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솔트레이크 비즈/로스터)] ---- ||
'''{{{#ffffff 조엘 치멜리스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화 이글스 외국인 선수)] ---- ||
'''{{{#ffffff 조엘 치멜리스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39번}}}''' || || 이은승[br](1996~1997) || {{{+1 →}}} || '''{{{#ffffff 치멜리스[br](1998)}}}''' || {{{+1 →}}} || [[신주영(야구선수)|신주영]][br](2002~2003)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oel Chimelis.jpg|width=100%]]}}} || ||<-2> '''솔트레이크 비즈 No.11''' || ||<-2> '''{{{#000000 {{{+2 조엘 치멜리스}}}[br]Joel Chimelis}}}''' || ||<|2> '''출생''' ||[[1967년]] [[7월 27일]] ([age(1967-07-27)]세) || ||[[뉴욕주|뉴욕 주]] [[브루클린]]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하워드 칼리지 - [[텍사스 대학교/오스틴 캠퍼스]] || || '''신체''' ||183cm / 74kg || || '''포지션''' ||[[내야수]], [[외야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7년 드래프트 18라운드 (전체 454번, [[애틀랜타 브레이브스|ATL]])--[br]1988년 드래프트 11라운드 (전체 281번,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br]1998년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 2라운드 ([[한화 이글스|한화]]) || || '''소속팀''' ||[[중신 브라더스|슝디 엘리펀츠]] (1997)[br][[한화 이글스]] (1998) || [목차] [clearfix] == 개요 == 1998년 [[한화 이글스]]에서 활약했던 외국인 선수. == 선수 경력 == === KBO 리그 이전 === 1988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에서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 지명되어 1991년까지 그 산하 마이너 팀에서 뛰었다. 1992년부터 1995년까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산하 마이너 팀에서[* 1995년 6월에 콜업되긴 했으나, 선수노조 파업 때 대체선수로 발탁되어 시범경기를 뛰었던 것 때문에 빅리그 선수들의 미움을 사 1경기도 뛰지 못하고 방출되었다(...)], 1996년에는 [[뉴욕 메츠]] 마이너 팀에서 뛰었다. 그렇게 마이너리그만 전전하다가 1997년에는 [[대만프로야구]]의 [[중신 브라더스|슝디 엘리펀츠]]에서 뛰었고, 이후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에 지명되어 한국으로 오게 된다. === [[한화 이글스]] 시절 === [[파일:external/static.inven.co.kr/7346f_n.jpg]]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 지명 당시 치멜리스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경력이 없었기에 기대받지 못했고, 한화 구단 내적으로는 1라운드 지명된 [[마이크 부시]]에게 기대가 더 큰 상태였다. 부시는 메이저 리그에서 활약한 전적이 있었기에 당시 드래프트에서도 최대어로 꼽혔고, 아무래도 메이저 경력이 없던 치멜리스보다는 확실히 부시가 기대받았다. 하지만 시즌이 개막하고 [[돈 내놔라 먹튀야|부시는...]] 치멜리스는 유격수로 시즌을 시작했지만, 중간에 수비불안을 이유로 [[2루수]]로 전향하게 된다.[* 원래 마이너리그에서는 내야 유틸리티로 굴렀다. 외야수로도 3시즌을 뛰었고, 투수로도 등판한 적이 있다. ~~나름 올라운드 플레이어?~~ 근데 마이너리그에서는 선수들에게 수비 포지션 실험을 자주 하는 터라, 저건 그냥 포지션 실험으로 모든 포지션에서 뛰어본 거고 실제 수비력은 그닥 좋지는 못했다.] 그러나 2루수로 자리를 옮긴다고 수비불안이 나아질 리는 없었고, 이는 재계약에 발목을 잡는 요인 중 하나가 되고 만다. [* 치매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전반기 타율 .254 8홈런 29타점을 기록, 후반기에는 ~~기록관리 작렬~~ 타율 .302 9홈런 34타점을 기록하며 그나마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확실히 1인분 값은 해줬다고 평가받았다. 해서 최종은 타율 .279 17홈런 63타점. 17홈런은 [[장종훈]]과 함께 팀내 1위 성적이었다. 그해 외국인 타자들 전체를 봐도 [[타이론 우즈]], [[스캇 쿨바]] 둘을 제외하면 가장 준수한 성적을 올렸다. [[1999년]] 시즌 다시 실시한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에서도 한화에 3라운드 지명되었는데 [[제이 데이비스]]와 [[댄 로마이어]]가 교체될 경우에 대비해 뽑아 놓은 것이었다. 그러나 로마이어와 데이비스는 엄청난 활약과 함께 [[1999년 한국시리즈|우승반지]]를 끼게 되고, 그 이후 한국에서 치멜리스를 다시 보게 될 일은 없었다. === 이후 === 마이너리그로 돌아가 캐나다, 멕시코 등지를 전전하다 2003년 은퇴했다고 한다. == 은퇴 후 == [[휴스턴 애스트로스]] 소속의 산하 싱글A팀 타격코치 일을 하며 UFC 자원봉사자 일도 하고 있다고 한다. 이후 [[뉴욕 메츠]] 산하 AAA 팀인 시라큐스 메츠의 타격코치로 일을 했다. == 이야기거리 == * 입단 당시에 '''자신이 뛴 모든 리그에서 3할 이상을 쳤다'''고 말한 적이 있다.[* 원래 이 당시에는 [[KBO 리그]]의 수준이 원체 낮았던지라 용병 선수들은 수준을 얕잡아보고 허풍을 떨기 일쑤였다. ~~그리고 예상 외로 높아서 실패했다.~~] ~~정작 마이너리그에서도 3할을 친 시즌이 많지 않다.~~ * 1998년 7월 13일 잠실 LG전부터 7월 24일 잠실 LG전까지 10경기 연속 타점을 기록했는데 이는 [[야마이코 나바로]]가 2015년 7월 26일 대전 한화전에서 8월 7일 포항 SK전까지 11경기 연속 타점을 기록하기 전까지 KBO 리그 외국인 타자 연속 경기 타점 1위였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98 || [[한화 이글스|한화]] || 118 || 409 || .279 || 114 || 22 || 0 || 17 || 63 || 48 || 1 || 34 || .457 || .332 || ||<-2> '''[[KBO 리그|KBO]] 통산''' [br] (1시즌) || 118 || 409 || .279 || 114 || 22 || 0 || 17 || 63 || 48 || 1 || 34 || .457 || .332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야구 관련 인물(기타 리그)]]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1967년 출생]][[분류:1997년 데뷔]][[분류:2003년 은퇴]][[분류:브루클린 출신 인물]][[분류:텍사스 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외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중신 브라더스/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