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고려의 문하시중)] [include(틀:고려의 배향공신)] [목차] 趙永仁 (1133 ~ 1202) == 개요 == 고려 [[무신정권]]기의 재상. 시호는 문경(文景)이며, [[횡성군|횡천]](橫川) 출신이다. == 생애 == [[의종(고려)|의종]] 14년(1160) 과거에 급제해[* 『동인지문오칠』 권7.] 전주(全州) 서기에 임명됐다. [[명종(고려)|명종]]이 즉위한 뒤에는 태자 왕오(훗날의 [[강종(고려)|강종]])의 교육을 맡았다. 좌사원외랑에 임명됐고 명종 4년(1174) [[금나라]]에 하정사로 다녀왔다. 우승선으로 승진해 잘못된 일을 여럿 간언했다. 명종 15년(1185) 혼자서 과거를 감독해 시(詩)·부(賦), 십운시, 명경 등 과목의 합격자를 선발했다. 명종 20년(1190) 동지추밀원사에 임명됐고, 이듬해 [[참지정사]]로 고쳐 임명됐다. 명종 22년(1192) 동지공거 한림학사 유공권(柳公權)과 함께 과거를 감독해 손희작(孫希綽) 등 29명을 합격시켰다. 명종 24년(1194) 수태위 상주국이, 2년 뒤 권판이부사가 더해졌다. 명종 말 조영인의 직함은 '참지정사 정당문학 한림학사승지 수태위 상주국'이었다. 명종이 폐위되고 [[신종(고려)|신종]]이 즉위한 뒤 승진해 [[개부의동삼사]] 수태사 [[문하시랑평장사]] 판이부사가 됐다. [[최충헌]] 등 무신들은 금나라에 표문을 올려 왕이 동생에게 양위했다고 통보했는데, '병으로 왕위에서 물러난다.', '선왕(의종)의 아들([[효령태자]])은 왕위를 사양했다.', '친동생(신종)이 왕위를 물려받는다, 이미 국정을 대리하고 있다.' 등의 내용이 적혀있었다. 신종 원년(1198) 5월 고려로 돌아가는 사신 편에 딸려온 조서에는 선문사(宣問使)를 통해 상황을 파악하겠다는 답이 들어있었다. 그리고 바로 다음달 금나라에서 온 대리경 손우(孫俁)가 명종에서 신종으로 왕이 교체된 정황을 따져 물었다. 손우는 황제의 명에 따라 선왕 명종에게 직접 조서를 전달해야겠다고 말해서 조정의 문무 대신들이 곤란해했다. 조영인은 꾀를 내서 개경의 궁궐에 멀쩡히 유폐돼있는 명종이 지금 개경에 없다고 설명했다. 명종은 지금 왕복하는데 30일정도 걸리는 남쪽 지방에서 요양차 머무르고 있다는 것이었다. 또 조영인은 조서를 직접 전달하려면 2~3개월은 걸릴 것이니 고려에서 몇 달은 머물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손우는 정 그렇다면 직접 전달하지는 않겠다고 하며, 새로 왕위에 오른 신종에게 조서를 대신 전달했다. 신종 4년(1201) 조영인은 눈이 어두워졌다고 하면서 벼슬에서 물러날 것을 청했다. 신종은 조영인에게 수태사 벼슬을 내리고 은퇴를 허락했다. 이듬해 신종 5년(1202)에 죽었다. 신종으로부터 시호를 받았으며 신종의 묘정에 배향됐다. == 가족관계 == [include(틀:고려 재상지종)] * 부: 조시언 * 모: 남평 문씨 - [[문공원]]의 3녀로 [[문극겸]]과는 4촌에 해당된다. * 누나: 횡천군대부인 조씨 * 매부: 유영재 * '''본인: 조영인''' * 처: 영평군부인 윤씨 - [[윤관]]의 손자인 [[윤인첨]]의 손녀이다. * 아들: 조준 * 아들: [[조충(고려)|조충]] * 손자: 조계순 * 손자: [[조숙창]] 조영인은 시대관서령을 지낸 조시언과 [[문공원]]의 3녀 문씨의 아들이다. 조영인의 누나 횡천군대부인 조씨(1128~1281)는 자녀를 다섯이나 뒀는데 명종 즉위년(1170) 남편과 사별해 곤경에 처했다. 이 때 조영인이 누나를 지원했다는 기록이 「유영재처조씨묘지명(柳英材妻趙氏墓誌銘)」에 남아있다. 조영인의 처 윤씨는 둘째 아들 조충이 태어난지 한달 뒤인 명종 1년(1171)에 죽었다. 참고로 그의 집안은 [[무신정권]] 당시 대표 문벌/무인 집권자 집안들과 혼인관계를 유지하고 조영인의 둘째 아들인 조충이 해당 문서에 나오지만 문과 급제에 고종 때 거란과의 전쟁에 공을 세우면서 명문가로 부상했지만, 손자 조숙창이 1차 여몽전쟁 당시 몽고에 항복함은 물론 이후 반란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하면서 직계는 멸문을 당했다.[[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2131&docId=1671364&categoryId=62163|참고 자료 - 국역 고려사 열전(조영인)]][* 이 때문에 조영인-조충 부자는 『[[고려사]]』「열전(列傳)」에 그냥 나오지만, 손자 조숙창은 「열전(列傳)」'반역(叛逆)편'에 실렸다.] == 대중매체에서 == * <[[무인시대]]> - [[조영인(무인시대)|조영인]] {{{-1 ([[박병호(배우)|박병호]] 분)}}}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영인(무인시대))] == 기타 == * 재상으로 있을 때 다른 재상들과 함께 [[이규보]]를 천거한 일이 있다. 조영인과 [[임유]], [[최선(문의공)|최선]], 최당 네 명의 재상이 그를 추천해 차자(箚子)를 올렸으나 중간에서 전달되지 않아 이루지 못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고려사)] [[분류:고려의 배향공신]][[분류:횡성 조씨]][[분류:횡성군 출신 인물]][[분류:1133년 출생]][[분류:120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