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텍사스 레인저스/로스터)] ---- ||
'''{{{#ffffff 조시 영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텍사스 레인저스 1라운드 지명선수)] ---- ||
'''{{{#ffffff 조시 영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3_rangers_world_champions.jpg|height=70]][br]'''MLB 월드 시리즈[br]우승반지''' || || '''[[2023년 월드 시리즈|{{{#ffffff 2023}}}]]''' || ---- ||
[[파일:2023 MLB 올스타전 로고.svg|height=70]][br]'''메이저 리그 베이스볼[br]올스타''' ||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ffffff 2023}}}]]''' || ---- ||<-5>
'''{{{#FFFFFF [[텍사스 레인저스|{{{#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6번}}}''' || || [[존 힉스]][br](2021) || {{{+1 →}}} || '''{{{#fff 조시 영[br](2022~)}}}''' || {{{+1 →}}} || 현역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EX.JoshJung.jpg|width=100%]]}}} || ||<-2> '''텍사스 레인저스 No.6''' || ||<-2> '''{{{+2 조시 영}}}[br]Josh Jung''' || || '''본명''' ||조슈아 라인 영[br]Joshua Ryne Jung || ||<|2> '''출생''' ||[[1998년]] [[2월 12일]] ([age(1998-02-12)]세) || ||[[텍사스|텍사스 주]] [[샌안토니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더글라스 맥아더 고등학교 - [[텍사스 공과대학교]] || || '''신체''' ||188cm / 97kg || || '''포지션''' ||[[3루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9 MLB 신인드래프트|2019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8번, [[텍사스 레인저스|TEX]]) || || '''소속팀''' ||'''[[텍사스 레인저스]] (2022~)''' || || '''계약''' ||1yr / $721,485 || || '''연봉''' ||2023 / $721,485 || || '''가족''' ||동생 [[제이스 영]] || || '''SNS''' ||[[https://www.instagram.com/josh6ju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twitter.com/josh6jun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 내야수. == 선수 경력 == === [[텍사스 레인저스]] === ==== 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레인저스조시영.jpg|width=100%]]}}} || 9월 9일 처음 메이저 리그에 콜업되었고 당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전에 데뷔 첫 타석부터 [[로스 스트리플링]]을 상대로 홈련을 날렸다. 그러나 데뷔 첫 시즌에는 .204/.235/.418, OPS 0.654, fWAR과 bWAR 모두 -0.1로 그저 그런 시즌을 보냈다. ==== 2023 시즌 ==== 6월 말 기준으로 장타 포텐이 터지며 현재 신인왕 후보급의 성적을 올리는 중이다. 뛰어난 활약상을 바탕으로 올스타전 스타팅 플레이어로 선정되었다.[* 신인이 올스타 팬투표에서 승리한건 2017년 [[애런 저지]] 이후 처음이고, 3루수 신인으로 범위를 좁히면 1949년 [[에디 카작]] 이후 처음이다.] 신인왕 유력 후보 중 한 명이었지만 8월 초 강습 타구로 왼쪽 엄지손가락이 골절되는 부상으로 시즌 아웃이 예상되었으나 이번 시즌 내에 복귀를 했다. 10월 4일 [[2023 아메리칸 리그 와일드카드 시리즈]] 2차전 경기에서 2루타 2개, 3루타 1개를 기록하며 [[2011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2011 ALDS]] 4차전 [[아드리안 벨트레]], [[2011 아메리칸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2011 ALCS]] 2차전 [[넬슨 크루즈]], 6차전 [[마이클 영]]에 이어 텍사스 구단 역대 4번째 포스트시즌 단일 경기 3장타를 기록했다. == 플레이 스타일 == 전형적인 클래식한 오른손 슬러거 스타일의 타자이며, 당겨치기 일변도의 타자가 아닌, 밀어서도 넘길수 있는 능력을 가진 타자이다. 또한 수비 역시 강한 어깨를 바탕으로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고있으며, 타구 처리 역시 깔끔한 편이다. 단점으로는 나쁜 볼넷 삼진 비율인데, 1:5 수준으로 상당히 나쁜편에 속하고, 주루 역시 좋지 않은 평가를 받고있다. 하지만 아직 나이가 어린 선수이기 때문에 볼삼비는 개선될 여지가 충분하다. == 수상 내역 == || '''수상''' || ||[[월드 시리즈]] 우승 ([[2023년 월드 시리즈|2023]])[br][[파일:MLB 로고.svg|width=20]] '''올스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2023년|2023]])''' ||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조시 영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2 ||<|2> [[텍사스 레인저스|TEX]] || 26 || 102 || 20 || 4 || 1 || 5 || 9 || 14 || 2 || 4 || 39 || .204 || .235 || .418 || .654 || -0.1 || 0.1 || || 2023 || 122 || 515 || 127 || 25 || 1 || 23 || 75 || 70 || 1 || 30 || 151 || .266 || .315 || .467 || .781 || 2.5 || 2.4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148 || 617 || 147 || 29 || 2 || 28 || 84 || 84 || 3 || 34 || 190 || .255 || .301 || .458 || .760 || 2.5 || 2.4 || == 여담 == * 동생인 [[제이스 영]]도 야구선수로 [[2022 MLB 신인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전체 12번으로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에 지명되어 현재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산하 마이너에서 활동중이다. == 둘러보기 == ||<-5> [[아메리칸 리그|[[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3년 4월 ~ 5월 메이저 리그 아메리칸 리그 이 달의 신인 상}}}''' || || [[스티븐 콴]][br]([[클리블랜드 가디언스]]) || → || '''조시 영[br]([[텍사스 레인저스]])''' || → || [[거너 헨더슨]][br]([[볼티모어 오리올스]])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8년 출생]][[분류:2022년 데뷔]][[분류:샌안토니오 출신 인물]][[분류:텍사스 공과대학교 출신]][[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텍사스 레인저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