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백제]][[분류:품계]][[분류:고이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관직)] [목차] == 개요 == [[백제]] 16관등 중 제1등. [[국무위원]]급에 해당하는 벼슬이다. == 구성과 연혁 == 백제 초에는 좌보(左輔)·우보(右輔)라고 하는 직책이 있었다. 좌보와 우보는 [[재상]]에 견줄 만한 최고위직으로 국정과 군사 등 국내외의 중대사를 맡았다. 『[[삼국사기]]』에서는 [[고이왕]] 시기인 260년에 16관등제도가 정비되면서 6좌평이 설치됐다고 하는데, 6좌평의 분화는 그보다 후대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중국의 사서에서는 『[[북사]]』나 『[[주서]]』에서는 좌평의 인원이 5명이라고 하며, 『[[구당서]]』에서 비로소 6좌평을 설명한다. 408년부터는 [[부여신]]을 시작으로 재상에 해당하는 [[상좌평]]이 임명되기도 했다. 백제 말에는 657년 [[의자왕]]의 서자 41명이 한번에 좌평에 임명되거나, 백제의 속국인 [[탐라국]]의 왕 [[도동음률]][* 그는 사태를 관망하다 [[백제부흥운동]]이 승산이 없자 신라에 항복하는데, 신라 항복 당시 좌평을 칭했다.]이나 왕자들도 좌평을 칭하는 등 구성 인수에 큰 변화가 생긴다. 『삼국사기』 직관지에 따르면 삼국통일 이후 달솔 이하 장덕까지의 백제 여섯 관등이 [[일길찬]] 이하 [[대오]]까지의 신라 관등으로 편입되는데, 좌평은 따로 언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신라본기 [[태종 무열왕]] 7년(660) 11월 22일 기사를 보면 [[충상]], [[상영]] 등 좌평에게도 [[일길찬]]의 관등이 주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좌평 아래 달솔부터는 신라 제도상 [[5두품]] 취급인데 좌평 이상은 [[6두품]]급으로 적용한 것이다. 이후 충상은 신라 17관등 중 6등인 [[아찬]]까지 승진한다. == 역할 == || 이름 || 역할 || || 내신좌평(內身佐平) ||왕명의 출납[* 오늘날 [[대통령비서실장]]의 격이다. 좌평 중 가장 서열이 높았다는 점에서 고려 및 조선시대의 이부와 [[이조(조선)|이조]]에도 대응된다.] || || 내두좌평(內頭佐平) ||창고와 재정 관리[* 고려 및 조선시대의 호부와 [[호조(조선)|호조]], 오늘날 [[기재부장관]]의 격이다.] || || 내법좌평(內法佐平) ||예법, 의례 담당[* 고려 및 조선시대의 예부와 [[예조]], 오늘날 [[외교부장관]]과 [[문체부장관]]의 격이다.] || || 위사좌평(衛士佐平) ||왕궁의 숙위[* 오늘날 [[대통령경호처장]]의 격이다.] || || 조정좌평(朝庭佐平) ||형벌, 감옥 담당[* 고려 및 조선시대의 형부와 [[형조]], 오늘날 [[법무부장관]]의 격이다.] || || 병관좌평(兵官佐平) ||지방의 군사 담당[* 고려 및 조선시대의 병부와 [[병조]], 오늘날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장관]]의 격이다.] || 『삼국사기』에서 설명하는 각 좌평의 역할로 『구당서』의 서술과 같다. 좌평은 여러 귀족 중에서도 으뜸으로 재상을 뽑거나 정사를 의논하는 귀족 회의에 참여하기도 했으며, 『[[삼국유사]]』에는 이러한 귀족 회의[* 사비시대부터는 [[정사암]]에서 진행돼 '정사암 회의'라고도 한다.]에서 재상을 선출하는 과정이 묘사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