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미네소타 트윈스/로스터)] ---- ||
'''{{{#ffffff 조 라이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미네소타 트윈스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 조 라이언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height=70]][br] '''2020 도쿄 올림픽 야구 종목[br]{{{#c0c0c0 은메달}}}''' || || '''[[2020 도쿄 올림픽/야구|{{{#FFFFFF 2020}}}]]''' || ---- ||<-5>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74번}}}''' || || [[트래비스 블랭켄호른]][br](2020) || {{{+1 →}}} || '''조 라이언[br](2021)''' || {{{+1 →}}} || [[조시 와인더]][br](2022~) || ||<-5> '''{{{#ffffff [[미네소타 트윈스|{{{#ffffff 미네소타 트윈스}}}]] 등번호 41번}}}''' || || [[뷰 버로우스]][br](2021) || {{{+1 →}}} || '''조 라이언[br](2022~)''' || {{{+1 →}}} || 현역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윈스조라이언.jpg|width=100%]]}}} || ||<-2> '''미네소타 트윈스 No.41''' || ||<-2> '''{{{+2 조 라이언}}}[br]Joe Ryan''' || || '''본명''' ||조셉 필립 라이언[br]Joseph Philip Ryan || ||<|2> '''출생''' ||[[1996년]] [[6월 5일]] ([age(1996-06-05)]세) ||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 주]] [[샌프란시스코]]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프랜시스 드레이크 경 고등학교 -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노스리지 캠퍼스]] - 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스태니슬라우스 캠퍼스 || || '''신체''' ||188cm, 92.9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8 MLB 신인드래프트|2018년 드래프트]] 7라운드 (전체 210번 / [[탬파베이 레이스|TB]]) || || '''소속팀''' ||'''[[미네소타 트윈스]] (2021~)''' || || '''계약''' ||1yr / $730,250 || || '''연봉''' ||2023 / $730,250 || || '''에이전시''' ||[[Creative Artists Agency|[[파일:Creative Artists Agency 로고.svg|width=50]]]]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네소타 트윈스]] 소속 우완 선발투수. == 선수 경력 == === 마이너 리그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템파베이조라이언.jpg|width=100%]]}}} || [[2014 MLB 신인드래프트|2014년 드래프트]]에서 처음 지명되었으나 캘리포니아 주립대로 진학했고, [[2018 MLB 신인드래프트|2018년 드래프트]] 7라운드에 [[탬파베이 레이스]]에 지명되었다. 입단 후 로우싱글A에서 한 시즌을 보낸 후 2019 시즌을 맞이했는데, 싱글A와 하이싱글A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 더블A까지 곧장 승격되며 유망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2020 시즌을 앞두고 BA와 파이프라인, 베이스볼 프로스펙터스 세 곳 모두에서 유망주 랭킹 100위 안에 이름을 올렸으나 [[코로나19]]로 마이너 리그가 취소되면서 2020년에는 실전 등판이 없었다. 2021 시즌은 트리플A 더럼 불스에서 시작해 준수한 모습을 보였고, [[2020 도쿄 올림픽]] 미국 대표팀에도 선발되었다. 그리고 올림픽에 참가중이던 7월 22일, [[넬슨 크루즈]]+[[캘빈 포셰이]]의 반대급부로 [[드루 스트로트먼]]과 함께 [[미네소타 트윈스]]로 트레이드되었다. ==== [[2020 도쿄 올림픽]] ==== 7월 30일 [[이스라엘 야구 국가대표팀]]과의 1차전 경기에서 6이닝 1실점으로 호투해 팀의 승리를 견인했다. 8월 5일 대한민국과의 2차 준결승 경기에 선발로 등판해 4⅓이닝을 던지며 1실점을 기록하는 호투를 펼쳤다. 비록 5회초 주자 두 명을 쌓아놓고 강판되었지만 후속 투수가 병살타로 경기를 마무리해 추가 실점은 기록하지 않았다. === [[미네소타 트윈스]] === ==== 2021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트윈스라이언.webp|width=100%]]}}} || 9월 1일 확장 로스터 시행과 동시에 콜업되어 데뷔전을 치렀다. 성적은 5이닝 3안타 1피홈런 1볼넷 5K. 3회에 맞은 쓰리런이 아쉬웠다. 3회 말고 남은 4이닝은 모두 삼자범퇴로 처리. 하지만 3회 쓰리런이 결승득점이 되는 바람에 데뷔전에 패전투수가 되었다. 이후, '''3경기 동안 2승 0패 17이닝 3실점 2볼넷 16K를 하며 ERA를 2.45까지 낮췄고''', 내년 미네소타의 선발진에서 활약할 수 있을 거라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특히 9월 8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클리블랜드 인디언스]]와의 경기에서는 6회까지 퍼펙트로 막고, 총 7이닝 동안 한 번의 출루만 허용하며 호투했다. 9월 22일에는 5이닝 동안 무려 11탈삼진을 잡았다. 이 때 내려가기 전 7타자를 연속으로 삼진잡았는데, 이는 MLB 역사 상 [[톰 시버]],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제이콥 디그롬]]에 이은 4번째 기록이다. 마지막 경기에서는 4⅔이닝 6실점으로 부진했다. 최종성적은 '''5경기 2승 1패 ERA 4.05 26⅔이닝 5볼넷 30K. WHIP 0.79 bWAR 0.3''' ==== 2022 시즌 ==== [[마에다 겐타]]마저 빠져버린 미네소타 선발진에서 같이 2021년에 데뷔한 [[베일리 오버]]와 함께 선발진을 구축할 것으로 예상되었고, 전격적으로 개막전 선발로 낙점되었다. 9월 13일 캔자스시티와의 홈 경기에서 7이닝동안 9K에 볼넷만 2개를 내주는 노히트노런을 기록 중이었지만 7회 끝난 기준으로 투구수가 106개였던지라 8회에 [[조바니 모란]]이 마운드에 오르면서 노히트 노런은 아쉽게 실패했다.[* 캔자스시티 타자들이 32번의 파울로 투구수를 늘린 게 컸다.] 팀 노히터도 9회에 모란이 3실점으로 털리면서 실패. ==== 2023 시즌 ==== 꾸준히 로테이션을 돌며 선발진을 지켰지만 아쉽게도 아웃카운트 하나 차이로 데뷔 첫 규정이닝 달성에 실패했다. 성적 역시 데뷔 이후 가장 좋지 않았다.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조 라이언 투구모션.gif|width=100%]]}}} || 쓰리쿼터에 가까운 폼으로 던지는 투수이다. 구종은 평균 91~92마일 직구를 메인으로, 슬라이더>체인지업>커브 순으로 많이 던진다. 구속이 빠른 편이 아님에도 직구를 평균 65%이상 사용할 정도로 직구에 대한 의존도가 큰 선수이다. 직구 중에서도 앞서 말한 쓰리쿼터에 가까운 폼에서 나오는 낮은 릴리스포인트를 이용한 하이 패스트볼이 주무기이다. 이렇게 낯선 딜리버리(낮은 릴리스 포인트,팔각도)를 통해 들어오는 하이패스트볼로 많은 헛스윙을 유도해내는 게 이 선수의 강점 중 하나이다. 마이너 시절에는 직구 헛스윙률 1등도 찍어봤을 정도로 효과적인 직구를 던진다. 다만 직구 의존도가 큰 만큼, 나머지 변화구들은 아직 다듬어질 필요가 있다. 2023년부터는 레퍼토리를 변경하였다. 기존 슬라이더 대신 스위퍼를, 체인지업 대신 스플리터를 사용중. == 시즌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조 라이언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3> [[미네소타 트윈스|MIN]] || 5 || 2 || 1 || 0 || 0 || 26⅔ || 4.05 || 16 || 4 || 5 || 0 || 30 || 0.788 || 106 || 0.6 || 0.4 || || 2022 || 27 || 13 || 8 || 0 || 0 || 147 || 3.55 || 115 || 20 || 47 || 10 || 151 || 1.102 || 109 || 2.1 || 2.3 || || 2023 || 29 || 11 || 10 || 0 || 0 || 161⅔ || 4.51 || 155 || 32 || 34 || 6 || 197 || 1.169 || 95 || 2.2 || 1.2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3시즌) || 61 || 26 || 19 || 0 || 0 || 335⅓ || 4.05 || 286 || 56 || 86 || 16 || 378 || 1.109 || 102 || 4.9 || 3.8 ||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1996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샌프란시스코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미네소타 트윈스/현역]][[분류:미국의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분류:2020 도쿄 올림픽 야구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