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2> {{{#ffff00 {{{+2 '''중국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br]中国人民解放军驻香港部队[br]中國人民解放軍 駐香港部隊[br]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Hong Kong Garrison }}}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6px-PLA_HK_07_Army_arm_badge.jpg|width=30%]] || ||<-2> {{{#ffff00 '''2007년부터 사용한 주홍콩부대 심볼''' }}} || ||<-2> {{{#ffff00 '''모토''' }}} || ||<-2> 당의 지휘를 듣고, 인민을 섬기고, 용감하게 싸워라[br]홍콩을 사랑하고, 조국을 사랑하고, 주둔군을 사랑하자[br]홍콩방위를 완수하고 책임감은 태산같이 무겁다[br]听党指挥、服务人民、英勇善战 爱香港、爱祖国、爱驻军 履行香港防务,责任重于泰山 || || {{{#ffff00 '''창설년도''' }}} ||[[1994년]] [[10월 25일]] || || {{{#ffff00 '''국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화인민공화국]] || || {{{#ffff00 '''소속''' }}} ||[[남부전구|중국 인민해방군 남부전구]] || || {{{#ffff00 '''내부조직''' }}} ||중국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육군[br]중국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해군[br]중국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공군 || || {{{#ffff00 '''군종''' }}} ||[[통합군]] || || {{{#ffff00 '''전력''' }}} ||6,000 - 1.2만 || || {{{#ffff00 '''본부''' }}} ||[[홍콩]]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빌딩 || || {{{#ffff00 '''행진곡''' }}} ||[[중국인민해방군진행곡]] || || {{{#ffff00 '''참전''' }}} ||없음 || ||<-2> {{{#ffff00 '''지휘''' }}} || || {{{#ffff00 '''사령원''' }}} || [[파일:중국육군소장 눕힌버전.png|width=60]][br]소장 [[펑징탕]](彭京堂)^^([[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 || {{{#ffff00 '''정치위원''' }}} || [[파일:중국해군소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 소장 라이루신(赖如鑫)^^([[중국 인민해방군 해군|해군]])^^ || || {{{#ffff00 '''부사령원''' }}} || [[파일:중국해군소장 견장 눕힌버전.png|width=60]][br] 소장 탄즈웨이(谭志伟)^^([[중국 인민해방군 해군|해군]])^^ || || {{{#ffff00 '''부정치위원''' }}} || [[파일:중국육군소장 눕힌버전.png|width=60]][br] 소장 펑샤오린(冯晓林)^^([[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홍콩]] 지역을 지키기 위해 중국 정부에서 파견된 [[중국 인민해방군]] 부대로 [[남부전구]] 소속이다. 육·해·공군 통합부대이다. 사령관은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중장이 맡는다. 보통 소장으로 보임해서 중장으로 자연스레 진급하는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니까 [[요직|여기에 보임되면 진급 확정]]이라는 소리다. [[중국]] 입장에서는 당연히 중요한 자리이다.] [[2021년]]부터는 이전에 [[신장 위구르 자치구]] 소속 인민무장경찰부대 부참모장 출신 펑징탕(彭京堂)이 사령원을 맡고 있다.[[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20110/111172294/1|#]] 정치위원([[정치장교]])은 소장이나 중장이 맡는다. == 구성 == 모두 [[남부전구]]에 소속되어 있으며, 훈련이나 보급 기지는 [[홍콩]]이 아니라 본토 [[광둥성]] [[선전시]], [[둥관시]] 등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평범한 [[홍콩인|홍콩 시민]]이 [[중국 인민해방군]] 병사를 마주칠 일은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6px-PLA_HK_07_Army_arm_badge.jpg]] * 1개 장갑보병 대대 * 1개 기계화보병 대대 * 3개 모터사이클 보병 대대 * 1개 정찰대대 * 1개 포병대대 * 1개 화학대대 * 1개 방공대대 * 3개 례잉(猎鹰)60 방공 미사일대대 * 3문 류둔(陆盾)2000 방공포대 * 1개 특전대대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해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8px-PLA_HK_07_Navy_arm_badge.jpg]] 스톤커터스섬의 스톤커터스 해군기지(Ngong Shuen Chau Naval Base:昂船洲海军基地)에 주둔하고 있다. * [[남해함대]] 38081 부대 ===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공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PLA_HK_07_Airforce_arm_badge.jpg]] [[홍콩]] 섹콩 기지(石崗機場)[* [[표준중국어|보통화]] 발음으로는 스강]에 무장헬기 12대가 주둔하고 있다. 공군전력이 소수인 것 같지만, 어차피 유사시에는 홍콩 주변에 중국의 대공군력이 주둔하고 있으므로 증원이나 방어에는 문제가 없다. * [[남부전구|남부전구공군]] 섹콩 기지 무장헬기 중대 * [[남부전구|남부전구공군]] 난닝 기지 [[전투기|전투]] 중대[* [[광둥성|광동]] [[포산시|포산]] 기지 소재] == 상세 == [youtube(AnNKli_FfrI)]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홍콩 우산 시위]] 무렵 [[CNN]] 취재 영상이다. [[전투복]]을 착용한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병사들이 정문 내부 위병소에서 경비를 서고 [[홍콩 경무처|홍콩 경찰]]들이 외부에서 시위대가 접근 못하게 막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우산 혁명]] 당시 상황이 악화되면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이 직접 나서서 시위대를 진압할 가능성도 거론되었지만, [[2015년]]으로 넘어가면서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시위]]가 진정되었고,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측에서도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시위]]를 진압하는 [[천안문 6.4 항쟁|최악의 사태]]는 벌어지지 않았다. 일단 [[중국공산당]],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와 [[전국인민대표대회|중화인민공화국 전국인민대표대회]]의 입장은 [[홍콩]]의 [[홍콩 독립운동|분리 독립]]만 선언하지 않는 이상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과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인민무장경찰]]을 동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국공산당]],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 역시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사태]]를 안정시킨답시고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과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인민무장경찰]]을 투입하다가는 [[홍콩인|홍콩 시민]]들을 자극하여 [[5.18 민주화운동]]이나 [[천안문 6.4 항쟁]]과 같이 상황이 일파만파로 악화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인식한 것 같다. [[홍콩]]이 워낙 워낙 유명한 [[대도시]]인데다 [[중국]]과 비교하면 [[선진국|선진 지역]]이다보니 이 곳에 배치된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장병들은 [[홍콩]] 도심 등을 [[홍콩/관광|여행]]하고 외출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홍콩]] 내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장병들은 휴일에도 시설 밖으로 나가지 못 하고 부대 내에서만 있어야 한다. 그래서 특별한 일이 없는 한 대부분의 [[홍콩인|시민들]]과 관광객들은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장병들을 직접 만날 일은 없다. 그렇지만 [[중국공산당|중국 인민중앙정부]]가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부대 공개 행사를 시행할 때는 [[홍콩인|홍콩 시민들]]도 부대 내에 입장할 수 있다. 사실 [[홍콩]]과 [[중국 대륙|중국]] 간 [[홍콩-본토 관계|관계]]가 우호적이지는 않고, [[홍콩인|홍콩 시민들]]의 [[중국]]에 대한 [[반중/국가별 사례|반감]]이 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중국]]의 [[특별행정구]]지만 홍콩 시내에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장병들이 다니는 것이 [[홍콩인]]들의 [[중국공산당|중국 공산당]]에 대한 반감을 자극할 수 있다. 그래서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장병들이 [[홍콩]] 도심을 돌아다니다가 [[홍콩인|시민들]]과 충돌을 빚을 수 있고 [[반중/국가별 사례|반중 시위]]가 발생해서 세계적인 이목을 끌 우려가 있기 때문에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은 외출 금지를 규율로 정하고 있다. 아무리 [[중국공산당|중국 인민중앙정부]]가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인민무장경찰]],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경찰]]을 투입해서 진압하지만, 시위 진압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사망한 [[천안문 6.4 항쟁|천안문 사태]] 이후 [[중국/경제|경제]]가 타격을 입었기 때문에 [[일국양제]]가 실시되는 [[특별행정구]]인 [[홍콩]]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혈 사태는 극력 피하려고 한다. [[해외 주둔 미군]]들이 벌이는 각종 사건사고로 골치를 앓는 [[미국]]을 보면 개별 장병들이야 답답하겠지만 저런 정책 자체는 현명한 것이다. 소위 [[일국양제]]로 [[중국 대륙|본토]]의 사회주의 체제는 [[홍콩]]에 적용되지 않는 관계로 [[홍콩인]]이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장병들을 볼 일은 앞으로도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곳에 들어오는 장병들은 매우 엄선된 정예병력이라고 한다. [[중국 인민해방군]] 자체가 [[모병제]]라서 아무나 안 뽑는데, 여기서 다시 우수한 자원을 뽑는다는 건 그만큼 중요한 근무지라는 말이 된다. [[2016년]]에 중국군과 [[말레이시아군]] 간 합동 군사훈련에 따라서 참가했다. [[2017년]]에는 항공모함 [[랴오닝(항공모함)|랴오닝 함]]이 [[홍콩 반환]] 20주년 기념으로 홍콩 항에 입항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01&aid=0008842171|#]]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52&aid=0001031231|#]] [[2018년]] 홍콩 반환 21주년 기념일에 부대 개방 행사를 했다. [[시진핑]] 1인 영도체제 완성 후 [[홍콩인|홍콩 시민권자]]의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입대 허용을 실시하겠다면서 [[홍콩]]의 [[중국]] 체제 편입이 가시화되는 시점에서 열린 부대 개방 행사를 통해 [[홍콩인|홍콩 시민들]]에게 '''중국의 힘'''을 생생하게 각인시키는 효과를 노린 듯 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69&aid=0000310949|#]] 그러나 이 부대 행사는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를 계기로 중단되었다. [[홍콩 반환]] 이후에도 계속해서 [[홍콩]] 내 [[중국공산당|중국 공산당]]에 대한 [[반중/국가별 사례|반감]]이 심해지고 있고,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도 [[홍콩인|홍콩 시민권자들]]이 입대하게 되면 [[중국공산당|공산당]]에 반대되는 목소리를 외칠 것이라는 '사상적 오염'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도 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0721451|#]] ==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빌딩 == [include(틀:역대 중국 최고층 마천루)] |||| '''{{{+1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빌딩}}}[br]人民解放軍駐港部隊大厦[br]{{{-1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Forces[br]Hong Kong Building[br](旧 Prince of Wales Building)}}}'''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static.panoramio.com/12015997.jpg|width=100%]]}}} || ||<-2> {{{#FFF }}} || || '''{{{#fff 위치}}}''' ||[[홍콩]] [[중서구]] 렁워로드 1[br]香港特别行政区中西區龍和道 || || '''{{{#fff 완공}}}''' ||[[1979년]] || || '''{{{#fff 층수}}}''' ||지상 28층 / ?|| || '''{{{#fff 높이}}}''' ||113m|| || '''{{{#fff 주둔 부대}}}''' ||홍콩 주재 영국군 사령부 ([[홍콩 반환]] 이전)[br]중국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홍콩 반환]] 이후)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人民解放軍駐港部隊大廈, 높이=250px, 너비=100%)]}}}|| || [[파일:external/paulfrankenstein.org/princeofwales.jpg|width=450]] || || 건물 아래에 정자체로[br]중국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대하(人民解放軍駐港部隊大厦)이라고 적혀있다.[* 대하는 빌딩이라는 뜻이다] || [clearfix] === 개요 ===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의 14개 주요 군영(軍營) 중 하나가 홍콩 섬 북서부의 [[애드미럴티역(홍콩)|'''애드미럴티'''(Admiralty)]], [[광동어]]로는 '''깜쫑'''(金鐘)이라고 불리는 지역의 쭝완군영(中環軍營)인데, 특이하게도 고층 빌딩 전체와 부속 건물들을 병영으로 쓰고 있다. 언뜻 보면 아무 장식 없는 평범한 빌딩처럼 생겼지만 잘 보면 인민해방군이라는 간판이 달려 있다. [[영국령 홍콩|영국 식민지]] 시절 이 빌딩의 이름은 거창하게도 '''[[프린스 오브 웨일즈]] 빌딩(威爾士親王大廈)'''이었다. 홍콩 반환 전까지는 홍콩 주재 영국군 사령부가 있었다. 애드미럴티는 [[영국 해군]]이 주둔했던 곳으로서 매우 상징적인 곳이었다. 괜히 이름이 [[해군본부|제독부(提督府)]]가 아니다. 깜쫑이라는 이름도 그 기지 정문에 걸려있던 커다란 신호용 종에서 유래했다니, 얼마나 요충지인지 알 만 하다. 당연히 병영(군영)이므로 [[중국 인민해방군|군인]]들이 경비하며[* 주 출입구는 빅토리아 하버(維多利亞港)로 렁워로드(龍和道)변에 있다.] 일반인 출입은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불가능하다. [[홍콩 국제공항|공항]]에서 홍콩사이드로 진입하는 고속도로나 [[스타페리]] 센트럴선착장에서 도보로 긴 육교를 통해 [[홍콩 국제금융센터|IFC 몰]]로 갈때 자주 보게 되는 건물 중 하나이다. 홍콩 내 [[마천루|고층 건물]] 아니랄까 봐 야경에서는 다른 대형 건물들처럼 빛이 나는데 이 건물은 건물을 받치는 기둥 같은 구조물에서 주로 빛이 난다. 시점은 불분명하나, 건물 외적으로 변화가 생겼다. 기존의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빌딩이라는 간판을 없앴고, 침사추이 방향으로 중국 인민해방군의 붉은별 간판으로 교체를 한 것이다.[* [[https://drive.google.com/file/d/0B2MqCSxl8dH3QnhpUFIxWHhwd0E/view?usp=sharing|이미지1]] [[https://drive.google.com/file/d/0B2MqCSxl8dH3REtxQklVMHBiVzg/view?usp=sharing|이미지2]] [[https://drive.google.com/file/d/0B2MqCSxl8dH3QjZRRm5qVEpkUlU/view?usp=sharing|이미지3]] [[https://drive.google.com/file/d/0B2MqCSxl8dH3REtxQklVMHBiVzg/view?usp=sharing|이미지4]] [[https://drive.google.com/file/d/0B2MqCSxl8dH3c0FBQThZSVZOZEU/view?usp=sharing|이미지5]]] 그리고 심포니 오브 라이트를 [[침사추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이 건물에서 따로 참여하는 것은 없고, 다만 일부 층에서 형광등을 켜 놓고 있는 것만 확인하였다. 부속 시설로 의무시설인 쭝완군영의무센터(中環軍營醫務中心)가 자리잡고 있다. == [[2019년]] 이후 상황 == [[중국]]은 국제적 이미지 및 상황악화를 우려하여 대체로 홍콩문제에 대한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과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인민무장경찰]] 개입을 꺼렸다. 그러나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이 장기화되고 [[홍콩 경무처|홍콩 경찰]]만으로 감당이 불가능하자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인민무장경찰]] 투입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시위대들이 꺼낸 [[성조기]]나 [[유니언 잭]]이 [[중국공산당|중국 중앙인민정부]]의 심기를 건드렸다. [[2019년]] [[8월]] [[싱가포르]] 뉴스 채널인 [[CNA]]에 의해 주홍콩부대의 시위 진압 훈련 영상이 공개되었는데, 진압 병력은 훈련 중 [[광동어]]를 사용해 경고 하고 있다. 더 상황이 악화 되면 무력진압에 나설 듯 하다. 8월 중순 진압병력이 인근 [[선전|선전시]]에 집결하고 있는데, 이들은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인민 무장 경찰]] 소속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보면 시위 진압 역할은 [[중국 대륙|본토]]에서 동원한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인민 무장 경찰]]이 맡고, 주홍콩부대는 단순 지원업무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 [youtube(gvilmqJa8Yg)] 시위대측 은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과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인민무장경찰]]이 이미 개입했다고 주장하고 있다.[[https://m.news.naver.com/memoRankingRead.nhn?oid=025&aid=0002930249&sid1=104&date=20190818&ntype=MEMORANKING|#]] 가짜 배지와 [[표준중국어|보통화]] 사용 외에도[* 사실 이건 중국의 전통중 하나로 다른 지역 출신 부대원들을 진압군으로 동원하여 반란세력에 대한 동질감을 가지는 것을 차단시키려는 의도이다. [[천안문 6.4 항쟁]] 당시에는 진압군으로 [[산서성]] 출신 27집단군을 동원했는데 이들은 방언인 진어(晉語)를 사용했고 보통화를 쓰는 베이징 시민들과 전혀 대화가 통하지 않았다. 그래서 동질감을 전혀 느끼지 못한 부대원들이 가차없이 유혈진압에 나설 수 있었던 것.]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경찰관]]들이 서로 '''동지들(同志们)'''라는 호칭으로 불렀다는 증언과 일반적인 [[홍콩 경무처|홍콩 경찰]]과 다른 모양의 시위 진압 자세를 취하더라는 증언, 그리고 중국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번호판을 단 구급차가 시위 현장에서 목격되기도 했다고 했다는 주장이 있다. 이 외에도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 군용차량의 시내에서 자주 목격되는데 이들이 주 홍콩부대 소속인지 [[선전시|선전]]에서 [[홍콩]]으로 침투한 것인지는 불명이라고 시위대 측에서 주장한다. 하지만 [[홍콩 경무처|홍콩 경찰]]은 아직 중국 본토 측의 개입은 없다며 부인했다. 그리고 아직은 확실한 증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시위 진압 부대원들은 [[홍콩 경무처|홍콩 경찰]] 소속이라고 했다.[[https://qz.com/1689815/hong-kong-police-deny-possibility-of-a-beijing-intervention/|#]] [[2019년]] [[10월]] 이후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시위]]가 과격화되긴 했지만 규모 자체는 수천명 수준으로 줄어들었기 때문에 [[홍콩 경무처|홍콩 경찰]]이 상황을 통제할 수 있고, [[중국 인민해방군|인민해방군]]이나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인민무장경찰]], [[중화인민공화국 인민경찰|경찰]]은 투입하지 않을듯 하다.[[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0/12/2019101201126.html|#]] 2022년 [[8월 1일]], 중국 인민해방군 창건일에 맞춰 주홍콩부대가 공개적으로 국기 개양식을 중서구 프로메나드(Central and Western District Promenade - Central Section) 근처에서 열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0989912?sid=104|#]] == 대중매체 == 대중매체에서는 홍콩 대중매체에서 마저도 주홍콩부대는 눈 씻고도 찾기 힘든데 드물게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 [[중국]] 내 두 번째 미션에서 등장했다. 목표는 GLA가 점령한 [[홍콩 컨벤션센터]]를 파괴하는 것인데 [[천안문]] [[테러]], [[샨샤 댐]] 파괴와 더불어 [[중국]] [[국가광파전시총국|광전총국]]과 [[중화인민공화국 공안부|공안부]]에 의해 [[중국]] 내 [[중국/문화 검열|발매 금지 조치]]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 관련 문서 == * [[중국 인민해방군]] * [[중국 인민무장경찰부대]] * [[신화통신]] * [[홍콩]] * [[홍콩-본토 관계|홍콩-중국 대륙 관계]] [[분류:홍콩]][[분류:중국군]][[분류:높이 100m 이상의 마천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