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존로리맨.png|width=100%]]}}} || ||<#0000CD><:> '''{{{+5 {{{#DC143C JOHN LAURINAITIS}}} }}}''' || [목차] == 프로필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존로리프로필.png|width=340]]}}} |||| || '''링네임''' || 쟈니 에이스 [br] (Johnny Ace;ジョニー・エース) || || '''본명''' || John Hodger Laurinaitis [br] (존 하저 라우리나이티스) || || '''생년월일''' || [[1962년]] [[7월 31일]] ([age(1962-07-31)]세) || || '''신장''' || 194cm || || '''체중''' || 110kg ||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 [[필라델피아]] || || '''가족 관계''' || 형 [[로드 워리어즈|로드 워리어 애니멀]][* 본명 조셉 마이클 라우리나이티스] [br] 조카 제임스 라우리나이티스[* 풋볼 선수로, [[로스앤젤레스 램스]] 소속의 라인배커였다. 2017년 은퇴.] [br] 동생 더 터미네이터[* 본명 마커스 라우리나이티스] || || '''피니쉬 무브''' || [[커터#s-3|에이스 크러셔]] || || '''별명''' || 금발랑([ruby(金髪狼, ruby=きんぱつろう)]) [br] '''폭주랑([ruby(暴走狼, ruby=ぼうそうろう)])''' [br] Mr.Excitement || || '''테마곡''' || [[https://www.youtube.com/watch?v=WqOlHt--fOI|Kickstart my Heart]] - [[머틀리 크루|Mötley Crüe]] || || '''은퇴'''[* [[전일본 선수 이탈사건]]으로 전일본의 미래가 불투명해지자 새로 창설된 NOAH에 입단하지 않고 은퇴하였다.] || (공식) 2000년 9월 6일 [[아키타현]]립체육관 [br] '''[[전일본 프로레슬링|전일본]]''' 슈퍼 파워 시리즈 2000 15일차 [br] vs [[코바시 켄타]] & 시가 켄타로 [br] (w/마이크 바튼) || ||[youtube(WjBL83PYXlA)]|| == 소개 == NWA, 전일본 프로레슬링에서 쟈니 에이스란 링네임으로 활약했던 전직 프로레슬러이며 [[WWE]] 소속 로드 에이전트 겸 프로듀서로 빈스 맥마흔의 측근 중 1명[* 나머지 빈스 맥마흔의 측근은 닉 칸, 케빈 던, 브라더 러브로 활동한 브루스 프린차드.]이었지만 2022년에 빈스 맥마흔의 은퇴와 함께 WWE에서 해고된다. == 커리어 == 1986년 자니 에이스라는 링네임을 통해 프로레슬러로 데뷔한다. NWA의 짐 크로켓 프로모션 (훗날 WCW)에서 셰인 더글라스와 "다이나믹 듀즈"라는 태그팀을 결성해서 활동하기도 한다.[* 이때 '''민 마크(Mean Mark)'''라는 기믹이였던 [[언더테이커(프로레슬러)|언더테이커]]와도 싱글 매치를 가진 적이 있다. 언더테이커의 파격적인 헤어스타일과, 당시 언더테이커의 매니저였던 [[시어도어 롱]]의 갱스터 스타일 등의 비쥬얼 쇼크를 느낄 수 있다.] 1990년대에는 일본 3대 프로레슬링 단체 중 하나인 [[전일본 프로레슬링]]으로 완전 이적해 "닥터 데스" 스티브 윌리엄스[* '스톤 콜드' [[스티브 오스틴]]의 본명이 스티브 윌리엄스다. 즉 동명이인. 선배와 이름이 겹친다는 이유로 새로운 링네임을 만든 것이 바로 우리가 잘 아는 스티브 오스틴이다.], [[코바시 켄타]]와 태그팀을 맺고 주로 활약했다. 스티브 윌리엄스와 태그팀을 맺었을 때 미사와 미츠하루&[[아키야마 쥰]], 미사와 미츠하루 & 코바시 켄타와의 경기로 각각 5성 경기를 만들었는데, 이 중 미사와 & 아키야먀와의 경기는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에 의해 1996년 올해의 경기로 선정되었다. || [youtube(RlJXH_iPseo)] || || [[전일본 프로레슬링]] 시절을 회고한 팬 제작 트론 || 대표 기술인 에이스 크러셔는 '''모든 [[커터]]의 원형'''이다. 쟈니 에이스의 현역 당시 '''남발기'''중에 하나였다. 응용 방식도 정말 많아 눈사태식에서 시작해서 런닝식, 제자리식 등이 있지만 피니시로 거의 많이 쓰이던 것은 페임에써 계열의 길로틴 에이스 크러셔였다. 이후 [[다이아몬드 댈러스 페이지]]의 다이아몬드 커터, [[스티브 오스틴]]의 스톤콜드 스터너, [[랜디 오턴]]의 RKO 등 많은 선수의 피니셔로 변용되었다.[* 이중 더들리 보이즈는 둘이서 사용하는 변형식 커터인 3D를 피니시 무브로 썼는데 쟈니 에이스는 이걸 '''혼자서 해내는''' 모습을 보여줘 원조의 짬밥을 보여줬다.] 2000년에 [[전일본 선수 이탈사건]]의 파장으로 전일본과 [[프로레슬링 NOAH]]가 쪼개지는 과정에서 프로레슬러로서 완전히 은퇴하고 [[WCW]] 각본진의 수장으로 합류한다. 2001년 WCW가 [[WWE|WWF]]에 매각된 이후 자취를 감췄다가 2004년 인사담당 부회장으로 임명이 됐지만 쇼에 나오거나 언급되는 일은 일체 없었다. 주로 선수 영입 담당을 맡고 있었지만 영입된 선수들 반 이상이 데뷔를 못하고 방출당하거나 아니면 직접 해고시키는 등 백스테이지에서 '''악명'''이 높다. 2003년 무렵부터 2011년까지 WWE의 인사담당 부사장(Vice president of talent relations)이었고,[* 전임자는 [[짐 로스]], 후임자는 [[트리플 H]]다. 다만 전임자와 후임자에 비하면 이쪽은 선수들에게 가차없이 막대하는 스타일이라 선수들의 실수에 대해서도 따지고 들며, 선수들에게 막말 및 욕을 한다.] 짐 로스는 2011년에 존 라우리나이티스가 직책에서 내려왔을 때 '인사담당 부사장이 얼마나 고된 자리인지는 내가 잘 안다. 그의 노고에 갈채를 보낸다'고 트윗을 날렸다. [[알베르토 델 리오]]를 포함한 일부 선수들이 그의 주도 하에서 성장한 스타라고 하지만 존 라우리나이티스가 띄웠다고 할 수는 없다. 과거 스맥다운에서 활동하던 악역선수들인 [[알베르토 델 리오]], [[코디 로즈]], [[잭 스웨거]], [[드류 맥킨타이어]], [[셰이머스]] 등 당시 스맥다운 각본진수장인 [[마이클 헤이즈]]가 상당히 공을 들여 밀어주면서 성장시켰고, 이들중 일부는 RAW로 드래프트 된 순간부터 푸쉬가 중단되었다.[* 알베르토 델 리오의 매니저 역할을 맡았던 리카르도 로드리게즈가 한 말에 따르면 [[트리플 H]]가 실권을 잡은 후 알베르토 델 리오 및 일부 선수가 푸쉬에서 소외된 것은 그들이 존 라우리나이티스의 업적인 반면 트리플 H는 존 라우리나이티스와 구별되는 자신의 업적을 남기기 위해 [[실드(WWE)|실드]]와 [[와이어트 패밀리]]를 밀어준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와별개로 몇몇선수들이 못뜨는데에는 다른 이유가 또 있었고, 당시 RAW 각본진 수장인 브라이언 거위츠가 스맥다운에서 RAW로 이적한 선수들을 밀어주지 않아 명쳐놨기에 선수들이 못뜨는 결정적인 상황을 주도한 또다른 인물로는 존 라우리나이티스도 있다.] 존 라우리나이티스가 [[WWE 레슬매니아 19]]에서 큰 흥행을 남기기 위해 [[브록 레스너]]에게 [[슈팅스타 프레스]]로 경기를 끝낼 것을 제안했다고 알려졌지만 실제로 이런 제의를 한 사람은 [[커트 앵글]]이었다.[[http://politicalrap.blog.me/220523997903|#]][[https://www.wrestlinginc.com/news/2018/09/kurt-angle-talks-about-his-worst-wwe-match-646073/|인터뷰 원문]] OVW & DSW & FCW에서 활동했던 수련생들중 절반 이상은 이인물이 영입한 인물들이고, 영입된 선수들중에는 잘 알려지지 않은 무명레슬러들이라든가 빅맨남성이나 외모와 몸매 지향적인 여성들(특히 레슬링 경력도 없는 모델들이나 디바서치 출신들)만을 위주로 영입하고, 레전드들의 자식들도 영입했지만 빈스를 포함해 WWE 수뇌부들이 잘 띄울질 않았다는 점 등이 또다른 문제. 트리플H가 NXT를 총괄하면서부터는 대부분 선수영입은 트리플H의 주도하에 있었기에 존 라우리나이티스가 선수영입을 담당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2011년 [[CM 펑크]]가 [[존 시나]]와의 대립과정 중 대본/가이드라인 없는 (후일 [[파이프밤]]이라 불리는) 자유로운 세그먼트를 하는 과정에서 그의 이름을 언급해 존 라우리나이티스는 얼떨결에(?) WWE 본무대에 모습을 드러냈다. [[WWE 머니 인 더 뱅크(2011)]]에서 [[빈스 맥마흔]]과 더불어 [[CM 펑크]]를 엿먹이려는 [[몬트리올 스크류잡]]을 재연하려 하다가 말아먹었다. 그리고 빈스가 RAW에서 물러나고 [[트리플 H]]가 쇼를 운영하는 동안 그의 대항마 격으로 활약하게 되며, 트리플 H가 레슬러들의 불신임을 받고 물러난 뒤로는 [[WWE RAW|RAW]]의 잠정적 단장 역할까지 겸하게 되면서 [[CM 펑크]], [[존 시나]] 등의 선역 레슬러들과 대립관계를 형성하였다. 2012년에는 [[WWE 스맥다운|스맥다운]]!의 단장 [[시어도어 롱]]과 경쟁하게 되어 [[WWE 레슬매니아 XXVIII|레슬매니아 28]]에서 각자의 팀을 데리고 이기는 쪽이 모든 브랜드의 단장을 겸임한다는 조항을 걸고 경기를 하여 결국 승리했다. 2012년 5월 20일(현지시간)에 열리는 [[WWE 오버 더 리미트(2012)]]에서 [[존 시나]]와 --그 해 최악에 경기로 선정된-- "다른 레슬러 난입 금지, 패배하면 해고"라는 조건이 붙은 1대1 경기를 갖게 되는데, 대략 10분 가까이 회전 고문, 링 벨소리 고문에 아나운서 테이블에 머리를 마구잡이로 부딪히고 해설진 코스프레로 능욕을 당하고 화해의 악수를 청하다가 뺨 맞고 생수로 샤워하고 소화기 세례에 실제 쓰레기통을 엎어쓰고 별별 능욕만 당하다가 --그래도 STF를 20초나 버텼다.-- 간신히 관중석으로 도망치려다 시나가 잡으니까 반격을 성공시켜 체어샷을 몇번 먹이지만 결국 체어샷 파이브 너클 셔플을 맞고 로우블로로 시간을 끌고 도망친 후 지난주에 해고시킨 빅 쇼를 난입하도록 해 --물론 그 사이에 연기하느라 빅 쇼에게 손을 밟혔다.-- 승리했다. --경기로썬 최악이었지만 사람들의 힘으로 승리했다는 같은 마이클 콜의 드립이나 가장 어두운 시간이라는 제리 롤러의 드립 등 한번쯤 봐도 괜찮은 경기다.-- [[WWE 노 웨이 아웃(2012)]]에서 빅 쇼와 존 시나의 경기에 본인의 단장직이 걸리자 어떻게든 시나가 못 이기게 방해하려했지만 그간 [[빅 쇼]]에게 당했던 레슬러들이 방해하는 바람에 빅 쇼가 패하고 [[빈스 맥마흔]]에게 해고당한다. 그리고 그 다음 RAW에서 [[데이빗 오텅가]]와 빅 쇼에게도 버림받았다. 회전근개 손상이란 진단을 받아 어깨 수술을 받은 이후 별 임팩트있는 장면 없이 지내다가 2014년 10월 10일 스맥다운 15주년 오프닝 세그먼트에 [[스테파니 맥마흔]]에게 [[츳코미]]를 걸며 등장해 긴 공백기간이 무색할 정도로 관객들의 많은 호응~~야유~~[* 처음 등장할 때는 야유를 받았지만 마이크를 잡자 환호를 받기도 했다.]을 얻었다. 이후로는 WWE의 특집방송때마다 간간히 특별출연 해준다. 그리고 2020년 2월, [[존 모리슨]] & [[미즈(프로레슬러)|미즈]]가 태그팀 재결성 기념으로 만든 영상에 [[랜스 스톰]]과 함께 출연하여 그들을 칭찬했다. 계속해서 프로듀서로 활동하며 빈스 맥마흔이 총애하는 측근[* WWE에서 활동중인 일부 프로듀서 및 임직원 등을 빈스 맥마흔이 다 해고시켜버린 상황에 이 인물은 빈스가 끝까지 자신의 측근으로 옆에 두고 있다.]으로 계속 활동하고 있고, 그러다가 빈스가 그를 선수 총괄 관련으로 다시 내세우기 시작하며 선수들에게 해고문자를 통보하는 역할로 활동하고 있다.[* 2021년에 있는 50명 넘는 선수들의 해고러쉬에 빈스 맥마흔 & 닉 칸 & 브루스 프린차드와 관련해 그 역시 개입하고 있다.] 2022년에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보도한 빈스 맥마흔과 관련해 성추문 논란에 휩싸이면서 이전보다 더 추락해 버리고, 결국엔 빼도박도 못하게 되면서 빈스 맥마흔의 회장직 사임과 함께 존 라우리나이티스는 WWE에서 해고된다.[* 일설에 의하면 빈스 맥마흔 은퇴의 계기가 된 성추문에 라우리나이티스도 같이 껴서 했다는 말이 있다(...). ~~구멍동서~~] == 기타 == * WWF/WCW시절 유명 태그팀이였던 '''[[로드 워리어즈|리전 오브 둠]]'''의 '''로드 워리어 애니멀'''이 그의 친형이다.(본명 Joseph Aaron Laurinaitis) 그래서 형에게 다소 가려지는 부분 또한 없지 않다. * [[랜디 오턴]]과는 사이가 굉장히 안좋다. 존 라우리나이티스가 유독 백스테이지에서 랜디 오턴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는 과거 랜디 오턴이 백스테이지에서 문제를 일으킨 일로 여러차례 지적하며 그의 푸쉬를 강력히 반대하는데 가장 앞섰다. 만약 WWE가 이 양반 주장을 그대로 받아들였으면 랜디 오턴은 에볼루션에서 축출된 이후엔 경기만 하면 지거나 메인급과는 거리가 멀 정도로 푸쉬를 못받으며 추락하다 방출되어 랜디랑 같은 시기에 활동했던 동료들중 르네 듀프리, 마크 진드락, 루터 레인즈, 척 팔럼보, 빌리 키드먼이나 랜디가 활동하기 이전 선배들중 발 비너스, 빌리 건, 브루터스 비프케익, 딜로 브라운, 드로즈, 리키쉬 등처럼 아까운 유망주로 기억되었을지도 모른다. * 애리조나 주의 사업가이자 과거에 자신이 WWE로 영입한 [[벨라 트윈스]]의 모친인 캐시 콜러스와 2015년 9월 약혼한 끝에 2016년 3월에 결혼했다. 이렇게해서 벨라 트윈스를 딸들로 두게되었다. [* [[대니얼 브라이언]]를 사위로, 그의 자식을 손주로 두게 되는거다.] ~~벨라 집안이 엄청난 레슬링 가문이 돼버렸다~~ [[토탈 디바스]]의 스핀오프 프로그램인 토탈 벨라스(Total Bellas)에도 벨라 집안의 일원으로 출연했다. 정작 이 집안 사람들은 모두 WWE에서 나왔지만. == 둘러보기 == ||<-4>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br]{{{#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의 경기'''}}} [*★ 밑줄이 승리자. 다자간 매치의 경우 이름 옆 (O)가 핀폴자, (X)가 피핀폴자.] || || '''1996년'''[br]6월 7일 || [[전일본 프로레슬링]] [br] '96 슈퍼 파워 시리즈 최종일 ||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 [br] ___초세대군___(___[ruby(超世代軍, ruby=ちょうせだいぐん)]___)(C) (___[[미사와 미츠하루]]___ & ___[[아키야마 쥰]]___(O)) [br] vs [br] 살인랑콤비([ruby(殺人狼, ruby=さつじんろう)]コンビ) ([[스티브 윌리엄스]] & '''쟈니 에이스'''(X)) || {{{#0000ff,#bbccff *****}}} || ||||||
<:><#000000>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5성 경기''' [*★]}}} || || '''1996년'''[br]6월 7일 || [[전일본 프로레슬링]] [br] '96 슈퍼 파워 시리즈 최종일 || [[세계 태그팀 챔피언십]] [br] ___초세대군___(___[ruby(超世代軍, ruby=ちょうせだいぐん)]___)(C) (___[[미사와 미츠하루]]___ & ___[[아키야마 쥰]]___(O)) [br] vs [br] 살인랑콤비([ruby(殺人狼, ruby=さつじんろう)]コンビ) ([[스티브 윌리엄스]] & '''쟈니 에이스'''(X)) || ||<-4>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width=200]] {{{#ffffff '''레슬링 옵저버 뉴스레터 선정 올해 최악의 경기''' [*★]}}} || || '''2012년''' [br] 5월 20일 || [[WWE]][br][[WWE 오버 더 리미트(2012)|오버 더 리미트]] || NO DQ 매치[br][[존 시나]] vs ___'''존 라우리나이티스'''___ || DUD || [각주] [[분류:1962년 출생]][[분류:필라델피아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1986년 데뷔]][[분류:2012년 은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