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흥운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삼미 슈퍼스타즈|'''{{{#ffffff 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ffffff 청보 핀토스}}}''']] 등번호 3번}}}''' || || 팀 창단 || {{{+1 →}}} || '''{{{#ffffff 조흥운[br](1982~1986)}}}''' || {{{+1 →}}} || [[양후승]][br](1987~1989) || }}} || ||<-2>
[[파일:삼미 조흥운.jpg|width=100%]] || ||<-2> 어린이 팬들에게 싸인하는 현역 시절 조흥운. || ||<-2> '''{{{+2 조흥운}}}[br]趙興雲 | Jo Heung Woon''' || ||<|2> '''출생''' ||[[1954년]] [[8월 13일]] ([age(1954-08-13)]세) || ||[[인천광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 - [[건국대학교 야구부|건국대]] || || '''포지션''' ||[[내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2년 [[삼미 슈퍼스타즈]] 창단멤버 || || '''소속팀''' ||'''[[한국화장품 야구단]] (1977, 1980~1981) [br][[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 (1982~1986)''' || || '''지도자''' ||[[부천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1998~2002)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육군 경리단]] (1978~1979) || [목차] [Clearfix] == 개요 == [[1954년]] [[8월 13일]]생([age(1954-08-13)]세). 前 야구선수.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 [[건국대]]를 졸업했으며,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에서 뛰었다. 아마시절엔 빠른 발과 펀치력으로 유명했으나 프로에 와선 홈런이라곤 없다시피 했으며 1982년을 제외하곤 제대로 된 성적을 보이지 못했다. == 선수 경력 == 고교시절엔 인천고에서 4번타자를 맡으며 호성적을 올렸으며 1972년 열린 한일 고교 올스타전에 선발되기도 하였다. 대학교 시절에도 건국대의 클린업 트리오의 일원으로 홈런을 적시적소에 쳐대며 1974년 대학야구가을리그의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이나 1976년 [[전국종합야구선수권대회|백호기]]에서 [[조종규]]와 함께 이루어낸 대회 최초의 백투백 홈런 같은 진기록도 뿜어냈다. 실업야구 시절엔 [[한국화장품 야구단]]의 창단멤버로 1977년 우승에 힘을 보탰으며, 1978년과 1979년에는 [[상무 피닉스 야구단|육군 경리단]]에서 뛰었다. 그 후 1980년에는 한국화장품에 복귀해 1981년까지 뛰었다. 1982년에는 인천 출신이니 삼미슈퍼스타즈 창단멤버로 참가. 여기서 웃긴 점이 있다면 1981년 기사를 보면 조흥운을 모두 삼미의 주력타자로 봤으나 한 신문에선 포수, 다른 신문에선 외야수로 기록했으며 실제로는 내야수로 뛰었다는 점. 부족한 팀 상황에서 도루 2위 기록인 44개를 기록했으며 타율 또한 팀내 최고인 0.284를 기록했다. 단, 타자의 생산력을 가장 잘 보여준다는 wRC+[* [[스탯티즈]] 기준]에선 104로 121.5인 [[금광옥]]에 뒤져 규정타석을 채운 선수 중 2위를 기록했다. 이 기록은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눌 경우 더 놀라운데, 전반기가 끝나던 시점에선 타율 0.325로 리그 9위를 찍고 있었으며 도루의 경우 29개의 도루를 기록해 [[김일권]]을 누르고 전반기 도루왕을 차지했기 때문[* 김일권이 조흥운을 앞선 것은 하루 5개의 도루를 기록한 후기리그 7일 째부터였다. 그 당시 조흥운 30, 김일권 29->34. 당시에도 전반기랑 후반기 타이틀 시상을 따로 하지 않았기에 사실 전반기 도루왕이란 타이틀은 없다.]. 올스타전에도 베스트 10에는 뽑히지 못했지만 감독추천으로 3루수로 출전했다. 하지만 그 후 후반기에 팀내 주력 타자인 [[양승관]], [[금광옥]]이 부상으로 빠지고 전반기에 0.338을 찍던 [[김경남(야구선수)|김경남]]이 극심한 부진으로 0.269로 시즌을 마감했으며 [[김호인]] 또한 부진한 상황 속에 조흥운이 그나마 잘 견뎌내서 0.284인 것. [[김은식]]의 기사에선 4월 25일 대첩 후 감독대행을 맡은 [[이선덕]]의 조급증을 이런 부진의 원인으로 뽑았다. 후반기에 도루가 조금만 추가된 것은 출루율 자체가 낮아진 것도 있지만 [[박현식]] 감독과 이선덕 감독대행의 성향차이 때문으로 시도 자체가 줄어든 것도 원인이라는 기사도 있다. 그래도 별다른 선수도 없던 1982년에도 이 정도 성적이었으니 [[이선웅]], [[정구선]], [[이영구]], [[김진우(1958)|김진우]] 등이 보강된 1983년에는 더 잘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그 이후 폭망. 타율 0.240를 넘긴 시즌이 한 번도 없었다. 1983년엔 성적이 폭락한 선수로 곧잘 언급되곤 했다. 당시 긍정적인 기사는 [[장명부]]와 친한사이라는 거 정도? 1983년 시즌이 끝난 후엔 [[삼성 라이온즈]]에서 [[김한근]]+[[함학수]]<->조흥운+금광옥 트레이드를 제안했으나 무산. 1985년 [[청보 핀토스]]로 팀이 바뀔 때는 팀 대표로 인터뷰에 나와 충격이다란 말과 함께 슈퍼스타즈 유니폼을 벗는 날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란 말을 남겼는데 1986년 시즌 종료 후 계약양도 선수로 나오며 은퇴하게 된다. == 은퇴 이후 == 1987년에는 은퇴한 팀동료인 [[김호인]], [[허운]]과 함께 심판 합격 1차 명단에 오르기도 했다. 야구팬이라면 눈치챘겠지만 다른 길을 걸어간 조흥운과 달리 김호인과 허운 이 둘은 심판계에 오랫동안 근무하면서 훗날 [[심판/KBO 리그/사건사고#s-4.4|파벌 싸움]]도 벌이다가 둘다 짤린 후 2020년 둘다 복귀하였다. 이후 라디오 야구 해설을 맡았고 1998년에는 [[부천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자리를 맡았다. 그 뒤엔 [[포천시]]에서 동생과 함께 유리사업을 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4&oid=037&aid=0000004720|#]] [[파일:조흥운.png|width=50%]] 2012년의 모습. 2012년엔 [[임호균]]과 함께 야구 박람회에 참석했었다. == 기타 == [[슈퍼스타 감사용]]에서도 출연. 빠른 발을 가진 선수로 나왔으며 싸인 무시하고 도루 시도 했다 도루사 하거나(…) [[양승관]]의 에러성(…) 안타 타구 때 1루에서 스타트해서 득점하는 장면이 들어가 있다. 도루가 주특기라 스파이크를 매일 깨끗이 닦는 습관이 있었는데 영화에선 나올 때마다 뭘 닦는 장면을 보여줘서 이 습관을 고증했다고 한다. [[마구마구]]에선 조독운이란 가명으로 등장.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b21528 연도}}} || {{{#b21528 소속팀}}} || {{{#b21528 경기수}}} || {{{#b21528 타수}}} || {{{#b21528 타율}}} || {{{#b21528 안타}}} || {{{#b21528 2루타}}} || {{{#b21528 3루타}}} || {{{#b21528 홈런}}} || {{{#b21528 타점}}} || {{{#b21528 득점}}} || {{{#b21528 도루}}} || {{{#b21528 4사구}}} || {{{#b21528 장타율}}} || {{{#b21528 출루율}}} || || 1982 ||<|3> [[삼미 슈퍼스타즈|삼미]] || 79 || 299 || .284 || 85 || 16 || 4 || 4 || 35 || 43 || '''44'''[br](2위) || 24 || .405 || .338 || || 1983 || 80 || 254 || .236 || 60 || 9 || 4 || 0 || 27 || 24 || 11 || 17 || .303 || .284 || || 1984 || 46 || 126 || .206 || 26 || 6 || 0 || 1 || 6 || 17 || 7 || 10 || .278 || .265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85 || [[삼미 슈퍼스타즈|삼미]] / [[청보 핀토스|청보]] || 59 || 90 || .178 || 16 || 2 || 0 || 0 || 3 || 13 || 7 || 10 || .200 || .257 || || 1986 || [[청보 핀토스|청보]] || 18 || 5 || .000 || 0 || 0 || 0 || 0 || 0 || 3 || 0 || 0 || .000 || .000 || ||<-2> '''[[KBO 리그|KBO]] 통산''' [br] (5시즌) || 282 || 774 || .242 || 187 || 33 || 8 || 5 || 71 || 100 || 69 || 61 || .324 || .297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1954년 출생]][[분류:인천광역시 출신 인물]][[분류:우투우타]][[분류:내야수]][[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인천고등학교 출신]][[분류:건국대학교 출신]][[분류:1982년 데뷔]][[분류:1986년 은퇴]][[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