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북한의 음악가)]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001B, #BC0021 20%, #BC0021 80%, #9C001B)" {{{#ffffff '''{{{+1 조금화}}}[br]趙錦花 | Jo Kum Hwa'''}}}}}}[* 과거에는 Cho Gum Hwa로 표기했었다가 2000년에 발매된 조금화독창곡집3부터 Jo Kum Hwa로 표기가 변경되었다.]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_165146.jpg|width=100%]]}}} || || {{{#ffffff '''출생'''}}} ||[[1970년]] ([age(1970-12-31)]~[age(1970-01-01)]세) [br] [[함경남도]] [[덕성군]] || || {{{#fff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북한)] || || {{{#ffffff '''전직'''}}} ||[[보천보전자악단]] 가수|| || {{{#ffffff '''현직'''}}}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성악학부 대중가요강좌 강좌장|| || {{{#ffffff '''주요서훈'''}}} ||[[공훈배우]]|| || {{{#ffffff '''학력'''}}} ||[[금성학원(북한)]][* 당시 금성고등중학교]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당시 평양음악무용대학]|| || {{{#ffffff '''가족'''}}} ||배우자 송광[* 1965년생으로 [[보천보전자악단]] 일렉 기타 연주자] 딸 송영[* [[삼지연관현악단]]의 가수]||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17511A8D-8A32-4DA3-81B3-7DA8DB167200.jpg]] 20대 시절(1993년) [[파일:조금화45.jpg]] 40대 시절(2015년) 북한의 가수. 1990년대 초중반 북한에서 가장 인기가 많던 [[보천보전자악단]]의 가수였고 [[삼지연관현악단]]의 가수 송영의 어머니라고 한다. == 생애 == 1970년 함경남도 덕성군에서 출생했다.[* [[보천보전자악단]] 가수 중 유일한 [[함경도]] 출신이다.][* [[전혜영]]은 [[평양]] 출생이지만 유치원부터 예술학원까지 [[함경북도]] [[청진]]에서 보내긴 했고, 또 다른 지방 출신으로는 [[자강도]] 출신의 [[윤혜영(가수)|윤혜영]]과 [[개성시|개성]] 출신의 [[김정녀]]가 있다] 저음의 음색과 서구적인 외모로 1990년대 초중반 북한에서 큰 인기를 얻은 가수다. 현재는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대중가요강좌 강좌장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2015년 추억의 노래, 1만명대공연, 2019년 설맞이공연,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개교 70주년 기념 행사 '영광의 70년은 노래한다'에 출연해 근황을 드러냈다. == 대표곡 == ||
[[파일:5ube.jpg|width=75%]] || || '''조금화의 솔로앨범'''[* 1992년에 발매된 보천보전자악단 제33집 조금화 독창곡집1] || * 북악산의 노래 * 아직은 말못해 * [[배우자]] * 어머니란 그 이름 누가 지었나 * 청춘의 제복 * 천만이 총폭탄 되리라 * [[그때처럼 우리가 살고 있는가]](1992) * 사회주의 지키세(1991) * 기러기떼 날으네(1992) * 휘날려라 공화국기 우리 삼색기(1992) * 모르는가봐(1992) * 토장의 노래(1993) * 우리 민족 제일일세(1994) * 너를 보며 생각하네(1994) * 당신만 있으면 우리는 이긴다(1994) * [[아버지 어머니의 청춘시절]](1995) * 해돋이 순간(1996) * 백두산에 오르자(1996) * [[어랑타령]] * 우등불 * [[군밤타령]] * 웃음꽃이 만발했네 * 최영감네 평양구경 [[분류:북한 여가수]][[분류:1970년 출생]][[분류:함경남도 출신 인물]][[분류:북청군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