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천마총)] [[파일:죽제 금동천마문 말다래1.jpg]] [[파일:죽제 금동천마문 말다래2.jpg]] [목차] == 개요 == 1973년 [[경주시|경주]]관광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발굴조사한 [[천마총]]에서 국보 제207호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와 [[백화수피제 천마도 말다래]] 2점과 함께 발견된 [[신라]]시대 금동 천마형 말다래.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파일:죽제 금동천마문 말다래3.jpg]] 발굴 당시의 모습. [[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40304.010110732480001|사진 출처 : 천마총 天馬圖, 두 점 더 공개합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8&aid=0002227874|한겨레 - 40년 전 ‘빛살 무늬’는 천마의 갈기였다]] 1973년 천마총에서 발견된 유물로, 기존에 잘 알려진 자작나무로 만들어진 국보 제207호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와는 또 다른 천마도이다. 원래는 기존 천마도 2점과 같이 천마총에서 발견되었는데, 발견 당시 바로 전 국민에게 공개한 국보 제207호 [[천마도]]와는 달리 [[백화수피제 천마도 말다래]]와 이 유물 2점은 오랜 세월을 거치며 발견 당시 유물의 상태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오랜 시간 비밀리에 국립경주박물관 수장고에 특별 보관되다가 2014년 3월, 발굴 40여 년 만에 처음 학계에 보존처리 공개한 것이다.[[https://www.youtube.com/watch?v=oNIBH89sDds|[대구MBC뉴스] 금동 천마문 말다래 최초 공개(2014.3.3)]] 이 유물 공개 후 연구자들은 기존 국보 제207호로 지정되어 있던 천마도와 이 유물을 구분하기 위하여 '죽제 금동천마문 말다래'라고 부른다. 자작나무껍질을 여러 겹 겹친 후 동물 가죽을 대어 만든 기존 천마도와는 달리, 이 유물은 얇은 [[대나무]]살을 엮어 바탕판을 만든 후, 앞면에 마직을 댄 뒤 황금으로 도금한 동판에 천마문 등의 무늬를 10개 투조하고 금으로 만든 못으로 붙인 것이다. 제작연대는 대략 5~6세기로 추정하는데, [[신라]]의 금세공기술 및 금속공예사, 그리고 기마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2018년 7월 경주 천마총이 1년 만에 복원 작업을 마치고 왕릉을 재공개하면서 일반 시민들에게도 공개되었다. 시사IN 뉴스에 따르면 1973년 천마총 발굴자들이 처음 국보 제207호 [[천마도]] 1세트를 발견했을 때는 모두가 기뻐 환호성을 질렀으나 이후 [[백화수피제 천마도 말다래]]와 이 투조금동판식 죽제장니(透彫金銅板飾竹製障泥) 2세트까지 발견되자 일종의 공포라고도 할 수 있는 불안, 그리고 깊은 두려움에 빠지고 말았다고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생전에 '어떤 놀라운 일에도 냉정함을 유지하는 사람'으로 평가받았다던 김정기 단장은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대발견인 천마도 3세트 6점을 자신이 모두 무사히 발굴할 수 있을지 자신이 없어 아찔한 현기증을 느끼고는 주저앉을 것 같았다고 술회하였다.[[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414|시사IN : 나와서는 안 될 유물 천마도가 나와버렸다]] [[분류:신라의 금제유물]][[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분류:경주시의 문화재]][[분류:천마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