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대계 러시아인]][[분류:러시아의 정치인]][[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1930년 출생]][[분류:2019년 사망]][[분류:소련의 물리학자]][[분류:러시아의 물리학자]][[분류:노벨물리학상 수상자]][[분류:비쳅스크 출신 인물]] [include(틀:노벨물리학상 역대 국가별 수상자)]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Жоре́с_Ива́нович_Алфёров.jpg|width=100%]]}}} || || '''이름''' ||Жоре́с Ива́нович Алфёров[br]조레스 이바노비치 알표로프 || ||<|2> '''출생''' ||[[1930년]] [[3월 15일]] || ||[[소련|[[파일:소련 국기.svg|width=28]] 소련]]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벨로루시 SSR]] [[비쳅스크]][* 현 [[벨라루스]] [[비텝스크]]]|| ||<|2> '''사망''' ||[[2019년]] [[3월 1일]] (향년 88세)|| ||[[러시아|[[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8]]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국적''' ||[[소련|[[파일:소련 국기.svg|width=28]] 소련]] → [[러시아|[[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8]] 러시아]]|| || '''최종 당적''' ||[include(틀:무소속)] ([include(틀:러시아 연방 공산당)])|| || '''의원 선수''' ||'''6''' || || '''의원 대수''' ||'''2''', '''3''', '''4''', '''5''', '''6''', '''7''' || || '''학력''' ||벨로루시 SSR 국립 공과대학[br]레닌그라드 우랄로프 전기공학연구원 ,,(학사),,[br]이홉 물리기술연구원 ,,(박사),,[br]러시아 과학 학술원 ,,(박사),, || || '''종교''' ||[[무종교]] ([[무신론]])|| || '''수상''' ||스튜어트 발렌타인 메달 (1971)[br][[레닌상]] (1972)[br]소련상 (1984)[br][[레닌훈장]] (1986)[br]아이오페 러시아과학학술원상 (1996)[br]더미노브상 (1999)[br][[노벨물리학상]] (2000)[br]교토 첨단 기술상 (2001)[br]글로벌 첨단 에너지상 (2005)[br]외 다수. [[https://en.m.wikipedia.org/wiki/Zhores_Alferov#Awards|이 링크]] 참조.|| [목차] [clearfix] == 개요 == '''조레스 알표로프'''는 현대 전기 공학 창조에 크게 기여한 [[소련]], [[러시아]]의 [[물리학자]]이자 [[러시아 연방 공산당]]과 뜻을 같이 했던 러시아의 정치인이다. == 생애 == === 연구 활동 === 1930년 3월 15일 [[소련]] [[벨로루시 SSR]] [[비쳅스크]]에서 [[유대인]] 아버지와 [[벨라루스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1952년 레닌그라드 우랄로프 전기공학연구원을 졸업한 이후 1953년부터 이홉 물리기술연구원과 소련 과학 학술원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1961년에 두 곳에서 과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1970년에는 물리학 박사, 수학 박사 학위도 받았다. 1979년부터 소련 과학 학술원의 정식 회원이 됐고 1987년에는 이사를, 1989년에는 부회장을 역임했고 레닌그라드 과학 센터 회장을 역임했다. 1995년에 소련 과학 학술원의 후신인 국립 러시아 과학 학술원에서 명예회원으로 추대됐으며 2000년 [[허버트 크뢰머]]와 반도체의 필수 요소인 '''반도체 고속 광전자 이소종합전달체'''를 개발한 공로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여받았다. 2003년까지 물리 연구원 회장을 역임했고 2003년부터 상트페테르부르크 과학 물리 교육 센터의 회장을 역임했다. 2010년부터 스콜코보 혁신 센터의 과학 책임자, 공동 의장을 역임했다. 1987년 레닌그라드에 물리기술중학교를 설립했고 199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학술대학을 설립했다. 500여개 상당의 논문, 단행물 3개, 50여개의 발명을 냈다. === 정치 활동 === 1995년 친 [[보리스 옐친|옐친]] 성향의 정당 [[우리 집 - 러시아]] 소속으로 제2대 [[국가두마]] 의원에 당선됐다. 1999년 원 소속 정당인 [[우리 집 - 러시아]]를 탈당히고 대척점에 있는 [[러시아 연방 공산당]] 소속으로 재선했다. 2003년 총선에서는 이전에 공산당에서 탈당했으나 사실상 공산당 소속으로 3선에 성공했다.[* 러시아 [[국가두마]]에서는 무소속이더라도 특정 정당(혹은 정당들)의 연합체에서 활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활동했던 [[파벨 그루디닌]]은 무소속이지만 공산당 [[2018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후보에 추대돼 출마했다. 여담으로 그루디닌은 알표로프 사후 무소속 의원직을 승계하려다 실패했다.] 2003년 이전에 공산당을 탈당해 더이상 공산당 소속이 아님에도 2007년 총선에서 '''비례 2번'''[* 비례 2번은 당수 [[겐나디 주가노프]] 다음 순번으로, [[2004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후보로 선출된 비례 3번 [[니콜라이 하리토노프]]보다 한 순위 앞이다! 이만큼 당시 러시아 정계에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을 배정받아 4선의원이 됐다. 이후 6선까지 해 국가두마 원로 의원이 됐지만 2019년 [[고혈압]]으로 사망함으로서 6선을 끝으로 정치 인생이 마무리됐다. 정치와 관련이 없던 노벨물리학상 수상자가 정치에 뛰어들어 6선 의원을 지낸 이유는 러시아 과학 발전을 도모하기 위함으로, 혼자 예산을 대폭 늘리고 여러 분야의 산업을 열어두는 등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현재는 반 [[블라디미르 푸틴|푸틴]] 성향의 인물로, 1999년까지 러시아 국민들의 생활고를 보고 인맥이 튼튼했던 본인마저 생활고를 겪으면서 공산주의자로 전향했다고 한다. 또 회고하기를 과학 시장에서의 시장경제는 비효율적이고 공산주의를 통한 막대한 과학 자금 지원과 정치와의 협동이 효율적임을 깨닫고 시장경제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게 됐다고. 당시 소련이 건재했다면, 아니 러시아라도 과학 기술에 지원을 멈추지 않았다면 러시아의 과학 기술로 삼성과 애플보다 빠르고 성능 좋은 기업이 탄생했을 것이라고 회고했다. [[크림 반도]] 병합을 찬성했다. 또한 공산당과 함께하는 인물으로서 연금 개혁과 은퇴 연령 높이는 것을 반대했는데, 실수로 은퇴 연령 높이는 법안에 대해 찬성표를 던져버렸다는 일화가 있다. 7대 국가두마 의원 임기 중 사망해 [[파벨 그루디닌]]이 의원직을 승계하려고 했으나 푸틴의 압박으로 실패했다. 알표로프는 지역구 의원이 아닌 비례대표 의원이므로 원칙적으로 승계가 가능하다. ==== 소속 정당 ==== || '''소속''' || '''기간''' || '''비고''' || || [include(틀:소련 공산당)] || 1965 — 1991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1 — 1995 || 정당 해산 || || 우리 집 — 러시아 || 1995 — 1999 || 정계 입문 || || [include(틀:무소속)] || 1999 || 탈당 || || [include(틀:러시아 연방 공산당)] || 1999 — 2003?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include(틀:러시아 연방 공산당)]) || 2003? — 현재 || 탈당 || === 기타 활동 === 라디오 신문 'Slovo'의 편집위원도 맡았었다. 무신론자로서 [[러시아 정교회]]를 비하하는 발언을 해 구설수에 올랐다. 사망 이전까지 과학 학술원의 예산 낭비를 막고 나노 산업을 적극적으로 양성하는 등 과학에 대한 애정을 아낌없이 쏟아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