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駿足 빠른 발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뜻하는 말. 모든 스포츠에서 준족들은 환영받고, 특히 드리블을 많이 해야되는 농구, 축구나 베이스러닝이 중요한 야구에서 큰 활약을 한다. [[일리아스]]에서는 [[아킬레우스]]를 "준족의 아킬레우스"라고 불렀다. == 스포츠 == === 축구 === ==== K리그의 준족들[* K리그1, K리그2 통틀어서] ==== * [[김인성]] * [[김재성(축구)|김재성]] * [[김태환(1989)|김태환]][* 별명이 치타.] * [[박희철]] * [[서정진]] * [[염기훈]] * [[에벨톤]][* 2012년 수원에서 뛰었던 그 에벨톤 C.] * [[이종민(1983)|이종민]][* [[광주 FC]] 소속 축구선수.] * [[이천수]] * [[최재수]] * [[홍철]] * [[이동준(1997)|이동준]] * [[엄원상]] * [[제르소 페르난데스|제르소]] * [[안현범]] ==== 외국리그의 준족들 ==== * [[티에리 앙리]] - 최전성기 시절인 1998년도에 기록했던 최고 속도가 39.2km/h 라고 한다. * [[가레스 베일]] * [[구자철]] * [[남태희]] * [[네이마르 주니오르]] * [[다니엘 알베스]] * [[리오넬 메시]] * [[마리오 괴체]] * [[손흥민]] * [[세르히오 라모스]] * [[아르연 로번]] - [[2014 월드컵]] 조별리그에서 시속 37km의 속도를 기록했다. * [[안토니오 발렌시아]] * [[알렉시스 산체스]] * [[엘링 홀란드]] * [[카카]] - [[치고 달리기]]의 황제. 저 위에 언급된 [[리오넬 메시]]를 스피드로 [[관광]]보낸 전적이 있다. *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 [[킬리안 음바페]] * [[황의조]] * [[황희찬]] * [[마르코스 요렌테]] * [[도니얼 말런]] * [[킹슬리 코망]] * [[버질 반 다이크]] * [[알폰소 데이비스]] * [[사디오 마네]] * [[모하메드 살라]] * [[카림 아데예미]] *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 [[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 * [[부카요 사카]] * [[카일 워커]] * [[제이미 바디]] * [[아슈라프 하키미]] * [[우스만 뎀벨레]] * [[빅터 오시멘]] *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흐비차]] * [[김민재]] * [[로멜루 루카쿠]] ==== 골키퍼 중 준족 ==== * [[김병지]] * [[마누엘 노이어]] * [[호르헤 캄포스]] * [[굴리엘모 비카리오]][* [[파일:비카리오스프린트.gif]]] === 야구 === ==== KBO 리그의 준족들 ==== ===== 일반 야수 준족 ===== * [[강경학]] * [[강명구]]: 빠른발과 더불어 미친센스로 공수 둘다 1군수준은 아니었지만 대주자 요원으로서 10년 넘게 롱런했다. * [[강로한]] * [[고영민]] * [[고종욱]] * [[구자욱]] * [[김강민]] * [[김상수(타자)|김상수]] : 2014시즌 도루 1위. * [[김용의]] * [[김일권]] * [[김지찬]] * [[김종호(야구선수)|김종호]] : 2013시즌 도루 1위. * [[김주찬]] : 2010년에 딱 한 개 차이로 도루왕을 놓쳤던 경력이 있다. * [[김재박]] * [[김재현(1987)|김재현]] * [[나경민]] * [[나성범]] : 2019년 때 부상 이후로 주력이 다소 줄었다. * [[노수광]] * [[민병헌]] * [[박건우(1990)|박건우]] * [[박민우(야구선수)|박민우]] * [[박용택]] : 2005시즌 도루 1위. 헌데 2018시즌부터는 노쇠화와 부상으로 스피드가 현저히 줄어들어 똥차가 되었다. * [[박지규]] * [[박찬도]] * [[박찬호(1995)|박찬호]] 2019,2022시즌 도루 1위 * [[박해민]] : 2015, 2016, 2017, 2018시즌 4년 연속 도루 1위. * [[배영섭]] * [[브렛 필]] * [[서건창]] * [[송주호]] * [[손아섭]] * [[신민재(1996)|신민재]] * [[신종길]] * [[심우준]] * [[안상현(야구선수)|안상현]] * [[야마이코 나바로]] : [[20-20]] 출신, 거기에 2년 연속으로 달성. [* 평소 설렁설렁 뛰는게 습관화가 되어있어서 그렇게 보이지 않는 경우] * [[에릭 테임즈]] : 2015년 [[KBO 리그]] 최초 [[40-40]]달성자[* 근육돼지처럼 보여서 그렇게 보이지 않는 경우인데, 가속도가 장난아니다. 다만 메이저 진출후 말년에 많이 느려지고 요미우리 이적후 아킬레스건으로 더더욱 전망이 밝지 않다.] * [[오재원]] : 2011시즌 도루 1위. * [[오지환]] * '''[[이대형]]''' : 통산 도루 505개, 13년 연속 두자릿수 도루만으로도 증명되는 슈퍼소닉. * [[이병규(1974)|이병규]] : 한때 [[30-30]] 달성자였다. * [[이순철]] * [[이시찬]] * [[이용규]] * [[이유찬]] * [[이형종]] * [[이천웅]] * [[이은총]] * [[이종범]] : 바람의 아들. * [[이종욱]] : 2006시즌 도루 1위. * [[이택근]] * [[안권수]] : 2루에 있을 때, [[김재환(야구선수)|김재환]]의 2루 땅볼에 홈으로 파고 들 정도로 엄청 빠른 스피드의 보유자.[* [[https://youtu.be/9BIenK6jzrE|또한 빠른 발과 좋은 센스로 양의지를 농락하는 건 덤이다]] ] * [[전준우]] * [[전준호(1969)|전준호]]: [[KBO 리그]] 통산 도루 1위. * [[정근우]] : KBO 리그 최초의 '''10년 연속 20도루'''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 [[정수근]] * [[정주현]] * [[정수빈]] * [[정진기]] * [[정형식]] * [[조용호(야구선수)|조용호]] * [[조동찬]] * [[조동화]] * [[짐 아두치]] * [[추신수]] * [[최정]] * [[최지훈]] * [[조수행]] * [[허경민]] * [[박병호]]: 대부분 사람들이 박병호가 발이 느린 선수로 알고 있지만 [[20-20]] 경력도 있고 순수주력으로는 이택근보다도 빠른 호타준족이다 * [[김혜성(야구선수)|김혜성]] ===== 포수 중 준족 ===== 포수는 특성 상 준족이었다가도 [[똥차(야구)|똥차]]가 되기 쉽다. 그래서 포수 준족도 상당히 의미가 있다. 여기서 포수 준족은 해설자들이 '''포수치고 빠른 편'''이라는 말을 자주하는 대상들을 주로 말한다. 물론 아주 가끔은 일반 야수들 이상의 주력을 가진 포수도 나오기도 한다. * [[김민식(야구선수)|김민식]][* 단 본인 말로는 순수 주력은 그렇게 빠르지 않다고 한다.] * [[김재성(야구선수)|김재성]][* 보기 드문 준족형 포수이며 스피드가 괜찮다. 프로 지명 당시 타격과 포수 능력, 그리고 주루 능력으로 주목 받은게 딱 두산 박세혁과 비슷한 스타일.] * [[박세혁]] : 이 분은 포수치고 빠른게 아니라 그냥 빠르다. 팀 내에서 가장 빠른 축에 속하는 박건우보다 빠르다고 한다. 포수들 중에서는 최상위권이며 전체로 따져보아도 상위권이다. * [[크리스티안 베탄코트]][* 덩치가 워낙 큰 탓에 꽤 깎이는 부분이 있다. 순수 스피드는 상당하다고.] * [[이해창(1987)|이해창]] * --[[이성열(1984)|이성열]]--[* 원래 포지션은 포수였다. 포수 기준으로는 빠른 발이 맞지만 야수 기준으로는 평범하고, 포수에서 외야수로 전향하였으므로 취소선 처리] * [[이지영(야구선수)|이지영]] : 한 때는 진갑용의 대주자로 뛴 적도 많으며, 포수로는 이례적으로 3루타나 내야안타도 심심치않게 치는 선수다. 겉보기에는 느릴것 같지만 웬만한 야수 만큼의 주력을 가지고 있는 만큼 경계해야할 선수다. * ~~[[이택근]]~~[* 원래 포지션은 포수로,베이징 올림픽 때 불펜포수들의 출입이 불가능해지자 본인이 직접 보기도 했다.단 지금은 외야수 겸 지명타자.] * [[이흥련]] : 내야안타도 심심치 않게 만들어 내며 발이 문제가 된 경우가 별로 없다.[* 사실 부각이 잘 안돼서 그렇지 이지영보다 더 빠르다.] * [[장성우]][* 롯데 시절 가끔 대주자로 나올 만큼 스피드는 나쁘지 않으나 부상 이후 다소 느려졌다.] * [[정범모]] : 잠재력 하나만 놓고보면 5툴 포수 자원이지만... 결과는 0툴... 5툴 플레이어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이건 순수 잠재력 차원이니 오해하지 말자!!! * [[진갑용]][* 아닌게 아니라 데뷔 초까지로 한정하면 준족이'''었'''던 것이 맞다.] * [[현재윤]][* 이 사람은 테이블 세터로 뛴 경기도 있으며, '''해설자들이 이 사람을 말할 때 주로 발 얘기를 할 정도다.''' 오히려 일반 야수들과 경쟁해도 평균 이상의 주력을 지녔다.] * [[손성빈]]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준족들 ==== * [[A.J. 폴락]] * [[J.T. 리얼무토]][* 이쪽은 포수치고 준족인 정도가 아니라 '''그냥 준족이다.''' 포수 주제에 스피드가 [[크리스티안 옐리치]]랑 맞먹을 정도이다.... 팀 내에서 제일 빠른 수준이다.] * [[고키스 에르난데스]] * [[닉 아메드]] * [[디 고든]][[도핑|*]] * [[데이비드 페랄타]] * '''[[리키 헨더슨]]''' *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 * [[로렌조 케인]] * [[마이크 트라웃]] * [[마이클 브랜틀리]] * [[마이클 본]] * [[멜빈 업튼 주니어]] * [[매니 마차도]] * [[빌리 해밀턴(1866)]] * [[빌리 해밀턴(1990)]] * [[바이런 벅스턴]] * [[배지환]][* 단, 주루 센스는 좋지 않아 도루자가 많다.] * [[브렛 가드너]] * [[브래들리 짐머]] * [[브라이스 하퍼]] * [[스캇 포세드닉]] [* 2005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우승 멤버로 월드시리즈 2차전에서 당대 최정상급 마무리투수였던 [[브래드 릿지]]를 상대로 끝내기 홈런을 때려낸 바 있다. 참고로 그 해 정규시즌 성적은 '''507타수 0홈런 59도루'''. (단 끝내기 홈런을 포함해 포스트 시즌에는 2홈런 기록)] * [[스탈링 마르테]][[도핑|*]] * [[아치 브래들리]][* 와일드카드 첫 투수 3루타를 친 자이다. 자세한 것은 문서 참조.] * [[야시엘 푸이그]] * [[알렉스 브레그먼]] * [[엔더 인시아테]] * [[에제키엘 카레라]] * [[오스틴 잭슨]] * [[오스틴 반스]] * [[오타니 쇼헤이]][* 장타력이 눈에 띌 뿐, 주력 자체는 빠른 편이다.] * [[이안 햅]] * [[애런 힉스]] * [[애덤 존스]] * [[앤드류 맥커친]] * [[앤드류 베닌텐디]] * [[앤드루 존스]] * [[자코비 엘스버리]] * [[진 세구라]] * [[제이슨 헤이워드]] * [[제이슨 킵니스]] * [[조지 스프링어]] * [[저스틴 업튼]] * [[잭 그레인키]][* 의외로 투수치고 발이 빠르다.도루도 꽤 했으며 베이스러닝도 잘하는 편.] * [[체이스 어틀리]] * [[카를로스 코레아]] * [[코디 벨린저]][* 신인 39홈런에 가려져 있을 뿐 팀 내에서 [[크리스 테일러]] 다음으로 제일 빠르다. 단, 주루센스는 살짝 아쉽다.] * [[크리스티안 옐리치]] * [[커티스 그랜더슨]] * [[크리스 브라이언트]] * [[크리스 영]] * [[크리스 오윙스]] * [[크리스 테일러]] * [[케빈 필라]] * [[케빈 키어마이어]] * [[키온 브록스턴]] * [[트레버 스토리]] * [[트로이 툴로위츠키]] * [[트레이 터너]] * [[프란시스코 린도어]] * [[헌터 펜스]] * [[호세 라미레즈]] * [[호세 알투베]] * [[하비에르 바에즈]] ===== 포수 중 준족 ===== * [[J.T. 리얼무토]] * [[윌슨 콘트레라스]][* 포수치고는 스피드가 괜찮은 편이다. 딱 포수 중 준족인 정도] * [[오스틴 반스]] * [[존 라이언 머피]][* 도루가 없어서 느리다고 생각하지만 의외로 빠르다.] ==== 일본프로야구의 준족들 ==== * [[겐다 소스케]] * 고토 슌타 : 홈에서 1루까지 최고 3.7초만에 주파가 가능하다. 단 스타트가 안 좋은 스타일이라 홈에서 1루까지 가는데 보통은 4.1초 정도 걸리며, 시즌 도루 갯수도 언제나 한자릿수에 그친다. * [[나카무라 쇼고]] : 하지만 39도루를 기록한 2018년을 빼면 도루는 잘 안 한다. 애초에 준족이긴 한데 최고속도가 그렇게 빠르지 않고 도루센스와 주루센스는 딱 중간 수준. * 나카시마 타쿠야 : 통산 홈런이 2개인 똑딱이지만 2015년 도루왕을 차지했다. 홈에서 1루까지 3.5초만에 주파가 가능하며 전형적인 수비와 발로 먹고사는 선수. 타격에서는 용규놀이를 잘 한다는 점 외에는 평범한 타율 낮은 똑딱이다. * [[나카노 타쿠무]] : 데뷔 시즌인 2021시즌, 2년차 시즌인 2022시즌 전부 도루왕을 차지했다. * [[니시카와 하루키]] : 2014, 2017, 2018년 도루왕을 차지했고 통산 도루성공율 1위를 갖고 있는 현재 일본프로야구 최고의 대도. 그러나 2019년에는 슬럼프를 겪으며 20도루도 하지 못하면서 프리미어 승선에도 실패했다. 참고로 홈에서 1루까지 뛰는데 겨우 3.17초밖에 안 걸린다. 2020년 완벽히 부활해 42도루로 도루 2위에 달성. 타격에서는 장타는 많이 없어도 매년 2할 8푼정도는 보장할수 있는 정도. * [[레오니스 마틴]] : 원래는 MLB 출신이고 MLB에서도 나름대로 출전경험을 쌓았지만 2021년 현재 일본프로야구에서 뛰므로 여기 서술. 일본에서는 홈런타자로 활약하기 때문에 부상 방지 등의 이유로 도루를 거의 안 하지만 발 자체는 빨라서 기습번트 안타를 성공시키거나, 한 베이스를 더 가는 주루플레이는 종종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가끔 히트앤드런 작전 등의 이유로 도루 시도를 할 때 보면 아직까지 도루능력 자체는 어느 정도 살아있다.[* 일본에서 첫 2년간 156경기에서 10도루를 기록. 발이 빨라도 도루를 잘 안 시킨다면 이 정도 도루갯수도 준족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갯수다.] * 마사고 유스케 : 2019년 2군 웨스턴리그 도루왕. * [[사카모토 하야토]] * 슈토 우쿄 : 2019년에 대주자로만 나왔는데 시즌 25도루를 기록하고 전문 대주자 롤로 프리미어 19까지 승선했다. 타격 수비 모두 갈길이 멀고 발만 빠른 유망주인데 그 발 하나로 1군은 물론 국대까지 승선한 케이스. 프로 1년차인 2018년에는 2군 웨스턴리그 도루왕이었다. 그러나 2020년, 타격과 수비 모두 눈에 띄게 향상되어 현재는 소프트뱅크의 주전 2루수이자 리드오프로 활약중이다. * [[스즈키 세이야]] : 2019년 20-20 달성. 그러나 통산 도루성공율이 60%를 겨우 넘을 정도로 정확도는 떨어진다. * 스즈키 쇼헤이 : 2018년 2군 이스턴리그 도루왕. * [[시오미 야스타카]] : 2019년 2군 이스턴리그 도루 2위. * [[아다치 료이치]] * [[아오키 노리치카]] * [[아카호시 노리히로]] : 2001~2005년 센트럴리그 도루왕, 통산 381도루. 한국의 이대형과는 포지션, 체형, 사용했던 등번호까지 같다. * [[아키야마 쇼고]] * [[야나기타 유키]] * 야마노베 카케루 : 세이부의 신인으로 2019년 2군 이스턴리그 도루왕을 차지했다. * [[야마다 테츠토]] * 야마사키 코타로 : 2017-2018년에 2군에서 2년 연속 20도루를 기록했으나 1군에 정착한 2019년에는 도루가 확 줄었다. * 야마사키 타케시 : 2019년 2군 이스턴리그 도루 3위. * [[양다이강]] : 2013년 퍼시픽리그 도루왕. * [[오기노 타카시]] : 우타자인데도 홈에서 1루까지 최고 3.3초를 끊는다. 좌타자가 3.3초를 끊어도 리그 최고수준 스타트이며, 우타자는 홈에서 1루까지 3초대를 찍기만 해도 도루를 마구 할 수 있는 타자로 취급되는 것을 감안하면 엄청난 수준. 대신 최고속도는 비슷한 준족 타자들 사이에선 약간 떨어진다. * 오시마 요헤이 : 2012년 센트럴리그 도루왕. * [[오카 히로미(1991)|오카 히로미]] : 대신에 주루센스는 꽝. 웃기는게 견제사도 많고 주루사도 많은데 도루자는 적다. 다른 센스는 하나도 없으면서 도루 타이밍 읽는 법은 엄청 뛰어난 특이케이스. * [[오코에 루이]] * [[와다 코시로]] : 2020년에 대주자로만 나와서 23도루 3도루자를 기록했다. * 우에다 카이 : 아직은 어린 선수지만 2018년에 백업 위주로만 나와서 19도루로 센트럴리그 6위를 기록한 적이 있다. 도루성공률은 90.4%. * 우에다 츠요시 * [[우에바야시 세이지]] * [[이마미야 켄타]] * [[이토이 요시오]] : 역대 최고령 도루왕. * [[치카모토 코지]] : 2018년 한신의 드래프트 1라운더. 데뷔 첫 해인 2019년에 바로 도루왕을 찍었다. * 카네코 유지 : 타격은 OPS 6할만 찍어도 다행인 멘도사 똑딱이지만 2015년, 2019년 도루왕을 차지했다. 특히 2019년은 개막하지마자 한달만에 도루왕이 결정되었다고 할 정도로 미친 페이스로 초반에 도루를 쌓았다. 최종 도루갯수는 41개로 특별히 많은 것은 아니었지만. 홈에서 1루까지는 3.65초 정도 걸린다.[* 좌타 기준. 스위치 히터라 우타에서는 +0.2초 정도 해야 한다.] * 카마모토 고 : 2017년 2군 웨스턴리그 도루왕. 데뷔 8년만에 안타를 쳐낸 노망주로 1군에 정착한 2019년에는 11도루를 기록하는 동안 1도루자밖에 안 당했다. * [[카미자토 카즈키]] * [[카지타니 타카유키]] * [[카토 쇼헤이]] : 2021년 기준 롯데에서 순수주력이 가장 빠른 선수. 2군에선 30도루도 기록한 적 있다. 하지만 순수주력은 가장 빨라도 센스는 딱 2군 수준이라 1군에서는 도루를 거의 하지 않는다. * 코리 스판젠버그 : 2021년 세이부 라이온즈에서 플레이하므로 여기 서술. 도루 갯수는 2020년에 12개로 적었지만 도루자는 2개밖에 없을 만큼 성공률은 높았다. 또한 메이저리그 시절에도 발 하나는 미친듯이 빠르기로 유명했던 선수였고. * 쿄다 요타 * 키무라 후미카즈 : 고교 시절 5툴 플레이어이면서 투타겸업 유망주였고 프로에는 투수로 입단했으나 투수로 잘 안 되자 타자로 전향한 선수. 툴 하나는 엄청 좋아서 두번이나 10홈런-10도루를 했지만 컨택이 부족해서 주전 정착에는 실패하고 노망주가 되어가고 있다. 도루 갯수는 적지만 순수 주력만 보면 팀메이트 중 최고의 준족 소리를 듣는 [[겐다 소스케]]나 카네코 유지보다도 빠르다. * [[키쿠치 료스케]] * [[타나카 카즈키]] * 타나카 코스케 : 2017년 센트럴리그 도루왕. * [[타츠미 료스케]] * [[토노사키 슈타]] : 3년 연속 20도루에 2019년에는 20-20까지 기록했다. * [[후지와라 쿄타]] * [[후쿠다 슈헤이]](롯데) : 백업으로 나와서 시즌 20도루를 기록할 정도로 준족. 하지만 2021년 현재는 예전만하지는 못해서 도루를 잘 못 한다. * [[후쿠다 슈헤이(1992)|후쿠다 슈헤이]](오릭스) : 나무위키에 항목이 있는 소프트뱅크에서 롯데로 간 그 [[후쿠다 슈헤이]]와는 다르다. 한글이나 히라가나로는 동명이인이지만 대졸에 사회인야구 출신이며, 한자로 쓰면 다른 이름이라 구별된다. 물론 그 후쿠다도 대타와 선발을 오가면서 불규칙하게 나오면서도 시즌 20도루를 기록했던 준족이지만 오릭스의 후쿠다가 30도루도 찍은 적이 있는 만큼 도루 쪽에서는 더 좋은 기록을 냈다. === 농구 === ==== KBL 리그의 준족들 ==== * [[강병현(1985)|강병현]] * [[김주성(농구)|김주성]] : 4~5번 포지션인데도 빠르다. * [[김선형]] * [[김시래]] * [[두경민]] * [[디온테 버튼]] : 보기와는 다르게 학창 시절 [[포인트 가드]] 출신이었다. * [[라건아|리카르도 라틀리프]] : 육상선수 출신이다. * [[마이클 크레익]] * [[박찬희(농구)|박찬희]] * [[양동근(농구)|양동근]] * [[양희종]] * [[윤호영(1984)|윤호영]] * [[이대성]] * [[이승준(농구선수)|이승준]] * [[이정현(1987)|이정현]] * [[임재현(농구)|임재현]] : 심지어 별명이 들개(...) * [[애런 헤인즈]] * [[전태풍]] * [[주희정]] [각주] [[분류:스포츠 용어]][[분류:야구 용어]][[분류:축구 용어]][[분류:농구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