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광역시|{{{#cfa547 부산}}}]] [[사하구 을|{{{#cfa547 사하구 을}}}]])'''}}} || || 제15-16대[br][[박종웅]] || → || '''제17-22대[br]조경태''' || → || ''현직'' || || {{{#fff '''조경태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국민의힘 당협위원장/부산광역시)] [include(틀:국민의힘 제1차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cfa547 산업통상자원위원장}}}]]'''}}} || || 제19대 후반기[br][[노영민]] || → || '''제19대 후반기[br]조경태''' || → || 제20대 전반기[br][[장병완]]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 {{{#cfa547 '''[[대한민국 국회|{{{#cfa547 대한민국 국회}}}]] [[기획재정위원회|{{{#cfa547 기획재정위원장}}}]]'''}}} || || 제19대 후반기[br][[정희수]] || → || '''제20대 전반기[br]조경태''' || → || 제20대 후반기[br][[정성호(정치인)|정성호]]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광역시 후보)] }}} || ||<-2> '''대한민국 제17-22대 국회의원[br]{{{+1 조경태}}}[br]趙慶泰 | Cho Kyoung-tae''' || ||<-2> [[파일:조경태 증명사진.jpg|width=100%]] || ||<|2> '''출생''' ||[[1968년]] [[1월 10일]][* 음력 [[1967년]] [[12월 11일]]] ([age(1968-01-10)]세) || ||[[경상남도]] [[고성군(경상남도)|고성군]] [[거류면]] 신용리 마동마을[* [[http://www.gof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4418|#]]] || || '''거주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다대포 현대아파트]][br][[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강서구]] [[염창동]] 강변코아루아파트 || || '''본관''' ||[[함안 조씨]][* 24세손 ○태(泰)자 항렬로 알려져 있었으나 실제로는 30세손 ○래(來)자 항렬이다. 그리고 족보명은 태래(泰來)이며, 아버지는 조재제(趙在濟)다.[[http://hamanjo.co.kr/common/pdf/609.pdf|#]]] || || '''현직''' ||[[제22대 국회의원]][br][[국민의힘]] [[사하구 을]] 당협위원장[br][[국민의힘]] 뉴시티프로젝트특별위원회 위원장[br][[대한민국|한]]-[[대만]]의원친선협회 회장[br]사단법인 청년과미래 고문위원 || || '''링크''' ||[[http://924126.igkorea.net/site_map.ph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facebook.com/Choforce|[[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chokyoungtae|[[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channel/UCaVVcn387cdlol8fzod5am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blog.naver.com/dangdangcamp|[[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배우자 신미숙, 슬하 1녀 || || '''학력''' ||신평초등학교 {{{-2 ([[졸업]] / 12회)}}}[br][[사하중학교]] {{{-2 ([[졸업]] / 11회)}}}[br][[경남고등학교]] {{{-2 ([[졸업]] / 40회)}}}[br][[부산대학교 공과대학]] {{{-2 ([[토목공학]] 86 / [[학사]])}}}[br][[부산대학교 대학원]] {{{-2 (토목공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2596701|軟弱地盤(연약지반)의 盛土(성토)에 따른 近接構造物(근접구조물)의 影響抑制(영향억제) 對策(대책)에 관한 硏究(연구)]](1994).]·[[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7185192|一次元(일차원) 壓密試驗(압밀시험)에 의한 洛東江(낙동강) 河口(하구) 粘土(점토)의 크리프 特性(특성)에 관한 實驗的(실험적) 硏究(연구)]](1999. 2).])}}}[br][[부산대학교 대학원]] {{{-2 ([[경영학]] / 석사 과정 중퇴)}}} || || '''병역''' ||[[대한민국 육군]] [[육군군수사령부]] [[상병]] 복무만료[* [[소집해제]]][br]{{{-2 ([[1990년]] [[6월 11일]] ~ [[1991년]] [[11월 19일]])}}} || || '''종교''' ||[[개신교]] {{{-2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예장합동]])}}}[*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예장합동]] 소속 신평로교회의 집사이다.] || || '''소속 정당''' ||[include(틀:국민의힘)] || || '''지역구''' ||[[부산]] [[사하구 을]] || || '''의원 선수''' ||'''6''' || || '''의원 대수''' ||[[제17대 국회의원|'''17''']], [[제18대 국회의원|'''18''']], [[제19대 국회의원|'''19''']], [[제20대 국회의원|'''20''']], [[제21대 국회의원|'''21''']], [[제22대 국회의원|'''22''']] || || '''소속 위원회''' || || || '''경력''' ||[[노무현]] 국회의원 비서관[br][[부산과학기술대학교|부산전문대학]] 강사[br][[통합민주당(1995년)|민주당]] 부산 [[사하구 갑]] 지구당 위원장[br]부산시지부 중소기업육성특위 위원장[br]극일운동연합 집행위원[br]위천공단 대책위원회 집행위원[br]복민정책연구회 이사[br][[새천년민주당]] 부산 [[사하구 을]] 지구당 위원장[br][[새천년민주당]] 부대변인[br][[노무현]] 대통령후보 정책보좌역[br][[노무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획조정분과 자문위원[br]대통령자문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 {{{-2 ([[참여정부]])}}}[br]정치개혁추진위원회 청년위원장[br][[열린우리당]] 부산시지부 청년위원장[br]다대어민회 명예어민[br]명예택시기사[br][[을숙도대교]] 통행료인하 추진위원장[br][[부산 1호선|신평-장림-다대지하철]] 추진위원장[br][[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br][[사하구]]청년연합회 고문[br][[제17대 국회의원]] {{{-2 ([[사하구 을|부산 사하구 을]] / [[열린우리당]])}}}[br][[열린우리당]] 원내부대표[br][[제18대 국회의원]] {{{-2 (부산 사하구 을 /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br][[민주당(2008년)|민주당]] 부산광역시당 위원장[br][[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객원교수[br][[UST]] 초빙교수[br][[제19대 국회의원]] {{{-2 (부산 사하구 을 / [[민주통합당]])}}}[br][[민주통합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민주당(2013년)|민주당]] [[최고위원]][br][[새정치민주연합]] [[최고위원]][br][[제19대 국회]] 후반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업통상자원위원회]] 위원장[br][[제20대 국회의원]] {{{-2 (부산 사하구 을 / [[새누리당]])}}}[br][[새누리당]] 인재영입위원장[br][[제20대 국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장[br][[자유한국당]] [[최고위원|수석최고위원]][br][[미래통합당]] [[최고위원|수석최고위원]][br][[제21대 국회의원]] {{{-2 (부산 사하구 을 / [[미래통합당]])}}}[br][[국민의힘]] [[국민의힘 1차 전당대회|1차 전당대회 당대표 후보]][br][[jp희망캠프]] 선거대책위원장[br]한-대만의원친선협회 회장[br][[국민의힘 선거대책본부]] 직능본부장[br][[국민의힘]] 부산광역시당 위원장[* 국민의힘 3차 전당대회에 당대표로 출마하며 '당 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규정' 제26조 6항'에 따라 당직에서 사퇴했다.][br][[국민의힘]] [[국민의힘 3차 전당대회|3차 전당대회 당대표 예비후보]][br][[국민의힘]] 뉴시티프로젝트특별위원회 위원장[br][[제22대 국회의원]] {{{-2 (부산 사하구 을 / [[국민의힘]])}}}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공학자, 교육인, [[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 소속 정당은 [[국민의힘]], 지역구는 [[사하구 을]]이다. == [[/일생|일생]]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경태/일생)] === [[/정치 활동|정치 활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경태/정치 활동)] == [[/비판 및 논란|비판 및 논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경태/비판 및 논란)] == 기타 == * [[지역구]] 사정에 매우 밝은 국회의원으로 알려져 있는데, 어느 정도인가 하면 [[사하구]]에 설치되어 있는 방범용 CCTV나 가로등 수 같은 [[자질구레]]한 것들까지 다 알고 있다고 한다. 덕분에 대한민국 전체를 놓고 봐도 지역구 내에서의 [[평판#s-1|평판]]이 상당히 좋은 국회의원으로, 이는 [[사하구 을]]에서만 내리 6선[* 국민의힘에서 한 지역구에 내리 6선 이상 눌러앉은 사람은 조경태가 유일하다. [[주호영]]도 내리 6선이긴 하지만 [[수성구 을]] 4선+[[수성구 갑]] 재선으로 [[수성구]] 내에서 지역구를 한 번 옮겼다. 더불어민주당으로 범위를 넓혀봐도 [[시흥시 을]]에서만 6선을 한 [[조정식(1963)|조정식]] 정도밖에 없다. 이들의 나이가 현재 각각 60대이고 당직 생활에서 두각을 드러낸 후 40세 전후에야 정치를 시작한 것에 비하면 36세부터 60세까지 24년을 국회의원으로 보내게 된다는 것은 인생의 본업이 국회의원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 20대부터 정치인으로 살아왔고, 만 28세부터 국회의원에 출마한 것을 감안하면 인생 자체가 정치인인 셈이다.]을 한 것으로 증명 가능하다.[* 22대 총선에서 부산 유일의 민주당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전재수]]도 개인 기량이 뛰어나고 지역구 내에서 평판이 좋은데, 실제로 21대 국회에서 조경태 다음으로 부산광역시 국회의원 공약이행률이 높은 사람이 전재수다.] * 18대 국회에서 활동할 당시 쇠고기 문제로 [[청문회]]에서 [[정운천]] 당시 농림부 장관에게 강경하게 나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112&aid=0001944986|조포스]]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이후로도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조포스라고 [[ID]]를 쓰는 거 보면 좋아하는 듯.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47&aid=0001941464|#]][[http://www.polinews.co.kr/news/article.html?no=32898|#]] 아이러니하게도 8년 후인 [[2016년]] 조경태가 민주당을 탈당해 [[새누리당]]에 입당하면서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 때 둘 다 같은 당 후보로 당선되기까지 했는데 정운천은 [[새누리당 분당]] 사태 당시 탈당해 [[바른정당]]-[[바른미래당]]으로 간 반면 조경태는 탈당하지 않고 [[자유한국당]]에 남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2020년 [[미래통합당]] 출범 이후 정운천이 합류하면서 21대 국회에서도 같은 당 소속으로 한솥밥을 먹게 되었다. * 위에 설명되어 있듯이 보수 지지세가 강한 [[부산광역시]]에서 민주당 깃발로 3선을 한 것으로 유명하여 지역주의 타파의 선봉장 중 하나로 불렸다. 그 3선 중에 17대 총선, 18대 총선은 운이 좋은 케이스[* 초선 당시에는 탄핵 역풍으로 [[열린우리당]]의 지지도가 높았던 시절이었고, 한 번은 친박, 비박 이렇게 보수 후보가 2명이 나와 보수표가 분산되는 바람에 어부지리로 당선된 것도 있었다.]였고, 당선 당시 대통령이었던 [[노무현]] 대통령과 [[김대중]] 전 대통령이 매우 놀라워했다고 하는데, 이런 탓에 당시 당선자들 중 [[노무현]] 대통령으로부터 유일하게 호출을 받아 대통령을 독대하여 극찬을 받았다고 전한다. 그래서 2000년대 후반까지도 야권 내 대표적인 '''[[친노]] 인사'''로 분류되었다. 심지어 참여정부 시절 [[대연정 파동]] 때 당내외 여론이 악화되는 와중에 대연정 제안을 강력히, 꽤 문제되는 발언까지 섞어가며 옹호하기도 했다. 이후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이 6.4 지방선거 때 적지인 [[대구광역시]]에 출마하였으나 안타깝게 석패 후 [[20대 총선]]에서 되었고, 2014년 7.30 재보궐선거에서 [[새누리당]] [[이정현(1958년 10월)|이정현]] 후보가 예산폭탄 공약을 내걸고 민주당의 텃밭인 전남의 순천시·곡성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상대측인 [[새정치민주연합]]의 [[서갑원]] 후보를 누르고 당선된 바가 있지만 2000년대 이후 최초는 조경태였다. * 민주당 시절에는 다선인 것과는 별개로 비주류에 인지도도 생각보다 높지 않았던 탓에 당내 지지층이 전무했다. 한 예로, 2012년 19대 총선 당시 한명숙 지도부는 문재인 후보가 출마한 사상구는 자주 들렀지만 사상에서 별로 멀지도 않은 그의 사하구 을 선거구에는 한 번도, 아니 아무도 방문을 안 했다.[* 여기엔 세 가지 설이 있는데, 조경태가 "나야말로 원조 친노"라는 발상 + 친문 선거전이 선거에 유리하지 않다는 생각으로 지도부와 처음부터 거리감을 드러냈다는 것, 혹은 친문에서 조경태를 동지가 아니라고 생각해 경원시했다는 설이 있다. 이후에 벌어진 역사를 고려하면 이 세 가지가 모두 작용한 것 같다(...)] 의외로 그의 지역구에서 당시 유력한 대권 후보이자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이었던 박근혜가 이곳에서 적극적인 유세 활동을 벌였는데 이는 새누리당 측에서 조경태 의원이 상당한 강적임을 증명한다고 볼 수 있다. * 2012년 이후로는 본인이 당내 지지층을 갉아먹는 행보를 보인 것도 있었다. 김한길 대표 시절에 최고위원을 했던 당시에도 지역 현안과 관련된 내용을 읊었던 정치인이라 지역민의 평판은 좋았지만 당 주류이자 부산시당의 다수를 이루는 친문 인사들과 다양한 현안에서 끝없이 대립각을 펼친 탓에 당 지지층뿐만 아니라 지역 당원으로부터도 지지를 잃은 정황들이 포착되었다. 재선 의원 당시 부산시당위원장 선거에서 낙마한 적도 있고, 막말 논란으로 징계위에 회부되었을 때 그의 지역구인 부산 사하 을 당원들이 그에 대해 중징계를 내리라고 청원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또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한 언론사가 지역 여론을 취재했는데 몇몇 노년층 유권자들이 '''''조경태가 일은 정말 잘한데이. 그런데 요즘 들어 와 자꾸 [[문재인]]한테 개겨서 일을 만드노?"'''라는 말로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 당시 문재인은 노무현의 남자였고, 사상구에서 과반으로 당선된 것을 보아도, 노년층의 지지율도 어느 정도 가져와서 이긴 것도 있었다.] * 이렇게 민주당 내에서 입지가 약했던 탓에 누구도 어려울 거라 예상했지만, 의외로 최고위원직에는 자력으로 당선된 적이 있다. [[http://h21.hani.co.kr/arti/COLUMN/173/35421.html|#]] 하지만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2014년 7.30 재보궐선거]] 패배 책임으로, 지도부 총 사퇴와 동시에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다. 이 때문에 정무감각이 없다는 소리도 듣고 있다. 지금도 여전히. * 정계 입문 후 민주당계 정당 소속으로 활동하던 시절부터 당론과 다른 행보를 자주 보여 민주당 지지자들로부터 정체성을 의심받는 일이 더러 있었고, 특히 골수 강경파인 [[정청래]] 의원에게 자주 공격받았다. 이 때문에 둘의 사이는 굉장히 견원지간이다. 정청래 의원은 운동권 출신이라 진보 성향이 뚜렷해 보수 성향이 진한 조경태 의원과는 물과 기름의 관계였다. 정청래는 조경태를 향해 "내무반에 총질 말라.",[* 근데 정작 정청래는 반독재 민주화운동을 하다가 투옥된 적이 있어서 군면제를 받았다.] "민주당에 쓴소리 하듯이 박근혜 정부를 비판해 본 적이 있는가."라고 비난했고 이에 대해 조경태는 원전 비리, 밀양송전탑 문제, 대일 외교 저자세 등에 대해 비판해 왔다고 반박했다. 세월호 참사 관련 [[김현(1965)|김현]] 의원의 대리기사 폭행 사건 때도 조경태 의원의 "당에 물의를 일으킨 김현을 출당시키고 일벌백계해야 한다."라는 발언에 정청래 의원은 "조경태를 출당시켜야 한다."라고 반박했다. 이 때문인지 민주당에 오랫동안 몸담았고 PK 3선 의원이라는 민주당 입장에서 나오기 쉽지 않은 기록을 세운데다 한때 원조 친노로 분류됐을 정도였음에도 현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들과는 사이가 좋지 않다.[* 다만 정청래도 자신의 지역구 관리는 조경태 뺨칠 정도로 잘 한다. 17대부터 21대까지 그의 지역구를 아예 [[손혜원]]이 물려받아서 했을 정도로 정청래의 지역구 파워는 대단했다. 그도 그럴게 마포구의 숙원 사업이 정청래한테 가니까 다 해결됐더라는 우스갯소리도 있을 정도. 거기에 정청래나 조경태나 절대 상대방에게 지고는 못 사는 쌈닭들이라, 애초 섞일 수가 없는 존재였다.] 위에 나온 정청래와의 설전이 대표적인 예. 과거 보수정당에 몸 담았다가 민주당계 정당으로 넘어온 [[손학규]]나 [[진영(정치인)|진영]], [[김부겸]]이 양대 정당의 험악한 관계에도 불구하고 보수 정당 소속, 심지어 범친박으로 분류되는 정치인들과도 아직까지 막역한 사이인 것을 보면 꽤 씁쓸한 부분이다.[* 손학규는 민주당계 정당에 10년 이상 몸담으며 대표까지 지낸 인물이지만 한때 보수정당 소속으로 활동한 기간도 꽤 길었기 때문에 [[이명박]], [[홍준표]], [[이재오]], [[김문수]] 등과는 막역한 관계라고 한다. 진영의 경우에는 문재인 정부에서 행정안전부 장관까지 됐음에도 불구하고 현 자유한국당 의원들에게서 "지금 당하고는 잘 맞는거 같냐?", "다시 우리 당에 오면 안 되냐?"라는 식의 말을 주고받는게 청문회장이나 국정감사장에서 나올 정도. 여담이지만, 진영은 "다시 우리 당에 오면 안 되냐"는 말에 "안 갑니다."라고 답변해서 웃음을 줬다. 20대 총선 당시, TK에서 당선된 적이 있는 [[김부겸]]은 대구경북의 보수정당 국회의원들이 김부겸을 통해서 행정이나 예산문제를 처리했다고 했을 정도로 막역한 사이인데다 [[홍준표]], [[주호영]] 등과도 상당히 친한 사이다.] * 사실 애초에 조경태는 정계 데뷔부터가 진보 정치인들과는 연관이 없는 편이다. 민주당에 있을 때도 당 내에서 보수적인 편이었던 데다 신보수인사라고 분류되었으니, 진보 강경파인 정청래 의원과 마찰을 빚는 건 [[당연지사]]일 터. 이는 조경태가 [[친문]]을 [[친노]]의 후예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참여정부 시절 국무총리를 지냈던 [[이해찬]]도 김어준의 다스뵈이다에 나와서 "[[노무현]]과 [[문재인]]은 노동운동 시절부터 다른 행보를 보였던 사람."이라며, 그 둘과 관련된 에피소드를 꺼낸 적도 있다. 문재인은 줄줄이 경위서를 다 썼지만, 노무현은 '''단 한줄도 쓰지 않았다고(...)'''] 꼬마민주당에서 정계 데뷔를 했으나, 합당 때 조순, 이기택, 김부겸, 강창성, 제정구와 같이 넘어왔다가 16대 총선 공천 때 진영과 다르게 고배를 마시고 탈당 직후 민주당으로 넘어왔다. 국립대인 [[부산대학교]]를 다닐 때도 가난했던 집안 때문에 고학으로 졸업할 정도였으니 운동권과 연이 없기도 했다.[* 이후 민주당계 정당에서 조경태처럼 고학으로 졸업해, 운동권과 거리가 멀었으나 시민단체를 거치며 정계에 입문한 케이스는 [[이재명]]이 계승한다. 이재명 또한 애초 장학금을 받고 들어온 케이스에다 형인 이재선의 취업까지 도와줘야했던 시절이라 운동권에 관심을 둘 여유 따윈 없었다. 둘 다 노무현 때문에 정계에 들어온 것도 비슷하다. 언더독이였다가 주류로 올라온 것까지. 다만, 현시점에서는 조경태한테든 이재명한테든 이 둘을 언더독이라곤 하지 않는다.] 다만, 군사정권 자체는 운동권보다도 적대적으로 본다. [[2019년]] 정의당에서 한창 비례대표제 확대를 요구했을 당시, '''"[[비례대표]]는 [[유신정우회]] 때 나온 것이다. (독재)정권의 거수기 역할을 한 것이 비례대표인데 무슨 확대요?"'''라고 비판하며, 정의당은 물론이고 군사정권까지 세트로 비판했을 정도.[[https://www.sedaily.com/NewsView/1VJCCAROAT|#]] 다만 해당 발언은 '''사실관계가 명확히 잘못된 발언'''이다.[* 일단 '한국에서' 비례대표제의 전신인 전국구 제도는 박정희 정권 당시 시작된 것이기는 하나 [[10월 유신|유신]] 이전인 [[6대 국회]]에 처음 도입된 것이고, 게다가 이 시기의 전국구 국회의원 제도는 양당제 구도 촉진을 위한 인위적 가공이 가해져 있는 등 보편적인 비례대표제의 제도적 지향점에 비주어보면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기는 했지만 최소한 유권자가 어느 정당에 투표할지는 직접 선택할 수 있던 제도로 아예 대통령이 직접 거수기를 임명하는 제도였던 유신정우회와 비교할 수는 없다. 사실관계를 잘못 파악하고 주장한 것이거나 비례대표제에 대해 나쁜 인상을 주기 위해 사실관계를 왜곡한 것이 아닌가 비판을 받아야 할 부분. 결정적으로 비례대표는 내각제를 시행하는 일본이 이미 몇십년 전부터 하고 있던 것이기도 하다. 석패율제로 해서 지역구에서 떨어져버리면, 비례로 구제하는 방법까지 한국 여야 정치권에서 논의됐을 정도.] * 개인적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을 존경한다고 한다. 정계 입문도 노무현에 의해 영입되었고,[* 이 때 같이 영입됐던 인사가 철완으로 유명한 야구선수 [[최동원]]이였다.] 한때 '''원조 친노'''라고 불렸을 정도로 줄곧 노무현의 최측근으로 있었다. 대표적으로 반노였던 [[후보 단일화 협의회|후단협]]이 맹비난할 당시, 끝까지 노무현을 비호한 적도 있었고, 보수 정당으로 당적을 바꾼 지금까지도 노무현 추도식에 매년 참석하고 있다. 이는 노무현 10주기 추도식 때도 보여지는데, 당시 [[자유한국당]] 대표였던 [[황교안]]이 불참했을 때도 조경태는 자유한국당 의원 신분으로 참석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민통합 뜻을 받들어야 한다."며 여야 모두를 비판한 적도 있었다. 다만 친노의 후예로 여겨지는 문재인 및 친문 세력과는 사이가 나쁘다. 조경태가 처음부터 문재인을 비판한 건 아니었고, 노무현 사후 문재인이 정계에 입문하면서부터 노선이 달라 마찰을 빚었기 때문이었다. 첫 당선 당시, 노무현이 "조경태 학습법을 배워야 한다."고 극찬했을 정도다.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9060419150584518|#]] * [[강용석]] 전 의원과는 [[견원지간]]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사이가 매우 안 좋았던 적이 있었다. 단순히 서로 [[반말]]까는 정도가 아니라 '''[[육두문자]] 빼고 다 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11110/41763601/1|지식경제위원회에 함께 소속되었을 당시 예산안 삭감 문제를 가지고 날선 공방이 나왔고, 이 외에도 여러번 언쟁이 있었다]].] 현재는 같은 진영이 됐지만, 강용석이 [[강용석/사건 사고|각종 사건 사고들]]로 더 이상은 정계에 복귀할 수 없게 되면서 다행히(?) 마주칠 일도 없게 되는줄 알았는데, 2021년 10월달에 강용석이 소장으로 있는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에 출연하면서 오랜만에 마주앉아서 좋은 얘기를 나눴다. * 당선 인사를 하러 경남고 대선배인 [[김영삼]] [[전 대통령]]에게 갔더니 큰일을 해냈다고 칭찬받았다고 한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11/22/0200000AKR20151122020000051.HTML?input=1195m|#]] * 은근히 [[김범수(가수)|김범수]]와 외모가 닮았다는 이야기가 많다. 특히 젊었을 때 사진을 보면 정말 닮았다. * 가장 유명한 어록으로 '''"죽어봐야 저승 맛을 알겠는가?"'''가 있다. 해당 발언은 조경태가 보수 정당으로 이적하기 전인 2015년에 [[문재인]] 당시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면서 한 말이다.[[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0/30/2015103001167.html|#]] 나중에 조경태가 국민의힘 전당대회 출마 등을 거치며 인지도가 오른 뒤, 일부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그에 대해 언급될 때 종종 등장하고 있다. 아예 줄여서 '''"죽저맛"'''으로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윤석열을 당선시키면서 [[꼴갤]]과 [[새보갤]] 중심으로 재소환 중이다. * 보수 정당 소속 PK 다선 의원들 중 인지도, 지역구 장악력, 인기가 높은 편이라 차기 [[부산광역시장]] 후보로 매년 주목받고 있다. 그간 차기 부산시장 후보로 꾸준히 거론되었던 [[김세연(정치인)|김세연]] 의원이나 [[박민식]] 전 의원에 비해 의원 선수도 높고 본래 민주당 출신이라 중도 확장성도 저 둘에 비해 밀리지 않는다는 평가. 이 때문에 가장 강력한 경쟁자였던 김세연 의원과는 은근히 기싸움이 오갔다. 대표적으로 강남 병 공천 사태 당시 김세연 의원이 "이 정도는 쿨하게 넘어가주자"라고 했던 데에 조경태 수석 최고위원이 절대 안 된다며 공관위를 압박해서 공천을 철회시키는 일이 있었다. 한편 해운대구 갑에서 조경태와 비슷한 스코어[* 조경태 58%, 하태경 59%.]로 민주당 후보를 털어버린 [[하태경]] 의원도 부산시장 후보군에 꼽혔으나, [[제22대 국회의원 선거|22대 총선]]을 앞두고 서울 출마를 선언했던 만큼 다시 부산에 내려올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 열린우리당으로 당선된 이후 새누리당에 입당하기 전까지, 지역사무소 간판에 당 로고만 제거한 채 열린우리당의 색상인 노란색 간판을 유지했다. 거꾸로,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 총선]]에서는 [[민주통합당]]의 노란 점퍼가 아닌 [[민주당(2008년)|구 민주당]]의 색깔인 연두 점퍼를 입고 다녔다. * 대표적인 [[반중]], [[친대만]] 성향의 정치인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보수 정당에 입당하기 전인 민주당계 정당 의원 시절에도 노골적으로 보여준 바 있다. 대만 재수교 주장도 통합민주당 의원이었던 18대 국회 시절에 발언한 것이었다. 현재 한-대만의원친선협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 2024년 [[라이칭더]] 총통 취임식에 참석한 것을 두고 중국 정부가 항의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690206?sid=100|#]][[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565971?sid=104|#]] * 민주당계 정당에 소속되었던 시절에는 소속 의원들이 종편 채널 출연을 거부하던 것과는 달리 [[박지원]] 의원과 더불어 종편 채널에 자주 출연하였다. * 국제 문제에 관심이 많고 다문화 정책 제정에도 힘쓰고 있는 국회의원 중에 한 명이다. 2017년 자유한국당 의원 시절 다문화가족 지원센터협회로부터 표창을 받았고 2018년에는 한국당 난민대책특위 위원장으로 일했다. * 민주당계 출신이지만 최근에는 [[친박]]과 [[친황]] 다음가는 강경 보수인 [[친홍]]으로 구분된다. 홍준표 캠프 소속이기도 했다. 만약 홍준표가 국힘 대선후보에 선출되어 당선됐다면 전문성을 인정받아 [[국토교통부장관]]으로 입각하는 거 아니냐는 말도 있었는데, 홍준표가 경선에서 탈락하면서 잠잠해졌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당협위원장으로서 [[음주운전]], [[무면허운전]]으로 벌금형을 선고받은 [[성보빈]]의 공천을 탈락시켰다. 이후 [[성보빈]]은 원래 활동했던 부산지역이 아닌 [[창원시]]에서 공천을 받아 창원시의원에 당선되었다.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부터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 자신의 보좌관 출신이었던 [[노재갑]]을 계속해서 공천하는 사례가 있었는데 노재갑이 5회 지방선거에서 [[민주당(2008년)]] 소속으로 비례시의원으로 당선되긴 했지만 6회 지방선거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사하구청장 선거에서 [[새누리당]] [[이경훈]] 후보에게 25%차로 대패하였고 이후 당적을 옮겨 7회, 8회에서는 사하구청장 예비후보로 출마하였지만 경선에서 패배했다. * 웃통을 까면서까지 선거에 관련된 모든 것을 다 설명하겠다는 의미에서 메가스터디 정치와 법 강사 최적이 1996년 국회의원 포스터를 '선거게임' 강좌에서 활용했다. * 같은 당 [[주호영]] 의원과 [[더불어민주당]] [[조정식(1963)|조정식]] 의원과는 17대 국회 이후로 내리 6선을 해왔다.[* 17대 국회 이후로 21대 국회까지 함께해온 5선 의원 가운데 [[김진표]] 후반기 국회의장은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에 [[경기도지사]] 선거에 출마하면서 중도에 사퇴했다가 [[남경필]] 후보에게 지고 낙선한 이력이 있기에 19대 국회 이력이 2년 비는데다, 기존 지역구인 [[수원시 정]](구.수원시 영통구) 선거구는 [[2014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서 [[박광온]] 의원이 당선되었기에 20대 총선부터는 신설된 [[수원시 무]] 선거구로 옮겨 당선되었으며, 국회의장 역임 후 정계에서 은퇴하는 관례 때문에 22대 총선에는 불출마하였으며, 같은 당 [[안민석]], [[변재일]] 의원은 공천 탈락, 그리고 [[더불어민주당]]에서 탈당 후 [[국민의힘]]으로 이적한 [[이상민(1958)|이상민]] 의원은 낙선하였다.] 조정식도 조경태처럼 한 지역구([[시흥시 을]])에서만 내리 6선을 하는 기록을 공유하고 있다.[* 주호영의 경우에는 17~20대는 대구 [[수성구 을]]에서 활동하다가 21대 총선부터는 인접 지역구인 [[수성구 갑]]으로 옮겼다.]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1988 - 1990 || 입당[* 당시 [[노무현]] 부산 [[동구(부산 선거구)|동구]] 국회의원 후보 선거봉사단 활동으로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1990 || 탈당[* [[3당 합당]] 반발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민주당(1990년))] || 1990 - 1991 || 창당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1 - 1995 || 합당[* [[신민주연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1996 - 1997 || 합당[* [[개혁신당(1995년)|개혁신당]]과 신설 합당][br]정계 입문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1997 - 2000 || 합당[* [[신한국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0 || 탈당[* [[16대 총선|총선]] [[공천]] 탈락 불복으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탈당[*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7 || 창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7 || 탈당[* [[대통합민주신당]] 입당을 위한 탈당] || || [include(틀:대통합민주신당)] || 2007 - 2008 || 창당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 || 합당[* [[대통합민주신당]], [[민주당(2007년)|민주당]]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8 - 2011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창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2015~2024))] || 2015 - 2016 || 당명 변경 || || [include(틀:무소속)] || 2016 || 탈당[*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6 - 2017 || 복당[* '''16년 만의 복당'''이다. 한나라당에서 짧은 기간 동안 있었고 한나라당 당적으로는 선거에 출마한 적이 없는데다, 탈당한 지가 오래돼 기억을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대부분의 언론들이 '입당'이라고 표현했지만 엄밀히는 '복당'이 맞다.] || || [include(틀:자유한국당)] || 2017 - 2020 || 당명 변경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 || 창당[*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국민의힘)] || 2020 - 현재 || 당명 변경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부산 [[사하구 갑|사하 갑]]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10,835 (15.51%) || 낙선 (3위) ||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7> 부산 [[사하구 을|사하 을]]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3,351 (17.50%) || 낙선 (2위) ||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열린우리당)] || '''36,614 (39.13%)''' ||<|6> '''당선 (1위)''' || '''초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31,330 (44.89%)''' || '''재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9,849 (58.17%)''' || '''3선'''[* 2016년 1월 [[더불어민주당]] 탈당, [[새누리당]] 입당.]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0,337 (59.65%)''' || '''4선'''[* 2017.02.13 [[새누리당]]→[[자유한국당]] 당명 변경.]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미래통합당)] || '''59,042 (58.79%)''' || '''5선'''[* 2020.09.02 [[미래통합당]]→[[국민의힘]] 당명 변경.] || || 2024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국민의힘)] || '''46,855 (55.62%)''' || '''6선'''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15대 총선 조경태.jpg|width=100%]] || [[파일:16대 총선 조경태.jpg|width=100%]]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15대 총선}}}]] [[사하구 갑|{{{#000,#e5e5e5 (부산 사하구 갑)}}}]]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16대 총선}}}]] [[사하구 을|{{{#000,#e5e5e5 (부산 사하구 을)}}}]] || || [[파일:17대 총선 조경태.jpg|width=100%]] || [[파일:18대 총선 조경태.jpg|width=100%]]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17대 총선}}}]] [[사하구 을|{{{#000,#e5e5e5 (부산 사하구 을)}}}]]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18대 총선}}}]] [[사하구 을|{{{#000,#e5e5e5 (부산 사하구 을)}}}]] || || [[파일:19대 총선 조경태.jpg|width=100%]] || [[파일:20대 총선 조경태.jpg|width=100%]]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19대 총선}}}]] [[사하구 을|{{{#000,#e5e5e5 (부산 사하구 을)}}}]]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20대 총선}}}]] [[사하구 을|{{{#000,#e5e5e5 (부산 사하구 을)}}}]] || || [[파일:21대 총선 조경태.jpg|width=100%]] || [[파일:조경태22.jpg|width=100%]]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21대 총선}}}]] [[사하구 을|{{{#000,#e5e5e5 (부산 사하구 을)}}}]]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000,#e5e5e5 22대 총선}}}]] [[사하구 을|{{{#000,#e5e5e5 (부산 사하구 을)}}}]] ||}}}}}}}}} || * 19대 총선부터 21대 총선까지 같은 사진을 선거 벽보에 사용했다. * [[더불어민주당|민주당]]을 떠나 [[보수정당]][* 역사 순으로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으로 당적을 옮긴 이후로 선거 벽보에 '일 잘하는 우리 경태'라는 문구를 꾸준히 사용하고 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국민의힘 중앙당)]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부산광역시)] [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통합민주당(2008년))] [include(틀:제18대 국회의원/민주통합당)] [include(틀:제19대 국회의원/새누리당)]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미래통합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국민의힘)] [include(틀:제22대 국회의원/국민의힘)] [include(틀:국민의힘의 계파 분류)] [[분류:조경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