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후한의 인물, rd1=조자(후한), other2=후한의 반역자, rd2=조자(후한 반역자))] 趙咨 생몰년도 미상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오(삼국시대)|손오]]와 [[위(삼국시대)|조위]]의 인물이며 자는 덕도(德度)로 [[형주]] 남양군 출신. == [[삼국지(정사)|정사]] == 들은 것도 많고 아는 것도 많아 같이 응대하면 말주변이 좋았으며, 221년에 [[손권]]이 오왕이 되자 중대부가 되어 [[위(삼국시대)|조위]]로 사신으로 갈 때 [[조비]]와의 문답으로 유명해 이것이 거재두량의 유래가 된다. === [[오(삼국시대)|손오]]의 신하 === ==== 주석에서의 조비와의 문답 ==== [[조비]]가 기쁘게 여기면서 농담으로 조자에게 물었다. >오왕은 학문이라는 것에 대해 알고는 있습니까? 이에 대답했다. >저희 주인께서는 1만 척의 군선을 강에 띄우고 무장 군사 백만을 거느리시면서 현명한 인재를 발탁해 일을 맡기시고, 항상 경략에 뜻을 두고 계십니다. 잠시라도 여가가 나면 경전과 사적을 섭렵해 큰 뜻을 터득하시니 서생들처럼 문장이나 찾고 구절이나 외우는 일 따위는 하지 않습니다. 조비는 조자의 말에 일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위협하는 말투로 다시 물었다. >만약 내가 [[오나라]]를 치려고 한다면 어떻게 하겠소? 조자는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고 태연하게 대답했다. >큰 나라에는 작은 나라를 정복하는 무력이 있고, 작은 나라에는 큰 나라를 막아 내는 방책이 있는 법입니다. 조비가 곧 다그쳐 물었다. >그대의 오나라가 우리들을 두려워하지 않는다는 말인가? 조자는 태연하게 대답했다. >저의 오나라에는 백만의 용사들이 있으며, [[장강]]이라는 전혜의 요새를 차지하고 있어서 무엇으로든지 다른 사람들을 두렵게 할 수 있습니다. 조비는 조자의 태도와 말솜씨에 탄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다시 태도를 바꾸어 친철한 말투로 조자에게 물었다. >오나라에는 그대와 같은 사람들이 얼마나 있소? 조자는 역시 태연하게 응수했다. >특히 총명하고 뛰어난 인재는 8, 90명 될 것이고 저와 같은 사람은 어찌나 많은지, [[거재두량|수레에 싣고 말로 되어도, 그 수를 이루 헤아릴 수 없습니다]]. 조자는 오나라에 돌아와서 손권에게 더욱 중용되었으며, 기도위에 봉해졌다. ==== 오주전 본전에서의 문답 ==== 도위 조자를 사자로 하여 위나라로 파견되어 조비가 조자에게 질문했다. >오나라의 왕은 어떤 군주인가? 조자가 대답했다. >총명하고 어질며, 지혜롭고 웅대하고 재략이 있는 군주입니다. 위문제는 구체적인 상황을 물었고, 조자는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보통 사람들 속에서 [[노숙(삼국지)|노숙]]을 받아들였는데, 이것은 그의 총명함입니다. 보통 병사들 가운데서 [[여몽]]을 발탁했는데, 이것은 그의 현명함입니다. [[우금]]을 붙잡았지만 죽이지 않았으니 이것은 그의 어짊입니다. 형주를 취하면서 병기에 피를 묻히지 않았습니다. 이것은 지혜로움입니다. 세 [[주(행정구역)|주]]를 차지해 호랑이처럼 천하를 보고 있으니 이는 그의 웅대함입니다. [[폐하]]에게 몸을 굽혔으니, 이것은 그의 재략인 것입니다.[* 김홍신 평역판에서는 이 부분 이후에 주석에서의 문답을 곧바로 등장시켰다. 조자가 "(오왕이) 폐하(조비)에게 몸을 굽힌 것은 재략이다"라고 대놓고 까자 이에 [[조비/인간성|조비가 면박을 주려고 그랬다는 것이다.]]] === [[위(삼국시대)|조위]]의 신하 === 손오로 돌아와서 기도위가 되었던 조자였지만 조비의 마음에 쏙 든 조자인지라 다시 조위로 돌아가 '''[[전향|조위의 신하가 된다.]]'''(...) 232년의 [[조예]] 시절에 다시 한 번 이름이 등장하는데 [[장제(조위)|장제]]와 [[만총]]이 [[합비|합비성]]의 위치를 좀 더 안쪽으로 옮기자고 제안할 때 [[상서(관직)|상서]]로 있던 조자가 이 의견에 찬성하자 그제서야 조예는 합비성의 위치를 옮기는 것을 허락한다는 일화가 있다. === 번역 문제 === 232년 기사는 국내에 돌아다니는 정사 만총전에는 [[조지]]라고 되어있으나 이곳의 원문은 尚書'''趙咨'''以寵策為長,詔遂報聽。으로 조자가 확실하다. 국역 [[자치통감]]에서 주석을 달아 손권을 섬기던 조자라고 ~~[[확인사살]]~~ 확인시켰다. == [[삼국지연의|연의]] == 조비에게 사신으로 갈 때 결코 손오의 명예를 더럽히지 않겠다고 하면서 출발해 조위에서 조비와 함께 위와 같은 문답을 했다. 결정적으로 '''[[위(삼국시대)|조위]]에 [[투항]]한 [[삼국지연의/수혜자|변질자의 행적이 삭제되어 연의 내에서만큼은 자신의 말에 책임을 지는 삼국지의 수혜자가 됐다.]]''' == 기타 창작물 == || [[파일:조자.jpg|width=400]] || || [[삼국지 14]]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14]]부터 등장하고 능력치는 통솔 12, 무력 36, 지력 56, 정치 69, 매력 63이며 개성은 논객,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2, 진형은 투석,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조자, version=69, paragraph=1)] [[분류:조위의 인물]][[분류:손오의 인물]][[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