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learfix] == 개요 == 무협소설 [[권왕무적]]의 등장인물. == 설명 == 별호는 신수(神手). '''무림맹주'''다. 14대 고수중 하나이며, 그 중에서도 [[초비향]]과 함께 절대쌍절(絶對雙絶)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정도무림 최강의 고수이다. 그리고 숨겨진 신분은 '''원의 황자'''로 중원을 노리는 흑막[* 이 캐릭터가 악역이라는 것은 비교적 초반에 드러난다. 초반 에피소드인 묵씨 남매의 친부로, 사라신교 교주의 손녀딸을 '''겁탈'''하고, 그걸 본 자신의 부하들은 [[살인멸구]]시켰다는 이야기가 나오기 때문.]. 원나라 황가인 철씨 가문의 후예로써 본명은 철진양. [[동심맹]]을 비롯한 무림맹의 장로원을 타락시키고, 무림의 아래부터 썩어나가게 만들어 무림을 쉽게 정복하고자 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그도 칸의 자리에 있었기에, 아버지인 [[대전사(권왕무적)|철적심]]과 수석 광전사 [[아무르 칸]]과는 전혀 별개의 노선을 걷고 있었다.[* 대전사는 막강하기 그지없는 최강의 무공으로 중원의 모든 무예를 완벽하게 꺾어 그들의 의지를 꺾으려고 했으며, 아무르 칸은 황실을 장악하고자 금영단을 데리고 황성에 들어가 있었다.] 몽고의 광전사들 중 [[대전사(권왕무적)|대전사]]와 [[아무르 칸]]을 제외하고 가장 강하며, 그 무공수위는 정도 무림의 [[신주오기]]나 [[십단무극신공]] 팔 단계의 아운보다 강하다.[* 심지어는 무림 역사상 천마 이후 두 번째로 '''극마지경'''를 각성한 호연각조차 장음지독이 아니였으면 단독으로 상대가 가능했다고 한다. 조진양의 강함을 볼 수 있는 면모이다.] 폐관에 들어간 상태로 작중 벌어지는 사건들은 대부분 [[사마무기]]나 아들인 [[조원의]]가 맡아서 하였으나, 폐관을 끝내고 나온 뒤 제대로 움직이기 시작해 그 막강한 무력을 과시했다. 무림삼대권공 중 하나인 선풍사자신권[* 조진양 이외의 사용자가 적어서 그렇지, 무려 [[십단무극신공]]과 동급으로 취급되는 권공이다.]을 보조로 익히고 있으며, 최고 절기는 수공인 칠절분뢰수(七絶分雷手)로 엄청난 속도와 연계로 상대가 제대로 반격한 틈도 없이 방어만 하다가 얻어맞고 죽는게 특징. 14대 고수인 [[우문각]]을 여유롭게 격살하고, 자신과 동격으로 평가받던 혈궁의 궁주인 [[초비향]]도 압도적으로 밀어붙였다. 무극신공 팔 단계였던 [[아운]]도 무극신공이 한 단계 올라서기 전에는 정면 대결로는 승산이 전혀 없다고 판단했고, 실제로 잠시간의 격돌에서 확실히 밀렸다.[* 400년 전 칠초무적자가 십단무극신공 팔 단계 만으로 무림 최강으로 군림했었다는 것을 기억 할 필요가 있다. 단지 조진양 본인도 태양무극섬만은 정면에서 받아 낼 자신이 없다고 말했다.] 아운의 계책에 의해 일이 계획대로 돌아가지 않는 상황[* [[광풍대전사단]]은 호연세가에 갇혀버리고, 그나마 아운을 최대한 견제하던 [[사마무기]]는 납치당했으며, 혈궁에서 감시받고 있던 [[초비향]]과 [[대정회]]고수들이 결전장소에 나타났다.]에서도 자신의 무공실력과 압도적인 전력차이로 밀어붙였으나, [[호연각]]이 미쳐 날뛰면서 뿌린 장음지독 때문에 맹주부에 갇혀버렸다. 그 와중에 아들과 손자의 시체를 보고 복수를 다짐했으나, [[십단무극신공]]의 구 단계에 오른 [[아운]]을 상대로 어느 정도 방심했다가 태양무극섬에 맞아 사망하게 되었다.[* 아직은 조진양이 반수정도 강한 상태였으나, 불괴수라기공으로 자신의 무공 수위를 속이고 충돌 직전 본 실력을 드러내며 승리했다. ][* 게다가 조진양이 태앙무극섬을 보았던 때가 아운이 야율초를 죽이려고 했을 때인데, 그 와중에도 아운은 힘의 일부를 숨기고 전력을 쓰지 않았다. 만약 태양무극섬의 정확한 위력을 알고 있었으면 조진양의 실력이면 피할 수 있었기 때문에 계획 한 작전이었다.] 원의 황족 삼대가 모두 죽었기에 은영단은 그것에 스스로 책임을 지고 대초원으로 돌아갔으며, 아운과 원의 싸움에 개입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3년 뒤 [[아무르 칸]]이 절대고독을 이용해서 은영단을 강제로 중원에 돌아오게 만들었다.] [[분류:권왕무적/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