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성동구/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서울특별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중구·성동구 갑}}}}}}'''[br]{{{-1 {{{#fff 금호동, 옥수동을 제외한 성동구 전역 [br]中區·城東區 甲[br]Jung–Seongdong A}}}}}}}}}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중구·성동구 갑.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92,161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서울특별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성동구|{{{#373a3c,#ddd 성동구}}}]] 일부''' 마장동, 사근동, 응봉동, 송정동, 용답동, 행당1동, 행당2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 || ||<-2> '''이전 선거구''' ||<-2> [[성동구 갑]], [[성동구 을]]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홍익표]]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성동구]]의 금호동, 옥수동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관할하며,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으로 처음 개설된 지역구다. 선거구 이름은 중구·성동구지만 이 선거구에 중구 지역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성동구 갑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19대 총선의 성동구 을 지역구에 응봉동과 성수동이 추가되었다.][* 이와 이름만 복합선거구이지만 실질적으로 1개의 시군구지역만 포함된 유사한 지역구는 인천 [[동구·미추홀구 을]](동구 전체와 미추홀구 도화동, 주안동 일대만 뺀 나머지 일원), 부산 [[북구·강서구 갑]](강서구 전체와 북구 일부지역만 뺀 나머지 일원), 광주 [[동구·남구 갑]](동구 전체와 남구 일부지역을 뺀 나머지 일원), 전남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순천시 해룡면과 광양시, 곡성군, 구례군을 뺀 나머지 순천시 일원), 강원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갑]](춘천시 북부지역과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을 뺀 춘천시 중남부 지역일원)이 있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이자, [[서초구 을]] 지역위원장인 [[홍익표]] 의원이다.[* 민주당 험지인 강남 지역에서의 외연 확장을 이유로 홍익표 의원이 서초구 을 지역위원장 자리에 지원했고 그대로 임명되면서 국회 지역구와 지역위원장 자리가 달라지게 되었다. 중구·성동구 갑 지역위원장 자리는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직무대행으로 맡게 되었다.] [[중구·성동구 을]] 및 [[용산구]], [[마포구 갑]]과 함께 강북 지역에서 부동산에 있어서 민감한 지역구다. 이유는 후술할 고가 아파트 밀집 지역과 연관이 있다. 그리고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의 고향이라는 점 역시 보수세가 강화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전반적으로는 진보표가 많이 나오지만, [[성수동 트리마제]], [[갤러리아 포레]],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등 고가 아파트가 여러 곳 있는 성수동과 [[왕십리뉴타운]]이 있는 왕십리도선동 쪽에서는 [[중산층]] 비율이 높아 [[보수주의|보수]]표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온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 ||<-4> [[파일:국회휘장.svg|height=25]] '''{{{#580009 중구·성동구 갑 역대 국회의원}}}''' || ||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20대 ||<|2> [[홍익표]]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21대 || 2020년 5월 30일 ~ || === 20대 총선 이전 === 성동구 선거구는 제헌 국회에서는 [[지청천]]이 국회의원이 되었고, 2대 총선에서도 [[지청천]]과 민주국민당 [[임흥순]]이 당선되었다. 3대 총선에서 자유당 성향의 김재황, [[임흥순]]이 당선되었지만, 4대 총선과 5대 총선에서 야권이 모두 당선되었다. 그러나 6대 총선과 7대 총선에서 갑 지역은 야권이, 을 지역은 여권이 당선된다. 당시 성동 선거구에서 민주공화당 국회의원은 [[박준규(1925)|박준규]]였다. 당시 성동구에서 을 지역은 개발이 진행되며 여권에 유리했다. 그러나 8대 총선에서 세 지역구 모두 야권이 가져갔지만, 병 지역구의 [[정운갑]][* [[정우택]]의 아버지]은 야권 내에서도 보수 성향이었고, 군사정권 초반기 성동구 선거구는 여권과 야권이 난립했다. 그러나 중선거구제 시절 9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의 [[민병기(1927)|민병기]]가 1위를 차지하고, 신민당의 정운갑도 2위를 차지하며 당선되어 서서히 성동구 선거구는 보수화되어간다. 10대 총선에서 유신체제에 대한 반감으로 성동구 선거구에서 야권이 전부 승리한다. 11대 총선과 12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이세기]] 후보가 1위를 기록하며 여권이 다시 유리했지만, 13대 총선에서는 야당이 전부 당선되며 야권이 유리했다. 그러나 14대 총선에서 성동구 갑 지역구에서 민주자유당 이세기가 당선되고, 을과 병에서는 야당이 당선되며 성동구 지역구에서 여야 의원이 난립했다. 15대 총선에서 성동구 2개 선거구가 모두 신한국당 [[이세기]], [[김학원(1947)|김학원]] 후보가 모두 승리하며 다시 보수화되었지만, 16대 총선에서 민주계 정당이던 새천년민주당의 [[임종석]]이 승리하며, 다시 민주정당의 텃밭이 되어가고 17대 총선에서도 승리했다. 18대 총선에서 한나라당의 [[김동성(1971)|김동성]], [[진수희]]가 당선되었다. 19대 총선에서는 민주당이 전 지역에서 승리하여 [[최재천(정치인)|최재천]], [[홍익표]]가 당선되었다. 20대 총선 선거구 획정 과정에서 중구 선거구의 인구 미달로 중구 선거구와 통합되었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중구·성동구 갑'''}}}}}}[br]{{{#ffffff 금호동, 옥수동을 제외한 성동구 전역[*A 왕십리2동, 왕십리·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응봉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송정동, 용답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동성(1971)|{{{#373a3c,#dddddd 김동성}}}]](金東聖) || 44,253 || 2위 || || [[새누리당|[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9.39% || 낙선 || ||<|2> {{{#ffffff {{{+5 '''2'''}}}}}} || '''[[홍익표|{{{#373a3c,#dddddd 홍익표}}}]](洪翼杓)''' || '''50,630''' || '''1위''' || || [[더불어민주당|[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5.07%''' || '''당선''' || ||<|2> {{{#ffffff {{{+5 '''3'''}}}}}} || 서경선(徐景善) || 15,059 || 3위 || || [[국민의당(2016년)|[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3.40% || 낙선 || ||<|2> {{{#000000 {{{+5 '''4'''}}}}}} || 장지웅(張智雄) || 2,379 || 4위 || || [[정의당|[include(틀:정의당(2013~2021))]]] || 2.1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9,620 ||<|3> '''투표율'''[br]59.81% || || '''투표 수''' || 113,421 || || '''무효표 수''' || 1,100 || ||<:><-8> {{{#FFFFFF '''20대 총선 중구.성동구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동성(1971)|{{{#FFFFFF '''김동성'''}}}]] ||<:> [[홍익표|{{{#FFFFFF '''홍익표'''}}}]] || || '''득표수[br](득표율)''' ||<:> '''44,253 [br] (39.39%)''' ||<:> {{{#FFFFFF '''50,630 [br] (45.07%)'''}}} ||<:> '''-6,377 [br] (▼5.68)''' ||<:> '''59.81%''' || || '''응봉동''' ||<:> 40.89% ||<:> {{{#004EA2 43.66%}}} ||<:> ▼2.77 ||<:> 61.35 || || '''성수1가제1동''' ||<:> 39.28% ||<:> {{{#004EA2 43.94%}}} ||<:> ▼ 4.66 ||<:> 55.55 || || '''성수1가제2동''' ||<:> 36.79% ||<:> {{{#004EA2 47.31%}}} ||<:> ▼10.52 ||<:> 60.31 || || '''성수2가제1동''' ||<:> {{{#CA252B '''43.37%'''}}} ||<:> 39.63% ||<:> △3.74 ||<:> 51.73 || || '''성수2가제3동''' ||<:> {{{#CA252B 42.28%}}} ||<:> 41.82% ||<:> △0.46 ||<:> 57.64 || || '''왕십리도선동''' ||<:> 39.56% ||<:> {{{#004EA2 44.97%}}} ||<:> ▼5.41 ||<:> 58.14 || || '''왕십리2동''' ||<:> 37.13% ||<:> {{{#004EA2 46.30%}}} ||<:> ▼9.17 ||<:> 58.36 || || '''행당1동''' ||<:> 41.05% ||<:> {{{#004EA2 44.76%}}} ||<:> ▼3.71 ||<:> 59.86 || || '''행당2동''' ||<:> 37.83% ||<:> {{{#004EA2 49.08%}}} ||<:> ▼11.25 ||<:> '''64.21''' || || '''마장동''' ||<:> 42.63% ||<:> {{{#004EA2 43.11%}}} ||<:> ▼0.48 ||<:> 60.15 || || '''사근동''' ||<:> 34.86% ||<:> {{{#004EA2 '''50.49%'''}}} ||<:> ▼'''15.63''' ||<:> 58.81 || || '''송정동''' ||<:> 40.05% ||<:> {{{#004EA2 42.02%}}} ||<:> ▼1.97 ||<:> 54.02 || || '''용답동''' ||<:> 39.07% ||<:> {{{#004EA2 44.50%}}} ||<:> ▼5.43 ||<:> 53.62 || || '''후보''' ||<:> [[김동성(1971)|{{{#CA252B '''김동성'''}}}]] ||<:> [[홍익표|{{{#004EA2 '''홍익표'''}}}]]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CA252B '''50.84%'''}}} ||<:> 28.38% ||<-2> △22.46 || || '''관외사전투표''' ||<:> 35.71% ||<:> {{{#004EA2 47.67%}}} ||<-2> ▼11.96 || || '''국외부재자투표''' ||<:> 25.68% ||<:> {{{#004EA2 '''59.40%'''}}} ||<-2> ▼ '''33.72''' || 기존의 [[성동구 을]] 선거구와 성수동, 응봉동을 합친 지역구로써, 기존 성동구 을의 현역 의원이었던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의원은 장백건 전 서울시 시설관리공단 감사를 경선에서 누르고 공천을 확정지었다. [[새누리당]]에서는 기존 [[성동구 을]] 선거구의 18대 의원이었던 [[김동성(1971)|김동성]] 예비후보가 [[진수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을 경선에서 누르고 공천을 확정지었다. 19대 총선에서 0.77%p차(홍익표 후보 49.66%, 김동성 후보 48.89%)로 승패가 갈린 전현직 의원의 리턴매치가 성사되었다.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서는 [[안산시 상록구 갑]]에 경선을 치를 예정이었던 서경선 전 법무부장관 정책보좌관을 지역을 바꾸어 전략공천했고, [[정의당]]에서는 장지웅 후보를 공천했다. 애초 야권 분열로 인해 현역인 홍익표 의원이 고전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었으나 실제로는 국민의당 후보가 여당 표 일부를 예상보다 더 잠식한 탓에 표가 갈라지면서 홍익표 의원이 이겼다. 그것도 지난번 선거 때와는 달리 5.68%P, 6378표차의 비교적 여유있는 승리였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중구·성동구 갑'''}}}}}}[br]{{{#ffffff 금호동, 옥수동을 제외한 성동구 전역 [*A 왕십리2동, 왕십리·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응봉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송정동, 용답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홍익표|{{{#373a3c,#dddddd 홍익표}}}]](洪翼杓)''' || '''70,387''' || '''1위''' || || [[더불어민주당|[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4.25%''' || '''당선''' || ||<|2> {{{#ffffff {{{+5 '''2'''}}}}}} || [[진수희|{{{#373a3c,#dddddd 진수희}}}]](陳壽姬) || 53,107 || 2위 || || [[미래통합당|[include(틀:미래통합당)]]] || 40.93% || 낙선 || ||<|2> {{{#000000 {{{+5 '''6'''}}}}}} || [[정혜연|{{{#373a3c,#dddddd 정혜연}}}]](鄭惠然) || 5,465 || 3위 || || [[정의당|[include(틀:정의당(2013~2021))]]] || 4.21% || 낙선 || ||<|2> {{{#ffffff {{{+5 '''7'''}}}}}} || 이정섭(李廷燮) || 786 || 4위 || || [[국가혁명배당금당|[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6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2,161 ||<|3> '''투표율'''[br]68.27% || || '''투표 수''' || 131,200 || || '''무효표 수''' || 1,455 || ||<-5> {{{#ffffff '''21대 총선 서울 중구·성동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홍익표|{{{#ffffff '''홍익표'''}}}]] || [[진수희|{{{#ffffff 진수희}}}]]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70,387[br](54.25%)'''}}} || '''53,107[br](40.93%)''' || '''+ 17,280[br](△13.32)''' || '''131,200 [br] (68.27%)''' || || '''응봉동''' || {{{#004ea2 53.19%}}} || 43.03% || △10.16 || 70.18 || || '''성수1가1동'''[* [[서울숲]]과 [[성수동 트리마제|트리마제]], [[갤러리아 포레]], 강변건영 등이 있는 곳.] || {{{#4169e1 49.72%}}} || '''45.83%''' || {{{#696969 △3.89}}} || 64.39 || || '''성수1가2동''' || {{{#004ea2 53.99%}}} || 41.34% || △12.65 || 70.03 || || '''성수2가1동''' || {{{#004ea2 50.68%}}} || 45.06% || △5.62 || 63.03 || || '''성수2가3동''' || {{{#004ea2 50.41%}}} || 45.01% || △5.40 || 68.11 || || '''왕십리·도선동'''[* [[왕십리뉴타운]]이 있는 곳.] || {{{#004ea2 51.42%}}} || 43.96% || △7.47 || 66.41 || || '''왕십리2동''' || {{{#004ea2 58.49%}}} || 37.16% || △21.33 || 66.52 || || '''행당1동''' || {{{#004ea2 51.52%}}} || 44.05% || △7.47 || 68.85 || || '''행당2동''' || {{{#004ea2 53.58%}}} || 41.83% || △11.75 || '''70.54''' || || '''마장동''' || {{{#004ea2 55.86%}}} || 38.96% || △16.90 || 65.85 || || '''사근동'''[* [[한양대학교]]가 있는 곳.] || {{{#004ea2 53.23%}}} || 39.85% || △13.37 || 61.02 || || '''송정동''' || {{{#004ea2 57.12%}}} || 37.82% || △19.30 || 60.72 || || '''용답동''' || {{{#004ea2 '''58.91%'''}}} || {{{#696969 35.71%}}} || '''△23.20''' || {{{#696969 59.58}}} || || '''후보''' || [[홍익표|{{{#004ea2 '''홍익표'''}}}]] || [[진수희|{{{#ef426f 진수희}}}]]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8.82%}}} || 30.76% ||<-2> △28.05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0.79%}}} || 33.39% ||<-2> △27.39 || || '''재외투표''' || {{{#004ea2 50.65%}}} || 44.07% ||<-2> △6.58 || ||<-4> {{{#ffffff '''중구·성동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 || '''후보''' || [[홍익표|{{{#ffffff '''홍익표'''}}}]] || [[진수희|{{{#ffffff 진수희}}}]] || || '''왕십리 풍림아이원''' || {{{#004ea2,#5dabff '''55.10%'''}}} || 41.27% || △13.83 || || '''금호베스트빌''' || {{{#004ea2,#5dabff 55.09%}}} || 40.82% || △14.27 || || '''금호어울림''' || {{{#004ea2,#5dabff 50.45%}}} || 41.63% || △8.82 || || '''행당 대림''' || {{{#004ea2,#5dabff 48.49%}}} || 46.35% || △2.14 || || '''쌍용''' || {{{#004ea2,#5dabff 48.41%}}} || 47.42% || △0.99 || || '''성수 롯데캐슬 파크''' || 37.08% || {{{#ef426f,#bc103c '''58.98%'''}}} || ▼21.90 || || '''[[서울숲리버뷰자이|{{{#000,#fff 서울숲 리버뷰 자이}}}]]''' || 42.57% || {{{#ef426f,#bc103c 52.95%}}} || ▼10.38 || || '''벽산''' || 45.45% || {{{#ef426f,#bc103c 49.91%}}} || ▼4.46 || || '''행당 한진타운''' || 47.16% || {{{#ef426f,#bc103c 48.07%}}} || ▼0.91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국회의원 [[홍익표]]가 3선에 도전한다. [[미래통합당]]에서는 [[진수희]] 전 보건복지부 장관과 [[강효상]] 의원[* 대구 [[달서구 병]] 출마를 준비하고 있었으나, 지역구를 험지로 옮겨 경선을 치렀다.]이 경선을 치렀으며, 그 결과 진수희 전 장관이 승리해 공천되었다. [[정의당]]에서는 약사이자 전 부대표인 [[정혜연]]이 출마한다. 선거 결과 홍익표가 여유있게 13.32%p차로 승리하였다. [[성수동 트리마제]], [[갤러리아 포레]] 등 고가 아파트가 위치한 성수1가1동에서는 홍익표 후보가 과반을 넘지 못하고 근소하게 승리했지만 나머지 동에서는 모두 홍익표 후보가 과반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왕십리도선동 내에 있는 [[왕십리뉴타운]]에서는 진수희 후보가 상대적으로 선전했다. 성수1가1동 제2투표소([[성수동 트리마제|트리마제]] 및 강변 건영아파트, 진수희 56.7% > 홍익표 40.5%), 성수2가1동 제1투표소(서울숲 힐스테이트, 진수희 52.0% > 홍익표 43.4%), 성수2가3동 제2투표소(성수 아이파크, 성수 롯데캐슬파크,[* 다른 곳과 달리 이곳은 아파트 단지 내에 투표소가 있어서 아파트 거주민들의 표심이 온전히 반영된다.] 진수희 59.0% > 홍익표 37.1%), 왕십리도선동 제5투표소(텐즈힐 1단지, 진수희 50.6% > 홍익표 43.9%), 왕십리도선동 제6투표소(센트라스, 진수희 52.8% > 홍익표 43.1%), 행당1동 제4투표소([[서울숲리버뷰자이]],[* 이곳 역시 아파트 단지 내에 투표소가 있다.] 진수희 52.95% > 홍익표 42.57%) 등 고가 아파트 단지가 있는 곳에서 진수희 후보가 과반 득표율을 얻었다. 민주당 표가 상대적으로 많은 사전투표를 포함해도 진수희 후보가 이 투표소들에서 선전하였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중구·성동구 갑'''}}}}}}[br]{{{#ffffff 금호동, 옥수동을 제외한 성동구 전역[*A 왕십리2동, 왕십리·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응봉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송정동, 용답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외연 확장을 이유로 민주당계 정당의 험지인 서초구 을 지역위원장을 자원하면서 지역위원장 자리가 공석이 되었다. 지역위원장 후보로는 이곳에서 전 국회의원을 지냈던 [[임종석]] 등이 유력하다.[* 임종석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성동구에 출마하려 했지만, 비리의혹 사건이 터지는 바람에 본인의 친구에게 공천장을 넘겼는데 그가 바로 '''[[홍익표]]'''였다.(해당 비리 의혹은 나중에 [[대한민국 대법원|대법원]]까지 가서 무죄 판결이 나왔다). 참고로 두 사람 모두 성동구에 위치한 [[한양대학교]] 출신이다.] 지역위원장 직무대리를 맡은 [[정원오]] [[성동구청장]]이 구청장 3선 연임을 다 채웠기 때문에 도중에 성동구청장직에서 사퇴하고 출마할 가능성도 있지만[*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가장 강력한 카드였던 [[성장현]] 전 [[용산구청장]]의 중도 사퇴 및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좌절시키고 [[강태웅]] 전 서울시 행정1부시장을 [[용산구(선거구)|용산구]]에 내세웠는데, 결과적으로는 '''0.66%p'''차로 [[권영세]]에게 의석을 내준 전적이 있다. 원내1당 사수에 [[이재명]] 대표의 정치 생명이 걸려있는 만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용산구의 실수를 답습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필승 카드인 정원오를 차출할 가능성을 절대로 배제할 수 없다.], 정 구청장은 22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서울특별시의 정치]][[분류:성동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