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동음이의어]][[분류:한자어]][[분류:동명이인]] [목차] ==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조위]]의 황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예)] == [[造]][[詣]] == 어떤 분야의 지식이나 경험이 깊은 경지에 이르는 것. 주로 "그 사람은 ~에 조예가 깊다"는 식으로 표현한다. 전문가 정도의 수준이라고 보면 간단하다. 교수, 박사 같이 해당 분야의 전문 직함이나 자격이 있는 사람에게 쓰는 일은 없으며 어색한 표현이다. >OO 의사는 치과 분야에 조예가 깊다. [X] >OO 의사는 클래식 음악에 조예가 깊다. [O] == [[早]][[刈]] == 곡식을 일찍 벤다는 의미를 가진 명사로 '''조예하다'''란 동사로 사용이 가능하며 해당 단어의 사용례는 아래와 같다. > 1태풍이 자신의 논들을 휩쓸고 지나가자 김아무개는 구술피 울며 물에 잠기거나 쓰러진 벼들을 조예했다. > 2그해 곡식 가격이 터무니 없이 폭락하자 농부들은 추수를 기다리던 곡식을 갈아엎거나 조예하며 자신의 한해 농사가 망했다고 한탄한다. 출처: [[https://ko.dict.naver.com/detail.nhn?docid=34316600|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조예01]] == [[鑿]][[枘]] == 모난 자루와 둥근 구멍이란 뜻으로 두개의 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뜻하는 명사로 유의어로 원조방예(圓鑿方枘)가 있다. 출처: [[https://ko.dict.naver.com/detail.nhn?docid=34316900|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조예04]] == [[후한#s-1]] 말의 장수 == [[조예(후한)]]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조예, version=156)]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조예(삼국지), version=564, title2=조예, version2=354, paragraph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