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조동익[br]趙東益}}}'''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123456789000.jpg|width=100%]]}}} || ||<|2> '''출생''' ||[[1960년]] [[3월 6일]] ([age(1960-03-06)]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풍양 조씨]] (豐壤 趙氏) || || '''가족''' ||아버지 [[조긍하]], 형 조동완, [[조동진]], 여동생 조동희[br]배우자 [[장필순]], 슬하 1남 1녀 || || '''데뷔''' ||[[1986년]] [[12월 10일]] [[어떤날]] - [[어떤날 I 1960 · 1965]] || || '''신탁 코드명[* 일정한 목적에 따라 재산의 관리와 처분을 맡김으로써 주어지는 코드. 주로 창작물의 저작자에게 주어진다.]''' ||'''W0152500''' || || '''웹사이트''' ||[[https://www.instagram.com/doeke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www.instagram.com/doekee_musi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https://youtube.com/@doekeemusic4431|[[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베이시스트]], [[작곡가]], 영화 음악가이다. 1992년 설립된 음악공동체 [[하나음악]], 2011년부턴 후신격인 [[푸른곰팡이]]를 꾸려가고 있다. == 상세 == 대중적인 인지도는 떨어지는 편이지만,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반드시 한번은 짚고 넘어가야 될만큼 많은 영향력을 끼친 아티스트 중 한 명이다. 조동익의 유려하고 깔끔한 멜로디와 가사, 세련됨과 진솔함을 겸비한 사운드와 프로듀싱은 한국 [[포크]]계의 음악성을 몇 단계 진보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2018년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에서는 그가 발표한 앨범 중 무려 세 작품([[어떤날]] 1/2집, 조동익 1집) 모두 목록에 이름을 올렸으며(최고 순위는 [[어떤날 1집]]), 그가 프로듀싱 및 세션으로 참여한 앨범들([[장필순]] [[장필순 5집|5집]]/[[Soony 6|6집]], [[안치환]] [[안치환 4집|4집]], [[김현철(가수)|김현철]] [[김현철 1집|1집]], [[우리노래전시회 1집]], [[시인과 촌장]] [[숲(음반)|3집]], [[김광석]] [[김광석 4집|4집]]/[[다시 부르기 2]]) 역시 다수 발견할 수 있다. [[안치환]]의 3집과 [[김광석]]의 2집 이후 이들의 모든 음반들에서 편곡과 세션을 담당하기도 했다. 조동익의 빼어난 편곡은 김광석 특유의 감성의 독자적 세계를 전혀 건드리지 않은 채 곡마다 아기자기하고 소박한 맛을 부여하며 결과적으로는 김광석의 음악 면적을 넓혀줬다. >그들(안치환, 김광석)과 작업할 때는 편했다. 편곡의 힘든 점은 해당 뮤지션과의 소통 문제이다. 그들은 음악적으로 100% 다 맡겼다. 그래서 마음껏 했었고, 그들의 음악은 내게도 맞았다. [[https://ksoundlab.com/xe/undermusic/16683|#]] >---- >1998년 8월 4일 인터뷰 中 2003년 [[하나음악]] 폐업 후 아내인 [[장필순]]과 함께 [[제주도]]로 낙향하기도 했다. 영화음악도 담당했던 만큼 포크 뿐만 아니라 여러 장르의 음악과 다양한 질감의 사운드를 구사할 수 있는데, 2020년 전후 작업들[* 조동진과 공동 작업했던 조동진 6집, 장필순 8집, 2020년 발표된 본인의 2집 등. 앞의 두 앨범은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앨범으로 선정되었고, 조동익 2집은 한국대중음악상 올해의 [[모던록]] 앨범으로 선정되었다.]은 음울한 [[앰비언트]] 음악이 주 사운드가 되고 있다. 2022년부터 후술되어있듯 여동생 조동희와 함께 '''`투트랙 프로젝트`'''라는 음악 프로젝트를 기획했고 공동 프로듀싱하고 있다. == 작품 목록 == === 음반 === ==== <[[어떤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떤날)] ===== <[[어떤날 I 1960 · 196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떤날 I 1960 · 1965)] ===== <[[어떤날 II]]>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떤날 II)] ==== 정규 음반 ==== ===== 1집 <[[동경(음반)|동경]]>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동경(음반))] ===== ===== 조동익이 음악감독을 맡았던 영화 [[넘버 3]]와 [[장미빛 인생(영화)|장미빛 인생]]의 OST를 모아 낸 앨범이다. 발매일: [[1998년]] {{{#!folding [ 수록곡, 펼치기·접기 ] * 1. 프롤로그 * 2. 첫 발자욱 * 3. 푸르고 창백한 공간 [Piano] * 4. 현기증 * 5. 푸르고 창백한 공간 * 6. 이탈 * 7. 예예예 (feat. [[이한철]]) * 8. 첫 발자욱 [Piano] * 9. 만남 * 10. 사랑의 테마 [Melodeon] * 11. 아침을 맞으러 [Piano] * 12. 떠나는 사람들 * 13. 사랑의 테마 [Voice] * 14. 장미빛 인생 * 15. 아침을 맞으러 (feat. [[김장훈]]) * 16. 그림자 춤 (feat.허은영[* [[낯선 사람들]] 출신 보컬리스트로 [[고찬용]]의 아내이다.]) * 17. 무더운 여름과 자전거 타기 (feat.김용수)}}} ===== 2집 <[[푸른 베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푸른 베개)] ==== <투트랙 프로젝트> ==== [[2022년]] [[3월 23일]]부터, 여동생 조동희와 함께 기획하고 공동 프로듀싱하는 음악 프로젝트다.[* 작사는 조동희가, 작/편곡은 조동익이 맡는다.] 소개문에 쓰여있듯, 하나의 노래를 두 명의 남녀 뮤지션이 각각의 버전으로 선보이는 게 특징이다.[* 한 곡 마다 디지털 싱글로 낸다.] >'''어렸을 때 '[[유리가면]]'이라는 만화책에서[br]한 역할을 서로 다르게 연기하는[br]두 배우의 이야기를 읽었어요.[br]그것은 매회 마음을 설레게 했고[br]결국 그것을 경합이 아닌 예술의 본질같았습니다.[br][br]우리가 살아가며 혼잣말처럼 흥얼거리는 노래는[br]가수의 것이 아니라 이미 자신의 노래가 된 것이죠.[br]그렇게 보편적이지만 각자 빚어낸[br]삶의 그릇에 담기는 배경음악[br][br]그런 노래가 되어 여러분의 귀와 입과 가슴까지 걸어가고 싶습니다.[br][br]하나의 __노래__, 두명의 __가수__[br][br]'노래가 사라져가는 시대의 노래'[br][br]2022.3.14 프로듀서 조동희''' >---- >투트랙 소개문 {{{#!folding [ 발매곡, 펼치기 · 접기 ] * {{{Season 1}}} * vol.1 연대기 - [[정승환(가수)|정승환]][[https://youtu.be/plRJH6pjdTM|#]]/[[장필순]][[https://youtu.be/PfkWX7K5ufQ|#]] * vol.2 사랑을 사랑하게 될 때까지 - 잔나비 [[최정훈]][[https://youtu.be/TOb3GU6n8MI|#]]/[[한영애]][[https://youtu.be/2nIck_vCTQ8|#]] * vol.3 오늘부터 행복한 나 - [[이효리]](feat. [[이상순]])[[https://youtu.be/X_K6OGZ8aFk|#]]/[[정세운]][[https://youtu.be/RjoS-6SBNzQ|#]] * vol.4 슬픔이 지나간 자리 - [[이승열]][[https://youtu.be/yH_5FYVsdV4|#]]/[[스텔라장]][[https://youtu.be/uJTnymS2YTM|#]] * {{{Season 2}}} * vol.1 Blooming Today - [[성시경]][[https://youtu.be/MvTMYYK0_T4|#]]/[[CHEEZE]][[https://youtu.be/WYU673NRnsA|#'''''']]}}} === 영화(OST) === * 장미빛 인생(1994년) * 넘버3(1997년) * 내 마음의 풍금(1999년) * 새드무비(2005년) [[분류:1960년 출생]][[분류:1986년 데뷔]][[분류:풍양 조씨]][[분류:대한민국의 작사가]][[분류:대한민국의 작곡가]][[분류:대한민국의 편곡가]][[분류:대한민국의 영화 음악가]][[분류:한국 남가수]][[분류:대한민국의 싱어송라이터]][[분류:대한민국의 베이시스트]][[분류:대한민국의 음악가]][[분류:대한민국의 음악 프로듀서]][[분류:한국대중음악상 수상]][[분류:한국음악저작권협회 정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