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힙합 가수, rd1=Black Jo)] [include(틀:대한민국 역대 국방부장관)] || {{{#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국민의 정부의 국무위원)] ----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include(틀:제2작전사령관)] ---- [include(틀:제1군단장)]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1e31, #ec1e31 20%, #ec1e31 80%, #ec1e31)" '''[[대한민국 국방부장관|{{{#fff 대한민국 제35대 국방부 장관}}}]][br]{{{#fff {{{+1 조성태}}}[br]趙成台 | Cho Sung-ta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newstown.co.kr/c_20060627_34208_48472.jpg|width=100%]]}}} || ||<|2> '''출생''' ||[[1942년]] [[11월 3일]] || ||[[충청남도]] [[천안시|천안군]] || || '''사망''' ||[[2021년]] [[8월 14일]] (향년 79세) || ||<|2> '''재임기간''' ||제35대 [[대한민국 국방부장관|국방부 장관]]|| ||[[1999년]] [[5월 24일]] ~ [[2001년]] [[3월 26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배우자''' ||이영숙 || || '''자녀''' ||장남 [[조용근(군인)|조용근]][* 아버지의 뒤를 이어 육군사관학교 49기로 입학하여 준장으로 진급, 현재는 [[제8군]] 부사령관을 맡고 있다] || || '''학력'''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2 (졸업)}}} || || '''경력''' ||제35대 [[국방부장관]] {{{-2 ([[국민의 정부]])}}}[br][[제17대 국회의원]] {{{-2 ([[비례대표]] / [[열린우리당]])}}}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7대 국회의원|17]]''' || ||<-2> '''군사 경력''' || || '''임관''' ||[[육군사관학교]] {{{-2 (20기)}}} || ||<|2> '''복무''' ||[[대한민국 육군]] || ||1964년 ~ 1996년 || || '''최종 계급''' ||[[대장(계급)|대장]] {{{-2 (대한민국 육군)}}} || || '''최종 보직''' ||[[제2작전사령관|제2야전군사령관]] || || '''주요 보직''' ||[[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정책실장[br][[제1군단장]][br][[대한민국 국방부|국방부]] 정책기획관[br][[제56보병사단]][[사단장|장]][br][[대한민국 육군본부|육군본부]] 군사연구실장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제35대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 생애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출생했다. 천안중학교,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12회), [[육군사관학교]](20기)를 [[졸업]]하였다. 정책 및 전략통 장교로서 대령 시절에는 이 분야 요직인 육군본부 전략기획과장으로 2차 율곡계획 작성에 참여하며 군사력 건설, 기획 분야의 전문가로 활동했다. 다만 [[하나회]] 출신들에 밀려 [[대령]], [[준장]], [[소장(계급)|소장]] 진급은 2차에 걸쳐서야 이루어졌다. [[연대장]] 시절에는 자신의 부대에서 [[지뢰]] 사고로 장병 5명이 부상을 당해 하마터면 군 생활을 불명예스럽게 끝낼 뻔하기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external/www.sisapress.com/62186_75757_1813.jpg|width=100%]]}}} || ||<#ec1e31> 1995년 제2야전군사령관 임명으로 [[김영삼|{{{#fff 김영삼}}}]] 당시 [[대한민국 대통령|{{{#fff 대통령}}}]]에게 보직 신고를 하는 모습[* 사진 속의 해군 제독은 같은 시기에 해군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던 [[안병태(해군)|안병태]] 제독.] || 이후 그의 재능을 눈여겨 봤던 [[이종구(군인)|이종구]] 육군참모총장이 국방장관에 임명되면서, 1991년 국방부 정책기획관으로 발탁되었다.[* 이 장관은 [[제2작전사령관]] 재임 당시에도 한직인 관리처장에 앉아있던 조성태 장관에게 주요 업무를 믿고 맡겼다.] 1992년에는 중장 진급과 함께 [[제1군단장]]이 되었고, 군단장 재임 1년만에 이전에도 그랬듯 빠르게 참모로 불려올라가 1993년부터 중장 보직 중 정책통이 맡는 국방부 정책실장 직을 역임, 1995년에는 대장으로 진급하여 제2야전군사령관으로 재직한 후 이듬해 전역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14070302865_2.jpg|width=100%]]}}} || ||<#ec1e31> 국방부 장관 시절[* 좌측은 양우천 육군 중장(당시 8군단장), 우측은 [[장정길|장정길]] 해군 중장(당시 해군참모차장)이다. 이후 두 사람 모두 대장으로 진급해서 양우천이 2군 사령관, 장정길은 해군참모총장을 각각 역임하였다.] || 군복을 벗은 후 잠시 [[국방대학교]]에서 초빙교수로 활동하다가, 율곡사업 시절 상관이었던 [[임동원]]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의 추천으로 1999년 [[김대중 정부]]의 2번째 국방장관으로 임명되었다. 그해 6월 [[제1연평해전]]에서의 성공적 대응으로 군 내외의 찬사를 받았고, 당시 개발이 막 끝난 [[K-9 자주포]]를 연평도, 백령도의 해병 부대에 가장 먼저 배치시켰다.[* 제1 연평해전에 패한 북한이 서해 NLL 무효를 선언하고, 그보다 더 이남으로 내려간 서해상 분계선을 선포한 상태였다. 이에 북한의 또 다른 도발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해 K9 자주포가 육군보다 서해 5도의 해병대에 먼저 배치되도록 조치한 것이었다.] 덕분에 2010년 11월23일 벌어진 [[북한]]과의 [[연평도 포격전]] 당시 해병대가 반격을 할수있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external/monthly.chosun.com/1412_220_5.jpg|width=100%]]}}} || ||<#ec1e31> 2000년 9월에 사상 첫 남북 국방장관회담을 위해 [[제주특별자치도|{{{#fff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북한|{{{#fff 북한}}}]] 측의 [[김일철|{{{#fff 김일철}}}]] [[인민무력부|{{{#fff 인민부력부}}}]]장과 만난 모습 || 장관직을 떠난 후인 2004년 ~ 2007년에는 [[열린우리당]]의 공천으로 제17대 국회의 국방위 소속 비례대표로 활동했다. 그러나 당시 [[노무현 정부]]의 전작권 전환 추진에 반대했고, [[2007 남북정상회담]]을 전후로 공론화된 북방한계선([[NLL]]) 의제화 여부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이것이 그의 마지막 공직 생활이었다. 2021년 8월 14일 사망하였다. 향년 79세이며, 대전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었다.[[https://m.hani.co.kr/arti/society/obituary/1007774.html#cb|#]] == 가족관계 == 아내 이영숙 여사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아들인 [[조용근(군인)|조용근]]은 아버지처럼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군인의 길을 걸었다. 이후 준장까지 진급하여 국방부 대북정책관, 미8군 한측 부사령관을 거쳐 현재는 제2작전사령부 교육훈련처장을 역임하고 있다. 아버지와 아들이 모두 군 내에서 정책, 전략통의 길을 걸었다. 특히 대북통으로서 진보성향 정부에서 활약한 점도 비슷하다. 아버지 조성태는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국방장관, 국회의원을 하며 잘나갔지만, 아들 조용근은 [[윤석열 정부]]가 들어선 뒤 국방부 대북정책관실이 방위정책관실로 개편되는 과정[* 대북정책관 자체가 본래 정책기획관 예하 대북정책과가 확대개편되어 남북정상회담 등 국면에서 활약한 부서라 정권교체 이후 다시 원복되었다.]에서 대북정책관에서 물러나고 한직들을 돌고 있다. == 기타 == 공직을 떠난지 한참 지난 2016년에는 [[김제동]]의 [[영창]] 발언으로 한때 논란이 되었었다. 김제동이 방송을 비롯한 여러곳에서 자주 이야기한 군생활 에피소드로서 김제동의 발언 내용을 정리하면 "군대행사 사회를 보던중 어떤여자에게 아주머니라고 말했는데 그 여자가 해당지역 별4개 대장의 부인이어서 그 발언에 열받은 바로 그 사령관이 김제동을 영창에 보냈다" 이다 김제동의 군생활시기를 볼때 그 지역 별4개 사령관은 당시 [[제2작전사령관|2군 사령관]]이었던 조성태 대장이고, 김제동은 대구 바로 옆의 50사단 출신이다. 간단하게 말하면 "조성태 대장이 아내를 아줌마라고 지칭한 김제동을 영창 보냈다" 인데 전혀 근거가 없는 내용이다. 심지어 김제동의 소속 군부대도 어디서는 2군 사령부, 어디서는 50사단 이런식으로 말이 다르다 그러나 여러가지를 확인해본 결과 김제동은 50사단 출신이다. 사실을 확인해보면 발언내용은 완전한 거짓인데 거짓말로 장관급 대우를 받는 군인을 모욕한 것이다. 이것에 대해 해명하라고 하자 김제동은 웃자고 한말에 죽자고 달려든다는 식으로 비겁하게 말을 돌렸다. 결과적으로 가뜩이나 몇년전부터 이미지가 나빠졌던 김제동만 이미지가 더 나빠지는 결과를 가져왔다. === [[1999년]] 방중시 [[주한미군]] 철수 발언 논란 === [[1999년]] [[8월]], [[중국]]을 방문중인 조성태 국방장관은 25일 중국 군 장교들과 얘기를 나누는 자리에서, [[남북통일]]이 되면 중국을 포함한 동북아 국가들과 주한미군 철수 문제를 논의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에는 외국군 없는데 주한미군 어떻게 처리하나는 중국장교의 질문에 조 장관은 남북간 진정한 평화 공존이 이루어지면 주한미군 주둔은 지금과는 전혀 다른 형태로 나타날 것이라면서, 통일 이후에는 미군 철수 등 주한미군 문제를 중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와 논의할 수 있다는 의사를 밝혔다. 조 장관은 이와 함께 한국군은 중국군과의 군사관계를 미국과 일본수준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를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또 군 당국이 중국과 한국이 교류협력을 확대할 경우 21세기 초에는 통일이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발언했다. 그리고 미·일 전역 미사일 방어체제, 즉 TMD가 동북아 평화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북한 미사일 재발사가 원인이라고 맞받아쳤다. 조 장관은 또 한국과 중국 모두 통일이 살육을 통해 이룰 만큼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서, 대화를 통한 통일을 강조했다.[*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3806555|9조성태 국방부장관, 평화공존 이루어질때 주한미군 철수밝혀 kbs뉴스]]][* [[https://news.imbc.com/replay/1999/nwdesk/article/1785507_30729.html|방중 조성태 국방장관 통일후 주한미군 철수 논의 언급 mbc뉴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08280020910501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8-28&officeId=00020&pageNo=5&printNo=24286&publishType=00010|주한미군 문제를 타국과 논의? 동아일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082700239101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9-08-27&officeId=00023&pageNo=1&printNo=24459&publishType=00010|주한미군 문제, 주변국 만장일치로 결정, 조장관 발언 파문 조선일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082800209104010&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8-28&officeId=00020&pageNo=4&printNo=24286&publishType=00010|통일후 주한미군 장래 주변국과 합의 동아일보]]] 그 후 조 장관은 "북한의 위협이 있는 한 주한미군의 존재는 필수적이다"면서 "자신의 발언이 본의 아니게 논란을 초래해 유감스럽다"고 해명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083000239102004&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9-08-30&officeId=00023&pageNo=2&printNo=24461&publishType=00010|"주한 미군 발언 오해 유감" 조성태 국방 귀국 해명, 조선일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083000099105006&editNo=16&printCount=1&publishDate=1999-08-30&officeId=00009&pageNo=5&printNo=10459&publishType=00010|주한미군 발언의 진의, 매일경제]]] 조 장관은 당시 기자간담회에서 "통일 후 주한미군 문제가 주변국들의 만장일치로 결정되어야한다"는 발언은 주변국들도 주한미군 문제에 대해 한국의 입장에 동의하지 않겠냐는 생각에서 외교적으로 답변한 것이 오해를 일으키게 되었던 것 같다며 해명했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083000209103006&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9-08-30&officeId=00020&pageNo=3&printNo=24287&publishType=00010|안보분야 공감대 확인, 한중국방회담 결산 동아일보]]] > '''통일시의 불안, 미군을 포함해서 그릇된 주한미군 문제는 우리 동북아 지역에 같이 얼굴을, 어깨를 맞대고 살고 있는 국가들끼리 모여서 같이 상의해서 같이 만장일치로 결정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https://news.imbc.com/replay/1999/nwdesk/article/1785507_30729.html|방중 조성태 국방장관 통일후 주한미군 철수 논의 언급 mbc뉴스]]][*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3806555|조성태 국방부장관, 평화공존 이루어질때 주한미군 철수밝혀 kbs뉴스]]] >---- >1999년 8월 25일, 조성태 국방장관 25일 중국 국방대학에서 강연을 한 뒤 중국 주요 지휘관급 장교들과 일문일답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제|비례대표]]) || '''[include(틀:열린우리당)]''' || '''8,145,814표 (38.3%)''' || '''당선 (8번) ''' || || == 둘러보기 == [include(틀:열린우리당 제17대 국회 비례대표)] [각주] [[분류:1942년 출생]][[분류:2021년 사망]][[분류:한양 조씨]][[분류:대한민국의 군인]][[분류:군인 출신 정치인]][[분류:천안시 출신 인물]][[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열린우리당 국회의원]][[분류:국방부 장관]][[분류: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출신]] [[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국민의 정부/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