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 rd1=중구(울산))]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중구(울산광역시)/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울산광역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fff {{{+2 중구}}} (울산)}}}'''[br]{{{-1 {{{#fff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등[br]中區[br]Jung}}}}}}}}}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중구(울산).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21,894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울산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중구(울산광역시)|{{{#000,#fff 중구}}}]] 전역'''[br]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약사동,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복산1동, 복산2동 }}} || ||<-2> '''신설년도''' ||<-2> [[제13대 국회의원 선거|1988년]] || ||<-2> '''이전 선거구''' ||<-2> 경상남도 울산시 중구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박성민(1959)|박성민]] || [목차] [clearfix] == 개요 == 울산 원도심에 해당하는 만큼 울산 시가지 내에서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한 선거구이다. 다만 [[19대 대선]] 당시에는 [[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보수정당의 전체적인 지지율이 크게 하락한 상태라, [[문재인]] 후보가 36.5%의 득표율을 기록, 6%에 가까운 차이로 [[홍준표]] 후보를 누르고 역사상 처음으로 중구에서 민주당이 1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3당합당]] 이전인 13대 대선에서도 [[민주정의당]] [[노태우]] 후보가 PK의 맹주였던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를 누르고 1위를 했다.] 실제 후술되어있듯 민주-진보 진영 단일화 실패로 보수 정당 후보가 당선된 적도 있는 등 확실한 텃밭 수준까진 아니다. 21대 현역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박성민(1959)|박성민]] 의원이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13대 || [[김태호(1935)|김태호]]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3> '''경상남도 울산시 중구''' || || 14대 || [[차화준(1935)|차화준]] || [include(틀: 통일국민당)]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15대 || [[김태호(1935)|김태호]] || [include(틀: 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2> 16대 || [[김태호(1935)|김태호]] ||<|4> [include(틀: 한나라당)] || 2000년 5월 30일 ~ 2002년 7월 10일[* 임기 중 사망.] ||<|8> '''울산광역시 중구''' || ||<|5> [[정갑윤]] || 2002년 12월 19일 ~ 2004년 5월 29일 || || 17대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19대 ||<|2>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21대 || [[박성민(1959)|박성민]]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현재 || || 22대 || || || || === 울산시 중구 (13대~15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울산시 중구'''}}}}}}[br]{{{#ffffff 울산시 중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태호(1935)|김태호]](金泰鎬)''' || '''46,532''' || '''1위''' ||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49.75%'''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이철수(1946)|이철수]](李鐵樹) || 36,716 || 2위 || || [[신민주공화당|[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39.25% || 낙선 || ||<|2> {{{#ffffff {{{+5 '''3'''}}}}}} || 최영준(崔泳準) || 10,276 || 3위 || || [include(틀: 민중의당)] || 10.9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9,313 ||<|3> '''투표율'''[br]68.10% || || '''투표 수''' || 94,872 || || '''무효표 수''' || 1,348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울산시 중구'''}}}}}}[br]{{{#ffffff 울산시 중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태호(1935)|김태호]](金泰鎬) || 50,127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9.28% || 낙선 || ||<|2> {{{#ffffff {{{+5 '''2'''}}}}}} || [[송철호]](宋哲鎬) || 19,685 || 3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5.42% || 낙선 || ||<|2> {{{#ffffff {{{+5 '''3'''}}}}}} || '''[[차화준(1935)|차화준]](車和俊)''' || '''50,138''' || '''1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39.29%'''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이규정]](李圭正) || 4,736 || 4위 || || [[신정치개혁당|[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3.71% || 낙선 || ||<|2> {{{#ffffff {{{+5 '''5'''}}}}}} || [[이철수(1946)|이철수]](李鐵樹) || 2,906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2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8,725 ||<|3> '''투표율'''[br]76.42% || || 투표수 || 128,944 || || 무효표수 || 1,352 || 이때 ~~[[틀니]]좌~~ 차화준이 불과 '''11표차(...)'''로 당선됐다. 그리고 8전 9기의 신화 송철호 울산시장이 처음으로 출마한 선거다. 실제로 이 선거 이후부터 송철호는 눈물의 2위 낙선 [[스택#사회복무요원 관련 은어]](...)을 2018년 울산시장 당선 전까지 계속 쌓게 된다.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울산시 중구'''}}}}}}[br]{{{#ffffff 울산시 중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태호(1935)|김태호]](金泰鎬)''' || '''42,543''' || '''1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38.25%''' || '''당선''' || ||<|2> {{{#ffffff {{{+5 '''2'''}}}}}} || 이일성(李一星) || 3,843 || 5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3.45% || 낙선 || ||<|2> {{{#ffffff {{{+5 '''3'''}}}}}} || [[송철호]](宋哲鎬) || 39,743 || 2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35.73% || 낙선 || ||<|2> {{{#ffffff {{{+5 '''4'''}}}}}} || [[이철수(1946)|이철수]](李鐵樹) || 5,399 || 4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4.85% || 낙선 || ||<|2> {{{#ffffff {{{+5 '''5'''}}}}}} || 박삼주(朴三柱) || 1,522 || 6위 || || [include(틀: 무소속)] || 1.35% || 낙선 || ||<|2> {{{#ffffff {{{+5 '''6'''}}}}}} || [[정갑윤]](鄭甲潤) || 18,157 || 3위 || || [include(틀: 무소속)] || 16.3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3,652 ||<|3> '''투표율'''[br]61.72% || || '''투표 수''' || 113,341 || || '''무효표 수''' || 2,134 || === 중구 (16대~현재)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중구'''}}}}}}[br]{{{#ffffff 울산 중구 일원[*울산중구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약사동,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복산1동, 복산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태호(1935)|김태호]](金泰鎬)''' || '''42,144'''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7.94%''' || '''당선''' || ||<|2> {{{#ffffff {{{+5 '''2'''}}}}}} || [[문병원]](文炳元) || 5,150 || 4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5.86% || 낙선 || ||<|2> {{{#ffffff {{{+5 '''4'''}}}}}} || 유송근(劉松根) || 5,463 || 3위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6.21% || 낙선 || ||<|2> {{{#ffffff {{{+5 '''5'''}}}}}} || 박삼주(朴三柱) || 1,598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1.82% || 낙선 || ||<|2> {{{#ffffff {{{+5 '''6'''}}}}}} || [[송철호]](宋哲鎬) || 33,548 || 2위 || || [include(틀: 무소속)] || 38.1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5,973 ||<|3> '''투표율'''[br]57.00% || || '''투표 수''' || 88,904 || || '''무효표 수''' || 1,001 || ==== [[2002년 재보궐선거#s-3|2002년 하반기 재보궐선거]] ==== ||<-4> {{{#ffffff {{{+1 '''중구'''}}}}}}[br]{{{#ffffff 울산 중구 일원[*울산중구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약사동,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복산1동, 복산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갑윤]](鄭甲潤)''' || '''48,458'''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3.26%'''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전나명]](全那明) || 35,304 || 2위 || || [include(틀:국민통합21)] || 31.52% || 낙선 || ||<|2> {{{#ffffff {{{+5 '''4'''}}}}}} || [[천병태]](千炳泰) || 17,531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15.65% || 낙선 || ||<|2> {{{#ffffff {{{+5 '''5'''}}}}}} || [[이향희]](李香姬) || 8,829 || 4위 || || [include(틀:사회당(1998년))] || 7.88% || 낙선 || ||<|2> {{{#ffffff {{{+5 '''6'''}}}}}} || 강석철 || 1,883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6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5,033 ||<|3> '''투표율'''[br]68.89% || || '''투표 수''' || 113,688 || || '''무효표 수''' || 1,683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중구'''}}}}}}[br]{{{#ffffff 울산 중구 일원[*울산중구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약사동,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복산1동, 복산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갑윤]](鄭甲潤)''' || '''45,359''' || '''1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46.78%''' || '''{{{#000000 당선}}}''' || ||<|2> {{{#000000 {{{+5 '''3'''}}}}}} || 이정환(李正煥) || 32,029 || 2위 || || [include(틀: 열린우리당)] || 33.03% || 낙선 || ||<|2> {{{#ffffff {{{+5 '''4'''}}}}}} || [[이철수(1946)|이철수]](李鐵樹) || 822 || 6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0.85% || 낙선 || ||<|2> {{{#ffffff {{{+5 '''5'''}}}}}} || [[천병태]](千炳泰) || 13,438 || 3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13.86% || 낙선 || ||<|2> {{{#ffffff {{{+5 '''6'''}}}}}} || [[이향희]](李香姬) || 3,017 || 4위 || || [include(틀:사회당(1998년))] || 3.11% || 낙선 || ||<|2> {{{#ffffff {{{+5 '''7'''}}}}}} || [[문병원]](文炳元) || 2,298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3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7,321 ||<|3> '''투표율'''[br]58.48% || || '''투표 수''' || 97,842 || || '''무효표 수''' || 879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중구'''}}}}}}[br]{{{#ffffff 울산 중구 일원[*울산중구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약사동,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복산1동, 복산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동호]](林東昊) || 8,309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11.11% || 낙선 || ||<|2> {{{#ffffff {{{+5 '''2'''}}}}}} || '''[[정갑윤]](鄭甲潤)''' || '''48,48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64.85%''' || {{{#000000 '''당선''' }}} || ||<|2> {{{#ffffff {{{+5 '''4'''}}}}}} || [[천병태]](千炳泰) || 15,994 || 2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1.39% || 낙선 || ||<|2> {{{#ffffff {{{+5 '''6'''}}}}}} || 이상용(李相龍) || 1,971 || 4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2.6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7,629 ||<|3> '''투표율'''[br]42.52% || || '''투표 수''' || 75,535 || || '''무효표 수''' || 778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중구'''}}}}}}[br]{{{#ffffff 울산 중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갑윤]](鄭甲潤)''' || '''50,258''' || '''1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50.39%''' || '''{{{#000000 당선}}}''' || ||<|2> {{{#3AB34A {{{+5 '''2'''}}}}}} || [[송철호]](宋哲鎬) || 37,412 || 2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37.51% || 낙선 || ||<|2> {{{#ffffff {{{+5 '''6'''}}}}}} || [[이향희]](李香姬) || 4,288 || 4위 || || [include(틀:진보신당)] || 4.29% || 낙선 || ||<|2> {{{#ffffff {{{+5 '''7'''}}}}}} || 유태일(劉泰一) || 6,122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6.13% || 낙선 || ||<|2> {{{#ffffff {{{+5 '''8'''}}}}}} || 변영태(卞永泰) || 1,642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6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3,595 ||<|3> '''투표율'''[br]54.66% || || '''투표 수''' || 100,359 || || '''무효표 수''' || 637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중구(울산 선거구)|{{{#ffffff {{{+1 '''중구'''}}}}}}]][br]{{{#ffffff 울산 중구 일원[*울산중구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약사동,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복산1동, 복산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갑윤]](鄭甲潤)''' || '''51,836'''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46.98%''' || '''당선''' || ||<|2> {{{#ffffff {{{+5 '''2'''}}}}}} || [[이철수(1946)|이철수]](李鐵樹) || 21,694 || 3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19.66% || 낙선 || ||<|2> {{{#ffffff {{{+5 '''3'''}}}}}} || 서인채(徐寅彩) || 14.157 || 4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2.83% || 낙선 || ||<|2> {{{#ffffff {{{+5 '''5'''}}}}}} || [[이향희]](李香姬)[* 민주노총, 정의당, 노동당 단일 후보] || 22,642 || 2위 || || [include(틀:노동당)] || 20.5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9,153 ||<|3> '''투표율'''[br]55.39% || || '''투표 수''' || 110,329 || || '''무효표 수''' || 1,693 || 야당 표심이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민주노총 지지 진보단일후보) 3갈래로 나뉘는 바람에 [[새누리당]] [[정갑윤]] 후보가 절반에 못 미치는 득표율로 당선되면서 5선에 성공했다. 노동당 이향희 후보가 정당 사상 총선 최다 득표율을 기록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중구(울산 선거구)|{{{#ffffff {{{+1 '''중구'''}}}}}}]][br]{{{#ffffff 울산 중구 일원[*울산중구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약사동,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복산1동, 복산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임동호]](林東昊) || 44,050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4.32% || 낙선 || ||<|2> {{{#ffffff {{{+5 '''2'''}}}}}} || '''[[박성민(1959)|박성민]](朴聖敏)''' || '''69,359'''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54.04'''% || '''당선''' || ||<|2> {{{#ffffff {{{+5 '''7'''}}}}}} || 송난희(宋蘭姬) || 1,077 || 5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83% || 낙선 || ||<|2> {{{#ffffff {{{+5 '''8'''}}}}}} || [[이향희]](李香姬)[* [[민주노총]], [[정의당]], [[민중당(2017년)|민중당]], [[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단일화 후보] || 12,149 || 3위 || || [include(틀:노동당)] || 9.46% || 낙선 || ||<|2> {{{#ffffff {{{+5 '''9'''}}}}}} || [[이철수(1946)|이철수]](李鐵樹) || 1.696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3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8,368 ||<|3> '''투표율'''[br]68.13% || || '''투표 수''' || 128,331 || || '''무효표 수''' || 1,599 || ||<:><-6> {{{#FFFFFF '''21대 총선 울산 중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 [include(틀:노동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임동호|{{{#ffffff 임동호}}}]] ||<:> [[박성민(1959)|{{{#ffffff '''박성민'''}}}]] ||<:> [[이향희|{{{#ffffff 이향희}}}]] || || '''득표수[br](득표율)''' ||<:> '''44,050[br](34.32%)''' ||<:> {{{#ffffff '''69,359[br](54.04%)'''}}} ||<:> '''12,149[br](9.46%)''' ||<:> '''-25,489[br](▼19.72)''' ||<:> '''188,368 [br] (68.13%)''' || || '''학성동''' ||<:> 26.05% ||<:> {{{#ef426f,#bc103c 64.0%}}} ||<:> 7.88% ||<:> ▼39.95 ||<:> 66.09 || || '''반구1동''' ||<:> 35.47% ||<:> {{{#ef426f,#bc103c 52.38%}}} ||<:> 9.97% ||<:> ▼16.91 ||<:> 64.97 || || '''반구2동''' ||<:> 30.95% ||<:> {{{#ef426f,#bc103c 57.88%}}} ||<:> 9.04% ||<:> ▼26.93 ||<:> 66.20 || || '''복산1동''' ||<:> 30.41% ||<:> {{{#ef426f,#bc103c 58.55%}}} ||<:> 9.57% ||<:> ▼28.14 ||<:> 68.10 || || '''복산2동''' ||<:> 35.53% ||<:> {{{#ef426f,#bc103c 51.81%}}} ||<:> 10.34% ||<:> ▼16.28 ||<:> 68.21 || || '''성안동''' ||<:> 35.70% ||<:> {{{#ef426f,#bc103c 48.20%}}} ||<:> '''14.65%''' ||<:> ▼12.50 ||<:> 65.50 || || '''중앙동''' ||<:> 25.80% ||<:> {{{#ef426f,#bc103c '''65.59%'''}}} ||<:> 6.18% ||<:> ▼'''39.79''' ||<:> 62.48 || || '''우정동''' ||<:> 31.35% ||<:> {{{#ef426f,#bc103c 58.76%}}} ||<:> 7.92% ||<:> ▼27.41 ||<:> 68.07 || || '''태화동''' ||<:> 36.0% ||<:> {{{#ef426f,#bc103c 52.66%}}} ||<:> 9.14% ||<:> ▼16.66 ||<:> 71.03 || || '''다운동''' ||<:> 31.84% ||<:> {{{#ef426f,#bc103c 57.54%}}} ||<:> 8.47% ||<:> ▼25.70 ||<:> 66.35 || || '''병영1동''' ||<:> 34.74% ||<:> {{{#ef426f,#bc103c 54.11%}}} ||<:> 9.40% ||<:> ▼19.37 ||<:> 68.68 || || '''병영2동''' ||<:> 35.07% ||<:> {{{#ef426f,#bc103c 53.27%}}} ||<:> 9.57% ||<:> ▼18.20 ||<:> 64.04 || || '''약사동''' ||<:> '''41.21%''' ||<:> {{{#ef426f,#bc103c 46.69%}}} ||<:> 10.58% ||<:> ▼5.48 ||<:> 77.20 || || '''후보''' ||<:> [[임동호|{{{#004ea2,#5dabff 임동호}}}]] ||<:> [[박성민(1959)|{{{#ef426f,#bc103c '''박성민'''}}}]] ||<:> [[이향희|{{{#ff0000,#bc103c 이향희}}}]]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29.32% ||<:> {{{#ef426f,#bc103c '''49.84%'''}}} ||<:> 11.07% ||<-2> ▼'''20.52''' || || '''관외사전투표''' ||<:> {{{#004ea2,#5dabff 44.09%}}} ||<:> 42.51% ||<:> 9.40% ||<-2> {{{#808080 △1.58}}} || || '''국외부재자투표''' ||<:> {{{#004ea2,#5dabff '''55.34%'''}}} ||<:> 33.98% ||<:> 9.71% ||<-2> {{{#808080 △'''11.36'''}}} || 박성민이 관외사전투표를 제외한 모든 동에서 압승했다. 임동호는 [[민주당계 정당]]에서 울산에서 선거만 8번을 나왔는데, 또 낙선의 고배를 마시게 되었다. 그렇지만 지역구의 보수성[* [[19대 대선]]에서 민주당계 정당이 처음 이겼다.]과, 울산 정가를 뒤흔들었던 [[문재인 정부의 울산시장 선거개입 의혹|논란]]을 감안하면 나쁘지 않은 성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번 선거 결과는 [[대한민국 진보정당|진보 진영]] 입장에선 무척 씁쓸한 결과인데, 지난 총선과 이번 총선에서 다 진보단일후보로 나온 이향희가 지난 총선보다 득표율이 반토막나서 선거비 보전도 못 받게 된 것이다. [[정의당]] 후보가 울산 북구에서 9% 정도 받은 것과 더불어, 노동자 도시인 울산에서도 진보 정당이 밀려나는 현실을 보여줬다. 이렇게 된 요인은 [[우정혁신도시]]의 성장과 [[약사동]] 개발로 인하여 인구 구조가 많이 뒤바뀌었기 때문이다. [[북구(울산 선거구)|울산 북구]]가 강동동 등의 개발로 인구 구조가 많이 뒤바뀐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중구(울산 선거구)|{{{#ffffff {{{+1 '''중구'''}}}}}}]][br]{{{#ffffff 울산 중구 일원[*울산중구 학성동, 성안동, 중앙동, 우정동, 태화동, 다운동, 약사동, 반구1동, 반구2동, 병영1동, 병영2동, 복산1동, 복산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울산광역시의 정치]][[분류:중구(울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