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공무원 직렬)] [목차] == 개요 == 조리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이다. 조리직 공무원으로서 합격시 [[교육청]]소속 [[지방공무원]]으로 학교나 교육청 관할기관에 있는 급식실에서 일한다. == 업무 == 말 그대로 조리업무를 하는 공무원으로 주로 국가기관의 급식소에서 조리사(주방장)역할을 한다. 업무 장소는 국공립학교[* 초,중,고 및 국립대학교도 포함], 교도소, 함정[* 해양경찰청이나 어업관리단 소속]등 다양한 기관에 있는 급식실에서 식재료 관리와 급식식단에 맞는 조리 실무 및 배식 업무 거기에 급식실 및 주방기구의 위생 관리와 안전 관리 그리고 기타 기관장 사무업무 담당(함정소속)까지 '''급식실 내에서 이뤄지는 종합적인 업무를 총 담당하고 있다.''' == 채용 == 현재 전국에서 채용하고 있지 않으며 [[교육청]]에서만 시행하고 있다. 각 교육청마다 세부조건은 다르지만 대부분 공개채용과 경력채용으로 나뉜다. 다른 공무원들과 다르게''' 조리 관련 자격증을 1개 이상 소지해야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한식, 양식, 중식, 일식, 복어 중에서 1개이상 소지해야 하며 [[기능사]], [[산업기사]], [[기능장]] 모두 허용한다고 한다.] 2022년 기준으로 충청남도[* 2022년에 처음 경채모집을 하였다.], 충청북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20, 21년에 1명씩 모집하였으며 그 외에는 모집하지 않았다.], 경상남도, 경상북도 [[교육청]]에서 채용하고있다.[* 충청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교육청에서 동시에 채용발표를 한다.] === 공채 === 공개채용의 경우 만 18세 이상부터 가능하며 조리사 자격증을 소지해야만 응시가 가능하다. 필기시험은 한국사, 국어, 위생관계법규 세과목을 응시한다. 그 뒤에 면접시험을 응시해서 합격하면 조리직 공무원으로서 발령을 받는다. === 경채 === 경력채용으로 조리사 자격증 소지 및 '''50인 이상의 집단급식소에서 조리사로서 2년 이상 근무한 사람에 한해서 자격이 주어진다.'''[* 경력의 경우 각 지역마다 요구하는 경력이 다르다고 한다. 그러나 대부분 관련 업종 2년 이상 근무자가 조건이다.] 필기시험은 사회, 위생관계법규 2과목이다. 그 뒤에 면접시험을 응시해서 합격하면 조리직 공무원으로서 발령을 받는다. == 기타 == * 경쟁률이 높은편에 속하는데 예시로 2021년도 충청북도교육청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중에서 조리9급의 필기경쟁률은 24:1로 다른 직렬들 중에서 가장 경쟁률이 높았다. * 현재 지원자가 늘어나는 추세라고 한다. 2022년에는 갑자기 충청남도 교육청에서도 모집을 하면서 조리직 공무원의 인기가 늘어나고 있다.[* 기존에는 충청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교육청에서만 모집을 하였으나 충청남도에서도 모집을 시작하였다.] * 조리사 업무지원을 하는 조리실무사의 경우 연령이 대부분 높은 편이어서 젊은 조리직들은 그들을 다루기 힘든면이 있다고 한다. === 조리실무사와의 차이점 === 쉽게 말하면 '''조리직 공무원은 정규직이지만 조리실무사는 비정규직이다.''' 조리직 공무원은 [[9급]] 지방 공무원으로 '''일반 [[9급]] 공무원과 똑같다.''' 조리실무사는 공무원이 아닌 [[공무직원]]으로 채용 형태는 각 시·도 교육청 별로 상이하고 무기계약직이다. 업무는 조리직공무원은 전체적인 조리 총괄을 하고 조리실무사는 조리직공무원의 조리업무를 지원하고 청소업무를 하는 형태이다. [[분류:9급 공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