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 청사)] ||<-3>
[[파일:종로구 CI.svg|width=20]][br] {{{+2 {{{#000 '''종로구청'''}}}}}}[br]{{{#000 鍾路區廳 | Jongno-gu Offic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종로구청 임시청사.jpg|width=100%]]}}} || ||<-3>{{{#!wiki style="margin: -5px -10px -11px" [include(틀:지도, 장소=종로구청, 너비=100%, 높이=100%)]}}} || || '''주소''' ||<-2>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길 36 대림빌딩[* 종로구청 신청사 착공으로 인한 임시청사 이전][* 종로구의회 및 일부 부서는 94빌딩(삼봉로 94)으로 임시 이전.] || || '''국가''' ||<-2> [include(틀:국기,국명=대한민국)] || || '''관할 구역''' ||<-2> [[서울특별시]] [[종로구]] || || '''직원 수''' ||<-2> 851명 || || '''예산''' ||<-2> 4,908억 원[* 2022년도 본예산. [[추경]] 편성 시 더 늘어날 수 있다.] || || [[종로구청장|{{{#000 '''구청장'''}}}]] || [[정문헌]] ,,(초선),,[* 민선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기] || [include(틀:국민의힘)] || || '''부구청장''' ||<-2> 마채숙[*3급 [[부이사관|지방부이사관(3급)]]] || || '''상급 기관''' ||<-2> [[대한민국 정부]] [[행정안전부]] [br][[서울특별시청]] || || '''홈페이지''' ||<-2> [[https://www.jongno.g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 '''SNS''' ||<-2> [[https://www.facebook.com/welcomejongn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jongnotong/?hl=k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ElvTSAbQjunKseoz1u_-0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jongno0401|[[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story.kakao.com/ch/jongnotong0701|[[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width=20]]]] | [[https://pf.kakao.com/_zAyHu|[[파일:카카오톡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종로구청 임시청사.jpg]] || || '''종로구청 임시청사''' || {{{+1 鍾路區廳[* [[한자]]] / Jongno-gu Office [* [[영어]]] / 鐘路区役所[* [[일어]]]}}} [[서울특별시]] [[종로구]]의 행정을 총괄하는 기관이자 그 기관이 입주한 건물로 구청을 견제하는 [[종로구의회]]와 같은 건물을 공유한다. [[조선시대]]부터 수도의 역할을 해온 [[서울특별시]] 중에서도 그 옛날부터 [[한성부|수도]]역할을 했던 [[한양도성]]안을 관할하는 지자체답게 구청 주변에 유명한 장소들이 많은데, 조금 읊어보자면 '''[[경복궁]]''', [[대한민국]] 정치 1번지 '''[[청와대]]'''[* 이 둘은 종로구청 입구([[주한미국대사관]] 건너편)에 서면 '''육안으로 볼 수 있다.'''], [[정부서울청사]], '''[[광화문광장]]''' 및 '''[[주한미국대사관]]'''[* 아예 '''바로 마주보고 있다'''.]이 위치하여 있다.[* 장관급 대사를 보내는 또 다른 국가인 [[주한일본대사관|일본의 대사관]]도 지척에 있으며, [[교보문고]] 역시 멀지 않은 곳에 있다.] 반면 그런 비범한 장소들을 주변에 두고도 정작 종로구청 자체는 거의 100년이 되어가는 건물을 쓴다는 점에서 더더욱 초라했지만, 신청사 공사로 이런 모습은 곧 옛말이 될것이다. == 역사 == [[조선]]부터 [[대한제국]], 그리고 [[일제강점기]] 초중반까지는 [[한성부]] 및 [[경성부]]가 직접 행정구역 전역을 총괄하였기에 이전의 역사는 한성 및 경성의 역사와 일맥상통하나 일제 말엽인 [[1943년]] [[6월 10일]]에 [[조선총독부]]가 총독부령 163호로써 경성부에 구제를 실시함에 따라 "종로구"로서의 역사가 시작된다. 여담으로 이 때 설치된 서울 최초의 7개구는 종로구와 [[중구(서울)|중구]], [[용산구]], [[서대문구]], [[동대문구]], [[성동구]], [[영등포구]].[* 따라서 이들 7개 구청의 법적 설립근거를 따지자면 1943년 '''[[고이소 구니아키]]가 발포한 [[조선총독부]]령''' 163호가 된다. (이후 [[미군정]]법령인 서울시헌장으로 계승)] || [[파일:종로구청 1959.jpg|width=100%]] || || [[1959년]]의 종로구청 앞 || 구제 실시 직후부터 [[1945년]]까진 [[서울교동초등학교|교동국민학교]]에 있다가 화재로 불 타, 이후 [[1947년]]까진 인사동 135번지에 위치하였으나[* 광복이전까지 천향원(天香園)이라는 [[요릿집]]이 있던 자리라고 한다], [[1947년]] [[12월 16일]], 구청 주변에 살던 최규식이라는 사람의 집에서 발생한 불이 번져 '''또 다시''' 불 타, [[1948년]]에 다시 짓게되었고, 이것이 위 사진 속 건물이다. 한 편, 이 때 당시 청사가 지어졌던 기간에도 구청이 임시로 입주한 곳은 현재 구청이 위치한 수송국민학교였다. --공간셔틀-- 아무튼 종로구청은 이 때 지은 건물을 약 30년간 사용하다가, 늘어난 인구로 말미암아 본관과 별관, 수도과가 따로 떨어져 있어 시민들에게 큰 불편을 안겨주었기에 1970년대에 본격적으로 옮기게 된다. || [[파일:종로구청 1978.jpg|width=100%]] || || [[1978년]] 청사 개청식에서의 [[구자춘]] 당시 [[서울시장]] || 구 청사는 [[1977년]] [[폐교]]한 수송국민학교 건물로, 건물 자체는 학교가 한참 전성기였던 [[1938년]]에[* 본래 1922년에 지어진 수송국민학교 건물은 1935년에 화재로 소실되었고 이후 1938년에 당시 최신 기술이던 콘크리트 건물로 새로 지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01230042000004|#]]] 지어졌다. 한편 구청이 학교가 완전히 폐교된 이후에 입주한게 아니라 당시 [[도심공동화]] 현상이 팍팍 진행되어 학생수가 점점 줄어들던 수송국민학교에 [[1975년]]부터 야금야금 이전하기 시작하여 [[1978년]] [[3월 29일]]에 완전히 이전작업을 마쳤다. 허나 이때 당시에도 지어진 지 '''37년'''이나 된 건물이었고, 이로부터 [age(1975-01-01)]년이 더 지난 현재는 '''[age(1938-01-01)]년''' 된 건물인지라 청사 신축 및 이전이 시급하게 보이나[* 서울시 전체 자치구에서 종로구청 다음으로 오래된 것이 현재 '''겨우 [age(1966-01-01)]년'''차인 [[광진구청]]이다. 이것도 안전 문제로 현재 인근 지역에 신청사를 신축중에 있다. 나머지 구청사는 대체로 1970년대 중후반 전후로 청사를 건축하여 그대로 쓰거나 일부 리모델링을 거쳐 사용중이다. 돈이 넘쳐나는 자치구라고 해도 신청사를 짓는 것은 쉽지만은 않다. 30년 된 구청사를 재건축하는 [[서초구청]]이나 [[서울시청]]의 후보 부지 활용을 위해 청사를 옮긴 [[용산구청]]의 사례도 있지만, [[강남구청]]의 경우처럼 입지가 좋은 곳의 땅값이 '''그''' 강남구 예산으로도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아 이전도 어렵고, 재건축을 하려고 해도 임시청사 입주도 쉽지 않아, 신청사 건축을 그냥 포기해버린 전례도 존재한다.], [[종로구]]가 '''생각보다는''' 돈이 별로 없는데다[* 사실 돈은 많다. 재정자주도는 [[서울]] 1위, 재정자립도는 서울 4위. 다만 예산이 규모에 비해 적게 편성되고, 문화재가 많아 관리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사대문안|도심]]으로 묶이긴 해도 세금을 내는 게 아니라 오히려 그 걷은 세금으로 운영되는 관청은 종로구에, 세금을 내는 기업 본사는 중구 쪽에 몰려있는 것도 하나의 이유.] 종로구 땅값도 [[헬게이트]]라 이전할 곳도 찾지 못했고, 설상가상으로 2010년대 이후 지자체들의 호화청사 신축이 도마에 오르면서 행정안전부 차원의 청사신축 자제령이 떨어져 현재 기준으로 '''[age(1938-01-01)]년 된 구청 건물'''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지만, 근래 구 재정을 아껴 모은 적립금으로 구청 신축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366&aid=0000240924|추진하고 있는 듯.]] 구 수송국민학교 건물인 본관은 서울시 미래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어 이 건물을 리모델링해 보존하고, 이후 증축된 건물들을 허물어서 신청사를 지을 준비를 하고있다.[* 그렇다고 기존에쓰이던 본관건물 전체를 보존하는것이 아닌 일부만 남기는 거다.] 한편, 구 수송국민학교 건물은 이미 종로구청으로 사용하면서 내부개조를 굉장히 많이 해놓은 상태라 [[문화재청]]에서 [[등록문화재]]로 지정하기 매우 껄끄러워하는 건물 중 하나다. 당장 수송국민학교 시절과 지금 종로구청은 건물 외형만 똑같지 사실상 남아있는 물건들이 거의 없다. 종로구청 임시청사는 대림빌딩과 94빌딩으로 이전하였다. == 종로구청 신청사 착공 == [[파일:종로구청 신청사 조감도.jpg]] [[파일:종로구청 신청사 조감도2.jpg]] 종로구청과 종로구청 옆에 있는 [[종로소방서]]를 통합 철거 후 종로구청, [[종로구의회]], [[종로구보건소]],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 [[서울종합방재센터]], [[종로소방서]] 6개 기관을 통합한 통합 신청사를 짓고 있다. [[2022년]] [[5월]] 착공, [[2024년]] [[10월]] 준공 예정이다. == 역대 구청장 == [[1943년]]부터 구제를 실시했기에 그때부터, 아니면 최소 광복 이후인 [[1945년]] [[8월 15일]] 이후에 취임한 구청장부터 1대로 세야 할것이고 이 때 당시의 구청장 또한 옛날신문 검색결과에서도 확인되는데 어째서인지 종로구청 공식 사이트에서는 [[1956년]]에 취임한 원근식 구청장부터 1대로 센다. || 대수 || 성명 || 임기 || || 1대 || 원근식 || 1956.09.17 ~ 1959.07.22 || || 2대 || 이명세 || 1959.07.23 ~ 08.24 || || 3대 || 김원하 || 1959.08.25 ~ 1963.05.27 || || 4대 || 김한상 || 1963.05.28 ~ 1964.01.15 || || 5대 || 배성환 || 1964.01.16 ~ 1964.09.08 || || 6대 || 박신흘 || 1964.09.09 ~ 1965.06.18 || || 7대 || 정문현 || 1965.06.19 ~ 1966.03.10 || || 8대 || 김만규 || 1966.04.15 ~ 1968.05.20 || || 9대 || 이희춘 || 1968.05.21 ~ 1969.10.10 || || 10대 || 서기석 || 1969.11.21 ~ 1971.06.20 || || 11대 || 주용준 || 1971.06.21 ~ 1971.08.26 || || 12대 || 안찬희 || 1971.08.27 ~ 1973.06.30 || || 13대 || 이동춘 || 1973.07.01 ~ 1974.01.14 || || 14대 || 도지훈 || 1974.11.15 ~ 1975.04.24 || || 15대 || 김진원 || 1975.04.25 ~ 1976.05.17 || || 16대 || 노건일 || 1976.05.18 ~ 1978.03.03 || || 17대 || 손왈수 || 1978.03.04 ~ 1979.06.21 || || 18대 || 김영만 || 1979.06.22 ~ 1980.07.27 || || 19대 || 도재용 || 1980.07.28 ~ 1981.09.10 || || 20대 || 정영섭 || 1981.09.11 ~ 1982.09.09 || || 21대 || 김제량 || 1982.09.10 ~ 1984.01.13 || || 22대 || 변의정 || 1984.01.14 ~ 1986.01.13 || || 23대 || 배문환 || 1986.01.14 ~ 1991.07.24 || || 24대 || 김진욱 || 1991.07.25 ~ 1993.03.17 || || 25대 || 김동훈 || 1993.03.18 ~ 1993.12.29 || || 26대 || 윤두영 || 1993.12.30 ~ 1994.12.06 || || 27대 || 박형석 || 1994.12.07 ~ 1995.05.12 || || 28대 || 전장하 || 1995.05.19 ~ 1995.06.30 || || 29·30대 || [[정흥진]] || 1995.07.01 ~ 2002.02.09 || || 대행 || 노장택 || 2002.02.10 ~ 2002.04.13[* 민선 최초의 종로구청장 권한대행, 2002.4.13. 명예퇴직.] || || 대행 || [[이노근]] || 2002.04.14 ~ 2002.06.30[* 이후 [[노원구]]에서 민선 구청장을 지낸다.] || || 31·32대 || [[김충용]] || 2002.07.01 ~ 2010.06.30 || || 33-35대 || [[김영종(1953)|김영종]] || 2010.07.01 ~ 2021.11.09[* 퇴임식은 하루 전인 11월 8일에 했으며, 따라서 11월 9일부터 부구청장이 (사실상의) 구청장 권한대행을 시작했다.] || || 대행 || 강필영 || 2021.11.09 ~ 2022.06.30[* 부구청장 시절 여비서 성추행 건으로 인해 [[정문헌]] 신임 구청장이 같이 근무할 수 없다는 의사를 밝힘에 따라, [[서울특별시청]]으로 전출된 후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의 명령으로 직위해제.] || || 36대 || [[정문헌]] || 2022.07.01 ~ 현재 || == 조직 == 각 국장은 4급 [[서기관]]이며, 각 과장 및 동장은 5급 [[사무관]]이다. * [[구청장]][*2급 [[이사관|지방이사관(2급)]] 대우] * 비서실[*별정 현 비서실장은 외부에서 영입한 별정직 5급. 구청 직업공무원이 맡기도 하며, 6급 주사가 맡는 경우도 많았다.] * 부구청장[*3급 [[부이사관|지방부이사관(3급)]]] * 의회사무국 * 감사담당관[*개방형 현 감사담당관은 6급. 5급이 맡기도 한다.] * 행정국[* 관할 인구가 적어서 중앙정부의 [[기획재정부]]에 해당하는 기능까지 같이 맡는다.] * 행정지원과[* 예전 명칭은 총무과. 중앙정부의 [[행정안전부]](옛 [[총무처]]) 및 [[인사혁신처]]에 대응된다.] * 기획예산과[* 중앙정부의 [[기획재정부]](예산기능)에 대응된다.] * 자치행정과[* 중앙정부의 [[행정안전부]](자치사무)에 대응된다.] * 재무과[* 중앙정부의 [[기획재정부]](자금집행기능)에 대응된다.] * 세무1과 * 세무2과 * 지속가능국 * 재난안전과 * 건강도시과 * 도시디자인과 * 청소행정과 * 환경과 * 문화관광국 * 문화과 * 홍보전산과 * 교육과 * 관광과 * 민원여권과[* 다른 구청에서는 행정국 소속으로 두지만, 종로구는 특이하게 문화관광국 소속으로 둔다. 민원여권과까지 행정국에 집어넣으면 행정국이 터져나가기 때문인데, 이게 다 행정국이 사실상의 [[기획재정부|기획재정국]]처럼 기능하는 탓이다.] * 복지경제국 * 복지정책과 * 사회복지과 * 여성가족과 * 일자리경제과[* 타 구청 같으면 재무 담당 국에 편제해야 하지만 종로구 행정국은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이름과는 다르게]] [[기획재정부|기획재정국]]에 더 가까운지라(...) 행정국의 비대화를 막기 위해 복지국에 편제한 것.] * 도시관리국 * 주거재생과 * 도시개발과 * 건축과 * 공원녹지과 * 부동산정보과 * 건설교통국 * 건설관리과 * 도로과 * 치수과 * 교통행정과 * 주차관리과 * 신청사건립추진단 * 신청사건립 추진반 * [[종로구보건소]] * 보건위생과 * 건강증진과 * 의약과 === 휘하 [[주민센터]] === * 청운효자동 주민센터 * 사직동 주민센터 * 삼청동 주민센터 * 부암동 주민센터 * 평창동 주민센터 * 무악동 주민센터 * 교남동 주민센터 * 가회동 주민센터 * 종로1,2,3,4가동 주민센터 * 종로5,6가동 주민센터 * 이화동 주민센터 * 혜화동 주민센터 * 창신제1동 주민센터 * 창신제2동 주민센터 * 창신제3동 주민센터 * 숭인제1동 주민센터 * 숭인제2동 주민센터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KT광화문지사/세종문화회관(01118·01126)'''}}}}}} {{{#!wiki style="text-align: center" 경복궁역/서울시청 방면 }}} || ||<-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 [[광역버스|{{{#ffffff 광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95em" [[서울 버스 9401|{{{#ffffff 9401(서울역)}}}]]}}} || || [[간선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9|{{{#ffffff 109(우이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401|{{{#ffffff 401(서울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406|{{{#ffffff 406(서울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6|{{{#ffffff 606(자동차매매단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0|{{{#ffffff 700(숭례문)}}}]]}}}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3|{{{#ffffff 703(서울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4|{{{#ffffff 704(송추)}}}]]}}}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8|{{{#ffffff 708(진관차고지)}}}]]}}}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20|{{{#ffffff 1020(정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711|{{{#ffffff 1711(국민대/공덕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6|{{{#ffffff 7016(은평차고지/상명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18|{{{#ffffff 7018(북가좌동/무교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022|{{{#ffffff 7022(서울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212|{{{#ffffff 7212(은평공영차고지/옥수동)}}}]]}}} ||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ffffff 마을}}}]]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종로09|{{{#ffffff 종로09(수성동계곡/남대문)}}}]]}}}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종로11|{{{#ffffff 종로11(삼청동/서울역)}}}]]}}} || || [[순환버스|{{{#ffffff 순환}}}]]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95em" [[서울 버스 01|{{{#ffffff 01A(예장주차장)}}}]]}}} || ||<-2> '''경기도 시내버스 ''' || ||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fff 직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red; font-size: .95em" [[용인 버스 5000|{{{#ffffff 5000(서울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red; font-size: .95em" [[용인 버스 5005|{{{#ffffff 5005(서울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red; font-size: .95em" [[용인 버스 5500-2|{{{#ffffff 5500-2(서울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red; font-size: .95em" [[성남 버스 9000|{{{#ffffff 9000(서울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red; font-size: .95em" [[성남 버스 9200|{{{#ffffff 9200(서울역)}}}]]}}}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종로1가(01011·01012·01763)'''}}}}}} {{{#!wiki style="text-align: center" KT광화문지사/광화문/종로2가 방면 }}} || ||<-2>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 || || [[간선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1|{{{#ffffff 101(우이동/서소문)}}}]]}}}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3|{{{#ffffff 103(서울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50|{{{#ffffff 150(도봉산역/시흥대교)}}}]]}}}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60|{{{#ffffff 160(도봉산역/온수동)}}}]]}}}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60|{{{#ffffff 260(중랑차고지/국회의사당)}}}]]}}}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70|{{{#ffffff 270(망우리/상암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71|{{{#ffffff 271(면목동/DMC)}}}]]}}}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273|{{{#ffffff 273(중랑공영차고지/홍대입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370|{{{#ffffff 370(강동공영차고지/충정로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470|{{{#ffffff 470(내곡동/상암차고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501|{{{#ffffff 501(종로2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1|{{{#ffffff 601(개화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606|{{{#ffffff 606(자동차매매단지)}}}]]}}}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20|{{{#ffffff 720(진관공영차고지/답십리)}}}]]}}}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21|{{{#ffffff 721(북가좌동/건대입구역)}}}]]}}}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95em" [[서울 버스 741|{{{#ffffff 741(진관공영차고지/세곡동)}}}]]}}} || || [[지선버스|{{{#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5em" [[서울 버스 1020|{{{#ffffff 1020(교보문고)}}}]]}}} || ||<-2> '''경기도 시내버스 ''' || ||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fff 직행}}}]]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red; font-size: .95em" [[파주 버스 7101|{{{#ffffff 7101(금촌/혜화역)}}}]]}}} ||}}} === [[도시철도]]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5]] [[서울 지하철 1호선]] [[종각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5]] [[서울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5]]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 여담 == * 구 CI에도 들어가 있는 [[보신각]]종을 모티브로 한 상징 마스코트를 두고 있는데 단순한 디자인이지만 상당히 귀엽다(...) || [[파일:img_060303030219.gif|width=100%]] || == 둘러보기 == [include(틀:종로구 소재 관공서)]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종로구, version=1040)] [[분류:서울특별시의 기초자치단체 청사]][[분류:종로구 소재 관공서]][[분류:서울 미래유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