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효성그룹 회장)] || {{{#ffffff '''역임한 직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역대 한국경제인협회 회장)] ------ [include(틀:역대 동양학원 이사장)] }}} || ||<-2> '''{{{#ffffff 효성그룹 제2대 회장[br]{{{+1 조석래}}}[br]趙錫來}}}'''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ekn.kr/2015111001000543700022431.jpg|width=100%]]}}}|| || '''{{{#ffffff 이름}}}''' ||조석래 (趙錫來) || ||<|2> '''{{{#ffffff 출생}}}''' ||[[1935년]] [[11월 19일]] || ||[[경상남도]] [[함안군]] || ||<|2> '''{{{#ffffff 사망}}}''' ||[[2024년]] [[3월 29일]] (향년 88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병원]] || || '''{{{#ffffff 거주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서울)|성북동]] || || '''{{{#ffffff 종교}}}''' ||[[개신교]] ([[감리회]])[* 서초구 반포동 남산교회의 신자로, 부인은 남산교회 권사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3452257|#]]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37&aid=0000023990|#]]] || || '''{{{#ffffff 본관}}}''' ||[[함안 조씨]][* 충의공系-부장공派 30세 ○'''래(來)''' 항렬] || || '''{{{#ffffff 학력}}}''' ||[[경기고등학교]] {{{-2 (중퇴)}}}[br]도쿄도립 히비야고등학교 {{{-2 (졸업)}}}[br][[와세다대학]] {{{-2 (공학 / 학사)}}}[br][[일리노이 공과대학교]] {{{-2 (화학공학 / 석사)}}}[br][[와세다대학]] {{{-2 (공학 / 명예박사)}}} || || '''{{{#ffffff 부모}}}''' ||아버지 [[조홍제]], 어머니 하정옥 || || '''{{{#ffffff 형제자매}}}''' ||누나 조명숙, 조명률[br]남동생 [[조양래]], [[조욱래]] || || '''{{{#ffffff 배우자}}}''' ||송광자 || || '''{{{#ffffff 자녀}}}''' ||장남 [[조현준(기업인)|조현준]][br]차남 [[조현문]][br]삼남 [[조현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효성그룹]] 창업주 [[조홍제]] 회장의 [[자식|슬하]] 3남 2녀 중 [[장남]]으로, 1935년 11월 19일에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에서 출생했다. 본관은 [[함안 조씨]]이다.[* '범효성가'를 이룬 [[조홍제]]는 함안군 군북면 사람으로, 창업 당시 회사 이름도 '군북산업'이었다. 지금도 (신)군북역 앞에 조홍제의 생가가 있고, 그 너머에는 함안 조가 재실이 있다.] == 생애 == [[경기고등학교]] 1학년을 마치고 [[일본]]으로 [[유학]][* 당시에는 유학이 극히 드문 시절이었다. 경기고 총동문회에서는 50회 졸업생으로 대우하고 있으며 동생 [[조양래]] 회장이 52회, [[조욱래]] 회장이 63회다.]을 떠나 히비야(日比谷)고등학교[* 당시 일본 최고 명문 공립 고등학교로, 소위 "일본의 경기고" 포지션이었다. [[도쿄도]] [[치요다구]]에 위치하고 있다.]를 거쳐 [[와세다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일리노이 공과대학교]]에서 화학공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1966년 [[미국]]에서 돌아와 경영에 참여하기 시작했으며, 이듬해 [[송인상]] 전 재무장관의 [[3녀]]인 송광자와 [[결혼]]에 골인, 슬하에 3형제 ([[조현준(기업인)|조현준]], [[조현문]], 조현상)를 두었다. 현재 3명 모두 [[결혼]]했다. [[박사]]과정을 준비 중이던 조석래는 [[아버지]] 조홍제에 의해 귀국, 장남으로서의 기업 경영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이후, 동양나이론 울산공장 건설을 지휘했다. 얼마 뒤에는 동양폴리에스터를 세웠다. [[대한민국]]의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에 부응하여 한영중공업을 인수, [[효성중공업]]을 설립하면서, 중전기기와 산업기계를 국산화하고 생산하도록 했다. 화섬 산업에서 쌓아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석유화학 분야에도 많은 대규모 투자를 하게 된다. 금융기기와 중대형 [[컴퓨터]]를 비롯한 하드웨어 사업과 각종 소프트웨어 개발 사업에 참여하여, 정보통신 분야에도 진출했다. [[효성그룹]]의 조직을 퍼포먼스 유니트체제로 바꾸고 PU별 책임 경영체제를 강행하였으며, 비핵심 계열사 및 사업부문을 매각하는 등 구조조정을 했다. 2000년대 이후로는 효성그룹 회장뿐 아니라 여러 조직의 수장을 많이 맡았다.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개최된 태평양경제협의회 총회에서 회장에 선임되어 활동하였으며, 한미재계회의 위원장, 한일경제협회 회장, 와세다대학 한국동창회장 (현 한국교우회), 미국 일리노이공과대학교 재단 이사, 한국동창회 명예회장 등을 역임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에도 선출됐다. 1971년 수출유공 대통령 표창, 1987년 [[국민훈장|금탑산업훈장]]을 받았으며, 1994년 한국경영자 대상, 2000년 일리노이공과대학(IIT) 국제지도자상을 수상하고, 2009년 일본 정부 욱일대수장을 수훈받았다. 또한 2005년에는 대한민국 기업인으로서는 최초로 모교인 일본 와세다대학에서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0036485?sid=101|명예공학박사]]를 받았으며, 2013년에는 석사학위를 땄던 일리노이 공과대학(IIT)에서 명예공학박사학위를 받았다. === 퇴임 및 사망 === 2017년 고령(당시 82세)과 건강상의 이유로 경영 일선을 장남 조현준에게 넘겨준 뒤 명예회장으로 지내다가, 2024년 3월 29일에 만 88세의 나이로 끝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599023|별세]]했다. == [[범효성가|가족관계]]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범효성가)] [[분류:범효성가]][[분류:효성그룹]][[분류:대한민국의 남성 기업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대기업 임원]][[분류:기업인 자녀]][[분류:함안 조씨]][[분류:함안군 출신 인물]][[분류:1935년 출생]][[분류:2024년 사망]][[분류:경기고등학교 출신]][[분류:와세다대학 출신]][[분류:일리노이 대학교 출신]][[분류:와세다대학 재직]][[분류:연세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