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셀틱 FC/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AEAEA 0%, #FFFFFF 20%, #FFFFFF 80%, #EAEAEA)" {{{#ed1b2f ''' 조 하트의 수상 이력 ''' }}} }}} || || {{{#!folding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프리미어 리그|[[파일:프리미어 리그 심볼.sv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410648; font-size: 0.9em" [[프리미어 리그|{{{#fff '''PL 골든글러브'''}}}]]}}} ||<-3>[[틀:프리미어 리그 골든글러브(2010년대)|2010-11 · 2011-12 · 2012-13 · 2014-15]]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PFA 올해의 팀|[[파일:PFA_UK_logo.pn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PFA 올해의 팀|{{{#c18e33 '''PFA 올해의 팀'''}}}]]}}} ||<-3>[[틀:2009-10 PFA 올해의 팀|2009-10]] · [[틀:2011-12 PFA 올해의 팀|2011-12]] || ||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파일:PFA Scotland.jp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D2C5A; font-size: 0.9em"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fff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 ||<-3>2022-23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oe Hart_23-24_Celtic.png|width=100%]]}}}||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fff 셀틱 FC No. 1}}}'''}}} || ||<-3> '''{{{#018749 {{{+1 조 하트}}}[br]Joe Hart}}}''' || ||<-2> {{{#fff '''본명'''}}} ||찰스 조지프 존 "조" 하트[br]Charles Joseph John "Joe" Hart || ||<-2><|2> {{{#fff '''출생'''}}} ||[[1987년]] [[4월 19일]] ([age(1987-04-19)]세) || ||슈롭셔 주 슈루즈버리 || ||<-2> {{{#fff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include(틀:국기, 국명=잉글랜드)]) || ||<-2> {{{#fff '''신체'''}}} ||[[키(신체)|키]] 196cm[* 유소년 시절의 키는 191cm이다. 이곳에서는 아직도 업데이트가 되지않아 191cm로 나온다. [[https://www.eurosport.com/football/joe-hart_prs86378/person.shtml|#]]] / [[체중]] 91kg || ||<-2> {{{#fff '''포지션'''}}} ||[[골키퍼]] || ||<-2> {{{#fff '''주발'''}}} ||오른발 || ||<|2> {{{#fff '''소속'''}}} || {{{#fff '''유스'''}}} ||[[슈루즈버리 타운 FC]] (2002~2003) || || {{{#fff '''선수'''}}} ||[[슈루즈버리 타운 FC]] (2003~2006)[br] '''[[맨체스터 시티 FC]] (2006~2018)'''[br] {{{-1 → [[트랜미어 로버스 FC]] (2007 / ^^임대^^)[br]→ [[블랙풀 FC]] (2007 / ^^임대^^)[br]→ '''[[버밍엄 시티 FC]] (2009~2010 / ^^임대^^)'''[br]→ [[토리노 FC]] (2016~2017 / ^^임대^^)[br]→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17~2018 / ^^임대^^)}}}[br] [[번리 FC]] (2018~2020)[br][[토트넘 홋스퍼 FC]] (2020~2021)[br]'''[[셀틱 FC]] (2021~ )''' || ||<-2> {{{#fff '''국가대표'''}}} ||75경기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 2008~2017)^^ || ||<-2> {{{#fff '''SNS''' }}} ||[[https://www.instagram.com/joehart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https://www.youtube.com/channel/UCad9uFBcT1DjL7rP_UxBfO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 ||<-3> '''정보 더 보기'''[br]{{{#!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
{{{#fff '''등번호''' }}} ||[[맨체스터 시티 FC]] - 1번, 25번[br][[토리노 FC]] - 21번[br][[번리 FC]] - 20번[br][[토트넘 홋스퍼 FC]] - 12번[br][[셀틱 FC]] - 1번, 15번[br][[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1번 || }}}}}}}}} ||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41808514_crop_north.jpg|width=100%]]}}}|| [[잉글랜드]] 국적의 [[셀틱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골키퍼]]. 만치니-펠레그리니 체제 하 [[맨체스터 시티]]의 주전 골키퍼로 [[PL]] 역대 최다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며[* 4회, '''역대 최다 기록'''] [[PL]] 2회 우승을 이끌었고, 동 기간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잉글랜드 대표팀]]의 주전 수문장으로 활약하였다.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조 하트/클럽 경력)] == [[잉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joe-haddrt.jpg|width=100%]]}}} || 청소년 연령별 대표팀을 두루 거쳤고, 09-10 시즌 [[버밍엄]]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2010 남아공 월드컵]] 최종 엔트리에 선발되었다. 그러나 [[로버트 그린]]과 [[데이비드 제임스]]에 밀린 써드 키퍼 역할이었고 경기에는 나서지 못했다. 그러던 하트가 잉글랜드 국가대표 골키퍼의 암흑기를 깨고 이름을 알리게 된 것이 바로 [[UEFA 유로 2012]]인데, 이 당시 잉글랜드가 스쿼드상으로도 사상 최악의 암흑기로 분류되었음에도 눈부신 선방쇼와 안정적인 볼 키핑 등을 선보이면서 단숨에 주전 골키퍼를 꿰차고 기나긴 잉글랜드 골키퍼 잔혹사를 끊는 데에 성공했다. 이후 이 당시의 활약을 바탕으로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 브라질 월드컵]]에서도 잉글랜드 주전 골키퍼 자리를 차지했다. 하지만 활약은 시망 수준이었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피파가 매긴 [[캐스트롤]] 인덱스 순위인데, 선수들의 기록을 수치화하여 서열을 매긴 이 순위에서 하트는 당당하게 대회에 출전한 모든 골키퍼 중 꼴찌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정성룡]]'''보다 '''낮은''' 순위다!] 물론 골키퍼라는 포지션의 특성상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기록이지만, 어쨌거나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한 건 사실이다. 유효슈팅 대비 세이브 비율이 50%밖에 되질 않았으니 결국 잉글랜드의 조별 광탈이 확정된 이후 치러진 조별리그 3차전에는 [[벤 포스터]]에게 자리를 내주고 벤치에 앉으며 쓸쓸하게 대회를 마무리지었다. 하지만 이후 리그에서의 활약으로 국대 주전자리를 유지할 수 있었고, 잉글랜드의 유로 예선 전승기록에 한 몫 하게 되었다. 그렇게 계속 승승장구 했다면 좋았겠지만 머지 않아 [[UEFA 유로 2016]] 본선에서 하트는 다시 위기를 맞게 되었다. 잉글랜드가 부진으로 겨우 네 경기를 치르고 본국으로 돌아가야 했는데도, 하트가 그 중 무려 두 경기에서 아쉬운 수비를 보여주며 본인에게 어그로를 집중시킨 것이다. 첫 번째는 웨일즈전이었다. 베일이 찬 강력한 프리킥을 막지 못하고 실점을 허용하고 말았는데, 워낙 좋은 킥이었던지라 찬반 양론은 갈리는 편이지만 대체로 많은 전문가와 축잘알들이 한 입으로 하트를 성토한 만큼 책임을 피할 수는 없을 듯 하다.[* 이 장면 때문에 국내 한정으로 발생한 에피소드도 있었는데, 중계를 하던 [[이주헌(축구)|이주헌]] 해설이 '하트가 막아줬어야 하는 슛이다'는 요지의 말을 하자 한국의 모든 축구 관련 커뮤니티가 들고 일어나 그를 린치한 사건이 그것이었다. '베일이 무회전으로 쐈는데 하트가 저걸 어떻게 막느냐? 이주헌은 축알못이다' 라는게 비난의 이유. 그렇게 모두들 손에 손잡고 한 사람을 즐겁게 밟아대던 와중, 하프타임 즈음에 급하게 전령이 도착했다. 그가 전하길 '[[앨런 시어러]]가 BBC에서 조하트를 욕했다고 하옵니다'. 그 소식이 도달함과 동시에 이주헌 해설을 둘러싸고 있던 한 무리의 사람들이 순식간에 해산되는 기적이 벌어졌고 수많은 글들이 스스로 삭제되기 시작했다. 하프타임을 틈타 이 모든 광경을 보고있던 이주헌 해설이 모 커뮤니티에 직접 댓글을 남기길, '나랑 시어러랑 동급?ㅋㅋㅋ'] 그나마 이 경기에서는 잉글랜드가 역전승이라도 거뒀지, 잉글랜드가 탈락하던 아이슬란드 전에서도 하트는 치명적인 실수를 저지르고 말았다. 이번에는 논란의 여지도 없을 정도로 당연한 것을 놓치고 말았는데, 이 경기 후에 하트는 그야말로 영국의 역적으로 전락하는 신세가 되었다. 국대에서의 위상이 흔들리는 것만 문제가 아닌데, 하필 이 시기가 펩이 시티에 부임하기 직전인지라 안 그래도 빌드업 능력의 부족 때문에 미심쩍은 눈길로 하트를 보았을 과르디올라가 새로운 키퍼를 수소문할 가능성이 더 커지게 된 것이다. 유로에서의 삽질과는 달리 유럽 지역 월드컵 예선에서는 꽤 좋은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슬로베니아 원정에서는 MOM 급 활약을 보여주었다. 클럽에서의 미비한 활약으로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2018 러시아 월드컵]] 최종명단에 들지 못했다. 기존의 강력한 라이벌이었던 [[잭 버틀랜드]], 2년동안 실력을 증명한 [[조던 픽포드]], 거기에 2018년 [[번리 FC]]의 돌풍을 이끈 신성 [[닉 포프]]까지 가세한 잉글랜드 골키퍼 경쟁에서 결국 밀려나버렸다. == 플레이 스타일 == 196cm의 큰 키와 동물적인 운동 능력을 활용하는 클래식한 골키퍼로, 전성기 시절에는 이러한 운동 능력을 기반으로 출중한 기량을 보여줬다. 특히나 상대 공격수와의 1대1 대치 상황에서 뛰어난 판단력을 바탕으로 슈퍼 세이브를 자주 보여줬고, 이를 기반으로 리그와 챔스를 가리지 않고 시티를 패전이나 대량실점에서 자주 구해냈다.[* [[리오넬 메시]]가 앞구르기를 하게 한 2014-15시즌 챔피언스리그 16강 2차전이 대표적인 사례.] 또한 큰 키와 길쭉한 팔을 이용한 공중볼 장악 능력도 좋은데, 캐칭보다는 멀찌감치 펀칭하는 쪽을 더 선호한다. 또한 긴 팔을 이용해 공을 잡고 멀리 던져주면서 역습 전개의 시발점 역할을 해주는 모습도 종종 보인다. 약점이라면 생각보다 다이빙 능력이 좋은 편이 아니라는 점. [[왼손잡이]]로서는 아이러니하게도 왼쪽 아래로 강하게 오는 슛에 치명적인 약점이 있는데 이 쪽으로는 상대적으로 약한 슛이라도 꽤 먹히는 편이다.[* 사실 특정 방향의 다이빙이 선천적으로 어설픈 경우는 꽤 흔하며, 따라서 원래 골키퍼들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일단 원칙적으로는 다이빙 훈련을 할때 일부러 양쪽 모두 한다. 그리고, 하트와 비슷하게 오른손잡이임에도 오른쪽 다이빙이 어설픈 골키퍼들이 더러 있다. ] 게다가 하트가 오랫동안 활약하며 이러한 약점이 잘 알려지며 상대팀 선수들이 의식적으로 하트의 왼쪽 편을 겨냥하게 되었고, 안 그래도 약점이었던 왼쪽 아래 선방률이 가면 갈수록 더 낮아지고 있다. 실제로 맨시티 마지막 시즌부터는 선방력 면에서도 그리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데, 점차 커지는 이 문제가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또한 골킥이 정확한 편이 아니라 골킥 상황에서 실수를 해서 상대에게 공격권을 넘기는 경우가 많았다. 숏패스는 비교적 안정적인 편이지만 롱패스의 정확도가 부족한 편이다. 하트가 일찍 기량저하를 보인 이유를 본인의 플레이 스타일에서 찾는 분석도 있다. 하트는 다른 키퍼들에 비해, 선방에 있어 판단력이나 반사신경보다도 피지컬적인 요소인 도약력이나 힘, 스피드 등에 많이 의존하던 키퍼라서라는 것이다. 즉 몸 축구를 한다는 것. 이 분석에 따르면 하트의 빠른 몰락은 필연적인 것이었을지도 모른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메달을 받는 경우 모두 기재합니다. 일반적인 컵 대회의 경우 준우승 메달이 있으며, 리그 경기는 2위 메달이 없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3위 결정전이 있는 대회(FIFA 월드컵, UEFA 네이션스 리그, 올림픽 등)의 경우 3위 메달이 있습니다. * [[맨체스터 시티 FC]] (2006~2018) * [[프리미어 리그]]: 2011-12, 2013-14 * [[FA컵(잉글랜드)|FA컵]]: 2010-11 * [[EFL컵]]: 2013-14, 2015-16 * [[FA 커뮤니티 실드]]: 2012 * [[셀틱 FC]] (2021~ )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2021-22, 2022-23 * [[스코티시컵]]: 2022-23 * [[스코티시 리그컵]]: 2021-22, 2022-23 === 개인 수상 === * [[프리미어 리그]] 골든글러브: 2010-11, 2011-12, 2012-13, 2014-15 * [[PFA 올해의 팀]]: 2009-10, 2011-12 * [[PFA 스코틀랜드 올해의 팀]]: 2022-23 * 버밍엄 시티 올해의 선수: 2009-10 * 맨체스터 시티 이달의 선수: 2010년 8월, 2015년 3월 == 기타 == * 한동안 사생활에 잡음이 많았으나[* 자세한건 밑의 사생활 문단에 후술.] 경기장 안에선 좋은 모습을 보여준다. 2012년 12월 9일에 있었던 맨체스터 더비에서 [[로빈 반 페르시]]가 경기 종료직전 골을 터트려서 팬들의 분노가 극도에 달해서 팬이 난입해서 [[리오 퍼디난드]]에게 달려드려는 걸 조 하트가 말리는 모습도 보여주고 스완지와의 경기에서 [[미겔 미추]]와 부딪혀서 넘어질 때도 의료진을 불러서 알려주는 모습도 보여줬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gxjDQeWeClQ)]}}}|| ~~[[달려라 하니|달려라 조 하트]]~~ * 조 하트 하면 생각나는 유명한 장면. 일명 '''[[우사인 볼트|우사인 하트]]'''. 맨유와 맨시티간의 맨체스터 더비에서 1:0으로 맨유가 앞서고 있던 후반 인저리 타임에 맨시티가 코너킥 찬스를 맞았고, 어차피 못 넣으면 지는거 하트까지 나와서 공격에 참여했다. 허나 공격은 커녕 중간에 볼을 뺏겨 역습 찬스를 맞게 되자 조하트는 똥줄 빠져라 골대로 뛰어갔고, [[웨인 루니|루니]]가 하프라인 근처에서 날린 슛을 가까스로 펀칭해낸다. 이때의 장면을 보면 다른 축구선수들은 느리게 산책하는 속도로 보일 정도로 혼자서 엄청난 속도로 뛰는데 확실히 '''운이 좋았다'''.[* 정 반대 사례로 [[마누엘 노이어]]는 러시아 월드컵 때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한국과의 경기]]에서 한국의 득점 이후 골대 비우고 공격에 가담했다가 역습을 맞는 바람에 [[손흥민]]한테 빈집털이당하는 치명적인 실수를 범하면서 커리어에 오점을 남기는 것은 물론이고 이후 자신도 욕을 엄청나게 먹었다. 노이어는 운이 나빴다고 할 수도 있는데, 노이어는 독일 선수들 중에서 그나마 선방을 했었는데 골대를 비운 게 이날 경기에서 노이어의 유일한 실수였다.] 하지만 저 경기를 한 지 '''정확히''' 9년 후인 2017년 11월 30일에 있었던 [[에버튼 FC|에버튼]]과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웨스트햄]]과의 경기에서 [[웨인 루니]]에게 60M 짜리 대형골을 허용하면서 9년만에 복수당했다. 하트의 달리기가 인상깊었는지 축구 시뮬레이션 게임인 [[풋볼 매니저]]에서는 유독 기행이 매우 높게 설정되어 있다. 덕분에 잘 선방하다가 종종 웃지 못할 기행을 연발해 감독의 머리를 부여잡도록 하는 경우가 꽤 있다.[* 다만 실제 하트는 기행과는 거리가 먼 선수였다. 굉장히 클래식한 골키퍼로 빌드업이나 스위핑을 최대한 지양하고 오로지 뛰어난 반사 신경으로 팀의 실점을 막는 것에 특화된 골키퍼였다. 물론 팀이 지거나 이겨야 할 상황에서 수비 라인이 높이 올라가면 페널티 박스 밖까지 나와서 롱킥을 전개하기도 하였고, 비록 선방 모션이 굉장히 커 그로 인해 약간 기행처럼 먹히는 실점은 있었지만, 적어도 흔히 말하는 골키퍼의 본분에서 벗어나는 기행은 잘 하지 않았다.] *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2014 브라질 월드컵]] 이탈리아와의 조별리그 경기 막판 [[안드레아 피를로]]의 무회전 프리킥이 골대에 맞은 후 볼보이에게 시전한 '''Give me the f**king ball'''은 희대의 개그 그 자체.[* 물론 골키퍼들은 다 공감할 것이다. 골대를 맞아서 기분이 나빠서 그랬다기 보다는 시간도 얼마 없는데다 2:1로 밀리고 있는데 볼보이가 공을 빨리 안 주니까 화가 나는건 당연하다.] 유튜브에 Joe hart give me the f ball을 검색하면 손쉽게 수십개의 영상을 찾을 수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yRQr-_YnaI)]}}}|| * 가끔 광고도 찍는다. 위 영상과 같은 헤드 엔 숄더나 도리토스 광고를 찍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portlockerdotcom.files.wordpress.com/bd_gillette_hart.jpg|width=100%]]}}}|| 또한 질레트 광고도 찍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www.maxmayo.com/hugo-boss-successbeyondthegame-joe-thiago-marco.jpg|width=100%]]}}}|| * 브라질 월드컵을 앞두고 [[마르코 로이스]], [[티아구 실바|치아구 시우바]]와 함께 휴고 보스의 'Success Beyond The Game' 캠페인의 모델로 발탁 되었다! 다만 조 하트는 브라질 월드컵에서 '''[[영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줬고 마르코 로이스는 브라질 월드컵을 앞두고 부상을 당해 월드컵을 통째로 날렸다. 게다가 '''조국 독일이 우승하기까지 하였고''' 소속 팀인 [[보루시아 도르트문트|도르트문트]]가 14-15 시즌에 심각한 부진을 보이고 3년간 무면허 운전을 한 사실이 적발 되었으며 치아구 시우바는 [[미네이랑의 비극]]을 겪었다. --휴고 보스의 저주-- * 데뷔 초부터 [[엄브로]]를 사용했지만 13-14 시즌부터 [[나이키]]의 장갑과 축구화를 착용중이다. * 클럽이나 경기 내에서 구설수를 일으킨 적이 적고 시티에서는 주장을 맡은 적도 있는 리더쉽의 소유자지만 꽤 불같은 성격의 소유자로 그가 격노했을때 걸쭉한 [[fuck|f***]]소리를 경기에서도 들을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WpnSn17nuug&ab_channel=tpoza1996|공을 빨리 주지않는 볼보이에게 욕하는 조하트]][[https://www.youtube.com/watch?v=cOIRZ0M9LOs&ab_channel=HCBARLOW|경기중 얼타는 망갈라에게 욕하는 조하트]]] * 국내 몇몇 커뮤니티에서는 [[http://www.fmkorea.com/266886473|원더골 제조기]]로 통하기도 한다. * 토트넘과 셀틱을 거치며 손흥민, 오현규와 팀메이트가 되었는데, 두 선수 모두와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 손흥민이 직접 조 하트에게 오현규의 적응을 도와달라고 전했고, 실제로 오현규가 셀틱 팀 내에서 제일 잘해주는 선수로 조 하트를 꼽기도. [[https://www.youtube.com/watch?v=34wAWqykx5g|#]] === 사생활 === 한 때 잉글랜드 선수답게[* 잉글랜드 선수들의 악동기질은 악명높기로 유명하다. 세계구급 인기와 부와 명성 때문에 일거수 일투족이 늘 관심의 대상이 된다. 게다가 이 기질은 결혼 후에도 여전해서(?) 부인들까지도 고민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들을 [[BBC]] TV에서 방영된 축구선수 부인들의 삶과 애환을 묘사한 드라마 '축구선수의 부인들(The Footballer's Wives)'에서 엿볼 수 있다.] 좋지 않았지만 과거 철 들기 전 시절 얘기일 뿐. 한 때는 여자 관련 추문은 없지만 맨날 술에 만취한다는 소문은 일상이었고 심지어 유튜브에서 바에서 만취해서 노래 부르는 영상까지 찾아볼 수 있었다. 만치니는 조 하트 등 맨체스터 시티의 젊은 잉글리시들이 허구한 날 술만 마셔대니까 '''차라리 여자를 만나라'''라고 말하기도 했다.[* 여자 관련 절제력은 상당한 듯 하다. 잉글랜드 명문 팀+국가대표면 여자들이 줄을 서는데 여자문제가 없는 걸 보면.]~~여자친구 있는데요~~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에서 잉글랜드 국가 대표팀이 광탈한 이후 [[잭 윌셔]]와 함께 라스베이거스에서 휴가를 보내는 모습이 영국의 타블로이드 신문인 데일리메일에 포착 되었는데 최악의 성적을 거두고도 방탕한 휴가를 즐기는 모습으로 인해 사생활에도 관대한 잉글랜드 축구 팬들에게도 비판을 받았다. 다만 잭 윌셔의 흡연 장면이 임팩트가 좀 컸던 데다[* 잭 윌셔는 이전에도 흡연 장면이 포착된 적이 있었다.] 윌셔의 소속팀인 [[아스날 FC|아스날]]의 감독이 흡연을 용납치 않는 [[아르센 벵거]]인지라 윌셔에 비해서는 묻혔다. 14-15 시즌이 끝난 후 휴가 중에 여자친구 킴벌리와 결혼식을 올렸다. 이후 사생활 측면에서는 별다른 말썽 없고 오히려 모범적인 프로페셔널함을 보여주는 중이다. 아마 미혼일 때 작정하고 즐긴 후 결혼 후 절제하는 유형으로 대단히 쉽게 찾아볼수 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셀틱 FC)] [각주] [[분류:1987년 출생]][[분류:잉글랜드의 축구선수]][[분류:골키퍼]][[분류:슈루즈버리 타운 FC/은퇴, 이적]][[분류:맨체스터 시티 FC/은퇴, 이적]][[분류:트란메어 로버스 FC/은퇴, 이적]][[분류:블랙풀 FC/은퇴, 이적]][[분류:버밍엄 시티 FC/은퇴, 이적]][[분류:토리노 FC/은퇴, 이적]][[분류: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분류:번리 FC/은퇴, 이적]][[분류:토트넘 홋스퍼 FC/은퇴, 이적]][[분류:셀틱 FC/현역]][[분류:잉글랜드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참가 선수]][[분류: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선수]][[분류:잉글랜드의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12 참가 선수]][[분류:UEFA 유로 2016 참가 선수]][[분류:2009 UEFA U-21 챔피언십 참가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