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중국 관련 문서)] ||<-2> {{{#ffff00 {{{+2 '''중국인민해방군 주마카오부대'''}}}[br]中国人民解放军驻澳门部队[br]中國人民解放軍 駐澳門部隊[br]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Macau Garrison }}} || ||<-2>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30%]] || ||<-2> || ||<-2> {{{#ffff00 '''모토''' }}} || ||<-2> 인민의 아들딸로 이루어진 군대[br]위엄있고 씩씩한 주인, 문명의 주인[br]人民子弟兵 威武之师、文明之师 || || {{{#ffff00 '''창설년도''' }}} ||[[1999년]] [[11월 10일]] || || {{{#ffff00 '''국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중화인민공화국]] || || {{{#ffff00 '''소속''' }}} ||[[남부전구|중국 인민해방군 남부전구]] || || {{{#ffff00 '''내부조직''' }}} ||중국인민해방군 주마카오부대 육군 || || {{{#ffff00 '''군종''' }}} ||[[통합군]] || || {{{#ffff00 '''전력''' }}} ||1,000 || || {{{#ffff00 '''본부''' }}} ||인민해방군 주마카오부대 총본부빌딩 || || {{{#ffff00 '''행진곡''' }}} ||[[중국인민해방군진행곡]] || || {{{#ffff00 '''참전''' }}} ||없음 || ||<-2> {{{#ffff00 '''지휘''' }}} || || {{{#ffff00 '''사령원''' }}} || [[파일:중국육군소장 눕힌버전.png|width=60]][br]소장 [[쉬량차이]](徐良才)^^([[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 || {{{#ffff00 '''정치위원''' }}} || [[파일:중국육군소장 눕힌버전.png|width=60]][br] 소장 린칭화(林庆华)^^([[중국 인민해방군 육군|육군]])^^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9년 마카오가 중국으로 반환되면서 [[중국 인민해방군]]이 주둔하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홍콩처럼 마카오를 경비하는 중국 인민해방군 주마카오부대가 있으며, 육해공 통합부대이다. 사령관(중국 명칭 사령원)은 육군 소장이 맡는다. 마카오에도 타이파에 주둔지가 있고 마카오 반도에 따로 사령부도 있어 일부 병력이 주둔하기는 하나 대부분의 병력은 마카오와 경계를 맞댄 주하이에 주둔하며 훈련도 인근에서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민해방군 해군이 마카오에 소규모 분함대를 주둔시키고 있고 육상경비는 육전대, 즉 해병대가 맡는다. 홍콩처럼 마카오 정부의 요청이 있으면 출동할 수 있다. 실제로 [[2017년]] [[마카오]]에 태풍 하토가 들이닥쳐 도시가 쑥대밭이 되었을 때 반환 이후 최초로 마카오에 인민해방군이 출동하여 재해 복구에 기여했다. 포르투갈령 시절 막바지엔 [[포르투갈|본국]] 사정이 열악한 데다 거리도 멀어서 행정력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했다. 그래서 마피아들이 활개를 치고 치안이 열악했다. 반환 이후 약 6천명의 중국군이 인접한 주하이에 주둔해 말 그대로 마피아들을 청소해 버렸고 현재는 상당히 안정적인 치안을 유지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중국 인민해방군]] [[분류:마카오]][[분류:중국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