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화순군의 로)] ---- ||<-4> {{{#fff {{{+1 '''죽헌로'''}}}[br] 竹軒路 | Jukheon-ro }}} || || ← [[나주시|{{{#!html나주}}}]] {{{#!html방면}}}[br][[학포로]] ||<-2> [[822번 지방도|{{{#!html
822번
지방도
}}}]] || [[화순군|{{{#!html화순}}}]] {{{#!html방면}}} →[br][[외남로(화순)|외남로]] || ||<-4> '''{{{#fff 노선 번호}}}''' || ||<-4> '''[[822번 지방도]]''' || ||<-4> '''{{{#fff 기점}}}''' || ||<-4>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 모산삼거리 || ||<-4> '''{{{#fff 종점}}}''' || ||<-4>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동가리 한천면정우리사거리 || ||<-4> '''{{{#fff 연장}}}''' || ||<-4> 12.2km || ||<-4> '''{{{#fff 관리}}}''' || ||<-4> [[화순군]] || ||<-4> '''{{{#fff 왕복 차로 수}}}''' || ||<-4> 2차로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 모산삼거리에서 출발하여 동가리 한천면정우리사거리에서 끝나는 도로. [[822번 지방도]]의 일부이다. == 특징 == 이 도로의 특징은 한천면의 지형적 특징과 연관이 있는데, 한천면은 동서로 길게 늘어져 있고, 한천자연휴양림이 있는 돗재를 중심으로 돗재 안쪽 지역은 '영내'로 부르고, 그 너머를 '영외'로 불렀다. 그래서 이 도로는 한천면의 영내와 영외 지역을 이어주는 특징이 있다. == 주요 구간 == * 모산삼거리 * [[학포로]]와 만나며 시작한다. 또한 [[822번 지방도]]는 이 도로로 이어진다. * 한천교차로 * [[덕음로(화순)|덕음로]]와 만난다. 또한 이 일대에 한천면소재지가 있다. * 오음삼거리 정류장 앞 * 산음길과 만난다. 또한 한천자연휴양림 입구까지 중간에 차선이 줄어드는 구간이 있으며, 현재 이 구간을 선형개량하는 공사가 진행중이다. * 한천자연휴양림 입구 * 화순군에서 운영하는 한천자연휴양림으로 갈 수 있다. * 돗재 * 여기서부터 한천'영내' 지역에서 한천'영외'지역으로 넘어온다. 또한 상당한 경사가 있으니 주의. * 한천면정우리삼거리 * [[외남로(화순)|외남로]]와 만나며 끝난다. 또한 [[822번 지방도]]는 [[외남로(화순)|외남로]]로 이어진다. == 대체도로 == 한천면의 동서를 이어주는 유일한 길이라 대체도로는 없다. == [[대중교통]] == === [[철도]] 및 [[도시철도]] === === [[버스]] === * [[화순 버스 218|218번(오음2리, 오음3리)]] : 모산교차로-한천교차로, 모산교차로-한천자연휴양림 == 교통량 == == 주요 시설 == == 기타 == * 한천면의 동서를 이어주는 도로지만, 문제는 한천면의 영내와 영외를 경계로 하는 돗재를 '''그대로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오음삼거리부터 종점인 한천면정우리삼거리 구간은 길이 험하다. 이 이유로 [[화순군 농어촌버스]] 역시 영내와 영외는 군내버스가 다녀도, 영내와 영외를 왕복하는 버스는 없다. 대신 한천자연휴양림까지 [[화순 버스 218|218번 오음리행]]이 다니고 있으며, 영외 지역은 [[화순 버스 217|217번 동산행]]이 다니고 있다. [[분류:화순군의 도로]][[분류:822번 지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