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존 브레비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ffef00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등번호 60번}}}''' || || [[딘 키케퍼]][br](2016) || {{{+1 →}}} || '''존 브레비아[br](2017~2019)''' || {{{+1 →}}} || [[저스틴 밀러]][br](2021) || ||<-5> '''{{{#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fd5a1e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59번}}}''' || || [[앤드류 수아레즈]][br](2018~2020) || {{{+1 →}}} || '''존 브레비아[br](2021~2023)''' || {{{+1 →}}} || 결번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자이언츠브레비아.jpg|width=100%]]}}} || ||<-2> '''{{{+2 존 브레비아}}}[br]John Brebbia''' || || '''본명 ''' ||존 펄보암 브레비아[br]John Fulboam Brebbia || ||<|2> '''출생''' ||[[1990년]] [[5월 30일]] ([age(1990-05-30)]세) || ||[[매사추세츠|매사추세츠 주]] [[보스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웰링턴 고등학교 - 엘론 대학교 || || '''신체''' ||185cm / 90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좌타]] || || '''프로입단''' ||2011년 드래프트 30라운드 (전체 929번, [[뉴욕 양키스|NYY]]) || || '''소속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2017~2019)[br][[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1~2023)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1년|2021 시즌]] ==== 2020년 6월에 [[토미 존 수술]]을 받은 투수 치고는 매우 빠른 6월 20일에 복귀했으나, 나올 때마다 불안한 모습을 보여주며 평균자책점 6점대를 기록하고 있다. 9월 1일 밀워키전에서 3:2로 뒤진 9회초 등판했지만, [[로렌조 케인]]에게 홈런, [[윌리 아다메스]]에게 적시타를 맞아 2실점으로 경기를 터트리며 다저스의 지구 1위 등극에 기여하였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2년|2022 시즌]] ==== 4월 8일 마이애미와의 개막전 연장 10회초에 등판해 첫 타자 [[헤수스 산체스]]에게 10구 승부 끝에 볼넷을 내주며 작년 개막전의 악몽을 떠올리게 만들었으나 [[헤수스 아귈라]]를 뜬공, [[아비사일 가르시아]]를 야수선택으로 처리해 본인의 역할을 다 하고 내려갔다. 4월 9일 마이애미전에서 6회초를 삼자범퇴로 막았다. 그러나 10일 BL[* Bereavement List, 가족상 등을 당했을 때 오르는 리스트이다.]에 올랐고, 대신 [[엘리엇 라모스]]가 콜업되었다. 이후 4월 13일 복귀했고, 대신 [[유니오르 마르테]]가 마이너로 내려갔다. 4월 16일 클리블랜드전 6회말 동점 상황에 등판, [[호세 라미레즈]]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프란밀 레예스]]와 [[아메드 로사리오]]를 삼진, 땅볼로 잡고 내려갔다. 4월 20일 메츠전에서 등판해 6회말을 잘막았지만 7회말 [[루이스 기요르메]]에게 볼넷, [[브랜든 니모]]에게 안타를 맞고 2사 1, 2루를 만들어두고 내려갔고, 결국 [[도미닉 레온]]이 [[스탈링 마르테]]에게 안타를 맞아 시즌 첫 실점을 기록하게 되었다. 5월 3일 다저스전에서 7회말에 등판, 7회말은 삼자범퇴로 막았으나 8회말 [[한저 알베르토]]에게 2루타를 맞고 내려갔고, [[호세 알바레즈]]가 폭투로 분식회계를 저지르며 실점이 늘어났다. 5월 5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4회초 [[타일러 오닐]]에게 2루타, [[후안 예페스]]에게 안타를 맞고 1사 1, 3루 위기에 몰렸으나 [[해리슨 베이더]]를 병살타로 처리하며 실점없이 마운드를 내려왔다. 14이닝 1.29를 기록하며 순항중이었으나 5월 14일 세인트루이스전 7회말 2사 1루에서 [[폴 골드슈미트]]에게 중견수 플라이를 유도했는데 중견수 [[오스틴 슬레이터]]가 태양때문에 공을 잡지 못하며 실점했고, 이후 [[놀란 아레나도]]에게 2루타를 맞고 한 점 더 실점하며 평균자책점이 2.35까지 올랐다. 5월 16일 콜로라도전에서 8회말 동점 상황에 등판했고, 첫 타자 [[랜달 그리칙]]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엘리아스 디아즈]], [[코너 조]], [[요나단 다자]]를 모두 헛스윙 삼진으로 돌려세웠다. 이후 9회초 팀이 [[마이크 야스트렘스키]]의 결승포로 승리를 거두며 시즌 첫 승리이자 샌프란시스코에서의 첫 승리를 올렸다. 5월 22일 샌디에이고전에서 [[알렉스 우드]]가 4회초 3:0 무사 1, 2루를 만들고 강판당하자 급히 등판했으나 [[매니 마차도]]와 [[윌 마이어스]]에게 2타점 적시 2루타를 하나씩 맞고 경기를 터트렸다. 5월 24일 메츠전에서 11:11로 맞선 9회초에 등판했으나 첫 타자 [[도미닉 스미스]]에게 3루타를 맞았고, [[브랜든 니모]]의 희생플라이로 역전을 내주며 패전위기에 몰렸다. 하지만 다행히 9회말 팀이 [[작 피더슨]]의 동점타와 [[브랜든 크로포드]]의 끝내기로 승리, 시즌 2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5월 29일 신시내티전에서 0:2로 뒤진 7회말에 올라오자마자 [[카일 파머]]의 안타를 중견수 [[마이크 야스트렘스키]]가 공을 뒤로 빠뜨리며 무사 3루의 위기를 맞았으나 침착하게 [[마이크 무스타커스]]를 얕은 좌익수 플라이, [[알버트 알모라 주니어]]의 3루수 땅볼에 홈송구로 주자를 지우며 위기를 넘겼고, 팀이 8회초 [[에반 롱고리아]]의 역전 쓰리런 등으로 대거 6득점하며 역전승을 올리며 승리투수가 되었다.(시즌 3승) 그러나 5월 31일 필라델피아전에서 6회말 등판하자마자 [[닉 카스테야노스]]-[[리스 호스킨스]]-[[J.T. 리얼무토]]에게 모두 안타를 맞고 실점했고, [[알렉 봄]]에게 볼넷을 허용해 무사 만루를 만들고 강판되었다. 후속 투수 [[제이크 맥기]]가 병살-삼진으로 위기를 1실점으로 넘긴것이 그나마 다행. 6월 3일 마이애미전에서 [[알렉스 콥]]이 선발 등판이 취소되면서 오프너로 투입되어 1이닝 무실점 1K를 기록했다. 6월 4일 마이애미전 4:2로 앞선 5회말 2사 1, 3루에서 급히 등판했으나 [[재즈 치좀 주니어]]에게 도루를 내주고 [[개럿 쿠퍼]]에게 2타점 적시타를 맞아 [[로건 웹]]의 승리를 날렸다. 6월 15일 캔자스시티전 2:2로 맞선 8회초에 등판했으나 [[앤드류 베닌텐디]]에게 2루타, [[니키 로페즈]]의 희생번트로 1사 3루에 몰렸고, [[위트 메리필드]]에게 희생플라이로 역전을 허용, 결국 팀이 그대로 경기를 패하며 시즌 첫 패전을 기록했다. 7월 3일 화이트삭스전에서 [[앤서니 데스클라파니]]가 부상으로 이탈해 급히 오프너로 투입, [[팀 앤더슨]]에게 리드오프 2루타를 맞았지만 실점없이 1이닝을 1K로 정리하고 내려왔다. 그러나 팀은 롱맨으로 투입 예정이었던 [[션 젤리]]가 6실점을 하며 13:4의 대패를 당했다. 7월 6일 애리조나전에서 8회말 동점 상황에 등판해 삼자범퇴로 막았고, 9회초 팀이 [[오스틴 슬레이터]]의 역전 적시타로 승리하며 시즌 4승을 기록했다. 7월 8일 샌디에이고전에서 1⅓이닝 무실점을 기록해 평균자책점을 2.39로 낮췄다. 망해버린 팀의 불펜진 속에서 [[할린 가르시아]]와 함께 유이하게 제 역할을 해주는 중이다. 7월 13일 애리조나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조시 로하스]]에게 볼넷, [[케텔 마르테]]에게 안타를 맞고 1사 1, 2루에 몰렸지만 [[크리스티안 워커]]를 파울플라이로 잡고 [[오스틴 윈스]]가 마르테의 도루를 저지해주며 무실점으로 마운드를 내려왔다. 7월 14일 밀워키전에서 6회초 등판했지만 1사에서 [[조나단 데이비스]], [[앤드류 맥커친]], [[윌리 아다메스]]에게 연속안타를 맞고 블론세이브를 저질렀고, 팀은 결국 연장 10회 승부 끝에 3:2로 패했다. 7월 16일 밀워키전에서 1:1로 맞선 8회초 1사 상황에 등판, 올라오자마자 [[조나단 데이비스]]에게 볼넷과 도루를 내줘 2루의 역전 허용 위기에 몰렸지만, [[크리스티안 옐리치]]를 헛스윙 삼진으로 잡음과 동시에 [[조이 바트]]의 도루 저지로 위기를 탈출했고, 팀이 8회말 2사 만루에서 [[얀델 구스타브]]의 보크가 나오며 1:2로 승리, 시즌 5승을 기록했다. 8월 4일 다저스전 4회초 2사 1, 2루의 위기에서 [[제이콥 주니스]]의 뒤를 이어 등판했지만 올라오자마자 [[무키 베츠]]에게 역전 쓰리런을 맞았고, 결국 팀은 5:3으로 패해 다저스에게 홈 4연전 스윕을 내주었다. 8월 8일 샌디에이고전 7회초 1사 1루에서 [[알렉스 우드]]의 뒤를 이어 등판, 곧바로 [[김하성]]에게 장타를 맞았지만 좌익수 [[루이스 곤잘레스(1995)|루이스 곤잘레스]]-유격수 [[브랜든 크로포드]]-포수 [[조이 바트]]로 이어지는 완벽한 중계플레이로 1루주자 [[브랜든 드루리]]를 홈에서 잡아냈고, [[제이크 크로넨워스]]를 중견수 플라이로 잡아내며 위기를 넘겼다. 평균자책점 2점대 초중반을 유지했지만 8월 14일 피츠버그전에서 3:5로 앞선 7회초 올라오자마자 [[제이슨 딜레이]]에게 볼넷, [[케빈 뉴먼]]에게 내야안타를 맞더니, [[브라이언 레이놀즈]]에게 역전 쓰리런을 맞았다. 이후 [[마이클 체이비스]]에게까지 안타를 맞고 교체되었고, 이번 경기로 평균자책점이 2.90까지 폭등했다. 그나마 7회말 [[브랜든 크로포드]]의 동점타가 터져 패전은 지워졌고, 팀도 9회말 [[타이로 에스트라다]]의 역전 끝내기 투런으로 승리하며 묻어갈 수 있었다. 8월 16일 애리조나전에서 1:0으로 뒤진 9회초 등판해 선두타자 [[조시 로하스]]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크리스티안 워커]], [[제이크 맥카시]], [[알렉 토마스]]를 모두 아웃으로 잡고 이닝을 마무리했다. 이후 9회말 [[브랜든 크로포드]]의 역전 끝내기 투런으로 팀이 1:2로 승리해 시즌 6승을 기록했다. 8월 27일 미네소타전에서 1:0으로 앞선 8회말 등판했으나 [[카를로스 코레아]]와 [[제이크 케이브]]에게 연속안타를 맞고 무사 1, 3루 위기에 몰렸다. [[호세 미란다]]를 얕은 뜬공으로, [[닉 고든]]을 삼진으로 처리한 후 [[카밀로 도발]]에게 마운드를 넘겨주었고, 도발이 [[지오 어셸라]]를 뜬공으로 처리해 실점이 늘어나지는 않았지만 9회말 도발이 무너지고 결국 팀이 패하는 나비효과가 되었다. 9월 4일 필라델피아전에서 0:3으로 앞선 8회초 등판했으나 1사에서 [[알렉 봄]], [[브라이스 하퍼]]에게 연속안타를 맞더니 [[J.T. 리얼무토]]에게 동점 쓰리런을 맞고 [[카를로스 로돈]]의 승리를 날렸다. 평균자책점도 2점대가 무너져 3.04까지 오르고 말았다. 9월 6일 다저스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프레디 프리먼]]에게 2루타를 맞았지만 실점없이 1이닝을 잘막고 내려갔다. 9월 11일 컵스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잭 맥킨스트리]]에게 리드오프 안타를 맞았지만 곧바로 [[라파엘 오르테가]]를 병살로 처리, [[스즈키 세이야]]도 뜬공으로 잡고 1이닝을 막았다. 9월 17일 다저스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2사 후 [[프레디 프리먼]]을 맞았지만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를 땅볼로 잡고 1이닝을 막았다. 올해 오프너 등판만 벌써 6번째다. 9월 18일 다저스전에서 연장 10회초 올라왔으나 [[오스틴 반스]]의 희생번트 후 [[무키 베츠]]에게 적시타를 맞았다. [[트레이 터너]]를 우익수 직선타로 처리했지만 [[프레디 프리먼]]을 고의4구로 거르고 선택한 [[저스틴 터너]]에게도 피해가는 승부만 하다 결국 볼넷을 허용하고 강판되었다. 뒤이어 올라온 [[토마스 자퍼키]]가 [[맥스 먼시]]에게 밀어내기 볼넷을 내줘 1실점이 더 늘었고, 팀은 10회말 [[윌머 플로레스]]의 적시타에 이어 2사 만루를 만드는 등 끝까지 버텼지만 결국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가 1루 땅볼로 물러나 4:3으로 지고 다저스 3연전 스윕을 당해 시즌 2패를 기록했다. 9월 20일 콜로라도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라이언 맥마혼]]을 삼진, [[요나단 다자]]를 땅볼로 잡고 [[C.J. 크론]]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찰리 블랙몬]]을 삼진으로 처리해 1이닝을 막았다. 9월 22일 콜로라도전에서 다시 오프너로 등판해 [[라이언 맥마혼]]을 땅볼, [[요나단 다자]]에게 내야안타를 맞았지만 [[랜달 그리칙]]을 땅볼, [[찰리 블랙몬]]을 삼진으로 처리하고 1이닝을 막았다. 9월 28일 콜로라도전에서도 오프너로 등판해 [[요나단 다자]]를 뜬공, [[호세 이글레시아스]]를 직선타, [[찰리 블랙몬]]을 삼진으로 잡고 1이닝을 막았다. 9월 29일 콜로라도전에서 1:6으로 앞선 9회초 2사 1루에 등판했으나, 올라오자마자 [[션 부샤르]]에게 홈런을 맞더니 [[마이클 톨리아]]에게 내야안타, [[에로리스 몬테로]]에게 3루타를 맞고 강판되었다. 평균자책점도 3.05로 올라 2점대가 무너졌다. 10월 2일 애리조나전에서 1:2로 앞선 8회초 등판했으나 [[제이크 맥카시]]에게 안타, [[크리스티안 워커]]를 뜬공으로 잡았지만 [[조시 로하스]]에게 2루타를 맞으며 블론세이브를 저질렀다. 시즌 처음으로 두 경기 연속 실점을 했고, 9월부터 평균자책점 5.56을 기록하며 지친 기색을 보여주고 있다. 10월 3일 샌디에이고전에서 오프너로 등판, [[김하성]]을 맞추고 도루를 허용했지만 [[후안 소토]], [[브랜든 드루리]], [[조시 벨(1992)|조시 벨]]을 모두 범타로 잡아내고 1이닝을 막았다. 10월 5일 샌디에이고전에서 오프너로 등판, [[주릭슨 프로파]]를 삼진, [[후안 소토]]를 땅볼로 잘 처리했지만 [[매니 마차도]]와 [[제이크 크로넨워스]]에게 연속 2루타를 맞고 실점했다. 이후 [[브랜든 드루리]]를 땅볼로 처리하고 이닝을 끝냈다. 시즌 최종성적은 76경기 3.18 6승 2패 68이닝 54K로, 팀의 불펜 에이스 역할을 해왔지만 체력이 떨어졌는지 시즌 막판 크게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2023년|2023 시즌]] ==== 1월 13일, 연봉 조정을 피해 230만 달러의 연봉에 합의했다. 3월 30일 양키스와의 개막전에서 0:3으로 뒤진 7회말 무사 1루 상황에 수염을 깎은 모습으로 등판했지만 2사 1, 3루에서 [[DJ 르메이휴]]와 [[애런 저지]]에게 연속 적시타를 맞고 경기를 터트렸다. 4월 9일 캔자스시티전에서 1:0으로 뒤진 8회초 2사 2루 상황에 [[테일러 로저스]]의 뒤를 이어 등판해서 [[바비 위트 주니어]]를 삼진으로 처리하며 이닝을 마무리했고, 팀이 8회말 [[윌머 플로레스]]의 동점 2루타와 [[마이클 콘포토]]의 역전 투런으로 1:3의 역전승을 거두면서 시즌 1승을 기록했다. 4월 11일 다저스전에서 0:2로 앞선 7회초 등판해 [[무키 베츠]]에게 볼넷을 내줬지만 [[프레디 프리먼]]을 삼진,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를 뜬공, [[J.D. 마르티네즈]]를 팝플라이로 처리하며 시즌 2홀드를 기록했다. 4월 12일 다저스전에서 4:3으로 뒤진 무사 만루 상황에 4타자 연속 볼넷을 내준 [[테일러 로저스]]의 뒤를 이어 등판했지만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에게 희생플라이, [[맥스 먼시]]에게 쓰리런을 맞고 경기를 터트렸다. 이후 [[J.D. 마르티네즈]]를 삼진으로 잡고 [[로스 스트리플링]]과 교체되었다. 4월 15일 디트로이트전에서 6:3으로 앞선 7회말 2사 1루에 등판해 [[맷 비얼링]]을 뜬공으로 처리했지만 이어진 8회말 [[닉 메이튼]]에게 안타, [[라일리 그린]]에게 볼넷을 내줘 무사 1, 2루에 몰렸고, 여기서 [[하비에르 바에즈]]에게 2타점 적시 2루타를 맞아 강판되었다.[* 그와중에 시즌 3홀드를 기록했다.] 이후 [[션 젤리]]가 [[스펜서 토켈슨]]에게 동점 적시타를 맞아 최종 3실점으로 평균자책점이 7.94까지 올랐고, 결국 팀은 연장 11회 승부끝에 6:7로 패했다. 4월 25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1회초에 [[라스 눗바]]를 삼진, [[폴 골드슈미트]]를 땅볼, [[놀란 고먼]]을 삼진으로 처리해 삼자범퇴로 넘겼고, 2회초 [[놀란 아레나도]]의 강습 타구를 잡아내며 땅볼로 처리한 후 [[윌슨 콘트레라스]]에게 안타를 맞고 마운드를 [[션 머나야]]에게 넘겨주었다. 3경기 연속 무자책 행진으로 평균자책점도 4.82까지 내렸다. 4월 27일 세인트루이스전에서 2:0으로 뒤진 7회초 2사 1, 3루 위기 상황에 등판해 [[라스 눗바]]를 뜬공으로 처리해 위기를 넘겼지만 8회초 [[놀란 고먼]]에게 안타를 맞은 후 2사에서 [[딜런 칼슨]]에게 적시 2루타를 맞고 강판되었고, 뒤이어 올라온 [[트리스탄 벡]]이 [[폴 데용]]에게 홈런을 맞고 승계주자를 불러들여 2실점으로 평균자책점이 다시 6.10까지 올라갔다. 4월 29일 샌디에이고전에서 11:14로 뒤진 8회말 무사 2루 상황에 등판했고,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를 뜬공으로 처리했지만 [[매니 마차도]]에게 볼넷 후 도루를 허용해 1, 3루를 만들었다. [[후안 소토]]를 거르고 [[잰더 보가츠]]를 삼진으로 돌려세웠지만 결국 [[넬슨 크루즈]]에게 적시타를 맞고 무너져 오늘도 1실점하며 평균자책점이 6.35로 소폭 상승했다. 4월 30일 샌디에이고전에서 4:3으로 앞선 7회말에 등판해 [[오스틴 놀라]], [[트렌트 그리샴]],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를 KKK로 처리하는 완벽투로 시즌 4홀드를 기록했다. 5월 5일 밀워키전에서 4:5로 앞선 6회초에 등판해 [[브라이언 앤더슨(1993)|브라이언 앤더슨]]을 삼진, [[루크 보이트]]를 우익수 플라이, [[빅터 카라티니]]를 삼진으로 잡아내며 시즌 5홀드를 기록했다. 5월 6일 밀워키전에서 0:4로 앞선 9회초에 등판했으나 [[윌리엄 콘트레라스]]와 [[브라이언 앤더슨(1993)|브라이언 앤더슨]]에게 연속 볼넷을 내줬고, [[브라이스 투랑]]을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오웬 밀러]]에게 적시타를 맞았고, 결국 [[카밀로 도발]]이 올라와 경기를 마무리짓게 만들었다. 5월 12일 애리조나전에서 오프너로 등판, [[케텔 마르테]]를 좌익수 플라이로 처리하고 [[엠마누엘 리베라]]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코빈 캐롤]]을 삼진으로 처리, [[크리스티안 워커]]에게 볼넷을 내줬지만 [[에반 롱고리아]]를 삼진으로 처리했다. 현재까지 9이닝당 탈삼진 14.1개를 기록하며 탈삼진 하나만큼은 잘 잡는 중이다. 5월 16일 필라델피아전에서 2:4로 앞선 5회초 1사에 등판해 [[J.T. 리얼무토]]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알렉 봄]]을 좌익수 플라이, [[브랜든 마쉬]]를 삼진으로 처리했고, 6회초에도 [[코디 클레멘스]]를 삼진, [[브라이슨 스탓]]을 좌익수 플라이, [[트레이 터너]]를 삼진으로 처리해 시즌 6홀드를 기록하고 평균자책점도 4.96으로 내리며 4점대에 진입했다. 5월 17일 필라델피아전에서 4:4로 맞선 8회초에 등판해 [[트레이 터너]]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브라이스 하퍼]]를 삼진, [[닉 카스테야노스]]를 유격수 땅볼, [[카일 슈와버]]를 우익수 플라이로 처리해 이닝을 넘겼고, 팀이 8회말 [[타이로 에스트라다]]와 [[윌머 플로레스]]의 적시타로 3득점하며 승리해 시즌 2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5월 19일 마이애미전에서 2:4로 앞선 7회초에 등판해 [[가렛 햄슨]]을 유격수 [[브랜든 크로포드]]의 호수비로 직선타로 처리, [[진 세구라]]를 유격수 땅볼, [[호르헤 솔레어]]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시즌 7홀드를 기록했다. 5월 21일 마이애미전에서 3:4로 앞선 5회초 1사 1, 2루 위기 상황에 등판해 [[호르헤 솔레어]]에게 적시타를 맞아 동점을 내줬지만 이어진 1, 3루에서 [[개럿 쿠퍼]]를 1루수 팝플라이, 더블스틸 시도 중 3루주자 [[존 버티]]가 런다운에 걸려 아웃되면서 위기를 넘겼다. 5월 22일 미네소타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알렉스 키릴로프]]를 삼진, [[카를로스 코레아]]를 유격수 땅볼, [[바이런 벅스턴]]을 삼진으로 처리하고 1이닝을 막았다. 5월 25일 밀워키전에서 8회말 [[타일러 로저스]]의 뒤를 이어 등판해 [[로우디 텔레즈]]에게 3루수 팝플라이, [[조이 위머]]를 중견수 플라이로 처리하고 [[타이론 테일러]]에게 2루타를 맞았지만 [[오웬 밀러]]를 2루수 플라이로 처리했고, 9회말에도 [[제시 윈커]]를 좌익수 직선타, [[윌리 아다메스]]를 3루수 땅볼로 처리하고 [[크리스티안 옐리치]]에게 2루타를 맞았지만 [[브라이언 앤더슨(1993)|브라이언 앤더슨]]을 삼진으로 처리하면서 팀의 5:0 완승을 완성시켰다. 5월 30일 피츠버그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앤드류 맥커친]]을 삼진, [[투쿠피타 마르카노]]를 중견수 직선타로 처리했지만 [[코너 조]]에게 홈런을 맞고 강판당했다. 6월 2일 볼티모어전에서 3:2로 뒤진 9회초에 등판해 [[앤서니 산탄데르]]를 삼진, [[오스틴 헤이즈]]를 중견수 플라이, [[거너 헨더슨]]을 1루수 땅볼로 처리하고 1이닝을 막았지만 팀은 결국 9회말 [[펠릭스 바티스타]] 공략에 실패하며 패했다. 6월 6일 콜로라도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찰리 블랙몬]]을 1루수 땅볼로 처리한 후 [[주릭슨 프로파]]에게 안타, [[라이언 맥마혼]]에게 2루타, [[엘리아스 디아스]]에게 볼넷을 내줘 1사 만루 위기에 몰렸으나, [[랜달 그리칙]]을 3루수 직선타, [[놀란 존스]]를 중견수 플라이로 처리하고 1이닝을 막았다. 6월 10일 컵스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마이크 터크먼]]을 중견수 직선타, [[니코 호너]]를 유격수 땅볼, [[크리스토퍼 모렐]]을 3루수 직선타로 처리했고, 2회초에도 올라와 [[이안 햅]]을 투수 직선타, [[댄스비 스완슨]]을 삼진, [[트레이 만시니]]를 3루수 땅볼로 처리해 이번에는 2이닝을 막았다. 6월 11일 컵스전에서도 오프너로 등판해 [[마이크 터크먼]]에게 2루타, [[니코 호너]]를 삼진으로 처리한 후 [[크리스토퍼 모렐]]에게 볼넷을 내줘 1사 1, 2루 위기를 맞았지만 [[이안 햅]]을 중견수 플라이, [[댄스비 스완슨]]을 우익수 플라이로 처리해 위기를 넘겼다. 6월 16일 다저스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무키 베츠]]를 삼진, [[프레디 프리먼]]을 좌익수 플라이로 처리하고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에게 볼넷을 허용했으나 [[J.D. 마르티네즈]]를 1루수 팝플라이로 처리했다. 하지만 그동안 너무 굴려져서 였는지 6월 17일 오른쪽 광배근 부상으로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7월 31일 트레이드로 영입된 [[AJ 폴락]]과 [[마크 마타이아스]]의 자리 마련을 위해 60일 부상자 명단으로 이동했다. 8월 22일 리햅을 시작하면서 복귀 준비를 시작했다. 9월 5일 복귀했고, 9월 6일 컵스전에서 0:5로 뒤진 4회말에 등판하면서 복귀전을 치루었지만 첫 타자 [[미겔 아마야]]에게 바로 홈런을 맞았다. 이후 [[크리스토퍼 모렐]]을 우익수 플라이, [[니코 호너]]를 2루수 땅볼, [[이안 햅]]을 삼진으로 처리하고 1이닝을 막았다. 9월 8일 콜로라도전에서 7:6으로 뒤진 8회초에 등판해 [[에로리스 몬테로]]에게 안타를 맞았지만 [[헌터 굿맨]]을 삼진, [[션 부샤르]]를 포수 땅볼, [[앨런 트레호]]를 3루수 땅볼로 처리하고 1이닝을 막았고, 팀이 8회말 [[마이크 야스트렘스키]]의 동점 적시타와 [[윌머 플로레스]]와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연속 밀어내기 볼넷으로 8:9 역전승에 성공하며 시즌 3승을 기록했다. 9월 11일 클리블랜드전에서 2:3으로 앞선 7회초 1사 1루에 등판해 1루주자 [[보 네일러]]에게 도루를 내주고 [[마일스 스트로]]를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호세 테나]]에게 볼넷을 허용하고 [[스티븐 콴]]에게 동점 적시타를 맞아 블론세이브를 저지르고 강판되었다. 9월 12일 클리블랜드전에서 3:1로 뒤진 9회초에 등판해 대타 [[안드레스 히메네스]]를 삼진, [[윌 브레넌]]을 포수 파울 팝플라이, [[가브리엘 아리아스]]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1이닝을 막았다. 9월 16일 콜로라도와의 더블헤더 2차전에서 2:5로 뒤진 8회말에 등판해 [[엘리아스 디아스]]를 삼진, [[브렌든 로저스]]에게 2루타를 맞았지만 [[앨런 트레호]]와 [[브렌튼 도일]]을 우익수 플라이로 처리하고 1이닝을 막았다. 9월 17일 콜로라도전에서 9:2로 앞선 6회말 1사 1루에 등판했지만 [[앨런 트레호]]의 타구에 야수선택 송구 실책을 저지르고 [[브렌튼 도일]]에게 쓰리런을 맞았다. 이후 [[오스틴 윈스]]를 유격수 땅볼, [[찰리 블랙몬]]을 좌익수 직선타로 처리하고 이닝을 마무리했다. 9월 21일 다저스전에서 2:2로 맞선 6회말 1사에 등판했지만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의 뜬공을 오늘이 데뷔전이었던 중견수 [[타일러 피츠제럴드]]가 다이빙 캐치에 실패해 3루타가 되었고, [[J.D. 마르티네즈]]에게 우익수 플라이를 유도했지만 여기서 우익수 [[마이크 야스트렘스키]]가 아웃카운트를 착각해 포구 직후 뜸을 들이는 대형 실수를 저질러 결국 역전 희생플라이를 허용했다.[* 물론 야스트렘스키가 즉시 송구했다고 해도 홈에서 아웃은 힘들었을 것이다.] 이후 [[맥스 먼시]]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마운드를 내려왔지만 팀이 그대로 2:7로 패하며 시즌 1패를 기록했다. 9월 23일 다저스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무키 베츠]]를 우익수 직선타, [[프레디 프리먼]]을 유격수 플라이, [[맥스 먼시]]를 좌익수 플라이로 처리했지만 2회말 [[J.D. 마르티네즈]]에게 홈런을 허용했고, [[제임스 아웃맨]]에게 볼넷, [[미겔 로하스]]를 삼진으로 처리하고 마운드를 내려왔다. 이후 팀이 그대로 0:7로 패하면서 시즌 2패를 기록했다. 9월 26일 샌디에이고전에서 오프너로 등판해 [[잰더 보가츠]]를 우익수 플라이, [[김하성]]을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후안 소토]]에게 홈런을 맞았고,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를 삼진으로 처리해 이닝을 끝내고 2회초 [[개럿 쿠퍼]]를 투수 땅볼로 처리하고 강판되었다.[* 이 과정에서 마운드에 올라온 [[게이브 캐플러]]를 향해 [[https://twitter.com/NBCSGiants/status/1706863013729612133|교체를 거부하는 듯한 제스처를 취했다.]] 작년에도 투수 교체 과정에서 감독에게 대놓고 불만을 표출한 [[잭 라텔]]의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이번에도 항명이냐며 논란이 있었지만, 이후 더그아웃에서 코치들이 웃으면서 반겨주는 것을 보면 그냥 장난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팀이 [[세스 루고]]에게 꽁꽁 묶이고 4:0으로 패하며 시즌 3패를 기록했고, 오늘 패배로 팀은 포스트시즌 탈락이 확정되었다. 9월 27일 샌디에이고전에서 2:2로 맞선 10회초에 등판해 [[브렛 설리반]]을 유격수 땅볼을 처리했지만 [[잰더 보가츠]]에게 우익수 희생플라이를 맞고 실점했다. 그래도 [[페르난도 타티스 주니어]]에게 평범한 유격수 땅볼을 유도해내 이닝을 끝내나 싶었는데 여기서 유격수 [[마르코 루시아노]]가 송구 실책을 저질렀고, [[후안 소토]]를 걸렀지만 포수 [[패트릭 베일리]]가 2루 견제에 송구 실책을 저질러 맞은 2사 2, 3루 위기에서 [[매니 마차도]]가 친 타구가 빗맞은 안타가 되버리면서 결국 비자책점 2점을 더 실점했다. 이후 [[김하성]]을 2루수 팝플라이로 처리하고 이닝을 마무리했지만 팀이 10회말 [[톰 코스그로브]]에게 삼자범퇴로 물러나 그대로 패하면서 시즌 4패를 기록, 결국 샌디에이고에게 올시즌 첫 연장전 승리를 헌납하고 말았다. 10월 1일 다저스와의 시즌 최종전에서 0:0으로 맞선 6회초에 등판했지만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에게 안타, [[J.D. 마르티네즈]]를 삼진으로 처리했지만 [[맥스 먼시]]에게 볼넷을 내주고 강판되었고, 이후 [[테일러 로저스]]가 승계주자를 모두 불러들이고 불을 질러 팀이 5:2로 패해 결국 시즌 5패를 기록하면서 시즌을 마무리했다. 시즌 최종성적은 40경기 3.99 3승 5패 38⅓이닝 47K로, 시즌 초 미친듯이 굴려지다가 결국 부상으로 2달 넘게 이탈하면서 최종적으로 지난 시즌보다 초라한 성적을 기록했다. 시즌 후인 11월 2일 FA 신분이 되었다. == 플레이 스타일 ==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존 브레비아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7 ||<|3>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STL]] || 50 || 0 || 0 || 0 || 5 || 51⅔ || 2.44 || 37 || 8 || 11 || 5 || 51 || 0.929 || 174 || 0.1 || 1.1 || || 2018 || 45 || 3 || 3 || 2 || 5 || 50⅔ || 3.20 || 43 || 5 || 16 || 0 || 60 || 1.164 || 122 || 0.7 || 0.7 || || 2019 || 66 || 3 || 4 || 0 || 13 || 72⅔ || 3.59 || 59 || 6 || 27 || 3 || 87 || 1.183 || 117 || 1.3 || 0.7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3>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SF]] || 18 || 0 || 1 || 0 || 1 || 18⅓ || 5.89 || 25 || 4 || 4 || 2 || 22 || 1.582 || 71 || -0.1 || -0.2 || || 2022 || 76 || 6 || 2 || 0 || 18 || 68 || 3.18 || 71 || 5 || 18 || 1 || 54 || 1.309 || 127 || 0.9 || 1.6 || || 2023 || 40 || 3 || 5 || 0 || 7 || 38⅓ || 3.99 || 31 || 6 || 14 || 0 || 47 || 1.174 || 106 || 0.3 || 0.2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6시즌) || 295 || 15 || 15 || 2 || 49 || 299⅔ || 3.42 || 266 || 34 || 90 || 11 || 321 || 1.188 || 120 || 3.2 || 4.0 || == 여담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0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보스턴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좌타]][[분류: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