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한국-아프가니스탄 관계)] [include(틀:대한민국 재외 외교공관)] ||<-3>
[[파일:대한민국 국장.svg|width=50px]][br] {{{+2 {{{#ffffff '''주아프가니스탄 대한민국 대사관'''}}}}}}[br]{{{#ffffff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Afghanistan}}}[br]{{{#ffffff په افغانستان کې د کوریا جمهوریت سفارت}}} || ||<-3> {{{#ffffff '''지도'''}}}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25.34422590639538%2C51.51621942518811, 너비=100%, 높이=100%)]}}} || || '''소재지''' ||<-2>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30]] New Diplomatic Area, Al Shabab St., Onaiza-66, [[도하|Doha]] || || '''국가'''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대한민국]] || || '''대사''' ||<-2> 최태호 || || '''상급기관''' ||<-2> [[파일:외교부 MI.svg|width=30]][[외교부|대한민국 외교부]] || || '''업무시간''' ||<-2> 일~목 7:30~12:00 13:00~15:30[*A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로 인한 카타르 대사관으로 업무 이전.] || || '''전화''' ||<-2> +974-4483-2238~9[*A] || || '''홈페이지''' ||<-2> [[https://overseas.mofa.go.kr/af-ko/index.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주아프가니스탄 대한민국 대사관'''은 [[아프카니스탄]] [[카불]]에 위치했던 한국 대사관이다. [[2021년 아프가니스탄 철수]]로 인해 현지 대사관은 폐쇄되어 [[카타르]] [[도하]]의 [[주카타르 대한민국 대사관]]에서 임시 공관 업무를 수행중이다.[[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03&aid=0010668546|#]] == 역사 == 원래 아프가니스탄은 60년대에 한국과 수교했지만, 70년대에 왕정이 무너지면서 공산주의 정권이 세워지고 [[냉전]]당시에 한국의 적성국이 되자 외교관계가 끊어졌다. 90년대에 아프간의 공산정권이 무너졌지만, [[탈레반 정권]]이 등장하면서 아프간과는 수교하지 못했다. 2000년대 초에 [[탈레반]] 정권이 무너진 뒤에 과도 정권이 들어서며 한국과 아프간은 재수교했다. 2021년 8월 15일부로 아프간 전역과 카불이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탈레반에 의해 함락당하자]] 아프가니스탄 현지 시간으로 같은 달 17일 오전 3시 대사를 비롯한 공관원 전원이 남은 교민을 데리고 [[외교공관 철수|철수]]하였다.[* 이라크는 2014년에 [[다에쉬]]가 이라크 영토의 대부분을 차지할 때 위기에 처한 적이 있었지만, 이라크군이 다에쉬를 몰아내면서 상대적으로는 잠잠해졌다. 반면, 주리비아 대한민국 대사관은 [[2차 리비아 내전|리비아 내의 상황]] 때문에 튀니지로 이전했고, 주예멘 대한민국 대사관은 [[예멘 내전(2015년)|예멘 내 상황]] 때문에 사우디아라비아로 옮기면서 상황이 안 좋은 편이다.] 이후, [[https://www.google.com/maps/place/South+Korean+Embassy,+Onaiza,+Doha,+%EC%B9%B4%ED%83%80%EB%A5%B4/@25.3442224,51.5162355,18z/data=!4m6!1m3!3m2!1s0x3e45c4963d7becc3:0x1dad9f19e963306a!2zOEdKUCtKUFAgRW1iYXNzeSBvZiB0aGUgUmVwdWJsaWMgb2YgS29yZWEsIERvaGEsIOy5tO2DgOultA!3m1!1s0x3e45c3534381f731:0x818fa759c918d00d|주카타르 대사관]]에 임시 공관을 마련했다. == 기타 == 아프가니스탄은 2007년 이후로 한국 정부에서 [[여행금지|여행금지국가]]로 지정했지만, 아프간은 [[이라크]]와 함께 여행금지국가중에선 우리나라 대사관이 존재하는 국가였다. 2020년 11월 24일에 이자형 주아프간 대사가 아프간 정부 훈격 3등급의 권위 있는 훈장을 받았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4&sid2=231&oid=001&aid=0012045384|#]] [[2021년]]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아프가니스탄에서 일어난 탈레반의 카불 함락]] 이후 주 카타르 대사관에 임시 공관을 마련했다. 이후 [[미라클 작전]] 수행을 위해 주아프가니스탄 대사관 공관원들이 다시 [[카불 국제공항]]으로 이동하여 [[대한민국 공군|공군]]과 함께 아프간인 수송을 도왔다. == 관련 문서 == * [[한국-아프가니스탄 관계]] [[분류:대한민국 외교부]][[분류:한국-아프가니스탄 관계]][[분류:2002년 설립]][[분류:대한민국 재외 외교공관]][[분류:나무위키 외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