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좌익수, from=좌익, rd1=좌익수)]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SpuriousVerdantEnthusiasticBaseball, 합의사항1=정당 문단에 공식적으로 좌파 정당임을 주장하는 정당만 기재하기)] [include(틀:정치적 스펙트럼)] [목차] == 개요 == '''좌파'''([[左]][[派]], the left) 또는 '''좌익'''([[左]][[翼]], left wing)은 사회적 [[평등]]을 지지하고 [[평등주의]]의 실현을 추구하며, 사회적 [[계층]] 질서에 반대하는 [[정치적 스펙트럼]]으로 [[우파]]와 대립하는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관심과 사라져야 할 부당한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인류 사회의 번영을 위해서는 개인이 협력적이고 상호존중적인 관계에 참여해야 하며, 지위·권력·부의 [[양극화]]가 완화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현대 민주 국가의 정치에서는 기존의 사회계급에 반대하는 [[진보주의]], [[자유주의]]적인 사상들을 가리키는 단어로도 쓰인다. 주로 [[경제민주화|경제 영역에서의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데 관심을 둔다. 일반적으로 [[중도좌파]]로 여겨지는 [[사회자유주의]]와 [[사회민주주의]]가 좌파의 주류이지만, [[사회주의]], [[공산주의]], [[마르크스주의]], [[아나키즘]] 등 [[19세기]]와 [[20세기]]에 유행했던 사상들도 아직 남아있다. 이에 더해 [[문화적 자유주의]], [[페미니즘]][* 그러나 [[래디컬 페미니즘]](특히 '''[[상호교차성]]'''을 부정하는 부류)은 일반적으로 좌익 정치에 포함되지 않는다.], [[생태주의]], [[평화주의]] 등 또한 좌파와 관련이 깊다. == 유래와 역사적 정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좌파/유래와 역사적 정의)] [[프랑스 혁명]] 당시 국민공회(Convention Nationale) 의장석의 시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왕당파]], 왼쪽에 공화파의 자리를 배치했다. 이후 공화파가 [[왕당파]]를 타도한 뒤 구성한 1792년 국민공회에서는 왼쪽(Gauche)에 [[민중]]을 대표하는 [[클뢰브 데 자코뱅|자코뱅당]]의 [[몽테뉴파|급진 공화파]]가, 오른쪽(Droit)에 [[지롱드파|온건 공화파]]가 앉았던 데에서 [[기원]]한다. '좌파'로 간주되는 사상이 무엇인지는 계속 달라져 왔다. [[18세기]] 후반 [[자유민주주의]]가 싹을 틔우기 시작할 때, [[왕당파]]와 달리 계층적 의사결정에 반대하는 '좌파'는 [[미국]]에선 [[자유주의]], [[프랑스]]에선 [[공화주의]]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 현대적 경향 == [include(틀:좌우간의 현대적 경향)] === 사회, 문화 === 좌파는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에 합당한 결과로 분배가 이루어진다는 것에 대해서도 부정적이지만 개인의 역량과 기회[* 지적, 신체적 역량 뿐 아니라 성실성이나 사회성 등 간접적 역량도]라는 것도 사회적 요인에 의해 불공평하게 결정되는 측면이 크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렇기 때문에 ([[차별|부당하게 기회를 억압받을 확률이 큰]]) 성소수자나 이민자 등 소수자의 권리 문제에 매우 민감하며,[* 다만, 이것은 보수적인 한국/일본/미국적 시각에 가깝다는 지적도 있다. 소수자 권리 대변은 유별난 좌파가 아니더라도 자유주의 전반이 추구해야 할 기본 가치에 가깝기 때문이다. 가령 유럽, 중남미의 경우 중도 자유주의, 중도우파적 자유주의자들도 이러한 가치를 지향한다. 심지어 몽골, 베네수엘라 등 자유주의가 범우파로 간주되는 지역에서는 중도좌파~극좌 사회주의자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성소수자나 이민자 등 소수자 권리를 지지하기도 한다.] 교육분야에서는 수월성 교육이 아닌 평등한 출발점을 마련하는 교육[* 예: 고교평준화, 대학평준화, 특목고·자사고 폐지]에 더 주의를 기울인다. 역시 문화적인 측면에서 문화의 통합화, 문화제국주의, 자국문화중심주의에 부정적이며 문화상대주의와 문화다양성 보존을 중시한다. 범죄에 있어서도 [[엄벌주의|개인의 책임과 징벌 관점]]에서만 보기보다 그 배경이 되는 사회적 환경에 더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https://blog.naver.com/edupeacenet/221404418727|참고글]] [[미국]]의 예로 흑인이 평균 성적이 낮으니까 대학 입학율이 낮은 건 당연하다고 보는 것이 우파적 입장이고, 같은 사람인데 인종적으로 성적 차이가 나는 것은 흑인이 공부할 환경이 되지 못하는 사회의 문제이므로 대학 입학생 선발 시 흑인을 더 우대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 좌파적 입장이다. 여기에 인종뿐 아니라 젠더 등 다른 정체성이나 기타 사회/경제적 배경도 들어갈 수 있다.[* 실제로 영어위키백과에서는 어퍼머티브 액션 반대를 사회보수주의의 입장으로 분류할 정도로 서구권에서 좌우로 확실히 갈리는 의제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Category:Opposition_to_affirmative_action|#]]] 경쟁보다 공생을 추구하는 성향 때문인지 외교 관계에 있어서도 국가 간의 세력 관계를 중시하는 현실주의보다 평화주의, 반전, 이상주의 성향을 보이고 국제적 합의와 연대를 중시한다.[* 소위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라고 말하는 그것이다. 그 외에도 [[민족자결주의]] 또한 중시하는 점이 대표적이다.] 또한 제도적 대의민주주의는 경제력이 큰 사람들에게 유리할 수 있다고[* [[카를 마르크스]]는 이에 대해서 부르주아 계급의 독재라고 말한 바 있다.] 보고, 시민단체 등을 통해 일반 시민의 목소리가 선거 이외의 방법으로 반영되는 직접/참여민주주의 방식을 선호한다. === 경제 === 경제적으로는 일반적으로 누진세, 증세, 복지확대, 사회보험 확대, 근로자 권리 강화를 지지한다. 우파는 정부가 개입하는 것보다 시장에 맡겨 두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성장에 유리하다고 생각한다. 그들의 주된 가치는 성장과 효율이다. 반면 좌파는 성장과 효율 외에 분배, 의사결정 상의 민주성[* 우파는 특정 대안이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민주성이 결핍될지라도 그 대안이 가장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결과를 가져다준다면 민주성 결핍은 해당 대안의 정당성을 근원적으로 해치지 않는다고 본다. 반면에 좌파는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민주성 결핍은 그 대안의 정당성 자체를 크게 훼손시킨다고 본다.], 환경 같은 다양한 가치를 더 신경쓰는 편이다. 또한 우파는 불평등을 개인의 능력이나 노력의 차이에 의한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인정하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범죄나 일탈 행위도 개인의 책임으로 보고 엄격한 처벌을 지지하는 경향이 강하다. 좌파가 '결과의 평등'을 지향한다는 것은 50~70년대 [[반공]]세대(혹은 그 영향을 받은 이들)들이 가지는 흔한 착각이다. 예컨대 오늘날 좌파들을 대표하는 핵심 키워드중 하나인 '[[복지]]'라는 것은, "만약 사회적 경쟁에서 실패하더라도, 가진바 자본으로 쉽게 '다시 할 기회'를 가질 수 있는 부층에 비해 태생적으로 가지지 못한 빈층은 그러지 못하니, 복지제도를 통해 출발선을 같게 하자라는 개념에서 접근해야 하는 것이지 ('''시작의 평등'''), "많이 버는 놈의 잉여생산물을 뺏어 없는 놈에게 나눠줘야 한다는 개념(부의 재분배와는 다른 개념)"이 아니다. 그러니까 대재벌 회장 딸이나 시골깡촌 딸이나, 중산층 아들이나 상류층 아들이나 출발선은 같게 하되, 그 이후는 본인의 노력과 복지제도의 혜택 등으로 일구어 나가라는 것이다. 결과의 평등은 극좌의 용어지 일반적인 좌파의 용어는 아니다. 참고로 기회의 평등은 자유주의 쪽의 용어로 조건의 평등과는 다르다. 기회의 평등은 기회만 열어 놓았을 뿐, 출발선(조건)은 제각기 다른 반면, 조건의 평등은 기회+출발선까지 포함하는 내용이다. 한편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좌파의 근본이념은 '''사적 소유 철폐에 따른''' 계급의 소멸이며 이를 위한 수단으로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통한 생산수단의 국유화(혹은 사회화)을 강조한다.[* 전위당에 좀 더 초점을 맞춰 생산수단을 노동자가 소유하지만 이를 지도하는 전위대가 중앙을 독점하는 식이라면 [[레닌주의]]에 가깝고 반대로 중앙을 누가 통제하는 것이 아닌 노동자들이 스스로 평의회를 통해 이끄는 것은 [[좌파공산주의]]에 가깝다.] 풀어 말하면 하부토대를 구성하는 생산수단을 소수 부르주아가 독점하는 것이 아닌 [[노동자]]들이 직접 소유한다면 상부토대를 이루는 [[국가]], 젠더문제, [[인종차별]], 부의 독점등의 문제는 마치 자연스레 처음부터 없었던 것 처럼 '''소멸'''한다고 본다. 마르크스주의에게 경제관은 사회전반을 모두 아우르는 문제이고 그렇기에 [[사적 유물론]]에 입각하여 '''하부토대가 상부토대를 건설한다.'''라는 관점을 따르기에 이들은 계급투쟁에 좀 더 초점을 맞추는 편이다. 반대로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계열 특히 [[아나키즘]]은 이 하부토대와 상부토대를 거부한다. 이들은 [[인종차별]], [[국가]]의 [[권위주의]], [[자본주의]]의 억압은 단순히 생산수단을 프롤레타리아가 통제한다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기에 이는 소멸이 아닌 노동자들이 직접적으로 일어나 폐지해야한다고 본다.[* 단적으로 [[한국]]에서 [[베트남]] [[동성애자]] [[여성]] [[외국인 노동자]]가 단순히 생산수단을 쥔다고해서 완전히 평등해지고 자유로워지는 것은 아니다!가 대표적인 이들의 논리이다.] 그렇기에 이들은 노동자들의 자발적인 노동조합, 연대를 주장하고 진정으로 모든 인간이 자유로워지기 위해서는 이러한 불평등적인 인식 자체를 바꿔야한다고 주장한다. 최근에는 사회간접자본 같은 공공재 공급에 있어서도 민관 합동 자본을 운용하는 것과 같이 좌파적 정책과 우파적 수단이 결합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애초에 국가를 통해 이상을 실현하느냐 시장의 자율성을 존중하느냐가 국가경제에 있어서 좌우파를 나누는 기준이었던 것인데, 현대에 와서는 기업이 사회에 기여하는 역할이 이전의 그것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해진 결과 국가가 아무리 잘하려고 노력해도 더 이상 기업의 개혁 속도를 쫓아가지 못하게 되어 정부의 역할을 축소하거나 기업에 그 역할을 이전시키려고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민영화 같은 사안이 계속 이슈가 되고 있긴 하지만 예전보다 좌우파 갈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든 편이고, 그보다는 개인의 인권, 소득의 불평등 해소, 기업에 대한 규제 같은 쪽의 이슈가 중시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금융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에 대항한 [[대안세계화]]적 입장을 취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는 국제적 불평등에 대한 반대의 관점을 가졌기 때문이며, 대다수 좌파는 [[국제주의]]를 지향하고 [[국수주의]], [[민족주의]]를 혐오한다.[* [[세계주의]](globalism)와 좌파들의 국제주의(internationalism)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 주의점 === 하지만 계속 말하지만 이상의 구분은 대체적으로 그렇다는 것이다. 국가의 역할 부분에 대해서 좀더 살펴보면, [[생산수단]]을 국가가(혹은 사회가) 소유하냐와 안 하냐에 따라서 생산수단 즉 공장, 토지등을 사회나 국가가 소유하게 하는 쪽이면 좌파에 가까우며[* 물론 생산수단을 국유화, 사회화하는 이들 중에서도 [[우파]]는 충분히 존재한다. 조합주의적 [[파시즘]]이 대표적인 쪽이다.] 반대로 이 생산수단을 [[민영화]]하자는 쪽이면 우파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기본적으로 많은 세금과 많은 복지 지출을 좌파로 여기는 사람이 있으나 전혀 아니며 많은 세금과 많은 복지 지출을 하는 목표로 하는 이들을 항상 좌파라고 하긴 힘들다. 대표적으로 독일의 [[기민련]]은 많은 복지와 많은 세금을 주장하지만 좌파가 아닌 [[우파]]정당으로 보이는 것이 대표적이다. 좌파를 역사적인 관점에서 크게 구분해 보자면 [[구좌파]]와 [[신좌파]]로 구분할 수 있다. 인터넷 상에서 레이몽 아롱과 시어도어 루즈벨트가 똑똑하거나 양심적이면 좌파를 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는 낭설이 돌고 있는데 사실이 아니다. 애초에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역사적인 맥락에서는 '''범좌파로 분류된다'''. 좌파 성향에 가까웠던 정치인이 그런 주장을 했다는 것 자체가 넌센스인 셈.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우파, version=978, paragraph=2)] == 좌파의 분파 및 갈래 == 사실 일반인 입장에서 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실상 이쪽도 계보가 '''아주 복잡하다.''' 예를 들어 좌파의 대표격 사상인 [[사회주의]]는, 크게 [[공산주의]], [[사회민주주의]], [[민주사회주의]], [[아나키즘]] 등으로 쪼개진다. 그 중 공산주의만 해도 [[마르크스주의]], [[룩셈부르크주의]], [[레닌주의]], [[스탈린주의]], [[트로츠키주의]], [[마오주의]] 등이 얽히고 설켜 있다. 대체로 "좌파" 하면 자유주의/공화주의 좌파, [[사회주의]], [[공산주의]], [[무정부주의]], 또한 새롭게 대두된 [[생태주의]]와 [[해적당]] 계열 및 [[여성주의]]도 여기의 한 분파로 여겨진다. * '''[[사회주의]]''' * 이상적 사회주의[* 흔히 말하는 [[유토피아]]적 사회주의다. 사회주의를 도덕적인 이유로 달성해야한다는 쪽] * [[공상적 사회주의]] * [[기독교 사회주의]] * [[불교 사회주의]] * '''[[아나키즘]]'''[* 신좌파의 등장 이전부터 있었던 이념이나, 현대의 많은 아나키스트들은 신좌파로 분류되기도 한다.] * [[미하일 바쿠닌|아나코-집산주의]] 외에 많은 사회주의적 아나키즘 * [[개인주의적 아나키즘]] *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 이 쪽은 좀 더 넒은 개념으로 [[자유지상주의]]적 [[마르크스주의]] 또한 포함하는 개념이다.] * '''[[공산주의]]''' * '''[[마르크스주의]]''' ([[과학적 사회주의]]) * [[룩셈부르크주의]] * '''[[레닌주의]]''' * [[트로츠키주의]] * '''[[스탈린주의]]''' * '''[[마오주의]]''' * [[유럽공산주의]] * 개혁적 사회주의 * '''[[사회민주주의]]''' * '''[[민주사회주의]]''' * [[신좌파]] * [[자유사회주의]] * [[국제주의]] * 좌파 [[자유주의]] * [[급진주의]] * [[사회자유주의]] * 비판적 자유주의 * [[진보주의]] * [[제3의길]] [* 다만, 넓은 의미에서의 범좌파일 뿐 실질적으로는 좌파가 아니라고 보는 이들도 존재한다.] * 기타 * [[좌파 자유지상주의]] - 사회주의, 자유주의, 녹색 정치 등 스펙트럼이 넓다. * [[생태주의]],,([[녹색당]]),, * [[카피레프트]],,([[해적당]]),, * [[여성주의]][* 일반적으로 사회적 평등을 지향한다는 측면에서 정치적 좌파와 연관이 있어왔으나, 모든 여성주의가 좌파 성향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보수주의 페미니즘]]이나 고전적 자유주의 페미니즘(자유지상주의적 페미니즘) 같은 우파나 중도에 가까운 사례도 존재한다.] == 정치구조에서의 좌파 == 좌파 정당들이 권력을 잡는 시기가 긴 나라에는 북유럽, 남아메리카[* 민주화 이후 한정], 남부 아프리카 등이 있다. 대부분의 국가들은 대체적으로 급진 좌파가 권력의 중심부보다는 주변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은 편. 보통 선거에서 좌파들은 처음부터 우파에게 한 수 접어주고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기득권인 우파들의 권력기반이 상당히 강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우파들이 대체로 현상 유지를 기조로 하기 때문에 [* 이건 인간이 동물인 이상 어쩔 수 없다. 먹고 사는 데 큰 문제가 없으면, 모든 동물은 기본적으로 주변 환경의 변화를 두려워한다. 새로운 상황에서 자신의 안전이 담보되지 않기 때문이다.] 사회 구조를 개혁하자는 기조를 가진 진보주의자는 불리한 상황에 놓일 수밖에 없다. 공무원(관료)[* 단, 우리나라의 경우 좌파 정권에서 주로 공무원 채용 인원 증가, 공무원 복지 확대 등의 정책을 주로 추진했기에 공무원들은 대체로 좌파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다. 간부급 공무원이 아닐수록 더욱 두드러진다. 단, 국가정보원 요원, 직업군인 및 군무원, [[경찰]], [[교정직 공무원]] 등은 공무원 직업군 중에서도 업무의 특성상 보수 성향인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 직업군인[* 단 우리나라의 경우 보수정권의 군 부재자투표 부정선거가 막히고 군인 출신 인물들이 민주당에도 입당하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군 복지 확대 정책을 추진하며 세대투표 구도의 영향도 받으면서 여론조사에 보이지 않는 것과 별개로 젊은 하급 장교와 부사관에서부터 상당히 중도화됐다.], 기업가 집단이 전 세계적인 기준으로도 대표적인 우파 집단이라 한다면, 노동자, 지식인(대학생도 포함), 예술가 집단은 보통 좌파 성향이 짙은 경우가 많다. 이는 역사적으로 전통적으로 보수우익의 주류가 사회문화적 보수주의 성향이 강하여 예술 창작물에 대해 검열하려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안티테제로서 자연스럽게 좌파 성향을 갖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대한민국의 좌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한민국의 사회주의)] 최소범주의 좌파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문서를 참조하되[* 해외에서도 좁은 의미의 단순 좌파는 사회주의에 국한한다. 가령 미국에서 일반적으로 좌파라고 부르는 현대자유주의가 아닌, 원론적인 [[https://en.wikipedia.org/wiki/American_Left|미국 좌파]]의 경우 [[미국의 자유주의|자유주의]],[[미국의 진보주의|진보주의]] 전반이 아닌 [[미국의 사회주의|사회주의]], [[녹색 정치]], [[미국연대당|일부 경제적 좌파]] 등의 의미에 국한하는 경향이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British_left|영국 좌파]], [[https://en.wikipedia.org/wiki/French_Left|프랑스 좌파]] 등도 '''사회주의와 사실상의 동의어'''로 간주되며, 일반적인 범좌파인 자유주의/좁은 의미의 진보주의는 대게 포함되지 않는다. 다만 한국의 경우, 좌/우익이 북한/남한으로 각각 나뉘어지고, 남쪽에는 우익만 남은 분단국가 특성상 보통 [[사회자유주의]]가 좌익 취급 받고, [[사회민주주의]]는 극좌(...) 취급이다.], 좀 더 폭넓은 의미에 중도좌파까지 포함한 좌파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문서,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 목록 == ※ 가급적 원내정당만 서술하시길 바랍니다. === 정당 === ##유럽연합은 맨 하단에, 그 외에는 국가별로 가나다순으로 정렬 바람## [[중도좌파]]나 [[극좌]]로 분류되는 정당은 기재하지 않는다. * 그리스: [[급진좌파연합]], [[유럽현실불복종전선]] *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프리카 국민회의]] * 네덜란드: [[녹색좌파당]], [[사회당(네덜란드)|사회당]], [[덴크]], [[BIJ1]] * 네팔: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 노르웨이: [[사회주의좌파당]] * 뉴질랜드: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녹색당]] * 도미니카 공화국: [[현대혁명당]] * 대만: [[대만기진]] * 덴마크: [[사회주의인민당]] * 독일: [[좌파당(독일)|좌파당]] * 멕시코: [[민주혁명당]], [[국가재건운동]], [[노동당(멕시코)|노동당]] * 미국: [[노동가족당]], [[녹색당(미국)|녹색당]] * 베네수엘라: [[베네수엘라 통일사회당]] * 브라질: [[노동자당]], [[민주노동당(브라질)|민주노동당]] * 서사하라: [[폴리사리오 전선]] * 스웨덴: [[좌파당(스웨덴)|좌파당]], [[여성주의구상]] * 스페인: [[수마르]], [[포데모스]], [[스페인 공산당]], [[인민통일후보]] 대한민국: 더불어민주당, 정의당, 진보당 * 아이슬란드: [[좌파녹색운동]], [[인민당(아이슬란드)|인민당]], [[아이슬란드 사회당]] * 아일랜드: [[신페인]] * 영국: [[플라이드 컴리]], [[녹색당(잉글랜드 웨일스)|녹색당]], [[스코틀랜드 녹색당]] * 오스트리아: [[녹색 - 녹색 대안]] * 이스라엘: [[메레츠]], [[공동 명단]] * 이탈리아: 좌파당[* 혹은 자유와 평등] * 일본: [[일본 공산당]][*c 해당 정당들은 대부분의 서방 국가 공산당들처럼 친체제화되었다.], [[레이와 신센구미]], [[사회민주당(일본)|사회민주당]] * 인도: [[인도 공산당]][*c] * 캐나다: [[신민당(캐나다)|신민당]], [[캐나다 녹색당]] * 콜롬비아: [[인간적인 콜롬비아]] * 칠레: [[칠레 사회당]], [[민주혁명당(칠레)|민주혁명당]], [[사회융합당]], * 튀르키예: [[인민민주당(튀르키예)|인민민주당]] * 파라과이: [[과수 전선]] * 팔레스타인: [[파타]] * 포르투갈: [[좌파연합(포르투갈)|좌파연합]] * 폴란드: [[폴란드 이니셔티브]], [[레비차 라젬]] * 푸에르토리코: [[시민승리운동]] * 핀란드: [[좌파동맹]] * 필리핀: [[필리핀 민주당]] * 프랑스: [[좌파당(프랑스)|좌파당]] * 호주: [[호주 녹색당]] * 유럽연합: [[유럽 연합 좌파-북유럽 녹색 좌파]](GUE/NGL), [[녹색당-유럽자유동맹]](Greens/EFA) === 언론 === 중도좌파 성향 신문은 여기에 기술하지 않는다. * 네덜란드: 프론탈 나크트 * 독일: 타게스차이퉁[* Die Tageszeitung. 약칭은 taz. [[신좌파]], [[민주사회주의]] 성향 좌익언론이다. 대체적으로 사민당과 녹색당에 호의적이다. 자본에 얽매이지 않기 위해 신문에 광고를 싣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노이에스 도이칠란트[* Neues Deutschland. 약칭은 ND. 과거 [[동독]]의 집권당이었던 [[독일 사회주의통일당]]의 기관지였다. 현재는 [[좌파당(독일)|좌파당]]과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대한민국: [[오마이뉴스]], [[미디어오늘]], [[뉴스타파]], [[프레시안]], [[민중의 소리]] * 미국: [[허핑턴포스트]][* [[버니 샌더스|샌더스]]나 [[엘리자베스 워런|워런]], [[알렉산드리아 오카시오-코르테스|코르테스]] 등 좌익 포퓰리스트들도 우파 포퓰리스트 못지않게 비판하는 다른 중도좌파 리버럴 언론들과 달리 여기는 그들에게도 호의적이며 미국 보수진영에 상당한 적의감을 보일 정도로 좌파/진보주의성향이 강한 언론이다.] * 일본: [[주니치 신문]], [[아카하타]][* [[일본 공산당]]의 기관지. 평일판은 당보의 성격을 띠지만, 일요판은 일반 신문의 기능을 한다.] * 프랑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르몽드와 자매지이지만 르몽드는 사회민주주의적 중도좌파 성향이고 이 언론은 반자본주의,사회주의 좌익 성향으로 논조 차가 확실히 나뉜다.] [[뤼마니테]] == 같이 보기 == * [[강성좌파(계파)]] - 중도좌파 [[노동당(영국)]]의 강경(=좌익) 계파 * [[공화파(스페인)]][* 일부 중도우파 포함] * [[노동당 좌파]] - 중도좌파 호주 노동당의 강경(=좌익) 계파 * [[신민중생태사회연합]] - 프랑스의 범좌파 정당연합 * [[로자 룩셈부르크 재단]] - 좌익 정당인 [[좌파당(독일)]]의 싱크탱크 * [[역사적 좌파]] * [[신좌파]] * [[구좌파]] * [[넷 좌익]] - 일본에서 넷 우익의 대조된 의미로 사용된다. * [[보수좌파]] * [[중도 마르크스주의]] * [[프롤레타리아 정당]] * [[좌익 내셔널리즘]] * [[좌익대중주의]] == 둘러보기 == [include(틀:사회주의)] [각주] [[분류:정치적 스펙트럼]][[분류:로그 누락 문제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