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자유당 원내총무)] [[파일:external/rokps.or.kr/360.jpg|width=150]] 趙淳[* 우연히도 [[조순|전 한국은행 총재, 전 서울특별시장 조순]]과는 [[외자|한자 이름까지 똑같다]].] [[1913년]] [[5월 22일]] ~ [[1984년]] [[3월 27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함안 조씨|함안]](咸安)[[http://seolhwa.jcia.or.kr/bbs/board.php?bo_table=bbs8_01&wr_id=2754&page=7&mkind=3&mes=search&mesc=wr_1&mesv=%EC%9D%B8%EB%AC%BC&order_col=|#]], 호는 운계(雲溪). == 생애 == 1913년 5월 22일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봉정리 봉정마을[* [[함안 조씨]] 집성촌이다. [[조형래]] 전 곡성군수도 이 마을 출신이다.][[http://hankukmail.com/newshome/print_paper.php?number=22599|#]]에서 태어났다. 1933년 [[광주제일고등학교|광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1941년 곡성용재(谷城用材)주식회사 이사를 지냈다. [[8.15 광복]] 후 [[우익]] 단체인 [[대한청년단]] 곡성군 단장을 지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청년단]] 후보로 전라남도 곡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4년 [[자유당]] 후보로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5년 [[대한민국 국회]] [[국회운영위원회|운영위원회]] 위원장에 선출되었다. 1956년에는 곡성용재주식회사의 사장이 되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자유당]] 원내총무로 선출되었다. 1959년 자유당 선전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60년 [[4.19 혁명]] 이후 [[3.15 부정선거]]의 원흉으로 몰려 조사를 받고 구속되었다. 1961년 반민주행위자공민권제한법에 의해 추가로 공민권이 제한되었고, [[5.16 군사정변]] 이후 진행된 혁명재판에서 징역 10년을 선고받았다. 이후 복역하였고 정치정화법에 묶여 정치활동이 금지되다가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석방되고 정치규제가 해제되었다. 1966년 [[민주공화당]]에 입당하였으나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라남도 곡성군-[[화순군]] 선거구 [[공천]]에서 탈락되자 탈당하였다. 해당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전라남도 곡성군-화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기세풍]]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5년에는 곡성실업 사장, 1972년에는 전분협회(澱粉協會) 이사장으로 활동하였다. 1984년 3월 27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403280020920701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3-28&officeId=00020&pageNo=7&printNo=19226&publishType=00020|별세했다]]. 저서로는 『운계(雲溪)의 포말(泡沫)』이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2대 국회의원/전라남도)] [include(틀:제3대 국회의원/전라남도)] [include(틀:제4대 국회의원/전라남도)] == 관련 문서 == * [[정치인/목록]] [[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제3대 국회의원]][[분류:제4대 국회의원]][[분류:대한청년당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곡성군 출신 인물]][[분류:1913년 출생]][[분류:1984년 사망]][[분류:함안 조씨]][[분류:광주제일고등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