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중국 슈퍼 리그)] ||<-5> [[중국 슈퍼 리그|[[파일:중국 슈퍼 리그 로고.svg|width=50]]]] [br] [[중국 슈퍼 리그|,,{{{#c9000a,#ff363f CFA 슈퍼 리그 }}},, ]] || || [[중국 슈퍼 리그/2020년|2020년]] || {{{+1 →}}} || '''{{{#034694,#6aaefb 2021년}}}''' || {{{+1 →}}} || [[중국 슈퍼 리그/2022년|2022년]] || [목차] == 개요 == [[중국 슈퍼 리그]]의 [[2021년]] 시즌을 설명하는 문서다. 총 16개 팀이 참가하며, 2021년 4월 20일에 개막하여 2022년 1월 4일(상하위 리그)과 12일(승강 플레이오프 2차전)에 폐막하는 일정으로 진행된다. 2월 28일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 [[슈틸리케]]가 전년까지 재직했던 [[톈진 터다]]가 해체를 선언했다. 또한, [[2020년]] [[중국 슈퍼 리그]] 우승팀 [[장쑤 쑤닝]]의 모그룹 [[쑤닝그룹]]이 구단에서 손을 뗀다고 발표하면서, [[장쑤 쑤닝]] 역시 해체 수순을 밟게 되었다. 이로써, 2020 시즌 최하위 [[창저우 슝스]]의 강등을 취소하고, 2부리그인 [[중국 갑급 리그]]의 2위 팀 [[저장 뤼청]][* 다만, 현재 [[저장 뤼청]]이 재정적인 이유로 승격을 원치 않는다는 소식이 전해지는 만큼, 어떤 팀을 승격시켜 1부리그를 진행할지는 추후에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을 승격 시켜, 1부리그 16개 팀을 유지할 예정이라고 하였으나, 텐진 터다의 모기업이 기적적으로 해체를 철회하여 2021년 시즌에 참가하기로 하였다. == 리그 진행 방식 == 잠정적으로 원래는 2021년 3월 6일 토요일에 시즌 개막을 할 예정이었으나, 추가 논의 결과 [[코로나 19]]로 인해 리그 개막일은 [[2021년]] 4월 20일로 확정하였으며, 올해도 중립지역에 모여서 경기를 치르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중국축구협회]]는 각 팀들로부터 2021 시즌 중립경기 유치 신청을 받았으며, 최소 4개의 정식 축구경기장, 최소 8개의 훈련 시설 그리고 선수단과 스태프들을 모두 수용할 수 있는 시설과 인프라를 갖춘 지역을 중립경기 유치조건으로 제안하였다. 그 결과, 2020 시즌 중립경기를 유치한 [[다롄시]]에서는 4월이나 11~12월에는 날씨가 꽤나 추운점과 [[코로나19]] 방역을 이유로 올해는 유치를 포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20년에 [[다롄시]]와 더불어 중립경기를 유치한 경험이 있는 [[쑤저우시(장쑤성)|쑤저우시]]의 4개 경기장과 중국 제 3의 도시인 [[광저우시]]의 4개 경기장에서 경기를 개최하기로 확정지었다. 16개 팀이 서로 2번씩 맞대결을 가져, 총 팀당 22경기(당초 30경기->22경기로 축소)를 치른다. 더블 라운드로빈은 경기 진행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위해 총 2개 단계(3단계->2단계)로 나누어 치러진다. * 1단계: 16개 팀이 8개 팀씩 2개조로 나뉘어서, 각 조에 있는 팀들끼리 서로 2번의 맞대결을 진행한다. (팀당 14경기) 4월 20일부터 5월 15일까지 하고 월드컵 지역 예선 브레이크(6월)와 중국 귀국 직후 3주 격리 브레이크 후 7월 15일에 재개하여 8월 15일까지 시행된다. * 2단계: 이번에는 1단계 성적 기준, A조 상위 4팀과 B조 상위 4팀이 한 조를, A조 하위 4팀과 하위 4팀이 한 조를 이루어 마찬가지로 2번의 맞대결을 치른다. 이때도 역시나 1단계에서 한 조에 묶여서 이미 맞대결을 치른 팀끼리는 경기를 치르지않고, 서로 다른 조에서 온 팀들끼리만 맞대결을 갖는다. (팀당 8경기)[구 2단계 취소] 중국 국가대표팀이 월드컵 아시아 3차최종예선에 참가하므로, 장기소집과 귀국 직후 3주 격리 문제 때문에 3개월 15일간 A매치+3주격리 브레이크 후, 12월 12일(중국 국가대표팀이 11월 경기 중립경기로 시행)부터 리그 재개하고 2022년 1월 4일까지 시행될 것이다.(슈퍼-갑급 리그 승강PO는 2022년 1월 7-8일과 12일에 실시) 위와 같은 방식으로 14+8=22경기를 치르며, 경기 진행 방식은 복잡하고 결과적으로 16개 팀이 모두 서로 2번의 맞대결을 갖지 않는다. 각 단계별로 조별로 [[쑤저우시(장쑤성)|쑤저우]] 혹은 [[광저우]]로 경기 개최 도시가 지정되며, 해당 단계가 마무리될때까지 선수단 및 스태프들은 외부와 철저히 격리된 채로 개최 지역 내의 호텔과 훈련장, 경기장만 왕복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중국축구협회]]는 [[2022년]]부터 [[중국 슈퍼 리그]]의 참가팀을 16팀에서 18팀으로 늘리는 것을 확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2부리그인 [[중국 갑급 리그]]에서는 1위팀과 2위팀은 다이렉트로 승격되고, 2부리그 4위팀과 1부리그 15위팀 그리고 2부리그 3위팀과 1부리그 16위팀이 각각 2번의 맞대결을 갖는 것으로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러, 각각의 맞대결에서의 승자 2팀이 [[2022년]] [[중국 슈퍼 리그]]에 참가할 수 있게 된다. == 팀명 변경 == 2021년 시즌을 맞아 중국 축협이 팀명에 기업명 병기를 금지함에 따라서 많은 팀의 공식명칭이 바뀌었다. 공식명칭이 확정된 팀은 다음과 같다. ~~장쑤 쑤닝 → 장쑤 FC[* 장쑤 쑤닝의 대주주인 [[쑤닝그룹]]이 더이상 프로축구팀 운영 하지 않겠다고 선언해서 구단이 팔리지 않으면 3월 1일부로 팀 해체. 결국 아무도 사지 않아서 해체되었다.]~~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 광저우 FC (广州队) 상하이 상강 → 상하이 하이강 (上海海港)[* 하이강(海港)은 [[항구]]를 뜻한다.] 산둥 루넝 타이산 → 산둥 타이산 (山东泰山)[* 타이산은 [[태산]]을 말한다.] 허난 젠예 → ~~뤄양 룽먼 (洛阳龙门)~~ 허난 쑹산 룽먼 (河南嵩山龙门)[* 허난성 팬들의 반발 때문에 (특히 허난성의 수도 [[정저우]]의 팬들) 뤄양만 붙이는 것은 큰 반발을 붙었고 결국은 뤄양대신 정저우, [[쉬창]](허창), 뤄양(낙양)의 한가운데 있는 산인 쑹산을 붙였다. 쑹산은 한국발음으로 숭산으로 [[소림사]]가 있는 곳이다. 룽먼은 [[룽먼석굴]]이 위치한 곳이다.] 광저우 푸리 → 광저우 시티 (广州城)[* 城은 성이라는 뜻도 있지만, 현대 중국어에서는 도시를 뜻한다.] 칭다오 황하이 → 칭다오 FC 상하이 뤼디 선화 → 상하이 선화[* 선화(申花,Shenhua)는 "[[상하이]]의 꽃"이라는 뜻이다. 申은 상하이의 다른 이름이다. 이 구단의 이전 모기업이었던 선화그룹에서 따오기도 했지만 현재는 선화그룹과 무관하고, 아예 이 팀의 마스코트명이 되어버려서 쓰는 듯 하다.] 톈진 터다 → 톈진 진먼후(天津津门虎)[* 진먼(津门)은 톈진의 또다른 이름이다.] 허베이 화샤 싱푸 → 허베이 FC 충칭 당다이 리판 → 충칭 량장징지 (重庆两江竞技)[* [[충칭시]]의 한 구인 량장신구에서 따왔다. 징지는 스포츠라는 뜻.] 스자좡 융창 → 창저우 슝스 (沧州雄狮)[* 스자좡 융창이 같은 성내에 있는 창저우로 연고지를 옮기면서 이름을 바꾸었는데, 운좋게 톈진 터다가 해체되면서 슈퍼리그에 남아있을 수 있게 되었다. 슝스(雄狮)는 "거대한 사자"를 말한다.] 우한 줘얼 → 우한 FC 선전 FC나 다롄 Pro는 기업명이 들어가있지 않기 때문에 팀명을 바꾸지 않아도 된다. 베이징 중허 궈안은 원래 이 구단의 지분을 가진 중신투자그룹의 자회사인 중신궈안투자의 이름이지만 "궈안" (국가의 안녕)이라는 뜻이 있기 때문에 "궈안"만 남길 듯. == 참가팀 == [[코로나19]] 사태로 중국 경제가 어려워진데다가, 무관중 경기로 입장료 수입이 0이 되면서 많은 중국 구단들이 어려움을 겪었다.[* 2021년 샐러리캡이 갑자기 강화된 것도 이와 무관치 않은 듯 하다.] 그리하여 2020년 12월부터 [[톈진 터다]] 해체설이 흘러나왔고 결국 2021년 2월 현실화 되었다. 그보다 더 충격적인 것은 2021년에는 [[쑤닝그룹]]이 어려워지면서 전년도 리그우승을 차지한 [[코스민 올러로이우]] [[장쑤 쑤닝]] 감독이 갑자기 사임한다는 이야기가 나왔는데 결국 유례없는 전년도 우승팀 해체라는 사태가 벌어졌다. 게다가 FA컵 우승팀인 [[산둥 루넝]]은 해체까지는 가지 않았지만, 임금 체불로 아시아 챔피언스 리그 참가자격을 잃었다. 이 때문에 강등 예정이었던 [[창저우 슝스]](전 스자좡 융창)은 잔류하게 되었다. 다행히 톈진 터다는 선수 계약을 해지하는 등, 여러모로 해체가 유력해 보였으나 3월 가까스로 다시 부활해서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굵은 글씨는 [[AFC 챔피언스 리그/2021년]] 참가 클럽. || 팀명 || 연고지 || 원문 표기 || 영문 표기 || 감독 || 전해성적 || ||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광저우 F.C.]]''' || [[광저우]] || 广州足球俱乐部 || Guangzhou F.C. || [[파비오 칸나바로]] [br]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2위 || || '''[[베이징 궈안]]''' || [[베이징]] || 北京国安 || Beijing Guoan || [[슬라벤 빌리치]] [br]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 3위 || || '''[[상하이 하이강]]''' || [[상하이]] || 上海海港 || Shanghai Port F.C. || [[이반 레코]] [br][[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 4위 || || [[산둥 타이산]] || [[지난]] || 山东泰山 || Shandong Taishan F.C. || [[하오웨이]] [br]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5위 || || [[충칭 당다이 리판|충칭 량장 징지]] || [[충칭]] || 重庆两江竞技 || Chongqing Liangjiang Sports || [[장외룡]]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6위 || || [[상하이 뤼디 선화|상하이 선화]] || 상하이 || 上海申花 || Shanghai Shenhua F.C. || [[최강희(축구인)|최강희]]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7위 || || [[허베이 화샤 싱푸|허베이 F.C.]] || [[랑팡]] || 河北足球俱乐部 || Hebei F.C. || [[김종부]]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8위 || || [[허난 젠예|허난 쑹산 룽먼]] || [[정저우]] || 河南松山龙门 || Henan Songshan Longmen F.C. || [[왕바오산]] [br]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9위 || || [[광저우 푸리|광저우 씨티 F.C.]] || 광저우 || 广州城足球俱乐部 || Guangzhou City F.C. || [[장폴 판 가스텔]] [b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11위 || || [[다롄 이팡|다롄 프로 F.C.]] || [[다롄]] || 大连职业足球俱乐部 || Dalian Pro F.C. || 호세 곤살레스 [br]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12위 || || [[선전 FC]] || [[선전(도시)|선전]] || 深圳足球俱乐部 || Shenzhen F.C. || [[요르디 크루이프]] [b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13위 || || [[칭다오 FC|칭다오 F.C.]] || [[칭다오]] || 青岛足球俱乐部 || Qingdao F.C. || 우진구이 [br]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14 위 || || [[우한 줘얼|우한 F.C.]] || [[우한]] || 武汉足球俱乐部 || Wuhan F.C. || [[리샤오펑]] [br]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15위 || || [[창춘 야타이]] || [[창춘]] || 长春足球俱乐部 || Changchun F.C. || 천양 [br]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갑급리그 1위 || || [[스자좡 융창|창저우 슝스]] || [[창저우]] || 沧州雄狮 || Cangzhou Mighty Lions || [[압신 고트비]] [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30]] || 16위 || || [[톈진 진먼후]] || [[톈진]] || 天津津门虎 || Tianjin Tigers || [[위건웨이]] [br]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10위 [* 해체가 유력해서 저장 뤼청이 올라올 뻔 했으나, 가까스로 다시 부활하여 2021년에 다시 리그에 참가하게 되었다.] || == 감독 교체 == === 시즌전 === * [[베이징 궈안]] : [[브뤼노 제네시오]] (계약만료) → [[슬라벤 빌리치]] * [[상하이 상강]] : [[비토르 페레이라]] (계약만료) → 이반 레코 * [[다롄FC]] : [[라파엘 베니테스]] (상호해지) → 호세 곤살레스 * [[광저우 푸리]] : [[조반니 판브롱크호르스트]] (해임) → 장폴 판가스텔 * [[우한 줘얼]] : 호세 마누엘 곤잘레스 로페스 (해임) → 리샤오펑 * [[장쑤 쑤닝]] : [[코스민 올러로이우]] (상호해지) * [[허베이 FC]]: 셰펑 (해임) → [[김종부]] === 시즌후 === * [[상하이 선화]]: [[최강희(축구인)]] (사임, 8/17) → 마이쥔 * [[스자좡 융창]]: [[압신 고트비]] (상호해지, 9/6) → 류옌 * [[광저우 FC]]: [[파비오 칸나바로]] (상호해지 9/28) → [[정즈]] (대행) == 외국인 선수 == || 팀명 || 외인 1 || 외인 2 || 외인 3 || 외인 4 || 외인 5 || || 광저우 FC || - [* 작년에는 [[파울리뉴]]와 [[탈리스카]], [[박지수(축구선수)|박지수]] 세명이 있었는데, 박지수는 군입대로 귀국하고, 파울리뉴와 탈리스카는 2군으로 내려가서 등록 외국인 선수는 0명이다. 2010년대 중반 외국인 선수없는 팀을 약속했는데 귀화선수로 채우기는 했지만 [[거짓말은 하지 않는다|어쨌든 약속은 지켰다.]] ] || - || - || - || || 베이징 궈안 || [[김민재]]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세드릭 바캄부]] [br]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width=30]] || [[헤나투 아우구스투]]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루카스 소자]]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호나탄 비에라]] [br] [[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 상하이 하이강 || [[오스카르]]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마르코 아르나우토비치|마르코 [br] 아르나우토비치]] [br]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30]] || [[히카르두 로페스]]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애런 무이]] [br] [[파일:호주 국기.svg|width=30]] || 안테 [br] 마이스트로비치 [br]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 || 산둥 루넝 || [[손준호(축구선수)|손준호]]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마루앙 펠라이니]] [br]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모이세스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레오나르두 나시멘투 로페스 지수자|레오나르도]]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 광저우 씨티 || 길예르메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티아구 레옹소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무사 뎀벨레]] [br] [[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30]] || 조운 카르도나 [br]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 [[구스타프 스벤손]] [br]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 허베이 F.C. || [[말컹]]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올레 셀내스 [br]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 사미르 메미쉐비치 [br]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30]] || 파울리뉴[* 본명은 파울로 엔리케. 광저우 헝다의 [[파울리뉴]]와 다른 선수이다.]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 || 충칭 량장 징지 || 페르난지뉴[* 광저우 헝다의 귀화선수 페르난지뉴와는 다른 선수이다.]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마르셀루 시르누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밀러 보나뇨스 [br] [[파일:에콰도르 국기.svg|width=30]] || [[도스톤벡 투르스노프]] [br]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 || || 칭다오 F.C. || 데얀 라돈치치 [br]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 프레드릭 [br] 울베스타드 [br]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 로맹 알렉산드리니 [br]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야고스 부고비치 [br] [[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데니스 포포비치 [br]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30]] || || 허난 쑹산 룽먼 || 토니 슈니치 [br]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30]] || [[이보(축구선수)|이보]]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엔리케 도라도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루이즈 페르난두 다 시우바 몬치|까랑가]]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부야 투라이 [br]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width=30]] || || 우한 F.C. || 레오 밥티스탕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스테판 음비아]] [br]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30]] || 요앙 아르킨 [br]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장 에브웨르 쿠아시 [br]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width=30]] || 다니엘 카리소 [br]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 상하이 선화 || 크리스티앙 [br] 바소고그 [br] [[파일:카메룬 국기.svg|width=30]] || [[지오반니 모레노]] [br]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 [[김신욱]] [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 아드리안 [br] 미에르제프스키 [br]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30]] || [[마테이 요니치]] [br]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 || 톈진 터다 || 줄 요키 [br]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30]] || 타마스 카다르 [br]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30]] || || || || || 창저우 슝스 || 아다마 디오만데 [br]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 무리키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오딜 아흐메도프]] [br]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30]] || 안드레 센고르 [br] [[파일:세네갈 국기.svg|width=30]] || 스토피라 순주 [br] [[파일:잠비아 국기.svg|width=30]] || || 다롄 프로 || 자일송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에마누엘 보아텡]] [br]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 || [[마르쿠스 다니엘손]] [br]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샘 라르손 [br]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30]] || || || 선전 FC || 알란 카르덱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후안 [br] 킨테로 [br] [[파일:콜롬비아 국기.svg|width=30]] || 프랭크 아체암퐁 [br]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 || 무바라크 와카소 [br] [[파일:가나 국기.svg|width=30]] || [[모르테자 푸랄리간지]] [br] [[파일:이란 국기.svg|width=30]] || || 창춘 FC || 에릭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주니오]]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세르지뉴 [br]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요레스 오코레]] [br]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30]] || 리차이로 지브코비치 [b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30]] || == 귀화 및 대만-홍콩 선수 == 중국은 대만 및 홍콩을 자국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이들은 내국인 엔트리에 들어간다. * 광저우 FC * [[엘케손]]: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아이커썬)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히카르두 굴라트]]: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가오라터)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알랑 카르발류: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아란)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알로이시오: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뤄궈푸)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페르난두 엔리케: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30]] → (페이난두오)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타이어스 브라우닝]]: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장광타이)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광저우 씨티 * [[탄춘록]]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 베이징 궈안 * [[니코 예나리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30]] → (리커)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욘 호우 세테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width=30]] → (허우융융)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허베이 F.C. * 치코 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천자위)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산둥 타이산 * 페드루 델가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더얼지아둬)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상하이 선화 * 알렉산더 은돔부: [[파일:가봉 국기.svg|width=30]] → (천제지)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데니 왕[* 원래 중국계 이탈리아인이었고, 유벤투스 유스팀에서 뛴 바 있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30]] * 선전 F.C. * 다이와이춘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30]] * 허난 쑹산 룽먼 * 팀 초우 [* 어머니가 대만계]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 창춘 야타이 * [[천보량]]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30]] == 리그진행 == === 스테이지 1 === || A조 || B조 || || 광저우 FC || 다롄 프로 || || 광저우 씨티 || 베이징 궈안 || || 산둥 타이산 || 상하이 선화 || || 선전 FC || 상하이 하이강 || || 스자좡 FC || 우한 FC || || 충칭 량강 징지 || 창춘 FC || || 칭다오 FC || 톈진 진먼후 || || 허난 쑹산 윈강 || 허베이 FC || A조의 경기 도시는 광둥성 광저우, B조의 경기 도시는 장쑤성 쑤저우이다. ==== 정규리그 A조 순위 ==== [include(틀:중국 슈퍼 리그 순위표 2021 리그 A조)] ==== 정규리그 B조 순위 ==== [include(틀:중국 슈퍼 리그 순위표 2021 리그 B조)] === 스테이지 2 === || 상위 PO || 하위 PO || || 배아장 궈안 || 창저우 슝스 || || 창춘 야타이 || 충칭 량쟝징지 || || 광저우 FC || 허난 쑹산룽먼 || || 광저우 시티 || 칭다오 || || 허베이 || 다롄 런 || || 산동 타이산 || 상하이 선화 || || 상하이 하이강 || 톈진 진먼후 || || 선전 FC || 우한 FC || ==== 상위 PO(우승 도전) ==== [include(틀:중국 슈퍼 리그 순위표 2021 스테이지 2 상위 PO)] ==== 하위 PO(강등 PO) ==== [include(틀:중국 슈퍼 리그 순위표 2021 스테이지 2 하위 PO)] == 통합 최종 순위 == [include(틀:중국 슈퍼 리그 순위표 2021)] == 리그 결과 == == 승강 플레이오프 == === 승강 플레이오프 1 (칭다오[중초 16위] VS 저장[중갑 3위]) === ==== 1차전 ==== ||<-3><:>[[파일:중국 슈퍼 리그 로고.svg|height=50]][[파일:zhongjia.png|height=50]][br]'''{{{#FFF 2021년 중국핑안슈퍼-갑급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21年中国平安中超中甲联赛升降附加赛) 1-1차전[br]2022년 1월 8일 (토요일) 16:30 [[UTC+9]]}}}'''|| ||<-3><:>'''{{{#001d49 [[쑤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001d49 쑤저우 올림픽 체육중심}}}]] ([[쑤저우시(장쑤성)|{{{#001d49 쑤저우}}}]])}}}'''|| ||<-3><:>'''{{{#001d49 주심: 마리}}}'''|| ||<-3><:>'''{{{#001d49 관중: 0명 (무관중경기)}}}'''|| ||<:>[[파일:칭다오 FC 로고.svg|height=100]]||<|2><:>'''{{{+5 {{{#001d49 0 : 1}}}}}}'''||<:>[[파일:저장 FC 로고(2019~2022).svg|height=100]]|| ||<:>'''[[칭다오 FC|{{{#000 칭다오 FC}}}]]'''||<:>'''[[저장 FC|{{{#000 저장 FC}}}]]'''||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30' [[프란코 안드리야셰비치|안드리야셰비치]]'''|| ||<-3><:> || ||<-3><:>'''{{{#FFF Man of the Match: [[프란코 안드리야셰비치|{{{#FFF 안드리야셰비치}}}]]}}}'''|| ==== 2차전 ==== ||<-3><:>[[파일:중국 슈퍼 리그 로고.svg|height=50]][[파일:zhongjia.png|height=50]][br]'''{{{#FFF 2021년 중국핑안슈퍼-갑급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21年中国平安中超中甲联赛升降附加赛) 1-2차전[br]2022년 1월 12일 (수요일) 16:30}}}'''|| ||<-3><:>'''{{{#001d49 [[쑤저우 올림픽 스포츠 센터|{{{#001d49 쑤저우 올림픽 체육중심}}}]] ([[쑤저우시(장쑤성)|{{{#001d49 쑤저우}}}]])}}}'''|| ||<-3><:>'''{{{#001d49 주심: 미정}}}'''|| ||<-3><:>'''{{{#001d49 관중: 0명}}}'''|| ||<:>[[파일:저장 FC 로고(2019~2022).svg|height=100]]||<|2><:>'''{{{+5 {{{#001d49 0 : 0}}}}}}'''||<:>[[파일:칭다오 FC 로고.svg|height=100]]|| ||<:>'''[[저장 FC|{{{#FFFF00 저장 FC}}}]]'''||<:>'''[[칭다오 FC|{{{#000 칭다오 FC}}}]]'''||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 ||<-3><:> || ||<-3><:>'''{{{#FFF Man of the Match: [[미정|{{{#FFF 미정}}}]]}}}'''|| ==== 결과 ==== ||<-2> [[중국 슈퍼리그|[[파일:중국 슈퍼 리그 로고.svg|width=100%]]]] ||<-2> [[중국 갑급리그|[[파일:zhongjia.png|width=100%]]]] || || 순위 || 팀 || 순위 || 팀 || || '''강등''' || [[파일:칭다오 FC 로고.svg|width=40]][br]'''[[칭다오 황하이|칭다오 FC]]''' || '''승격''' || [[파일:저장 FC 로고(2019~2022).svg|height=40]][br]'''[[저장 뤼청|저장 FC]]''' || ===== (중국 슈퍼리그) 승격: [[저장 뤼청|저장 프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hejiang-promo.png|width=100%]]}}} || ===== (중국 갑급리그) 강등: [[칭다오 FC]]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qingdao-releg.jpg|width=100%]]}}} || === 승강 플레이오프 2 (청두 룽청[중갑 4위] VS 다롄 프로[중초 15위]) === ==== 1차전 ==== ||<-3><:>[[파일:중국 슈퍼 리그 로고.svg|height=50]][[파일:zhongjia.png|height=50]][br]'''{{{#FFF 2021년 중국핑안슈퍼-갑급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21年中国平安中超中甲联赛升降附加赛) 2-1차전[br]2022년 1월 8일 (토요일) 16:30 [[UTC+9]]}}}'''|| ||<-3><:>'''{{{#001d49 [[강음체육장|{{{#001d49 강음체육장}}}]] ([[쑤저우시(장쑤성)|{{{#001d49 쑤저우}}}]])}}}'''|| ||<-3><:>'''{{{#001d49 주심: 리하이허}}}'''|| ||<-3><:>'''{{{#001d49 관중: 0명 (무관중경기)}}}'''|| ||<:>[[파일:청두 룽청 로고.svg|height=100]]||<|2><:>'''{{{+5 {{{#001d49 1 : 1}}}}}}'''||<:>[[파일:다롄프로축구단 엠블럼.svg|height=100]]|| ||<:>'''[[청두 룽청|{{{#000 청두 룽청}}}]]'''||<:>'''[[다롄 이팡|{{{#000 다롄 프로}}}]]'''|| ||<:>'''81' (PK) [[펠리피 지소자 시우바|펠리페]]'''||<:>[[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42' 쑨궈원'''|| ||<-3><:> || ||<-3><:>'''{{{#FFF Man of the Match: [[미정|{{{#FFF 미정}}}]]}}}'''|| ==== 2차전 ==== ||<-3><:>[[파일:중국 슈퍼 리그 로고.svg|height=50]][[파일:zhongjia.png|height=50]][br]'''{{{#FFF 2021년 중국핑안슈퍼-갑급리그 승강 플레이오프(2021年中国平安中超中甲联赛升降附加赛) 2-1차전[br]2022년 1월 12일 (수요일) 16:30 [[UTC+9]]}}}'''|| ||<-3><:>'''{{{#001d49 [[강음체육장|{{{#001d49 강음체육장}}}]] ([[쑤저우시(장쑤성)|{{{#001d49 쑤저우}}}]])}}}'''|| ||<-3><:>'''{{{#001d49 주심: 미정}}}'''|| ||<-3><:>'''{{{#001d49 관중: 0명}}}'''|| ||<:>[[파일:다롄프로축구단 엠블럼.svg|height=100]]||<|2><:>'''{{{+5 {{{#001d49 0 : 1}}}}}}'''||<:>[[파일:청두 룽청 로고.svg|height=100]]|| ||<:>'''[[다롄 이팡|{{{#000 다롄 프로}}}]]'''||<:>'''[[청두 룽청|{{{#000 청두 룽청}}}]]'''|| ||<:>'''-'''||<:>[[파일:득점 아이콘.svg|height=20]]||<:>'''72' [[호물로]]'''|| ||<-3><:> || ||<-3><:>'''{{{#FFF Man of the Match: [[미정|{{{#FFF 미정}}}]]}}}'''|| ==== 결과 ==== ||<-2>
[[중국 슈퍼리그|[[파일:중국 슈퍼 리그 로고.svg|width=100%]]]] ||<-2> [[중국 갑급리그|[[파일:zhongjia.png|width=100%]]]] || || 순위 || 팀 || 순위 || 팀 || || '''강등''' || [[파일:다롄프로축구단 엠블럼.svg|width=40]][br]'''[[다롄 이팡|다롄 프로]]''' || '''승격''' || [[파일:청두 룽청 로고.svg|height=40]][br]'''[[청두 룽청]]''' || ===== (중국 슈퍼리그) 승격: [[청두 룽청]]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engdu-promo.jpg|width=100%]]}}} || ===== (중국 갑급리그) 강등: [[다롄 이팡|다롄 프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alian-releg.jpg|width=100%]]}}} || == 우승 == || '''{{{+2 중국 평안 CFA 슈퍼 리그 2021 우승}}}''' || || [[파일:산둥 타이산 엠블럼.svg|width=300]] [br] '''[[산둥 타이산|{{{#000000 '''산동 타이산(山东泰山)'''}}}]]''' || || 4번째 우승 || [[분류:중국 슈퍼 리그/역대 시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