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진의 장수 朱序, rd1=주서(동진))] [include(틀:중국 흠정 24사)] ||<-2> '''{{{+1 주서}}}[br]周書[br]Book of Zhou''' || || '''저자''' ||[[영호덕분]]|| || '''시기''' ||[[7세기]] [[당나라|당]]|| || '''언어''' ||[[한문]]|| || '''권 수''' ||50권|| || '''분량''' ||524년 ~ 581년 (57년)[br] [[효명제]] 10년 ~ [[주정제]] 3년|| [목차] [clearfix] == 개요 == 周書 중국 정사 [[24사]] 중 하나이다. [[서위]]의 후계 왕조인 [[북주]]의 [[기전체]] 정사이다. 557년 [[서위]]에서 선양받고 건국한 후 581년 [[수나라]]에게 멸망한 25년의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628년에 [[방현령]]을 총재로 임명하고 편찬이 시작하여 636년, ‘정관오사(貞觀五史)’로 불리는 『[[북제서]]』, 『[[수서]]』, 『[[양서(역사책)|양서]]』, 『[[진서(남조역사책)|진서]]』와 함께 동시에 간행되었다. 특이할 점은 문제 [[우문태]] 등 북주의 성립 이전 역사도 서술되어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우문태가 사실상 서위의 실권자였기 때문에 그를 따른 인물들을 수록했기 때문이다.] == 편찬 과정 == 이전에 수나라의 우홍(牛弘)이 『주사(周史)』를 편수하려고 했으나 애석하게도 끝맺지 못했고, [[당나라]]가 건국된 후에 『주서』를 통해 매듭지었다.『주서』는 『수서』를 제외한 [[남북조시대]]의 역사서와 다르게 관인들에 의해 편찬되었기 때문에 국가적인 성격이 짙다. == 구성 == [include(틀:주서)] 제기(帝紀) 8권, 열전(列傳) 42권, 총 5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열전 41~42권에 한반도와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열전제41 이역 (異域)上 - 고려, 백제, ・만·獠, 당창(宕昌), 등지・白蘭・氐・稽胡・庫莫奚 ][* 열전제42 이역下 - 돌궐, 토욕혼(吐谷渾), 고창, 선선(鄯善), 焉耆・亀茲・于闐・囐噠・粟特・安息・波斯 ] === 제기(帝紀) === 1. 제기제1 - [[우문태|문제]] 상권 1. 제기제2 - [[우문태|문제]] 하권 1. 제기제3 - [[효민제]] 1. 제기제4 - [[명제(북주)|명제]] 1. 제기제5 - [[무제(북주)|무제]] 상권 1. 제기제6 - [[무제(북주)|무제]] 하권 1. 제기제7 - [[선제(북주)|선제]] 1. 제기제8 - [[정제(북주)|정제]] === 열전(列傳) === == 의의와 평가 == 북주는 비록 단명왕조이지만 [[무천진 관롱집단]]을 중심으로 세워졌기 때문에 [[중국사]]를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국가이다. 즉, 『주서』는 한족과 이민족의 융합을 함의하고 있는 사서이다. 총 50권으로 비교적 적은 양이나 존속기간이 짧다는 점을 감안하면 꽤 충실한 편이다. 북주의 문헌을 체계적으로 집필한 유일무이 역사서이며, 이 시대를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책이다. 주서는 [[위서(역사책)|위서]]나 [[북제서]]와 마찬가지로 관리가 부실하여 당송 시기를 거치면서 많은 부분이 산일되었다. 현존하는 주서는 북사를 참고하여 산일된 부분을 보충하였기 때문에 당대의 주서와 현존하는 주서는 많이 다르다. == 관련 [[고사성어]] == * 진충보국(盡忠報國) [[분류:남북조시대]][[분류:중국 정사]][[분류:관찬사서]][[분류:기전체]][[분류:단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