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 개요 == [[2011년]] [[2월 20일]] [[중국]]에서 당시 화제가 된 [[튀니지]]를 비롯한 아랍권의 [[재스민 혁명]]에 영향을 받아 일어난 민주화 시위. == 상세 == 중국에 재스민 혁명이 알려지면서 2월부터 [[웨이보]] 등의 SNS에 재스민 혁명을 촉구하는 글이 확산되기 시작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921418?sid=105|#]] [[천안문 6.4 항쟁]] 이후 22년만에 일어난 민주화 시위였지만 다행히 유혈사태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중국 경찰]]에 의한 감시 때문에 대규모 시위로 발전하지 못했고 수많은 시위자들이 연행되거나 외출이 금지되기도 하였으며 시위가 일어난 [[베이징시]]에서는 여러 명이 다니지 못하게 조치하기도 했다. [[광저우시]]에서는 재스민 혁명에 참여하려던 인권변호사 류스후이(劉士輝)가 괴한에게 습격당하는 사건이 일어나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924344?sid=100|#]] 시위 구호는 다음과 같았다. >我们要食物、我们要工作、我们要住房! >우리는 음식을 원하고, 일을 원하고, 집을 원합니다! >我们要公平、我们要正义! >우리는 공정함을 원하고 정의를 원합니다! >启动政治改革、结束一党專政! (停止一党專政) >정치 개혁을 주도하고 일당 독재를 끝내라! (일당제 규칙 종료) >开放报禁、新闻自由! >제한을 해제하고 언론을 해방하십시오! >自由万岁、民主万岁! > 자유 만세 , 민주 만세! 중국 정부는 인터넷에서 재스민이나 혁명 같은 단어를 검열하고 아예 꽃 가게들이 재스민 꽃을 팔지 못하게 막았다. 시위가 일어난 후 [[2월 27일]]에 2차 재스민 혁명을 일으키자는 내용의 글이 SNS에 확산되면서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경찰]]들이 대대적으로 반체제 인사나 민주화 운동가들을 검거했다. 결국 2차 재스민 혁명은 무산되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04927796?sid=102|#]][[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2417333?sid=104|#]] == 관련 자료 == * [[https://en.wikipedia.org/wiki/2011_Chinese_pro-democracy_protests|영어 위키백과 문서]] == 둘러보기 == [include(틀:후진타오)] [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분류:후진타오 시대]][[분류:2011년 시위]][[분류:2011년/사건사고]][[분류:중화인민공화국의 민주화 운동]][[분류:중국의 검열]][[분류:중국의 정치적 억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