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이인, rd1=조순(이름))] [include(틀:역대 서울특별시장)] || '''{{{#ffffff 역임한 직위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 [include(틀:역대 한국은행 총재)] ---- [include(틀: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장 후보)]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총재)] ---- [include(틀:한나라당 총재 및 대표)]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총재)]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강원도|{{{#CFA547 강원}}}]] [[강릉시(선거구)|{{{#CFA547 강릉시 을}}}]])'''}}} || || --제15대[br][[최욱철]]--[* 의원직 상실] || → || '''제15대''' [br] '''조순''' || → || ''선거구 통합''[br][[최돈웅]][* [[강릉시]]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이다.] || ----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 || ||<-2><#003764> '''[[기획재정부장관|{{{#ffffff 대한민국 제23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 ||<-2> '''[[서울특별시장|{{{#fff 제30대 서울특별시장}}}]][br]{{{#ffffff {{{+1 조순}}} [br] 趙淳 | Cho So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g_165973_1.png|width=100%]]}}} || ||<|2> '''출생''' ||[[1928년]] [[2월 1일]][* [[태음력|음력]] [[1928년]] [[1월 10일]].]|| ||[[강원도]] [[강릉시|강릉군]] [[구정면]] 학산리[br](現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 ||<|2> '''사망''' ||[[2022년]] [[6월 23일]] (향년 94세) ||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 || || '''사저'''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 || '''묘소''' ||[[강원도]] [[강릉시]] 선영 || || '''본관''' ||[[풍양 조씨]][* 평장사공파 21세손 돈(敦) 항렬.] || || '''호''' ||소천(小泉)|| ||<|6> '''재임기간''' ||제23대 [[기획재정부장관|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 ||[[1988년]] [[12월 5일]] ~ [[1990년]] [[3월 17일]] || ||제18대 [[한국은행 총재]] || ||[[1992년]] [[3월 26일]] ~ [[1993년]] [[3월 14일]] || ||제30대 [[서울특별시장]] || ||[[1995년]] [[7월 1일]] ~ [[1997년]] [[9월 9일]][* [[제15대 대통령 선거|15대 대선]] 출마를 위해 사퇴했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조정재, [[어머니]] [[강릉 김씨]] || || '''형제자매''' ||누나 조철, 여동생 조증 || || '''배우자''' ||김남희 || || '''자녀''' ||아들 조기송, 조준, 조건, 조승주 || || '''학력''' ||강릉중앙국민학교 {{{-2 (졸업)}}}[br][[평양제이중학교]] {{{-2 (전학)}}}[br][[경기중학교]] {{{-2 (졸업 / 45회)}}}[br][[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전문부]] {{{-2 (졸업)}}}[br][[보든 칼리지]] {{{-2 (경제학 / 학사)}}}[br][[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UC 버클리]] {{{-2 (경제학 / 석사·박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중위]] 만기전역 || || '''신체''' ||166cm, 69kg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5대 국회의원|'''15''']] || || '''경력''' ||[[육군사관학교]] 교관[br]뉴햄프셔 대학교·뉴햄프셔 주립대학 조교수[br][[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교수[br][[서울대학교]] 명예교수[br]제23대 [[기획재정부 장관|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2 ([[노태우 정부]])}}}[br]제18대 [[한국은행 총재]] {{{-2 (노태우 정부)}}}[br][[도산서원|도산서원장]][br][[이화여자대학교]] 석좌교수[br]제30대 [[서울특별시장]] {{{-2 (민선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1]]기 / [[민주당(1991년)|민주당]])}}}[br][[서울시립대학교]] 운영위원장[br][[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총재[br][[한나라당]] 총재[br][[제15대 국회의원]] {{{-2 ([[강릉시(선거구)|강원 강릉시 을]] / [[한나라당]])}}}[br][[한나라당]] 명예총재[br][[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 총재[br][[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2 ([[참여정부]])}}}[br][[명지대학교]] 석좌교수[br][[서울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경제학자]], [[정치인]]. 20세기 대한민국 경제학계의 대부이자 거목으로, [[기획재정부 장관|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한국은행 총재]], [[서울특별시장]], [[한나라당]] 초대 총재 등을 역임하였으며, [[백미#白眉|백미(白眉)]]로 유명한 인물이었다. 상경계열을 전공한 86세대(60년대생ㆍ80년대 학번)는 조순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그의 책이 전공시간에 교재로 쓰였다고 한다. == 생애 == === 정치 입문 이전 === 1928년 2월 1일 [[강원도]] [[강릉시|강릉군]] [[구정면]] 학산리[* [[대원미디어]]의 창업주 [[정욱(1946)|정욱]] 회장도 이 마을 출신이다. [[학산문화사|계열 출판사]]의 이름을 마을 이름에서 따왔다.]에서 아버지 조정재(趙正載)와 어머니 [[강릉 김씨]] 김한경(金翰卿)의 딸[* 이전 리비전에서는 어머니가 [[강릉 김씨]] 김한경(金翰卿)이라고 기재되어 있었으나, 외가의 족보에는 아버지 조정재(趙正載)가 김한경의 사위로 등재되어 있으므로 강릉 김씨 김한경은 어머니가 아니라 외할아버지다.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조순 외가 족보.png]]] 사이의 아들로 태어났다. 강릉중앙국민학교[* 현재의 강릉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평양]]지방법원 판사로 근무하고 있던 숙부 [[조평재]]의 집에서 기거하면서[* 조순은 월간조선 [[http://m.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E&nNewsNumb=201807100025|인터뷰]]에서 숙부 조평재를 '따라 다니며' 살았다고 표현했고, 그의 회고록/평전격인 [[https://m.blog.naver.com/donghlee1001/221839934830|<학자와 부총리>]]에서는 "집이 가난해서 숙부께 큰 신세를 졌다."고 했다.] [[평양제이중학교]][* 교수, 정치인 [[김동길]]과 동기동창으로, 같은 반에서 공부한 친구 사이라고 한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3081354#home|참조]]]에 입학했다. 조평재가 1943년 3월 판사를 사직하고 [[경성부]]에서 변호사로 개업함에 따라, 자신도 [[경기고등학교|경기중학교]]로 전학했다. 1946년 경성경제전문학교[* 전신은 1920년 설립된 경성[[고등상업학교]]로 [[태평양전쟁]] 말기인 1944년에 경성경제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 바뀐 교명의 역사가 짧아서인지 인터뷰를 보면 보통 이전의 교명인 '고등상업학교'라고 언급한다. 경성경제전문학교는 해방 후 경성경제대학으로 교명을 바꿨고, [[도쿄상과대학]]과 같은 [[관립대학|관립]] [[구제대학]]([[대학예과]]+학부 도합 6년제)으로 승격을 추진하고 있었으나, [[일본제국]]의 구 제도를 미국식 신제 교육제도로 개편하 려는 [[미군정]]의 [[국대안]]에 의해서 [[국립서울대학교]]로 흡수통합되어 서울상대로 개편되었다.]에 진학하여 1949년 [[국립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전문부]][* [[구제전문학교]]들을 [[경성제국대학]](서울대학)에 통합하면서 설립된 국립서울대학교 초기에는 [[일본제국]] 교육 제도하에서 입학한 학생들이 대부분이었기 때문에 [[대학예과]] (3년제)를 거쳐 진학하는 [[구제대학|학부]](3년제. 의학부만 4년제)와 기존 전문학교 재학생들인 [[전문부]](3년제. [[의과대학]] 전문부만 [[의학전문학교]]와 동일한 4년제)로 구별하였다.]를 졸업했다. 이후 고향에 있는 강릉농업중학교(당시 6년제. 현 [[강릉중앙고등학교]])[* 일제시대 [[중등교육기관]]은 [[구제중학교]]와 (갑종)실업학교 등 5년제 코스였으며, 해방 후 [[미군정]] 시기에 6년제로 개편되었다. 이후 [[교육법]]이 제정되고 나서 1950년부터 전기중등교육기관(3년제 중학교)과 후기중등교육기관(3년제 고등학교)으로 분리되었다.] 교사로 부임하여 영어를 가르치다가 [[6.25 전쟁]] 발발 후 입대하여 [[제9보병사단]] 통역장교로 근무했으며, 1952년부터 1957년까지는 [[육군사관학교]] 영어 교관으로 생도들을 가르쳤다. 전역 후 30세의 나이로 미국에 유학하여 [[보든 칼리지]]에서 학사[* [[전문부]] 졸업 학력 덕에 4년제 미국식 학사 과정을 3년 안에 마칠 수 있었다.], [[UC 버클리|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귀국하여 1968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부임해 1988년까지 재직했다. [[케인즈 학파]]의 일원으로서 많은 학문적 업적과 제자를 남겨 한국의 경제학계에서 "조순학파"라고 일컬어질 정도의 인맥을 구축했고[* 그 중 수제자가 바로 [[정운찬]]이다.] 그래서 '한국의 케인즈'라고 불렸다. 1974년에는 제자 [[정운찬]]과 공저로 <경제학원론>을 저술하여 현대경제학 이론을 보급하는 데 크게 공헌했다. === 정계 입문 후 === 육군사관학교 영어 교관 시절 [[노태우]]를 가르쳤던 인연으로[[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3977684?sid=100|#]], 1988년 [[노태우 정부]]에 입각하여 1990년까지 [[기획재정부장관|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을 지냈다. 이후 1992년부터는 [[한국은행]] 총재를 역임했다. 경제기획원 장관 및 한국은행 총재 재임 시절에도 학자로서의 소신에 따라 정권의 방침과 자주 충돌하고 사표를 던져 재직 기간은 길지 않은 편이다. [[파일:external/hopechan.kr/0eed8b1d38669a3074760e3407a1fdbb_lT1fBiKiEKZIxfPJZl8b9tWJbE.jpg|width=300]]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1991년)|민주당]] 소속으로 대한민국 사상 두 번째[* [[서울특별시장]] 항목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대한민국 최초의 민선 서울특별시장은 1960년 당선된 제 11대 [[김상돈]] 전 시장이다.] 민선 [[서울특별시장]]을 지냈다. 선거운동 과정에서 당시 유명했던 [[포청천]]을 이미지 메이킹에 활용했다.[* 사진 좌측에 앉은 [[이해찬]] 전 의원이 선거를 적극 도왔고 정무부시장을 지냈다. '포청천'은 자원봉사자의 아이디어. 이때 선거 운동에 관련한 일화가 [[나는 꼽사리다]] 7화에서 [[김용민(1974)|목사아들돼지]]의 입을 통해 드러나는데, [[전유성]]이 조순 선거 운동을 돕다가 로고송을 듣고는 황당해 했다는 일이다. '아아~ 아아~ 우리의 조순 우리의 조순~'(이용이 부른 '서울'을 개사).] 참고로 서울시장 취임 전날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가 발생해서 취임식을 현장에서 했다. 이후 [[여의도광장]]을 갈아 엎고 [[여의도공원]]을 조성한 것도 조순의 공적이다. 이후 무난하게 서울 시정을 이끌며[* 그러나 1996년 가을 발생한 시내버스 적자 조작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지지를 많이 잃었다.] [[제15대 대통령 선거]] 주자로 거론되다가, 1997년 9월 9일 대선 출마를 선언하고 사퇴하면서 2년 만에 시장직을 마무리했다.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대선 후보로 출마하여 한때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20%를 넘기도 했지만 그 후 하락세를 보이면서 결국 [[이회창]]과 [[https://www.joongang.co.kr/article/3553609|손잡고]] 후보에서 사퇴, [[한나라당]]을 창당해 총재가 되었다. 이후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이어 국회의장까지 자유민주연합에게 빼앗기자 총재직에서 사퇴하고 명예총재로 물러났다. 이 시기에 [[1998년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가 고향인 강릉시 을에서 열리자 셀프공천을 한 후[* 이듬해에도 똑같은 일이 [[송파구 갑]]에서 벌어진다. [[홍준표]] 사퇴로 인해 궐위된 지역구를 이회창 총재가 셀프공천을 하여 당선된 것이다. 대신 이회창 총재는 지역구를 가져간 것에 대한 미안함 때문에, 홍준표가 사면복권되자 [[2001년 재보궐선거]]에서 [[동대문구 을]]에 그를 공천해주어 그의 국회 복귀를 도와주었다.] 친여 [[무소속]] [[최각규]]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둔 2월에, 강릉시 갑과 을이 합구되자 강릉을 떠나 서울 종로 출마를 선언하고[* 게다가 서울시장 및 당 총재까지 지난 인물인 만큼 정치1번지인 종로구 출마 여론도 있었다.] [[정인봉]] 등의 다른 예비후보들의 추대를 받아 공천을 받았지만, 이회창 총재가 당내 중진들을 낙천시키는 행보를 보이자 이에 반발하여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01077|공천을 반납]]한 후 [[민주국민당(2000년)|민주국민당]]을 창당했다.[* 결국 종로 공천은 [[정인봉]]에게 돌아갔고 정인봉이 그대로 당선되었으나, 당선무효형 확정판결을 받으며 중도하차해 [[2002년 재보궐선거|재보궐선거]]가 열리게 된다. 이 재보선의 승자가 바로 현 [[외교부장관]] '''[[박진]]'''이었으며 결론적으로 이 때 [[민주국민당]]이 생기지 않았다면 우리가 아는 지금의 박진 장관은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 당이 완벽하게 실패하고 조순 본인은 지역구, 전국구 출마 사이에서 갈피를 못 잡다가 끝내 불출마하고 당 대표로서 총선을 이끌었다. 그러나 민주국민당은 전국구 1석, 지역구 1석만 얻으면서 처참하게 망했고, 총선이 끝나자 당 대표직을 사퇴했다. [[2003년]] 참여정부에서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직을 맡았고, 1년여의 임기 후 사임한 뒤 정계를 완전히 은퇴했다. 생전 [[중국]]은 금융업이 발달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지만 대한민국과 [[일본]]은 금융업이 발달하기 어렵고 제조업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택[[대출]]을 꺼리는 [[중국인]]의 특성상 [[부동산]][[버블]][* 부동산버블은 주택부채비율이 극도로 높아야 발생할 수 있는데, 중국인은 돈을 고정자산에 묶어두는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부동산버블의 가능성은 낮다고 한다.]이 발생하기 어렵다고도 했었다.[* 물론 그 당시 중국의 경제 정책의 기조와 현재 정책 기조는 다르기 때문에 이는 감안해야 한다. 참고로 현재 중국 경제의 기준이 되는 정책은 [[시진핑]]이 주창한 공동부유론이다.] 이 사람의 외모를 떠올리면 왠지 그 '''[[백미#白眉|하얀 눈썹]]''' 밖에 생각나지 않는다는 사람들이 많다. 심지어 초창기 [[딴지일보]]에서는 그를 [[스모]] 선수로 패러디한 바 있다. 또한 한창 서울시장으로 전성기를 달리던 1996년에 소년[[조선일보]]에 연재되던 [[삼국지]] 패러디 만화에서 [[조조]]가 여장을 하고는 자기 이름을 '''조순'''이라고 하자 옆에 있던 인물이 '''"조순? 어디서 많이 들어본 이름인데?"'''라고 나오기도 했다. 참고로 삼국지에도 [[조순(후한)|조순]]이 진짜로 존재한다. 어릴 때 선친으로부터 배운 [[한문]]을 바탕으로 '''한문 고전을 혼자서 독파'''했다. 한학을 깨치고 신학문의 대가가 되었기 때문인지 1993년부터 1년간 도산서원 원장을 맡았고, 2002년부터 5년 간 [[민족문화추진회]] 회장을 역임했다. 가끔 고전번역원으로 특강을 하러 온 적도 있다. 그 외에 2002년 [[안중근]]의사숭모회 7대 이사장을 7개월 간 맡았다. === 사망 === 건강하게 살아왔으나 2022년 6월 23일,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아산병원에서 향년 94세를 일기로 [[노환]]으로 사망하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654/0000013255?sid=102|#]][[https://v.daum.net/v/20221206182950288|#]]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5 || 정계 입문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1995 || 합당[* [[개혁신당(1995년)|개혁신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5 - 1997 || 탈당[*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1995123100071|#]]]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1997 || 복당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7 - 2000 || 합당[* [[신한국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0 || 탈당[* 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2000 - 2002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2022 || 탈당[* 국민경제자문회의 부의장 취임으로 인한 탈당.][br]정계 은퇴[br]사망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95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서울특별시장]]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2,051,441 (42.35%)''' || '''당선 (1위)''' || '''초선'''[* 1997.9.9. 사퇴 ([[제15대 대통령 선거]] 출마).][* [[통합민주당(1995년)|민주당]] 후보로 추대되었으나 상술했듯 민주당과 [[신한국당]]이 합당하여 [[한나라당]]이 창당된 후 대권은 이회창이, 당권은 조순이 갖는 식으로 하여 대통령 후보직을 사퇴하고 당 총재가 된다.] || || 1997 || [[제15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대통령|대한민국]]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2> 최종 미등록 예비후보 || [*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단일화로 인한 대선 불출마.] || || 1998 || [[1998년 재보궐선거#s-3|7월 재보궐선거]][br]([[제15대 국회의원|국회의원]]) || 강원 [[강릉시(선거구)|강릉 을]]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8,181 (61.13%)''' || '''당선 (1위)''' || '''초선'''[* 전임자 [[최욱철]] 당선 무효. (공직선거법 위반)]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포청천.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width=100%]]}}} ||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1회 지선}}}]] [[서울특별시장|{{{#000000,#fff (서울특별시장)}}}]] || [[1998년 재보궐선거#s-3|{{{#000000,#fff 1998년 7월 재보궐}}}]] [[강릉시(선거구)|{{{#000000,#fff (강원 강릉시 을)}}}]] ||}}}}}}}}} || == 기타 == * [[양손잡이]]다. [[바둑]]을 둘 때 [[바둑돌]]을 왼손으로 집는다. 물론 왼손으로 바둑을 두는 기사도 [[https://www.cyberoro.com/news/news_view.oro?div_no=A1&num=506063&pageNo=1&cmt_n=0&search_div=news_content&search_keyword=%C1%B6%BC%F8|있다. 두 손을 다 잘 쓰는 사람도 있다]]. 그렇지만 [[대국#s-2]]과 [[복기]]에서 [[다른손잡이|서로 다른 손을 쓴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6022500209122001&ed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6-02-25&officeId=00020&pageNo=22&printNo=23121&publishType=00010|대국은 왼손으로 하면서 복기는 오른손으로 한다]]). * 잠을 엄청 일찍 잔다고 한다. 심지어 대선후보 시절에도 어지간한 성인들은 아직 깨어있을 10시쯤에 이미 취침중이라 보좌관들이 언론 대응이 안 돼서 급한대로 부인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했다는 뒷이야기가 있다. * 1989년 부총리 시절 자택에 강도가 침입한 적이 있었으나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 [[한나라당]]이라는 당명을 직접 지었다. * 장남 조기송은 아버지가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로 재직 중일 때 같은 과에 입학했으나 정작 아버지 수업을 한 번도 들은 적이 없다고 한다. 당시 경제학원론과 화폐금융론 강의를 했는데 아들을 따로 불러 경영학과에 개설된 같은 과목을 수강하라고 했다고 한다.[[http://lady.khan.co.kr/khlady.html?www&mode=view&artid=8574&code=4|#]] 이후 조기송은 [[LG전자]] 부사장, [[강원랜드]] 대표를 지내는 등 전문경영인으로 활동했다. 다른 아들들은 경제학과 무관한 길을 걸었으나 조카 중에는 경제학자가 많이 배출되었다. 누나의 차남 박우규는 [[카네기 멜런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SK경제경영연구소 소장을, 3남 박종규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한국금융연구원 원장을 지냈다. 누이동생의 차남 신혁승은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숙명여자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경제학자는 아니지만 누이의 장남 신현승은 서울대 경제학과, 누나의 장남 박좌규는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나왔다. == 가계도 == * 조정재 / 妻 [[강릉 김씨]] * 장녀 조철[* 趙澈] / 夫 박용각(연희전문학교. 제일은행 지점장.) * 장남 박좌규(고려대 경제학과. 동신종합운송 사장.) / 妻 이민숙 * 차남 박우규(서울대 토목공학과. [[카네기 멜런 대학교|카네기멜런대]] 경제학 박사. SK경제경영연구소 소장.) / 妻 최미숙 * 장녀 박혜홍(이화여대. 중학교 교사.) / 夫 예지해(연세대. 요시다인터내쇼날코리아 대표) * 차녀 박혜경 / 夫 최주선(고려대. 인뉴게이트 대표) * 3남 박종규(서울대 경제학과. [[프린스턴 대학교|프린스턴대]] 경제학 박사. 한국금융연구원 원장) / 妻 송진 * 장남 '''조순''' / 妻 김남희 * 장남 조기송(서울대 경제학과. LG전자 부사장, LG필립스LCD 부사장, [[강원랜드]] 대표, [[하이원 리조트]] 대표) / 妻 허태경 * 장녀 조경복 * 장남 조병헌 * 차남 조준(서울대 의과대학. 소아과 의사) / 妻 현용숙[* 혹은 현응숙.] * 3남 조건(고려대 농과대학. 대건금속 대표) / 妻 양연향 * 4남 조승주(성균관대 화학과. 포항공대 박사. 조선대 의대 교수) / 妻 윤호정 * 차녀 조증[* 趙[[澄]]. [[澄]]의 원래 독음은 "징"이다.] / 夫 신순선(서울대 채광학과. 서울대 경영대학원. 새한종금 부사장) * 장남 신현승(서울대 경제학과. [[KEB하나은행]] 부행장) / 妻 김윤경 * 장녀 신승애 / 夫 조인호(서울대 법대. [[대전지방법원]]장. 변호사.) * 차남 신혁승(서울대 경제학과. [[하버드 대학교|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숙명여자대학교|숙명여대]] 교수, 부총장) / 妻 [[이정미(법조인)|이정미]](고려대 법대. [[헌법재판관]]. 변호사.) == 둘러보기 == [include(틀:노태우 정부의 국무위원)] ----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강원도)] ---- [include(틀: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장(민선 1기))] ---- [include(틀:민주당계 진영 관련 문서)] ---- [include(틀: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Include(틀: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민주당(1991년) 후보)]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조순, version=58)]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분류:서울특별시장]][[분류:한국의 경제학자]][[분류:강릉시 출신 인물]][[분류:1928년 출생]][[분류:2022년 사망]][[분류:제15대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민주국민당(2000년) 국회의원]][[분류:노태우 정부/인사]][[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통합민주당(1995년) 총재]][[분류:한나라당 총재 및 대표]][[분류:민주국민당(2000년) 총재]][[분류:대한민국의 금융인]][[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풍양 조씨]][[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한국은행 총재]][[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장교 출신]][[분류:보든 칼리지 출신]][[분류:UCB 대학원 출신]][[분류:2004년 은퇴]] [[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