션이 중국에 개봉되고, 중국에 포켓몬스터 웨이보 계정이 존재한걸 보아 중국에서 포켓몬스터 IP를 완전히 검열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본가 [[게임]]은 전면 검열''', [[애니메이션]]과 [[포켓몬 유나이트]]는 중국의 신경을 건드리지 않는 한도 내에서 허용하는 식으로 방향이 잡힌 듯 하다. === IT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황금방패)] * [[유튜브]]: 2008년 [[티베트]] 독립 시위 장면 동영상이 올라온 후, 중국에서의 유튜브 접속이 차단됐다. 이후 유튜브가 구글의 자회사로 편입되면서, [[2020년]] 현재도 중국에서는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유튜브 접속이 불가능하며, 우회법으로만 접속할 수 있다. 거기다 9평공산당, [[천안문 6.4 항쟁|천안문 사태]], [[파룬궁]], [[민주진보당]], [[조슈아 웡]] 등, 중국이 싫어할 만한 건 다 있다. 예외적으로 [[전서소가]] 등 중국문화 홍보를 위해 중국인이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는 것을 허가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사실 영상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유튜브에 접속할 수 없고, 중국공산당과 연계된 인사들이 운영하는 [[MCN]]이 채널을 직접 관리한다. 계약이 끝나거나 뭔가 일이 틀어지면 [[https://twitter.com/DariImpio/status/1610871843812179968?lang=en|아예 다른 사람의 유튜브 채널이었던 것처럼 계정을 재활용해버린다.]] 그런데 해당 유튜버의 경우 중국 플랫폼에서도 활동을 멈춰서 중국인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일단 검색이 가능하고 기존에 올라온 동영상은 계속 볼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신변에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닐 것이라 추측만 할 뿐이다.] 그런데 정작 유튜브는 2010년대 후반부터 중국 눈치를 보는 듯한 행보를 계속 보이면서 욕을 바가지로 얻어먹고 있다. 예를 들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우한폐렴]]이나 중국에 대한 게 조금이라도 들어가면 영상에 가차없이 [[노란딱지|노딱]]이 붙는다. 실제로 [[시진핑]]의 얼굴이나 [[오성홍기]]가 조금만 나와도 바로 노딱을 받는다. [[센서스튜디오]] 채널에서 중국 분열 가상 시나리오를 올렸다가 영상 삭제는 물론 계정 정지 협박까지 당했다. 중국 서비스 재개를 노린건지 2020년 들어 눈치를 더 심하게 보고 있다. *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 등의 해외 SNS: 국제적인 SNS이고, 그만큼 중국이 싫어할 만한 정보가 널려 있다. 중국 내에서 차단만 되어있을 뿐, 프록시 쓰고 중국인이 하는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단 정치 비판이 담겨있으면 문제가 된다. 때문에 인스타그램을 쓰는 중국 연예인들은 많지만 중국 내 인기에 비해서 팔로우 수가 낮은 편이다. 그러나 [[환구시보]], 외교부 등 중국의 정부 기관들 다수는 공식 트위터 계정을 굴리는 [[내로남불]]을 보이고 있다. * [[중국어 위키백과]]: 중국 정치 관련 문서는 상시 차단되어 있으며, 수틀리면 중국어 위키백과 전체, 혹은 타 언어 위키까지 한꺼번에 차단하기도 한다. 현재는 모든 언어 위키백과가 차단된 상태. * [[인터넷 방송]]: [[바나나]]가 [[펠라치오|음란한 행위]]를 연상시켜 사상안보를 위협한다는 이유로 [[http://khnews.kheraldm.com/view.php?ud=20160508000297&md=20160510003439_BL&kr=1|바나나 야하게 먹기]]와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5/08/20160508000731.html?OutUrl=naver|스타킹을 신는 행위]]를 금지시켰다. 또 거친 입담과 풍자로 유명한 [[BJ]] 파피장(Papi醬)의 동영상이 동영상 사이트에서 삭제됐고, 얼마 지나지 않아 [[웨이보]]에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420016012|"사회주의 핵심 가치관을 견지하는 영상을 만들 것"]]을 약속했는데, 그 사이에 [[사상전향제도]]를 당했는지는 안 봐도 비디오다. 이것 때문에 [[캐나다]] 유튜버가 중국의 바나나 검열에 항의하기 위해 [[런던]]의 중국 대사관 앞에서 [[http://stv.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512500042&rftime=20150630&redirect=false|바나나를 야하게 먹는 시위]]를 했다. * [[트위치]]: 하도 많은 중국인들이 다른 자국 플랫폼보다 많이 쓴다는 이유로 차단했다. * [[장쩌민]]의 헤어 스타일을 빗대 중국 남성들의 패션 감각을 지적한 블로그가 [[http://news.mt.co.kr/mtview.php?no=2016071814272693310|폐쇄]]되었다. * 2015년 항일 승전 70주년 열병식 때 중국 SNS에서 [[시진핑]]을 [[곰돌이 푸]]와 비유하는 사진, [[장쩌민]]을 개구리에 비유하는 유머 사진들이 올라오자 비하의 용도로 쓰일 수 있다는 이유로 중국 [[웨이보]]에서 곰돌이 푸를 검열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230406|#]] 아래에도 나오지만 시진핑 집권 이후 시진핑과 닮았다는 이유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3231556|수시로 웨이보 검색 차단과 검열]]이 진행되고 있다. 심지어 중국의 곰돌이 푸 검열을 풍자한 [[존 올리버]]까지 검색 차단 시키는 등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 [[바이두]] 웹하드 역시 [[포르노]] 등이 공유된다는 이유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8409363|폐쇄 명령을 받았다.]] 폐쇄 명령의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히 보도되지 않았다. * [[바이두]] 포럼인 테바도 금칙어 검열로 악명이 높았었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단어, 상업성 광고 및 성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단어들이 그 대상. 해당 단어들이 포함되어 있으면 게시글 자체를 올릴 수가 없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기계적인 검열은 위의 의도가 전혀 없는 경우에도 적용된다는 것. 예를 들면 水'''乳交'''融은 서로의 궁합이 잘 맞는다는 의미의 고사성어인데, 문제는 이 중 乳交가 [[파이즈리]]라는 의미라 검열당한다. 거기다 어떤 단어 때문에 게시글을 올릴 수 없다고 명확하게 알려주지 않기 때문에, 불순한(...) 의도가 없는 게시물이 이런 식으로 검열당한다면 정말로 빡친다. 2013년부터는 의외로 서서히 완화되어가는 추세라 이런 식의 빡침은 경험할 일이 거의 없어졌지만... 대신 인공지능이 돌아다니면서 문제 있음으로 의심되는 게시글들을 삭제한다(...)[* 해당 시스템은 예전부터 있었지만, 금칙어 검열이 완화되면서 반대급부로 이쪽에 비중이 실린 것으로 보인다.] 인공지능의 삭제 기준이 엉성하여 멀쩡한 게시글을 잡는 일이 다반사. 여러 해 전의 게시글도 갑자기 뜬금없이 삭제당한다. * 중국 IT 기업들이 만든 기기들은 [[백도어]] 의혹을 받고 있다. 자세한 내용을 [[중국의 백도어]]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중국 공산당]] 당대회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기간에는 [[위챗]], [[QQ]] 등 포털 사이트에서 닉네임, 프로필사진 변경이 금지된다. [[http://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2431|#]] * 2016년 12월에 인터넷 방송 출연자에 대한 실명제를 의무화하는 등 인터넷 방송업계에 대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888133|규제를 대폭 강화하고 나섰다.]] * [[2017년]]부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1/24/0200000000AKR20170124045100089.HTML?input=1195m|대대적인 VPN 단속]]을 진행. [[VPN]] 서비스를 통한 [[구글]], [[유튜브]] 우회 접속이 힘들어질 전망이다. 2017년 7월 1일부터 서비스를 중단한 그린 VPN을 포함, [[http://osen.mt.co.kr/article/G1110682126|다수의 VPN 서비스 제공업체들이 서비스를 중단]]했다. [[2019년]]에는 VPN을 차단한다고 하는데 VPN 업체도 가동이 중단되었다. * [[2009년]]과 [[2015년]]에 [[신장 위구르 자치구]] 전역의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를 [[http://thegear.co.kr/10144|차단]]하고 프록시 우회, 가상 개인 네트워크, SNS 메시지 서비스 등에 대한 전방위적 차단을 시행했다. 또한 [[위구르족]] 주민의 스마트폰에 감시용 어플리케이션(净网卫士) 설치를 의무화하고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55955|설치를 하지 않은 것이 발각되면 10일간 구류형에 처해질 수 있다]]. * 중국에서 약 3억 명이 애용해온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네이한돤쯔'가 전격 폐쇄되었다. 이 앱은 웃음을 유발하는 동영상을 공유하는 앱인데, 중국 당국이 ''''사회 분위기를 해친다''''며 폐쇄했다. 하지만 이용자들이 반발해 중국에서 유례 없는 시위가 벌었다는 것이다. 심지어 베이징 광전총국 앞에서 촛불 시위가 벌어지는가 하면, 중국 전역에서 기습적인 차량 시위까지 벌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6&aid=0010567214|#]] * [[ASMR]]: 비과학적이고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http://www.ajunews.com/view/20180619102215729|ASMR 검열]]당했다. * 온라인 강의가 진행 중인 도중 수업이 검열로 셧다운되기도 한다. [[https://1boon.daum.net/techplus/5e5c56e6a7b54302ff0bc0dc|기사]]. * 중국판 [[구글 플레이]]는 계정 연동[* 구글 지도를 제외한 서비스가 없으니 당연하다(...).]과 허가받지 못한 앱의 업로드가 금지되어있고 알리페이가 탑재된다고 한다. * [[야후!]]: 2021년 11월 1일부로 중국에서 서비스를 중단하고 철수하고 만다. * [[다윈상]]: 검열당했기에 현재 다윈상 운영 측에서는 중국인을 다윈상 수상 후보에 넣지 않고 있다. 단 대만과 중국의 특별행정구에서는 수상 후보들이 나왔고, 대만에서 2004년 1위 수상자 2명이 수상한 것이 중화권 유일의 수상이다. * [[Archive of Our Own]]: [[알페스]]가 올라온다는 이유로 접속을 차단시켰다. * [[LinkedIn]]: 중국에서 허용되는 유일한 미국 SNS였으나 2021년 10월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가 중국에서 서비스를 중단하고 철수한다고 발표되었다.[[https://view.asiae.co.kr/article/2021101506561260441|#]] * [[시나 웨이보]]: 앞으로 사용자의 IP주소가 공개된다고 한다. 중국 내 거주나는 성이나 시까지, 해외 거주자는 거주 국가까지 표시된다고. [[http://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2360|#]] * 온라인 댓글 검열 시도까지 준비 중이라 한다.[[https://contents.premium.naver.com/dmkglobal/technologyreview/contents/220625070951396rm|#]] == 미디어 == [[http://www.epochtimes.co.kr/2016/03/%EC%A0%84%EC%84%B8%EA%B3%84-%EC%96%B8%EB%A1%A0-%EC%9C%84%ED%98%91%ED%95%98%EB%8A%94-%EC%A4%91%EA%B5%AD-%EC%B6%9C%ED%8C%90-%EA%B8%88%EC%A7%80%EB%A0%B9/|2016년 3월 10일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법규]]에 의거, '''외국계 기업 및 외국 소유 중국 기업 모두가 문자, 게임, 지도, 만화, 음성 및 영상 콘텐츠를 포함한 모든 요소를 온라인에 발행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온라인 콘텐츠를 발행하고자 할 때 규제당국에서 허가증을 받아야 하며, 중국에서 방송되는 모든 콘텐츠는 중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서버에 저장되어야 한다. ~~해킹해서 이득 보려는 속셈인 것 같다~~ 법규 시행 1달 만인 2016년 4월, [[Apple|애플]]의 [[아이북스]]와 [[아이튠즈 스토어]]가 광전총국의 명령으로 중국 서비스를 중단했다. * [[2018년]] [[호주]] [[ABC(호주)|ABC 방송]] 홈페이지의 중국 접속이 차단됐다. [[더 가디언]]에서는 호주 정부가 [[5G]] 이동통신망 구축에서 [[화웨이]]와 [[ZTE]]를 배제시킨 것과 관련이 있다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0318948|보도]]했다. * [[2018년]] [[대한민국]]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카페]]의 중국 접속이 차단됐다. == 성인물에 대한 검열 == 한편, 엄숙한 도덕주의를 내세우는 중국 공산당의 지침에 따라 음란물 역시 철저하게 검열하고 있다. 한국도 높으신 분들의 뒤틀린 도덕적 사고관 덕분에 과도한 음란물 탄압을 하는데, 중국 역시 이에 대해선 별반 차이가 없으며 오히려 공산당의 엄벌주의 때문에 중국의 아티스트들은 성인물을 만든다면 그야말로 목숨을 걸어야 한다. 걸리지 않으면 많은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에 실력이 있는 많은 중국의 일러스트레이터들, 애니메이터들이 [[Patreon]], 픽시브 팬박스같은 곳에서 성인물을 만들며 후원금을 받아 많은 수익을 올렸는데, 파이널 판타지 7, 원신 등의 패러디 성인물로 많은 팬을 보유한 [[https://games.yahoo.com.tw/news/shirakami-sanbyebye-020537863.html|Shirakami라는 애니메이터가 음란물 제작 혐의로 공안에 기소]]되면서 많은 중국의 아티스트들이 활동을 중단했다. 중화인민공화국 형법의 사회관리질서방해죄 제9절 음란물품 제작, 판매, 전파죄에 따르면 음란물을 제작한 사람은 3년 이하의 유기징역 및 벌금형에 처하며, 사안이 중대한 경우 최소 3년, 최대 10년의 징역에 처할 수 있다. == 중국 청소년 스마트폰 게임 규제 == [[2023년]] [[8월]] [[중국 정부]]가 미성년자의 스마트폰 규제를 발표했다 이로인하여 '''중국 청소년들은 할 수 있는 게임은 전부 막혔다'''. [[https://www.google.com/amp/s/www.chosun.com/international/china/2023/08/02/CI2NMFLG2JAPFIKL6QSCFMH5RM/%3foutputType=amp|#]] [[https://app.dcinside.com/board/dcbest/158147|#]] == 검열관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81&aid=0002908529|중국의 콘텐츠 검열관에 대한 기사]] 플랫폼 제공 업체들마다 수천명의 검열 인력이 있다. 검열이 강화될수록 검열 인력의 수도 해마다 늘어나고 있기에 대졸 취직자들에게 선망의 직업이 됐다. 공산주의 사상을 충실히 신봉하는 사람을 선호하며, [[천안문 6.4 항쟁]]에 관한 영상 자료를 시청하며 사상 교육을 받으며 불온한 사상에 대한 교육을 주입받는다고 한다. 특히 검열관이 검열 도중 검열해야 할 불온한 콘텐츠 자료를 놓칠 경우 '''해고를 당할 수 있다.''' == [[세서미 크레딧]](芝麻信用分) == 중국 정부와 [[알리바바 그룹]], [[텐센트]], [[화웨이]], [[ZTE]], [[완다그룹]] 등 중국 대기업들이 합작해서 만들고 있는 시스템인데, '''전 국민 평가 시스템'''이라는 음모론이 돌고 있다. 2020년부터 의무화 될 예정. 해당 문서로. == 규제 완화와 강화 사이의 줄다리기 == 2017년 사상 처음으로 중국 정부가 '''중국 토종 귀신인 강시를 제외한 귀신, 좀비 등이 등장하는 공포 영화를 불허하는 기존 검열 및 규제를 완화해 [[http://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585|개봉을 허용]]'''하는 쪽으로 방침을 바꾸기로 했다. 따라서 예전 같았으면 (영혼이 주변에 진을 친다는 이유로) 유령이 등장한다는 이유로 당당히 상영 금지 영화 목록에 올랐을 [[캐리비안의 해적: 죽은 자는 말이 없다]]의 중국 개봉도 가능해졌다. 수억 위안을 거머쥐게 생겼으니 [[괴력난신]]을 논하지 말라는 공산당의 신념과 [[유물론]]적 세계관에 대한 믿음은 뒷전으로 밀려난 모양새. ~~[[흑묘백묘론|이승 고양이든 저승 고양이]]든 [[XX하면 어떠냐 경제만 살리면 그만이지|돈만 물어오면 그만이지]]~~ '''[[사후세계]]를 배경으로 한''' [[픽사]] 애니메이션 [[코코(애니메이션)|코코]]도 귀신 검열 완화 정책의 수혜를 받아 [[http://news.joins.com/article/22227651|중국에서 흥행]]했다. 2021년에는 유령, 귀신, 외계인, 체제 전복, 도박, 종교, 사후세계 등 예전 같았으면 검열 대상이었을 소재로 도배되다시피 한 미국 게임 [[가디언 테일즈]]가 검열을 통과해 중국에 출시되었다. 가령 3챕터 마법학교는 처음부터 끝까지 수백명의 각종 유령들이 나오는데 중국판에서도 지워지지 않고 그대로 나온다. 다만 전술한대로 애니메이션 쪽은 오히려 2021년부터 심의 규정이 새로 생겨나며 강화되었기 때문에 완전한 완화는 여전히 힘들 것으로 보인다. == 의외로 검열을 통과한 것들 == === 작품 === * '''뒤가 깨끗하지 않은 공공 조직 묘사, 조직 내 파벌 싸움과 부조리에 대한 언급, 테러리스트 조직의 등장, [[해골]]''' 등 중국 검열 당국이 싫어할 만한 요소가 스토리를 가득 채우고 있는 온라인 게임 [[클로저스]]는 스토리 수정 없이 검열을 통과해 중국 서비스를 하고 있는 중이다. 이는 스토리가 현지화를 거치지 않고 철저하게 한국 내에서 일어난 일이라고 강조한 덕일 수도 있다. * 게임 내에서 중국을 굉장히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대놓고 세상을 멸망시킨 악의 축 취급을 한다. 물론 [[피카레스크|미국도 똑같이 악의 축으로 나오긴 하지만]]...] 폴아웃 시리즈의 경우, 역시나 모든 시리즈가 얄짤없이 중국 발매 금지를 당했지만, 2019년 후반기 "[[폴아웃 쉘터 온라인]]"[* 모바일 게임 [[폴아웃 쉘터]]에 콘텐츠를 대폭 추가한 대규모 확장팩이다.]이라는 모바일 게임이 시리즈 중 유일하게 중국에 정발되었다. 더 충격적인 것은 이것이 '''중국에만 독점 발매'''되었기 때문에, 국내는 물론이고 북미 게이머들조차 새 폴아웃 시리즈가 나왔다는 사실을 뒤늦게 인지하게 되었다. 후에 다른 나라에서도 발매했다. * 적을 처치할 때 해골 아이콘, 궁극기 아이콘이 대놓고 해골인 [[캐서디]], 해골 가면을 쓴 [[리퍼(오버워치)|리퍼]] 등 해골이 가득한 [[오버워치]] 역시 무사히 중국으로 수출되었다. [[웃프다|웃프게도]] 중국 지역 서비스를 맡은 [[넷이즈]]와의 계약이 종료되면서 2023년 1월 23일부로 중국 서버가 폐쇄되어 공식적으로는 서비스 되지 않고 있으며, [[오버워치 2]]에서는 중국 본토 지역 플레이어들이 한국, 대만, 일본, 몽골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아시아 서버에 우회접속하여 민폐를 끼치고 있다. * 2017년작 드라마 [[인민의 이름으로]][[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29/0200000000AKR20170329148100083.HTML|(人民的名義)]]는 '''공산당 간부들의 부정부패 등 치부를 드러내는 내용'''이라 검열을 우려한 방송국마다 제작을 거부했고, 기업들은 투자를 꺼렸는데 어찌어찌 검열을 통과해 후난위성TV와 동영상 서비스 아이치이에서 방영 후 큰 인기를 모았다. 이 드라마가 공권력의 치부를 까발리는 내용임에도 검열을 통과할 수 있었던 이유는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06/0200000000AKR20170406099400083.HTML|시진핑이 내세우는 부패척결을 홍보하고 찬양하기 위해서]] 밀어줬기 때문이다.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41542|분석 기사]]. * [[날씨의 아이]]는 중국에서 민감히 여기는 모방 범죄 가능성, 기후 변화 비판 등의 사회 비판 내용이 있음에도 통과되었다. 여러모로 중국 심의 측에서 [[신카이 마코토]] 감독에게 관대한 면을 보여주고 있다. *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독재 정권을 전복하는 내용의 [[브이 포 벤데타]]가 별다른 수정 없이 [[중국 중앙 텔레비전|CCTV]]에서[[http://china.joins.com/portal/article.do?method=detail&total_id=10199531&code=001002|방영되어]] 검열 완화의 신호탄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검열은 계속되고 있다.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는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 [[이터널스(영화)|이터널스]] 빼고 검열된 작품이 거의 없다. 특히 [[토르: 라그나로크]]는 '''[[헬라(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빌런]]이 언데드 병사들을 부활시켜 일으킨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는 내용'''이고, [[캡틴 아메리카 실사영화 시리즈]]는 범죄 조직이 국가 조직을 장악하는 내용에 [[알렉산더 피어스|그 범죄 세력에 속하고 음모를 꾸미고 있는 국가권력의 수장 캐릭터]]가 등장한 데다가 '''[[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정부의 무력 국민 통제 비판과 체제전복]]''',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국가에 대한 반기]]에, [[레드 스컬(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해골]]들도 [[브록 럼로우(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등장하는 등]]''' 위 중국이 원하는 사회주의 핵심 가치관들과 반대되는 내용들이 많음에도 둘 다 무사히 개봉되었다. --광전총국에 어벤져스 팬이 있는 듯-- 그리고 중국이 선호하는 권선징악과 반대로 [[타노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공리주의를 주장하는 악한 외계인]]이 승리하는 결말인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도 개봉 날짜가 미뤄졌을 뿐 삭제 없이 개봉되었다.(여담으로 중국 외교부가 [[미국]]을 비난할 때 미국이 [[타노스]]라고 한 적도 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1103059500083|#]]) * 영국의 미니어처 게임 [[Warhammer]] 시리즈는 중국 정부가 싫어하는 것들만 잔뜩 모여 있는데, 에이지 오브 지그마나 40k 모두 신적 존재, 해골, 고어스러운 전투 묘사가 많으며, 40k는 심지어 외계인들이 인류와 전쟁을 벌이는 시대 배경이다. 그럼에도 2020년 9판 개정 이후로 중국어 버전을 출시했으며(!) 심지어 게임즈 워크숍의 자회사 블랙 라이브러리가 발간하는 도서 중 스테디 셀러인 [[호루스 헤러시]] 시리즈마저 중국어 버전이 출간되었다. 그 호루스 헤러시는 황제의 총애받는 아들 호루스가 카오스 신들의 꼬임에 넘어가 인류 제국을 무너뜨리기 위한 은하계적 반란으로, 중국사에 비유하자면 황태자가 미신에 홀려 아버지 황제를 무너뜨리기 위해 반란을 일으킨 것과 동일하다. 중국 공산당이 싫어할 내용만 잔뜩 포함하고 있음에도 검열을 통과하여 중국어 버전을 발매한 것이 정말 신기할 지경. *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는 테러와 체재 전복에 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음에도 정상적으로 개봉하였다. --[[크시 건담]](XI Gundam)이 시진핑 건담이라서 패스했다더라-- * 살인, 마약, 성매매, 장기매매 등 강력 범죄가 러닝 타임 내내 묘사되는 [[아저씨(영화)|아저씨]]도 중국 전역에서 개봉했다.[* 중국 개봉판은 6분 정도 편집된 버전이지만 내용 수정이 아닌 관람등급 완화를 위한 편집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청불 등급이었다고 한다.[[https://ent.qq.com/a/20110920/000042.htm|#]][[https://movie.douban.com/subject/4249355/|#]] 다만 소개 기사에서도 장기매매나 마약매매를 언급하고 있는 걸 봐서는 범죄 부분을 수정하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범죄 수법까지 대놓고 나오는데도 모방위험으로 걸리지 않았다. 물론 영화 내 범죄자들이 전부 죽거나 경찰에 체포되긴 하지만 말이다. * '''피부가 벗겨진 시체가 나오고[* 라그나로크], 과도한 출혈이 일어나며[* 출혈 효과], 상처를 입을수록 생물들은 피떡이 되어가고[* 체력 부족], 해골이 굴러다니며[* 에버레이션, 정확히는 썩은 시체], 납치•감금•약탈•학살 등이 가능하고[* 멀티 플레이], 각종 도핑용 브루들을 먹을 수 있으며[* 체력, 에너지 브루 및 각종 약물들], 멀티 플레이에서는 거대한 부족에게 반기를 드는 것도 가능하고, 내장과 기괴한 표현이 존재하고[* 제네시스 파트 2] 또한, 외계인[* 엄밀히 말하면 지성을 지닌 외계 물질]이 지구를 멸망시켜 파멸하는''' 내용을 담은 [[ARK: Survival Evolved]]도 멀쩡히 통과 되었다. 시리즈가 가면 갈수록 수위도 조금씩 세지고, 반란과 내전•독립 또한 가능한데 어찌 통과된지는 불명. === 자국 광고 === 이렇듯 검열을 엄격하게 적용하지만 정작 광고에 대한 규제는 느슨하다. [[미국]]이나 [[일본]]처럼 전통적으로 광고에 대한 법적 규제가 느슨한 나라들을 어떤 의미에서 넘었다고 할 수 있을 지경이다. 이 점에서는 광전총국이 사회주의가 아닌 자본주의를 수호하는 기관처럼 보일 지경이다. 특히 중국 방송에서는 일기예보에 자막 광고, 지상파 메인 뉴스 중에 중간 광고, 영화 상영 이전 광고 시간 20분과 같은 막장스러운 정책이 대놓고 시행 중이다. 저녁 황금시간대에도 술 광고를 대놓고 내보내며, CCTV 메인뉴스이자 중국 주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신문연파]]의 시보 광고도 우량예, [[마오타이]]같은 주류 회사들이 내보낼 정도였다. 심지어 [[중국 공산당]] 행사 생중계 때에도 중간에 갑자기 끊고 중간광고를 틀거나, 그게 아니더라도 '실시간'으로 위쪽과 아래쪽에 투블럭으로 자막 광고를 상시 송출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한다. 사실 이것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5394362|예전에 비해 상당히 규제된 것으로]], 사실 1980년대와 90년대에는 CCTV에 한해서라도 1일 40분씩만 광고를 할 수 있게끔[* 사실 이것도 당대의 [[KBS 1TV]]의 광고 규제에 비하면 많이 약한 것이다.] 규제가 적용되었다. 90년대와 2000년대에 그나마 남아있던 광고 규제들이 대대적으로 풀리면서 이러한 막장 상황들이 대놓고 벌어졌는데, 2012년 규제 조치 강화 이전에는 드라마 오프닝 곡 뒤에 광고, 드라마 진행 중에 광고, 드라마 엔딩 곡 전에 광고가 들어가는 막장 오브 막장 상황이었다. 심지어 오프닝 곡 뒤에 광고를 한참 내보내고 '곧 시작합니다'라는 메시지를 띄우고, 또 한참 광고를 내보내는 방송국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당시에는 '[[러시아식 유머|광고 중간에 드라마를 삽입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중국/문화 검열, version=17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