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국의 의사]][[분류:왕립학회 회원]][[분류: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출신]][[분류:에든버러 대학교 재직]][[분류:글래스고 대학교 재직]][[분류:킹스 칼리지 런던 재직]][[분류:1827년 출생]][[분류:1912년 사망]][[분류:켄트주 출신 인물]] [include(틀:대영제국 훈장(기사작위 수훈자들-남자))] [include(틀:역대 왕립학회장)] ---- ||<-2> {{{#white '''The Right Honourable'''}}}[br]{{{+2 {{{#cd9f51 '''The Lord Lister'''}}}}}}[br]{{{#white '''조지프 리스터 남작'''}}} || ||<-2> {{{#!wiki style="margin: -3px -1px -2px" {{{-2 [[훈장(상훈)/영국#s-2.4|{{{#fff '''OM'''}}}]] [[영국 추밀원|{{{#fff '''PC'''}}}]] [[:틀:역대 왕립학회장|{{{#fff '''PRS'''}}}]] {{{#fff '''FRCSE FRCPGlas'''}}}}}}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조지프 리스터.jpg|width=100%]]}}} || || '''성명''' ||조지프 리스터, 제1대 리스터 남작 Joseph Lister, 1st Baron Lister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 '''출생''' ||[[1827년]] [[4월 5일]][br][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웨스트햄, 업튼 하우스 || || '''사망''' ||[[1912년]] [[2월 10일]] (향년 84세)[br][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켄트주]], [[도버]], 월머 || || '''직업''' ||의사, 교수 || || '''업적''' ||무균 수술법 확립 || || '''서명''' ||[[파일:조지프 리스터 서명.png|width=140]] || ||<-2><#fff,#1f202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의과대학]] ^^(의학 / 1852년)^^ || ||<|4> '''경력''' ||[[에든버러 대학교]] 조수 || ||[[글래스고 대학교]] 교수 || ||[[킹스 칼리지 런던|킹스 칼리지 런던 GKT 의과대학]] 교수 • 학장[* [[https://www.kcl.ac.uk/people/joseph-lister|참고]]] || ||제37대 [[:틀:역대 왕립학회장|왕립학회장]] (PRS) || ||<|7> '''상훈''' ||[[왕립학회]] 회원 {{{-2 (1860년)}}} || ||로열 메달 {{{-2 (1880년)}}} || ||[[기사작위]] {{{-2 (1883년)}}}[* [[https://cmeindia.in/history-today-in-medicine-sir-joseph-lister/|참고]]] || ||에든버러 대학교 치료학 카메론 상 {{{-2 (1890년)}}} || ||앨버트 메달 {{{-2 (1894년)}}} || ||코플리 메달 {{{-2 (1902년)}}} || ||[[훈장(상훈)/영국#s-2.4|메리트 훈장]] (OM)[* Order of Merit] {{{-2 (1902년)}}} || || '''부모''' ||[[아버지|父]]: 조지프 잭슨 리스터 [[어머니|母]]: 이사벨라 해리스 || || '''배우자''' ||아그네스 사임 ^^(결혼: 1856년 - 사별: 1893년)^^ || || '''종교''' ||[[퀘이커(종교)|퀘이커]]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지프 리스터는 영국의 외과의사이자 무균법의 창시자이다. == 생애 == 조지프 리스터는 1827년 영국 에섹스 업튼에서 태어났다. 1844년 [[옥스퍼드 대학교]] 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수학하기를 희망하였으나 [[퀘이커(종교)|퀘이커]] 교도였던 그는 종교적인 이유로 두 대학 모두에서 입학을 거부당했다. 당시 영국에서 퀘이커 교도에게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대학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이 후 종교에 상관없이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하던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의과대학에 입학하여 1852년에 졸업한다. 그 후 [[에든버러 대학교]] 외과대학의 교수 제임스 사임의 조수로 들어가 3년후 그의 딸 아그네스과 결혼을 하였다. 이후 [[글래스고 대학교]] 외과대학 교수로 활동하였으며, 1860년에 이르러서는 영국 왕립학회의 회원이 되었다. 1877년엔 런던으로 돌아와 윌리엄 퍼거슨 교수의 후임으로 [[킹스 칼리지 런던]] 의과대학 학장을 역임한다. == [[무균법]] == 리스터는 [[루이 파스퇴르]]의 이론을 적용시켜 외과수술을 성공적으로 진행해 명성을 얻었다. 당시 영국은 [[마취제]]를 쓴지 얼마되지 않았고, 세균에 의한 감염에 대해서도 잘 모르고 있었다. 그 시대의 영국에서는 수술후 사망률이 매우 높았다. 마취제 이전의 수술같은 경우에는 수술을 최대한 빨리 끝내주는 의사가 가장 인기가 있었다. 리스터는 하수구 정화용으로 주로 사용되던 [[페놀]](C6H5OH)류의 한종류인 석탄산을 이용하여, [[소독]]을 사용해 수술후의 감염을 막을 수 있다 생각하였다. 리스터에게는 그 이론을 입증할 기회가 찾아왔다. 1865년 마차에 깔려 복합골절판정을 받은 환자 제임스 그린리스라는 11살의 아이가 있었는데 그아이는 다리가 절단되어 불구가 될 위기에 처해있었는데 리스터는 방부치료법을 적용할 기회로, 그 아이의 환부를 석탄산으로 소독하고 다리에 부목을 대어 붕대로 감았다. 4일 후 수술부위 덮개를 열고 부위에 똑같이 석탄산으로 소독하였다. 그 후 환부는 아물기 시작했고 그린리스는 골절을 당한 지 6주가 되자 제임스 그린리스는 완쾌되었고, 목발을 지긴 했지만, 스스로 퇴원해 집으로 갈 수 있었다. 리스터의 청결 치료법은 수술후의 괴사 감염이 없어서 널리 사용되었고 사망률도 현저히 줄어들게 되었다. 리스터는 또한 수술진에게 코트대신 흰색 가운을 입게 하였다. 거즈와 석탄산 스프레이를 개발하기도 했다. 그의 이런 활약을 통해 외과수술은 엄청난 발전이 이루어졌다. 리스터의 방부 치료 가치를 최초로 인정한 국가 독일의 외과 의사들은 처음으로 [[고압멸균]]법을 보편사용했다. 이러한 공로들로 리스터는 1883년에는 준남작, 1897년 남작에 수여되었다. 후에 그의 이름은 [[켄뷰]]의 [[구강청결제]] 브랜드인 [[리스테린]]으로 알려져 있으며, [[켄뷰]]의 모회사인 [[존슨앤드존슨]] 역시 설립자인 [[로버트 우드 존슨]]이 이 사람의 영향을 받아서 의료용 소독 기구 제조회사로 출발했을 정도이니 리스터의 업적은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