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파일:퐁퐁.jpg|width=50%]] [[파일:주방세제.jpg]] == 개요 == {{{+2 Kitchen detergent}}} 주로 [[주방]]에서 [[설거지]]에 사용하는 [[세제]]를 뜻한다. == 분류 == 대한민국 [[식약처]]의 [[https://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C%9C%84%EC%83%9D%EC%9A%A9%ED%92%88%EC%9D%98%EA%B8%B0%EC%A4%80%EB%B0%8F%EA%B7%9C%EA%B2%A9|위생용품의기준및규격]]의 제3 개별 기준과 규격에 따르면 '세척제'이며, 과일·채소용 세척제, 식품용 기구·용기용 세척제, 식품 제조·가공장치용 세척제로 나뉜다. [[http://www.chemica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30|과거에는 1종, 2종, 3종 세척제라고 분류하였으나 오인을 방지하기 위해 개정안으로 변경]]된 명칭이다. * 과일·채소용 세척제(1종 세척제) 일반적인 가정이라면 가장 쉽게 접하는 주방세제로 2·3종 세척제와 다르게 효소 또는 표백작용을 하는 성분이 들어가는 걸 법적으로 막고 있으며 [[계면활성제]]가 들어가더라도 생분해도 기준을 통과해야 하므로 식기 외에도 과일과 채소를 씻을 수 있다. 흔히 [[수세미]]나 [[해면|스펀지]]에 소량 묻혀 사용하지만 적정량을 물에 희석하고 나서 식기를 담근 후 씻어내는 것이 적절한 사용법이다. 가장 널리 알려진 주방세제 제품은 [[퐁퐁]]과 [[트리오]]이며, 퐁퐁은 유명하다 못해 [[대한민국]] 한정으로 [[상표의 보통명사화|주방세제의 보통명사가 되어 버렸다]]. 군대에서는 ~~원래 잘 보급이 안 되는지 아니면 중간에 간부가 착복하는지~~ 가뭄에 콩 나듯 보급되는 물품이었다. 그래서 취사장에서 개인 식기세척시에 이 세제를 아끼려고 소대별로 큰 통에다 보급받은 빨래비누와 물을 넣고 거기에 약간의 주방세제를 넣어 마구 섞어 사용하는 일이 다반사였다. 물론 거품도 잘 나고 빨래비누로 인해 세정력도 뛰어나 효율이 아주 좋은 방법이었다. * 식품용 기구·용기용 세척제(2종 세척제) 가공기구와 조리기구 등 식품 기구나 용기의 세척을 위한 세제이며 [[식기세척기]]용 세제도 여기에 속한다. * 식품 제조·가공장치용 세척제(3종 세척제) 식품 제조 기구 세척을 위한 세제이다. 이외에도 자동 식기세척기에 쓰이는 헹굼 보조제([[린스]])가 존재한다. [[분류:위생 용품]][[분류:설거지용 도구]][[분류: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