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파일:kbsrtransport.png|width=250]] || ||<-5> {{{#ffffff [[KBS 제1라디오|[[파일:KBS 1Radio 로고 화이트.svg|width=118]]]]}}} {{{-2 {{{#FFF (평일)}}}}}} || ||<:> 16:00 - 17:00 ||<|5><:> → ||<:> '''17:00 - 19:00''' ||<|5><:> → ||<:> 19:00 - 20:00 || ||<:> [[4시 뉴스#s-2.3|KBS 제1라디오 16시 경제뉴스]] ||<:> [[5시 뉴스#s-2.3|KBS 제1라디오 17시 뉴스]] ||<:> [[KBS 제1라디오 저녁 종합뉴스]](~ 19:20) || ||<:> [[경제쇼|서영민의 경제쇼]] ||<:><#c9e8fb,#445966> '''주진우 라이브''' (종영) || [[KBS 열린토론]] || ||<:> 스팟 프로그램[* 16시 55분 1R 채널 스팟, 16시 56분 낮은 목소리-당신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 희망충전 대한민국(17:56) ||<:> [[스포츠 스포츠]](20:30) || ||<:> 58분 날씨(16:58) ||<:> 58분 날씨 ||<:> 58분 날씨(20:58) || ||<-5> {{{#ffffff [[KBS 제1라디오|[[파일:KBS 1Radio 로고 화이트.svg|width=118]]]]}}} {{{-2 {{{#FFF (토요일)}}}}}} || ||<:> 15:00 - 17:00 ||<|5><:> → ||<:> '''17:00 - 18:00''' ||<|5><:> → ||<:> 18:00 - 19:00 || ||<:> [[3시 뉴스#s-2.2|KBS 제1라디오 15시 뉴스]] ||<:> [[5시 뉴스#s-2.3|KBS 제1라디오 17시 뉴스]] ||<:> [[6시 뉴스#s-2.4|KBS 제1라디오 18시 뉴스]] || ||<:> 주말 생방송 정보쇼 ||<:><|2><#c9e8fb,#445966> '''주진우 라이브 스페셜''' (종영) ||<:><|2> 생방송 주말 저녁입니다 || ||<:> 스팟 프로그램[* 15시 56분 [[바른말 고운말]], 16시 56분 낮은 목소리-당신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 ||<:> 58분 날씨 ||<:> 58분 날씨(17:58) ||<:> 58분 날씨(18:58) || ||<:> 01:00 - 02:00 ||<|2><:> → ||<:> '''02:00 - 03:00''' ||<|2><:> → ||<:> 03:00 - 04:00 || ||<:> [[명사들의 책읽기]] ||<:><#c9e8fb,#445966> '''주진우 라이브 스페셜''' (재방송, 종영)[br]{{{-2 [[바른말 고운말]] (재방송, 02:53)[br]스팟 프로그램 (02:55)}}} ||<:> [[세월따라 노래따라]] || ||||||||||<-3>{{{#!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진우 라이브.jpg|width=100%&align=center]]}}} || ||<-3> {{{+3 {{{#bdfa00 '''주진우 라이브'''}}}}}} || || '''방송채널''' ||<-2> [[KBS 제1라디오|[[파일:KBS 1Radio 로고.svg|width=95]]]] || || '''추가채널''' ||<-2> [[국방FM|[[파일:국방FM BI.svg|width=75]]]][* 토요일 라이브 스페셜에 한정되며, [[국방FM]]에서 자체적으로 틀어주는 것은 아니고, 야간에는 [[KBS 제1라디오]]의 수도권 방송을 재송신하기 때문에 이런 편성이 나올 수 있었다.] || || '''방송기간''' ||<-2> 2018년 5월 28일 ~ 2023년 11월 11일 || || '''DJ''' ||<-2> [[김용민(1974)|김용민]] → [[주진우(1973)|주진우]] || || '''PD''' ||<-2> 김우광, 장소민, 전선진 || || '''작가''' ||<-2> 김지연, 정다혜 || || '''영상''' ||<-2> 이권훈 || || '''오프닝 시그널''' ||<-2> [[https://www.youtube.com/watch?v=3EOlSoyvsyk|RUBBER UNIVERSE]] - [[앨런 파슨스 프로젝트]][* 김용민 라이브 - 라이브 비대위 시절에는 마리우스 드 브리스가 연주한 버전의 드라마 [[어벤저스(영국 드라마)|어벤저스]] 오프닝을 사용했다.] || ||<|2> '''방송시간''' || 월~금 ||<:> 17:05 ~ 18:56 || || 토요일[* 주진우 라이브 스페셜로 진행되었다.] ||<:> 17:05 ~ 17:58, 26:00 ~ 26:53 || || '''웹사이트''' ||<-2> [[http://program.kbs.co.kr/1radio/radio/kimlive|[[파일:KBS 1Radio 로고 (KBS 워드마크 없음).svg|height=12]]]] || [목차] >'''당신의 저녁은 아침보다 똑똑하다''' >------- >'''김용민 라이브''' 시절 오프닝 슬로건. >'''나비처럼 날아 벌처럼 쏜다''' >------ >오프닝 슬로건 == 개요 == [[KBS 제1라디오]]에서 방송되었던 라디오 뉴스 시사 교양 프로그램. == 역사 == 2018년 5월 28일에 신설되었으며, 이때는 시사평론가 [[김용민(1974)|김용민]]이 진행을 맡았기 때문에 제목이 '김용민 라이브'였다. 신설 이후 22시 1시간만 방송되었다가 2018년 10월 1일 개편으로 2부가 신설되어 23:55분까지 연장방송, 분량이 연장되었으나 동년 12월 부분 개편으로 '김기자의 눈'을 대신하여 17:20부터 방송, 분량이 단축되었다. 이후 분량이 다시 확대되었다. 시사평론가 [[김용민(1974)|김용민]]은 2020년 2월 14일까지만 진행하고 하차했다.[* 한때 김용민은 오전 10시에 [[SBS 러브FM]] '김용민의 정치쇼'도 진행했다.] 동시에 프로그램 제목도 변경. 5월 2일까지 '라이브 비상대책위원회'라는 타이틀에 [[주진우(1973)|주진우]] 기자의 진행으로 이어진다. 이 때 약칭은 라이브 비대위. 동년 5월 4일부터 '주진우 라이브'로 개편되었다. 이 과정에서 약간의 논란이 있긴 했어도 3년 동안 방송을 이어왔지만 김의철 KBS 사장이 각종 논란으로 인해 해임되고 2023년 11월 12일 [[박민(언론인)|박민]]이 KBS 사장직에 임명되면서 주진우 라이브는 ''''특집 1라디오 저녁''''으로 개편되고 진행자 또한 주진우에서 김용준 기자로 교체되었다.[[https://youtu.be/3ic_YvgAtWc?si=HCL6bBUUDzAv1Leg|#]] 정규 편성으로 복귀한다고 한들 '최강시사'처럼 '라이브' 브랜드를 존치해 둘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또 한 주간 방송된 '주진우 라이브'의 내용을 하이라이트로 엮어서 스페셜로 방송하는 '주진우 라이브 스페셜'도 있었다. 김용민 라이브 시절 본방송이 부분개편으로 시간대를 옮기는 와중에도 편성이 애매해서인지 여전히 신설 당시 시간대였던 토요일 10시에 편성되고 있었으나 2019년 4월 부분 개편으로 본방과 똑같이 5시대에 시작하도록 조정되었으며, 이후 [[KBS 제3라디오]]에서 방송된 "[[사랑의 책방]]"이 종영된 직후 새벽 2시 재방송 편성이 추가되었다. 김용민 라이브 스페셜, 라이브 비대위 스페셜, 주진우 라이브 스페셜 순으로 본방송의 타이틀에 맞춰 프로그램명이 변경되었다. 스페셜 방송은 미처 신경을 못 썼는지 여전히 편성표에 남아 있었으나 역시 '''라디오 문학관'''으로 대체되었다. == 역대 진행자 == * 1대 - [[김용민(1974)|김용민]] 사단법인 평화나무 이사장 : 2018년 5월 28일 ~ 2020년 2월 14일 * 임시체제 : 2020년 2월 17일 ~ 5월 2일 * 2대 - [[주진우(1973)|주진우]] 기자 : 2020년 5월 4일 ~ 2023년 11월 11일[* [[박민(언론인)|박민]] KBS 신임 사장 취임 직후 차기 라디오센터장 내정자로부터 하차 통보를 받으며 물러났다.] == 코너소개 == * 쥬스(월~금) * 훅 인터뷰(월~금) * 주기자의 1분(월~금) * 기자들의 수다(월~금) === 요일코너 === * 정치적 원외시점, 경공술(월) * 최가박당, 정치발전소 장앤장(화) * 공동혁신구역, 이것이 보수다, 과학과의 수다, 지금은 글로벌 시대(수) * 최고의 정치(격주), 사건의 지평선(격주), 책의 맛(격주), 철학의 맛(격주)(목) * 애국 미남단, 라이너의 시사회(금) == 지역 프로그램 == 다음 지역 방송국은 1부 시간대인 오후 5시 5분에 방송된다. 2부 시간대인 저녁 6시부터는 전국방송이다. 설, 추석 명절 연휴에는 일부 지역에서, 중대한 뉴스가 있을 때[* 2022년 6월 21일 [[누리호]] 발사 때 1부가 5분 일찍 시작했고 자체방송은 결방되었다.]와 공개방송 시에는 자체방송을 하지 않고 처음부터 방송한다. * 춘천 - [[생방송 오늘은...]] * 원주 - 생방송 오늘 원주입니다 * 강릉 - 5시 정보쇼 * 충주 - 생방송 충청은 지금 * 대전 - 5시N 대.세.남(대전, 세종, 충남) * 부산 - [[시사포커스 부산]][* 2019년 가을 개편 때 '부산은 지금'을 종영하면서 자체방송이 폐지되었으나, 4년만에 아침 자체방송을 정리하고 저녁 자체방송을 재배치했다.] * 창원 - [[라이브 경남]] * 진주 - [[라이브 진주]] * 광주 - 5시 매거진 * 목포 - 라디오 매거진, 오늘 * 순천 - 행복충전, 라디오 세상 1부 시간인 오후 5시 5분부터 저녁 6시까지는 수도권, 청주(충북 중∙남부), 전주(전북 일원), 대구(대구/경북 중∙서부), 안동(경북 북부), 포항(경북 동해안/울릉도∙독도), 울산, 제주에서만 방송된다. == 방송 당시 경쟁 정치/시사 프로그램 == 시간대가 1시간이라도 겹치는 전국구 시사 프로그램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각 지역별 시사 프로그램과도 경쟁했다. * [[MBC 표준FM]] - [[뉴스 하이킥|신장식의 뉴스 하이킥]][* 최대 맞수로, 2023년 2분기 조사에서는 둘이서만 청취율 1, 2위를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 [[CBS 표준FM]] - [[CBS 박재홍의 한판승부|박재홍의 한판승부]] * [[YTN 라디오]] - [[뉴스! 정면승부]][* 경쟁 프로그램 중 시간대가 완벽히 겹치는 유일한 프로그램이지만 청취율은 주진우 라이브가 압도하고 있다. 과거에는 이동형의 진행 실력 및 아젠다 세팅 능력, 민주진보 진영에서의 주진우 기자에 대한 이미지 실추로 고전을 면치 못했다가 이동형 하차 이후 입장이 뒤바뀐 것.] * [[경인방송]] - 박성용의 시선공감 *[[cpbc FM]] - [[뉴스공감]][* 본래는 5시 방송이었으나 6시로 옮겼다.] == 역대 갤러리 == ||<-2> {{{+1 '''로고와 타이틀'''}}} || || [[파일:김용민 라이브 1부.jpg|width=100%]] || [[파일:주진우 라이브.jpg|width=100%]] || || '''김용민 라이브[br](2018.10.15 ~ 2020.02.14)'''[* 처음부터 이걸 썼던 건 아니고, 밤 10시 방송 당시에는 [[못난 아버지를 둔 딸에게 정말 미안하다!|미안하다!]] 제스처를 취한 사진을 썼으며, 그 버전은 이후 방송시간을 옮기고 2부 타이틀로 사용했다. 한편 김용민이 하차하면서 생긴 공백기 동안에는 김용민 대신 사이렌 그림을 사용한 버전을 주진우 공식 부임 전까지 사용했다.] || '''주진우 라이브[br](2020.05.04 ~ 2023.11.11)''' || == 기타 == 보이는 라디오 실시간 스트리밍은 평일 방송만 제공되었다. 토요일 스페셜 방송은 KBS 제1라디오 유튜브 채널에서 영상을 시청할 수는 있는데, 화요일 [[KBS 열린토론]]처럼 최초 공개 방식으로 올라오는 별도의 영상 링크를 타야 하며, 녹음방송이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들어가면 영상이 나오지 않았다. 매년 한글날에 방송할 때 마다 타이틀을 '날 OOO'으로 바꿔 방송했다.[* 2019: 날 김용민/2020~: 날 주진우] 2019년 4월 1일에는 만우절을 맞아 [[김어준]]이 출연해 김용민 대신 오프닝 멘트를 하고, 김용민이 KBS 사장에 내정되어 오늘이 고별방송이라는 거짓말을 한 뒤 김용민과 관련한 팩트체크를 진행했다.[[https://youtu.be/qXwQIl58eg0|#]][* 여기서 후속 진행자는 양승동 당시 사장이라는 설정이다. 김용민 말에 의하면 양승동을 노잼 교육대에 보냈다고.] 이후 김어준은 2020년 2월 14일 김용민의 마지막 방송 당시 클로징 멘트 직전에 전화연결로 출연해 '방송 하차를 결정한 김용민이 전화를 안 받아서 KBS로 전화를 걸었다'며 김용민에 대한 격려의 멘트를 했다.[[https://youtu.be/MWFFB_2zgRs?t=2892|#]][*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현 20대 대통령)에 대한 입장 차이로 갈라진 지금 시점에서 곱씹어보면 조금 씁쓸하다고도 할 수 있다.] 2019년 6월 16일 서울 마포구 벙커1교회[* 김용민이 담임전도사~목사로 시무하고 있는 교회다.]에서 '자중 콘서트'란 이름으로 첫 공개방송 녹화를 진행했다. 녹화본은 6월 20일에 송출됐다. 2021년 12월 14일에 발생한 [[2021년 제주 서귀포 해역 지진]] 때 방송에 출연한 기자의 핸드폰으로 [[긴급재난문자]]가 울린 적이 있다.[[https://youtu.be/6aood4tZgIc|영상]] 동년 동월 31일 송년특집으로 공개방송을 진행했다. 주진우로 진행자가 바뀐 이후의 첫 공개방송이었으며, 제목은 'Live(라이브), Live(리브), Love(러브)', 출연진은 [[이날치]],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목소리 출연), [[김용옥]], [[원슈타인]], [[유시민]], [[노브레인]]. == 둘러보기 == [include(틀:KBS 제1라디오)] [include(틀:KBS AM)]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KBS 제1라디오/프로그램, version=641, paragraph=2.3.2)] [[분류:KBS 라디오]][[분류:주진우(1973)]][[분류:2018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20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23년 종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