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2> {{{+1 {{{#ddd '''중국 제국주의'''}}}}}}[br]{{{#ddd 中国帝国主义 | Chinese Imperialism}}}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중화제국주의.jpg |width=100%]]}}}||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이 역사적으로 [[제국주의]]적 정책을 펼친 사례들을 서술하며, 그 외의 중국의 [[패권주의]]나 비판자들에 의해 제국주의자라고 종종 비판되는 사례들까지 폭넓게 서술할 수 있다. 중국 제국주의는 '''중화제국주의'''(中華帝國主義 / Sino-imperialism)라고도 부른다. == 역사 == 중국은 [[중화제국|오랜 제국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 관련 사례 == === 중국 본토 === [[한족 민족주의]], 특히 [[대한족주의]]로 나타난다. 중화민국 시대에 티베트는 독립국가였으나 1950년 [[중국의 티베트 침공]]으로 완전히 중화인민공화국의 영토가 되었다. 최근에는 [[신장 재교육 캠프]], 즉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강제노동수용소를 세워서 [[위구르인]]과 [[카자흐인]], [[키르기스인]]을 강제노역시키고 학대하고 있다. === 대만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하나의 중국, top2=타이완 독립운동, top3=반분열국가법)] 해외에서도 Chinese imperialism이라고 지칭된다.[[https://www.chopso.org/chinese-imperialism-japanese-american-got-punched-by-chinese-attorney-for-saying-taiwan-is-independent-in-los-angeles/|#]] 실질적으로 [[대만]]은 국제적으로 수교국이 극히 적은 [[미승인국]]임에도 중국과 분리된 개별국가로 존재하고 있지만, 중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역대 중국 정부들은 조국통일에 집착해왔는데, 본토 중국인들은 평화통일이 어렵다면 전쟁을 해서라도 통일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는 경우가 많다. ==== 홍콩 ====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홍콩 민주화 운동, top2=홍콩특별행정구의 국가안전을 수호하는 법률제도와 집행기제 수립 및 완비에 관한 전국인민대표대회의 결정)] 중국은 [[홍콩]]이 영국으로 반환되기 전에 기존의 정치와 경제 체제에 있어 '''[[일국양제]]'''를 약속했으나, 정작 1997년 [[홍콩 반환]] 직후 기존 직선제 선출 입법국을 강제해산하고, 절반을 공산당이 지정해 임명하는 [[홍콩 입법회]]를 구성했다.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에 대한 반응으로, 중국 공산당은 [[홍콩 국가보안법]]을 제정하여 기존 [[일국양제]] 원칙을 훼손하고 홍콩의 민주화 운동가들을 본토스럽게 심하게 탄압하였다. 한국에서도 널리 알려진 민주화운동가인 [[조슈아 웡]]도 이 법으로 인해 감옥에 가게 되었다. === 일본 ===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 당시 국제무역 관행을 대놓고 무시하면서까지 [[일본]]에 경제재제를 가해 위협한 사건이 있었는데 일본 내 보수주의자들은 이것을 "중화제국주의"라고 비난하였다. [[https://en.wikipedia.org/wiki/Chinese_imperialism|영어 위키백과]] 뿐 아니라 [[https://zh.wikipedia.org/wiki/%E4%B8%AD%E5%9B%BD%E5%B8%9D%E5%9B%BD%E4%B8%BB%E4%B9%89|중국어 위키백과]]에서도 문서 최상단에 일본 보수 시위대의 이미지와 함께 이를 언급할 정도. === 필리핀 === [[필리핀 공산당]](Communist Party of the Philippines, CCP)은 [[마오주의]] 정당임에도 불구하고 현 중국과 [[중국 공산당]]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현 중국이 중화제국주의(Chinese imperialism)로 주변국들을 위협하고 강압적인 경제,군사적 수단으로 [[필리핀]]의 주권을 침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필리핀 공산당은 중국을 자본주의와 제국주의의 권력으로 규정하였다.[[https://thegeopolitics.com/the-philippines-maoist-guerillas-vow-to-resist-imperialist-china/|#]] 실제로 중국은 필리핀 인근 해역에 인공 섬을 구축하고 간척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중국은 남중국해 해역의 90%가 자신들의 해역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필리핀 국가민주전선]]도 중국을 제국주의 패권세력으로 규정하고 이에 저항하겠다고 밝혔다. === 한국 === 역사적으로 [[한반도]]는 수많은 중국의 침략에 시달렸다. [[고조선]]은 [[한나라]]에 의해 멸망했으며, [[고구려]]와 [[백제]]는 [[나당연합군]]([[당나라]]+[[신라]])에 의해 멸망했고 이후 당나라가 통수쳐서 [[나당전쟁]]이 일어났다. 한족이 아닌 오랑캐의 침략이긴 하지만 중국 역사의 일부로 간주되는 [[여몽전쟁]] 이후 [[원나라]]의 [[원 간섭기]]나 [[병자호란]] 등도 있었다. 직접적인 국가의 침략은 아니지만, 고려 말에 [[홍건적]]들이 한반도에 침략해 들어와 살인과 약탈을 벌이기도 했다. 이러한 침략을 막기 위해 한국은 중국을 대국으로 인정하고 '군신의 예'를 갖추며 [[사대]]외교를 통해 처세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 등 문화 강탈 행위를 한다거나, 혹은 역사적으로 한민족 혹은 한국계 인물들을 중국과 조금이라도 연관이 있으면 냅다 중국인이라고 우기면서 자국 역사이고 문화인 냥 편입시키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을 문화 제국주의(cultural imperialism)라고 표현한 사례가 있다.[[https://thediplomat.com/2021/02/a-korean-poet-is-the-latest-example-of-chinas-cultural-imperialism/|#]] 심지어 이념적으로는 같은 동맹인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은]]조차 중국이 한반도를 티베트나 신장처럼 다루려고 한다고 보았다.[[https://www.mk.co.kr/news/world/10616659|#]] == 비판 == >중국이 제1등국의 지위가 되었을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 '''옛날부터 중국에는 '약한 자를 구하고 위태로운 자를 돕는다'라는 말이 있다. 중국에 이와 같은 좋은 정책이 있었기에 수천 년 간 강대했을 때에도 [[안남]], [[버마]], [[조선]], [[시암]] 등의 소국이 독립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유럽의 바람이 동으로 불어오자 안남은 프랑스에 멸망당했고, 버마는 영국에 멸망당했으며, 조선은 일본에 멸망당하고 말았다. '''따라서 중국이 만일 강대해진다면, 우리는 민족의 지위를 되찾을 뿐만이 아니라 세계에 대해 일대 책임을 질 필요가 있다. 만일 중국이 이 책임을 지지 않는다면, 세계에 있어서는 별 이익이 없으며 오히려 큰 해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은 세계에 대해 어떠한 책임을 져야 하는가? > >'''지금 세계의 열강이 추구하는 것은 다른 나라를 멸망시키는 것이다. 만일 중국이 강해져서 열강과 마찬가지로 다른 나라를 멸망시키고, 열강의 제국주의를 흉내내어 같은 길을 걷는다면, 그들의 자취를 그대로 밟는 것이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먼저 하나의 정책, 즉 '약한 자를 구하고 위태로운 자를 돕는다'는 정책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럼으로써 우리 민족의 사명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약소 민족을 돕고 열강에는 저항해야 한다. 전 인민이 이 뜻을 단단히 정하지 않는 한 중국 민족에게는 희망이 없다. 우리는 아직 발전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약한 자를 구하고 위태로운 자를 돕는다'는 뜻을 단단히 정해두어야 한다. 그리하여 장차 강대해졌을 때 오늘날 몸으로 느끼고 있는 열강의 정치·경제적 압박에 의한 고통을 되새겨, 장래 약소 민족이 만일 이와 같은 고통을 받는다면 우리는 그러한 제국주의를 소멸시켜 버려야만 한다. 그것이 바로 '치국, 평천하'인 것이다. > >우리가 장차 '치국평천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먼저 민족주의와 민족의 지위를 되찾을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고유의 도덕과 평화를 기반으로 하여 세계를 통일하고, 하나의 '대동의 치'를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이야말로 우리들 4억 인의 큰 책임이다. 여러분은 모두 4억 인민의 한 분자이다. 모두들 이 책임을 져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우리 민족주의의 참된 정신인 것이다. >----- >[[쑨원]], 1924년 3월 24일 연설 현대 중국의 [[패권주의]]는 쑨원, 더 나아가 전근대의 중화사상에 기반한 역대 중국 왕조의 그것과 비교해도 크게 변질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사실 쑨원 생전에도 이를 왜곡, 변형해서 중국 군벌들이 각 지방의 소수민족을 박해한 전적이 있었고 쑨원 사후에 더 심해졌다. 현대 중국의 외교정책은 역대 중화제국보다 오히려 고대 이집트, 고대 중국의 상나라나 고대 중동의 아시리아 제국, 대항해 시대 이전 아메리카 대륙의 아즈텍 제국 및 잉카제국, 근대의 독일(정확히는 독일제국과 나치독일) 및 일본제국에 더 가깝다. 그래서 중국을 싫어하는 입장에서는 중국의 패권주의적인 태도를 중화제국주의로 칭하며 비판하기도 한다. [[파일:external/i.huffpost.com/o-KBS-570.jpg]][* 저 말도 [[맹자]]에 나오는 소국은 대국을 섬겨야 한다는 논조를 빗대어 한 말로 보인다. 그러나 맹자는 '''대국도 힘에 취해 패권을 휘둘러야 하는 것이 아닌 소국을 인(仁)으로써 섬기고 존중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오직 어진 자야만이 대국으로써 소국을 섬길 수 있으니 이러므로 [[탕왕]]께서 갈(葛)을 섬기셨고, [[문왕]]께서 곤이(昆夷)를 섬기셨습니다. (惟仁者爲能以大事小,是故湯事葛,文王事昆夷.) - 맹자 양혜왕 하편 -] '''[[대인]]이라면 [[군자]]의 면모를 보이고 [[덕]]을 베풀어야 함에도 오히려 [[소인배]]적인 행보만 보여주고 있으니 따를 리가 없다.''' 전근대 중국은 천자국을 자처하는 입장에서 황제국으로서의 체면을 상당히 신경썼다. 그래서 과거 강대국에게 충성 및 우호의 의미를 지닌 [[조공]]도 황제국의 체면을 지키기 위해 제후국이 바친 조공보다 더 가치가 높거나 많은 하사품을 내렸다. 자국 백성들이 주변국에 민폐를 끼치면 오히려 가중처벌을 했다. 이는 중화사상의 영향도 있었지만 유교의 종주국이라는 특성상 덕치를 근본으로 삼았고 항상 주변국들에게 '''모범을 보여야 했기 때문이다.'''[* 즉, 화의 민족인 중국인이 오랑캐의 나라에 가서 민폐를 저지르는 것 자체가 중화민족의 격을 훼손시켰다는 의미이다.] 특히, 그 상대가 조선 같은 제후국인 경우에는 오히려 국가가 '''자국 백성에 대한 보호를 포기'''했고, 자체적으로 처벌하고 나중에 보고를 올리라는 식으로 처리했다. 심지어 [[청나라]]도 역모, 밀수 등을 제외한 일은 조선에서 처리하도록 조치했다. 그만큼 중화제국들은 주변국과의 관계를 중시하여 모범을 보일 수 있게 노력했다. 그런 만큼 조선에서는 명 초기 때까지 남아있던 순장 풍습이나 공녀 요구에 대한 비판을 해도 중국에 대한 근본적인 불만을 가지지 않았다.[* 현재의 [[대한민국|한국]]에서도 [[미국]]이 중국 공산당과 같은 해악을 끼치지 않는 이상 대부분 [[친미]] 기조를 유지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당시 [[조선]]에서는 명이 국운이 기운 걸 알면서도[* 이때는 [[남명]]이나 [[동녕 왕국]] 등 자칭 명나라를 잇는 세력이 존재했기 때문인 것도 있다.] 차마 [[명나라]]를 내치자는 주장이 [[삼전도의 굴욕]] 전까지 거론되지 않았다.[* 그나마 [[광해군]]이 명나라와의 관게에서 적당히 발을 빼려 했지만 [[인조반정]]으로 폐위당하면서 무산되었다. 다만 광해군의 외교정책과 당시 동북아시아의 정세는 현재 주류적인 학계의 입장과는 거리가 있다. 청은 끝내 자력으로 장성을 넘지 못했고, 병자호란도 보급상황 등을 고려하면 도박에 가까웠다. 오히려 당대의 지식인들은 명이 청에게 멸망당하리라고 예측하는 것이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러나 현대 중국에서는 [[문화대혁명|마오쩌둥의 한 마디에 민족주의의 과격화를 막던 인문학과 유교가 대대적으로 파괴되었다.]] 그러한 사상적 아노미 상태에서 시간이 흐르자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자문화 우월주의와 타국을 향한 갑질과 천시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영토 확장이 거의 불가능하여 영향력 확장 정도만 가능하고, 또 그런 것은 방향을 가리지 않는다. 그래서 오늘날의 중화사상은 [[패권주의]]와 다름없는 형태가 되었다. 현재 남중국해 등지에서 이뤄지는 분쟁이나 한반도에 대한 압박은 겉으로 보면 자원을 놓고 벌이는 충돌이지만, 실제로는 이들 나라를 장기적으로 자국의 영향력 하에 두어 제국 주변의 안전지대를 확보하고, 팽창이 목적이라면 이들 지역을 기반으로 더욱 뻗어 나아가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련선 전략도 그 일환중 하나이다.[* 제1~3도련선으로 나뉘는데, 제1도련선은 한반도를 제외한 서태평양 연안 지역, 제2도련선은 한반도를 포함하고 일본 열도까지 영향권 하에 두는 서태평양 전역, 제3도련선은 미국의 하와이 외곽까지 뻗어나가 태평양을 반분하는 것이다.] 이 중화사상이 [[:파일:이러니 중국이 까이지.jpg|미국의 패권주의와 비교되는 이유는]] 기브 앤 테이크 및 원칙주의의 특징이 강한 미국의 패권주의와 달리 중국은''' [[:파일:external/i.huffpost.com/o-KBS-570.jpg|상전처럼 위에서 군림한 채로 일방적으로 찍어내리고 착취하려 들며 자신들 꼴리는 대로 하려는]] '''외교방식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도 국익을 위해서는 강경하게 나올 때도 많다. 그러나 [[민주주의]]와 [[자유주의]]를 표방하는 만큼 상대방을 일방적으로 찍어 내리지는 않는다. 여러 제제나 무력시위를 하는 등 강경책과 경제적 이익 제공하거나, 원조를 해주는 등 온건책을 [[당근과 채찍]]처럼 병행해서 쓴다. 그리고 자유민주주의를 받아 들이고, 서방 세력에 합류한다면 그에 대한 대가를 확실히 지급한다. 무력 시위나 개입은 최후의 수단에 가깝다. 반면 중국은 대국이자 상국인 자신의 나라를 중심으로 옛날 제후국이였던 국가가 중화 세계에 편입하는 것을 '''지극히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 옛 중화제국의 [[세력권]]으로 여겨지는 나라들에 대해서는 외교적으로 고압적이고 일방적이다. 이 점이 미국의 패권주의와 비교되는 중화사상의 특징이다. 사실 미국 역시 자국의 세력권인 [[중남미]], [[중동]] 등지에서는 지극히 고압적이고 일방적인 패권을 휘두르고 있다. 이 때문에 동아시아 지역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반중감정이 강한 것처럼 중남미 지역에서는 반미감정이 강하다.[* 그런 반미감정의 반작용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미국과 동맹을 맺은 한국과 일본이 존재하듯이, 최근 중남미 국가들이 중국과 동맹을 맺는 것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중국은 남미 일대에서 나타난 미국의 만행을 능가하는 막무가내식 고압적인 태도와 각종 이권만 가져가고 과한 책임을 부여하려하는 얌체적인 모습을 보여는 것이 문제이다. 그래서 중남미나 중동 일부 국가[* [[요르단]], [[레바논]], [[터키]] 등.], 아프리카 등 중국과 우호적인 관계였던 국가들도 점차 거리를 두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아프리카에서는 반중 감정이 전통적으로 중국과 교류했던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국가들보다 더욱 심하다. 미국의 경우 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를 주도해오면서 수많은 전쟁을 치렀고 그 과정에서 단순히 강력한 국력과 군사력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이 때문에 고립정책을 추구하던 도널드 트럼프 시절조차 기존과는 다른 정책으로 마찰은 있었을지언정 외교적으로 친미국가는 대우를 해 주었다. 즉, 갑질은 할지언정 최소한 갑질에 대한 대가는 줬고, 이 때문에 주변국들 입장에서도 자국민을 상대로 내밀 명분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의 경우는 주변국들의 자주국방과 경제를 무시한 채 무조건 중국을 따르라고 일방적으로 압박하는 데다가 그 태도나 형식도 미국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고압적이며, 주변국 입장에서 자국민들을 설득하는데 필요한 명분을 제공하지도 않는다. 이 때문에 미국의 견제책이 되어줄 국가로 생각했던 중남미 국가나 허울만 좋아보이는 중국의 식민지 정책인 [[일대일로]]를 통해 경제를 상승시킬수 있다고 기대했던 아프리카 등 초기에 [[친중]]이던 지역들 조차 얼마 되지 않아 '''전부 [[반중]]으로 뒤돌아섰다.''' 실제로 자국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해 일대일로에 참여했던 아프리카 국가들 상당수가 중국에 진 채무로 인해 국가재정이 파탄이 나고, 빚을 변제하기 위해 각종 이권을 넘기는 등 중국에 경제적으로 예속되자 독재 정권이 아닌 국가들은 대부분 친서방으로 돌아서고 있다. [[베트남 전쟁]]을 예로 들자면, 이 전쟁은 미국의 패권주의를 비판하는 예시로 정말 자주 등장하는 전쟁이면서도 아이러니하게도 미국이 중국보다는 낫다는 점을 보여주는 전쟁이기도 하다. 미군이 베트남에서 철수한 직접적인 원인은 '''명분 없는 침략전쟁을 반대하는 시민들의 대규모 반전 시위'''이다. 이건 독재국가 중국에서는 꿈도 못꾸는 일이다. 즉 미국은 정부의 침략 전쟁을 시민들이 나서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문민통제 민주국가인데 비해, 중국은 정부나 독재자의 행보에 시민들이 제동을 걸려고 하면 철권으로 다스리는 독재 국가라는 점이 가장 큰 차이다. 이로 인해 중국은 동아시아 패권을 넘볼만한 국력을 지녔음에도 미국-한국, 미국-일본처럼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진정한 동맹국이 없는 상황이다. 근처의 우호국이라면 공공의 적인 미국을 견제하려는 불편한 동맹국 [[러시아]][* 러시아는 공공의 적 미국을 견제하기 위해 중국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러시아가 중국에 협력하는 이유는 냉전 때와는 달리 미국 홀로 상대하기에는 국력에서 한참 밀리기 때문이다. 중국과 손을 잡아야 힘의 균형이 맞는다. 그리고 러시아에 있어 중국이 필요한 존재라는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여실없이 드러났다. 자만한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에서 고전하자 중국에 물자 지원을 요청했고, 서방이 대러제재를 가하는 중임에도 중국은 되려 교역로를 확충하여 러시아에 지원을 해주었다.], 중국에게 의존해도 어디로 튈 지 모르는 [[북한]], 그나마 핵이라도 갖고 있는 [[파키스탄]] 정도가 있고 그 외에는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 같은 후진국 정도 뿐이다. 친중 성향이 있었던 [[말레이시아]]나 [[스리랑카]] 같은 곳도 2020년대 들어 [[일대일로]] 등의 악영향으로 옛날만 못한 상황이다.[* 중국이 설령 동맹국을 만들려고 해도, 일방적으로 퍼주는 관계가 아닌 이상 어렵다. 그나마 파키스탄 정도가 인도에 대한 견제라는 점을 지렛대 삼아 동맹국으로 기능하고 있으나 러시아는 일본 문제를 제외하면 아시아 패권에 아주 큰 관심은 없고, 일본과 한국은 굳이 친미가 아니더라도 나름의 영역권을 추구하는 국가라 중국의 패권에 협조할 가능성이 적다.] 제아무리 초강대국이라고 하더라도 지역강국들의 협력 없이는 세계 패권을 쥘 수 없다. 즉, 근현대의 중화사상은 전통적인 중화사상과 결이 다른 초국가주의, 패권주의, 제국주의, 징고이즘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게다가 [[시진핑]]의 장기집권 이후 이 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앞으로도 계속 이렇게 지속된다면 중화사상도 '중화 파시즘'으로 변질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향후 [[나치 독일]]이나 [[일본 제국]]의 [[중국 붕괴론|전철을 밟는 시나리오]]마저 허황된 얘기가 아니다.[* 현재 중국의 군사력이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을 압도하는 수준인만큼 정말 중국이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의 전철을 밟게 된다면 그 피해는 인류 역사상 그 어떠한 전쟁과도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 될 것이다. 현재 중국의 국력을 당시로 비유하면 독일과 소련을 합친 것과 비슷하다.] 사실 이미 중국의 군국주의화는 가시화될 정도로 진행되고 있다. 해마다 군사 퍼레이드의 규모가 점점 화려해지고 커지고 있으며, 예전의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 전략 역시 미국과 같은 초강대국을 상대할 때 빼고는 완전히 사라졌다.[* 중국 역시 미국이라는 거대한 소비시장이 존재하지 않으면 경제가 붕괴되며, 동시에 미국이라는 가상적국이 존재하지 않으면 내부 불만들이 모조리 중국 공산당으로 옮겨질 것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실적인 이유로 아직까지는 미국을 상대로는 꼬리를 내리고 있다.] 또한, 중국의 국민들 역시 이전에 비해서 훨씬 자국우월주의 성향이 강해졌다. [[칭기즈 칸]] 같은 타민족의 영웅을 중화민족 영웅으로 삼거나 [[고구려]] 같은 찬란한 역사를 가진 주변국의 역사를 자국의 문명이라 주장하는 역사 왜곡을 하고 있다.[* 실제로 [[차이나 머니]]로 옥스포드에서 출간한 그림책에 고구려 시절 영토를 중국 영토로 표기 하도록 만들었다. 이를 항의하자 출판측에서는 이는 어디까지나 한국의 의견이라며 거절했다 한다.] 신화나 고대 사료 특유의 과장된 비유를 역사적 사실이라고 우기는 등 점점 폐쇄적이고 극단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 외국에서의 시각 ===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경제력이 점차 부상하며 [[시진핑]] 집권 이후 심화된 중국인들의 국뽕은 타국에서 중국인들 이미지 망치는 큰 문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당장 옆나라 일본만 가도 이놈의 중화사상 때문에 중국인 혐오가 생긴 일본인이 한둘이 아니다. 특히, 미국이나 캐나다같은 이민자가 많은 국가에서도 일부 중국인 때문에 이미지가 썩 좋지 않다. 덩달아 같은 아시아인인 한국인들까지 엿 먹이고 있다. 특히 같은 동아시아 국가 사람들은 더더욱 심하다. 길가다 물어볼 게 있어서 동아시아인 아무나 붙잡고 물어봐 중국어로 물어 본다던가,[* 영어로 중국어를 못한다고 하거나 중국인이 아니라고 말해도 끝까지 중국어로 말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단순히 영어를 못해서 그러는 거라고 핑계대기도 뭐한 것이, 이런 케이스는 보통 자신이 영어를 못해서라기보단 '''"이 나라 사람들도 중국어를 알아듣겠지?"'''라는 마인드에서 나오는 무례이기 때문.] 새치기 역시 번번히 일어난다. 물론 단순히 무개념 중국인으로 볼 수도 있지만, 언어의 경우 중국이라는 나라가 인구도 많고, 북미국가는 중국인이 많을테니 동아시아인은 무조건 중국인이라는 잘못된 시각[* 이건 비단 중국인만의 문제가 아니라 타 인종•민족들에게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북미에서 동양인들한테 멋대로 중국어를 쓰는 사람들은 인종•민족 불문하고 널렸다. 가끔 가다 동양인들도 그런다(...). 한국인들도 예외가 아니다.]에서 고집하는 경우도 있다. 온라인 게임에서도 이러한 문제는 심각한데, 영어로 말하라고 해도 끝까지 한어 병음으로만 채팅을 치면서 타국 유저들의 게임 진행에 어려움을 주는 중국 유저들 때문에 게임상에서도 중국인들을 기피하는 풍조가 생기고 있으며, 불법 프로그램으로 타국 유저들을 괴롭히는 악질적인 중국인 핵 유저들 때문에 올바른 방법으로만 게임을 즐기는 정상적인 중국인 게이머들까지 피해를 받고 있다. 이러한 잘못된 중화사상을 간직한 중국인들 때문에 엄한 중국인들까지 피해를 보는 것. 정치제도는 [[중국 공산당|일당독재]]이긴 하되 [[과두정]]으로 그나마 권력의 견제가 이뤄지던 것을 [[시진핑]]이 사실상 일인독재로 후퇴시켜 버렸으며, 그 전에 애초부터 [[민주주의]]가 정착된 주변국들은 중국의 정치체제를 배울 생각 따윈 전혀 없다. 철학은 이미 청나라 시절부터 남발된 [[문자의 옥]]으로 후퇴하고 있던 상황에서 [[문화대혁명]]까지 일어나고 계속적으로 탄압을 해 온 결과 유교 문화의 헤게모니는 이미 [[한국]]과 대만에게 넘어갔고,[* 어느 정도냐면 공자를 비롯한 유교 사상을 연구하기 위해 중국의 학자들이 한국으로 넘어와서 연구를 하며, 이황, 이이를 비롯한 조선의 학자들의 저서를 통해 성리학을 연구한다. 이유는 각종 왕릉, 사찰과 함께 홍위병의 공격을 가장 많이 받은 것이 유교 서책이었기 때문. 단적인 예시를 들자면 '''공자의 묘''' 또한 문화 대혁명 때 파괴되었다.] 예술도 [[문화대혁명]]의 광기가 휩쓴 뒤에도 지속적으로 [[중국/문화 검열|검열]]을 해대니 문화·예술이 심각하게 지체되어 대중문화는 [[일본 문화]]와 후발 주자인 [[한류]]가 중국 대륙을 휩쓸고 있는 처지이다. 그나마 다 지난 과거 일이라 검열에서 비교적 자유롭고 예산을 많이 부을 수 있는 [[사극]] 정도만이 주변국에 먹히는 수준.[* 오죽했으면 사극이 너무 넘쳐난다는 이유로 금지령을 내렸을 정도이다.]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적극적으로 중국을 견제하며[* 대만과 대놓고 교류하는것은 덤.] 경제적으로 압박을 가하고 푸틴과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등 반중 친러 행보를 나아감에 따라 중국이랑 대립이 치열해지고 있다. 이는 지극히 당연한 조치로, 미국은 결코 동아시아에서의 패권을 내려놓을 생각이 없고 내려놓을 수도 없다. 민주당이 트럼프의 정책에 사사건건 딴지를 걸고 있지만 중국 견제에는 동참할 정도다. 동아시아는 현재 미중러 3국의 패권싸움이 가장 치열한 곳인데, 이곳에서 만일 미국이 패권을 내려놓게 된다면 동아시아 뿐만이 아니라 유럽의 나토와 중동질서가 상당히 어지러워진다. 더욱이 미국은 두 차례의 세계대전으로 인해 패권을 반 강제적으로 내려놓게 된 영국의 위상이 세계 무대에서 어떻게 되었는지를 눈뜨고 똑똑히 보았다. 미국은 세계대전처럼 본토가 철저히 박살나는 정도의 상황이 아니라면 결코 동아시아(최소 일본)에서의 패권을 포기할 수가 없다.[* 미국에 있어서 동아시아, 특히 일본의 경우 일본을 포기하면 대 동아시아 최전선이 넓디넓은 태평양 너머의 하와이가 되기 때문에 미국의 대 동아시아 최후의 마지노선이다. 상황이 여의치 않게 돌아갈 경우 한국이나 대만은 몰라도 일본만큼은 절대로 포기하지 않는다.][* 하지만 지금은 상대가 소련이 아니라 중국이라서 한국과 대만의 지정학상 중요성이 예전보다 훨씬 더 커진 상황이라서 역시나 함부로 포기할 수 없게 되었다.] 동아시아 패권의 포기는 연쇄작용을 일으켜, 유럽과 중동, 나아가 전 세계에서의 패권에 심각하게 안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중국 공산당의 교육과정은 지나치게 애국심을 강조하는데, 여기에 중화사상까지 곁들여지니 필연적으로 중국 국민들의 과격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9768|결국 중국 공산당은 자기들이 이 꼴을 만들어 놓고 뒤늦게서야 국민들에게 자제를 부탁하는]] [[블랙 코미디]]스러운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웃기게도 이런 상황은 중국이 그토록 흑역사라고 여기고 있는 [[홍위병]]의 탄생과도 유사점을 보인다.] 이는 중국 정부로서도 어쩔 수가 없었던 것이 덩샤오핑의 개혁 개방을 계기로 중국도 서방 세계를 본격적으로 받아들이게 되면서, 중국의 젊은층이 자유주의와 민주주의에 대해서 눈으로 보게 되었고 체제에 불만을 가졌기 때문이다. 과거 냉전 시대처럼 단순히 사회주의만으로는 인민 통치가 불가능해졌기 때문에, 사회주의에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민족주의를 더하게 된 것이다. 이러다보니, 최근 중국 젊은이들 중 일부 극우층에서는 '[[북한|중국은 평화롭게 지냈으나 과거 제국주의 시대에 서구 열강과 일본에게 무수한 침략과 약탈을 당했다.]]'는 자학사관이 깃들게 되었으며, 그 결과 '[[적화통일|그러니 이제 강대국이 된 중국이 되갚아줄 차례다.]]'라는 이상한 방식의 결론을 도출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최근 [[쯔위]] 사태 역시 중국 정부 차원에서는 조용히 처리하려 했으나, 이런 [[분청|국수주의 사상에 물든 젊은이들]]이 떠벌리고 다니는 바람에 세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대만의 항의로 양안문제가 크게 대두되었고, 중국 정부의 입장이 상당히 난처로워졌다. 그리고, 무엇보다 양안문제와 남중국해 문제, [[미중무역전쟁]]으로 인해 동아시아 내에서 미국과의 패권 싸움이 불리하게 돌아가기 시작했다. === 중국 내부의 비판적 시각 === 사실 중국인도 사람인지라 자정 작용이 없는 건 아니다. 중국 공산당에서 검열하고 중국공산당에 맹목적으로 충성하는 국수주의자들이 신변 위협을 가할 뿐. [[쉬샤오둥]], [[천추스]], [[하오하이둥]]이 좋은 예. 거기도 사람 사는 곳이다. 실제로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서 [[천안문 6.4 항쟁]]을 통해 한 번 폭발하기도 했다.[* 그때도 [[자오쯔양]], [[후야오방]], [[탱크맨]] 등 이건 아니다, 바뀌어야 한다 라고 생각하는 인물들은 있었다. [[덩샤오핑]]이 [[59식 전차]]로 밟아버렸지만.] 자신들의 자랑스런 나라가 현실에서 죽을 쑬수록 이 현상이 최근의 경제위기 때문에 자연스레 고쳐질 확률이 높다. 쉬샤오둥은 이 사태를 어이없어 했는데 왜 태권도를 우리나라(중국) 것이라고 하냐고 화낼 정도. 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라는 재앙으로 인해 [[상하이 봉쇄]]와 같은 사건이 벌어지고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같은 일도 터지면서 빠른 교정에 들어가고 있다. '어차피 죽을 거 목소리라도 내고 죽자'는 분위기가 생기고 있다. 실제로 코로나 발생 이후 진실을 요구하는 대륙인들과 고발의 목소리가 VPN을 타고 외부로 나오고 있다. 아예 TIME지에도 "CHINA'S TEST"(시험받는 중국)이라고 나올 정도. 당연히 검열을 통해 차단과 탄압을 하고 있지만 빠져나가는 법에 도가 튼 중국 네티즌들은 계속 한 수 앞을 지나가며 중국 당국을 엿먹이고 있다. 검열을 피하기 위해 갑골문을 쓰는 사례가 있을 정도. 최근들어 갑자기 파도처럼 밀려나오는 중국 정부의 국수주의적 정책 및 주변국을 향한 문화 참탈, 자국의 문화 규제 역시 최근 들어 급격하게 강해지는 자국민의 중국 정부를 향한 강한 불신감으로 인하여 나오는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즉, 강한 문화 왜곡과 규제, 배외주의 등으로 아예 중국인들의 눈과 귀를 막고 세뇌를 시켜서 반발을 잠재우려고 한다는 것. 중국 내 포털 사이트 댓글창이나 중국 내부 커뮤니티를 보는 사람들은 대충 알겠지만, [[중국 경찰]]이 24시간 감시하는 곳임에도 중국 정부를 욕하는 글들이 상당히 많이 올라오며 그 비중이 최근들어 크게 늘었다. 다들 알다시피 중국은 사상통제를 심각하게 하는 나라임에도 이런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은 그만큼 중국인들의 인내심이 한계에 치달았다는 것을 뜻하기도 한다. == 같이 보기 == * [[2017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 * [[Band in China]] * [[국수주의/행태/중국]] * [[분청]] * [[전랑외교]] * [[환구시보]] - 해외에서도 ultranationalist라고 지칭할 정도로 막장이다.[* [[https://rsf.org/sites/default/files/en_rapport_chine_web_final_3.pdf|"China's Pursuit of a New World Media Order"]] (PDF). Reporters Without Borders. 29 November 2018. Retrieved 24 June 2022. "Global Times is an ultra-nationalist tabloid established by People's Daily in 1993 to comment on international news."] * [[민족통일주의]]/[[실지회복주의]] (Chinese irredentism) * [[남중국해/영토 분쟁]] * [[센카쿠 열도]] * [[중국위협론]] * [[중국의 역사왜곡]] * [[중국의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 * [[하나의 중국]] * [[해외 주둔 중국군]] * [[혐한/중국]] == 외부 링크 == * [[https://en.wikipedia.org/wiki/Chinese_imperialism|Chinese imperialism]] (영어 위키백과) == 둘러보기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중국 내셔널리즘, version=81)] [[분류:나라별 제국주의]][[분류:중국의 정치]][[분류:중국의 외교]][[분류:냉전]][[분류:국수주의/중국]][[분류:팽창주의]][[분류:중국의 역사왜곡]][[분류:배외주의]][[분류:중국의 학살]][[분류:신냉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