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본의 없어진 정당]][[분류:혁신정당]][[분류:계파]][[분류:사회주의 정당]][[분류:반자본주의 정당]][[분류:일본 신좌파]][[분류:1950년 정당]][[분류:1955년 해체]][[분류:일본사회당(1945년)]] ||<-2> [[파일:좌파사회당.webp|width=100%]] || ||<-2> {{{+1 {{{#fff '''[ruby(左派社会党,ruby=さはしゃかいとう)] | 좌파사회당'''}}}}}} || || {{{#fff '''영어 명칭'''}}} ||Left Socialist Party of Japan || || {{{#fff '''창당일'''}}} ||[[1950년]] [[1월 16일]] || || {{{#fff '''해산일'''}}} ||[[1955년]] [[10월 13일]] || || {{{#fff '''활동시기'''}}} ||[[1945년]] ~ [[1996년]] || || {{{#fff '''이념'''}}} ||[[사회주의]] (일본형 사회민주주의)[br][[마르크스주의]][br][[마르크스-레닌주의]][* 1960년대 이후 사회주의 협회는 점차 좌경화되어 레닌주의적 성격을 띄었다.][br][[혁명적 사회주의]][br][[사회민주주의]] ,,(소수),,[* 새로운 사회당을 만드는 모임은 기존의 마르크스-레닌주의적 성격에서 벗어나 유럽형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의 전환을 추구했다. 이 파벌에 속한 대표적 인물로는 1983년부터 1991년까지 사회당 부위원장을 지낸 야마모토 마사히로 등이 있다.] || || {{{#fff '''성향'''}}} ||[[좌파|좌익]] ~ [[극좌]][* 다만 [[1980년대]] 이후로는 [[우파사회당]] 출신인 [[도이 다카코]] 등의 영향으로 극좌적 성향이 약해졌다. ] || || {{{#fff '''주요 정치인'''}}} ||사키사카 이츠로[* 向坂逸郎. 일본의 유명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로 일본사회당의 주요한 이론을 제공하였다.][br][[스즈키 모사부로]][br][[나리타 도모미]][* 본래 구조개혁파에 속했지만 위원장 재직 도중에는 당내 친중파에 포섭되었다.][br][[도이 다카코]][* 좌파사회당 내 대표적 우파로, 본래 [[우파사회당]]인 [[에다 사부로]]의 파벌에 있었으며 1980년대 사회당 좌파로 포섭된 이후로도 당의 상대적 우경화를 적극적으로 제지하지는 않는 모습을 보였다.][br][[오카자키 히로미]] || || {{{#fff '''정당'''}}} ||[include(틀:일본사회당(1945년))] || || {{{#fff '''연관 정당'''}}} ||[include(틀:신사회당)][br][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br][include(틀:민주당(일본))] ,,(일부),, || [목차] [clearfix] == 개요 == 1948년부터 1955년까지 존재했던 [[일본]]의 정당이다. 그 외의 시기에는 [[일본사회당]] 당 내 좌파 계파를 가리켰다. '''사회당 좌파'''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정확히는 정당으로서 좌파사회당은 그대로 '좌파사회당'이라고 하고, 사회당 당 내 좌파계파라는 의미는 '사회당 좌파'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편이다. == 역사 == 1948년 선거에서 사회당이 자유당과 민주당이라는 양대 보수당에게 참패한 이후 당은 일시적으로 해체되었고 이후 좌파사회당과 [[우파사회당]]이라는 정당으로 탄생했다. 1955년에는 두 당이 다시 합쳐서 사회당을 재결성했다. 90년대 이후 일부 사회당 좌파가 [[신사회당]]으로 빠져나갔다. 시간이 흘러 사회당 좌파 인사들 중 소수는 [[민주당(일본 1998년)|민주당]]으로 이탈했다.[* 대표적인 인사가 바로 [[쓰지모토 기요미]], [[요코미츠 카츠히코]] 등이다.] == 성향 == [[복지국가]] 건설, [[계급협조론]]에 기반한 [[사회당 우파]]와 달리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정치변혁을 추구했다. 다만 폭력적 투쟁을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라 민주적으로 변혁을 추구, 소위 '평화혁명'을 추구했다. 이들은 '유럽형 [[사회민주주의]]'가 친[[제국주의]],[[반공주의]]적이고 지나치게 자본과 타협적이라고 비판하며 초국적 계급연대를 포기했으며 자국에서조차 노동자가 진정 주인되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따라서 좀 더 투쟁적, [[반제국주의]]적, 노동자 중심적이며 [[마르크스주의]]적인 [[https://ja.wikipedia.org/wiki/%E6%97%A5%E6%9C%AC%E5%9E%8B%E7%A4%BE%E4%BC%9A%E6%B0%91%E4%B8%BB%E4%B8%BB%E7%BE%A9|일본형 사회민주주의]][*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에서도 나와 있듯 당시 일본사회당은 유럽식 사회민주주의 정당임을 부정하는 발언을 많이 했다.]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공투]]와 이후 [[일본 신좌파|신좌파]] 학생운동과도 연관이 있었고, [[나리타 투쟁]]도 적극 지지했다. 과격 폭력 성향도 두둔했기 때문에, 오히려 공산주의자들임에도 신좌파 학생들의 폭력성을 비난하며 사회당 좌파가 그들에게 유화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도 대차게 깐 [[일본공산당]]이 온건좌파로 보일 정도였다고 한다. 외교적으로도 친미,친서방격인[* 다만 사회당 우파는 내부정치에서는 온건 [[사회민주주의]] 성향을 보인 것과 별개로 정치인마다 외교적 견해는 케바케였다. 애초에 사회당 자체가 전반적으로 자민당에 비해서 친미적 성격이 약하기도 했고, 실제로 친중 성향을 보이다가 극우 반공주의 청년에게 암살당한 [[아사누마 이네지로]]도 사회당 좌파가 아닌 엄연한 사회당 우파였다. 물론 아사누마가 특이 케이스고 잔류 사회당 우파 정치인들 중에는 [[민사당]]과 비슷한 강경 친미 반공주의적 사회주의자도 있긴 했다.] 사회당 우파와 달리 북한과 중국에 상당히 호의적이였다. 또한 사회당 좌파들은 반북 성향이자 이념적으로는 더 왼쪽인 일본공산당과 달리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과도 매우 관계가 좋았다고 한다. == 여담 == 사회당 좌파가 주도하던 일본사회당의 이상주의, 극좌 성향 관련해서 좌파 성향의 한국인[* 정의당 청년 당원 모임 모멘텀 전 대표이자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15007466|<일본 자본주의 논쟁사>]]의 번역자 김동윤]이 패러디한 [[애기공룡 둘리]] [[https://0079char.tistory.com/38|2차 창작물]]이 있다. [[고길동]]이 [[우파사회당]][* 정확히는 [[에다 사부로]] 계열 [[구조개혁론|구조개혁파]]로 묘사되었다.], [[둘리]]가 좌파사회당, [[도우너]]가 총평 포지션으로 묘사되었다. 당시 사회당 좌파가 어떤 성향이였는지 대충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 같이 보기 == * [[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