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다른 9여단, rd1=제9여단)] [include(틀:육군특수전사령부)] || {{{#FFF '''제9공수특전여단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독립여단)] [include(틀:공수특전여단)] [include(틀:대한민국 군의 특수작전부대)] }}} || ||<-7><#616264><:> '''{{{#fff {{{+1 제9공수특전여단}}}}}}'''[br]'''{{{#fff 第九空輸特戰旅團}}}'''[br]'''{{{#fff The 9th Special Forces Brigade (Airborne)}}}''' || ||<#ffffff><-7><:>[[파일:attachment/육군 특수전사령부/여단/9SFB.png|width=300]] || ||<#616264><:> '''{{{#fff 창설일}}}''' ||<-6><(> [[1974년]] [[10월 1일]]('''제9공수특전여단''') || ||<#616264><:> '''[[상징명칭|{{{#fff 상징명칭}}}]]''' ||<-6><(> '''귀성부대''' || ||<#616264><:> '''{{{#fff 소속}}}''' ||<-6><(> [[대한민국 육군]] || ||<#616264><:> '''{{{#fff 상급부대}}}''' ||<-6><(> [[육군특수전사령부]] || ||<#616264><:> '''{{{#fff 규모}}}''' ||<-6><(> [[여단]] || ||<#616264><:> '''{{{#fff 역할}}}''' ||<-6><(> [[특수전]] || ||<#616264><:> '''{{{#fff [[여단장]]}}}''' ||<-6><(> [[준장]] [[강부봉|강부봉]](학군 33기) || ||<#616264><:> '''{{{#fff 위치}}}''' ||<-6><(> [[인천광역시]] [[남동구]][* 정문은 인천광역시 남동구에 있고 후문이 [[부천시]]에 이어져있다.] || ||<-7>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인천 남동구,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15458306383_455bc695a8_b.jpg?width=720&height=382.jpg|width=100%]]}}} || || 침투 훈련 중인 제9공수특전여단 대원들 || '''제9공수특전여단'''은 1974년 10월 1일 창설된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 공수특전여단이다. == 상세 == [[12.12 군사반란]] 당시 '''서울 근교 부대 중 유일하게 반란군에 협조하지 않고 [[대한민국 육군본부]]의 지휘를 따르던 부대였다.''' 당시 제1, 3, 5 공수특전여단장[* 당시 제1공수특전여단장은 [[박희도]] 준장(육사 12기), 제3공수특전여단장은 [[최세창]] 준장(육사 13기), 제5공수특전여단장은 [[장기오]](육사 12기)로 모두 [[하나회]] 멤버였다.]과는 달리 제9공수특전여단장이었던 윤흥기 [[준장]]은 [[하나회]] 출신이 아닌 [[갑종장교]] 출신이어서 하나회의 회원들로 이루어진 [[신군부]]의 영향력 안에 있지 않았다. 그래서 [[신군부]] [[전두환]]측의 명령이 아닌, 본연의 정상적인 명령 계통에 따라 [[육군특수전사령관]]인 [[정병주]] 소장의 명령에 따랐다.[* 단 [[노태우]]와는 인연이 있었다. 전임 여단장이 노태우였기 때문이다.] 반란군을 제압하기 위해 [[경복궁]]을 향해 출동하였으나, 그쪽으로 이동하던 도중에 반란군과 육군본부 사이에서 맺어진 일명 '신사협정'[* [[서울특별시]] 내에서의 무력 충돌을 막기 위해 맺어진 협정이었다. 물론 이 협정을 먼저 제시했던 [[전두환]]이 순수한 의도를 가지고 있었을 리가 없었건만 육군본부 측은 이를 큰 의심없이 받아들여버린다. 여담으로 이 사건은 드라마 [[제5공화국(드라마)|제5공화국]]에서도 묘사가 되었다.]으로 인한 육군본부의 회군 명령에 따라 다시 부대로 복귀한다.[* 만약 그 때 신사협정이 안맺어져서 육군본부가 회군 명령을 내리지 않아 제9공수특전여단이 그대로 경복궁으로 갔더라면 전두환을 위시한 [[12.12 군사반란|반란군의 쿠데타]]는 실패로 돌아갔을 것이라는 역사적 가정을 상상하는 이도 일부 있다. 그러나 [[수도기계화보병사단]]과 [[제26기계화보병사단|제26보병사단]]이 출동하지 못한 상태에서 [[수도방위사령부|수경사]] 예하 [[제1경비단|30, 33경비단]]과 [[제9보병사단]], [[제20기계화보병사단|제20보병사단]]이 반란군 주력이라, 제9공수특전여단이 그대로 돌입했어도 큰 화력이 없고 인원도 적은 [[특수부대]]의 특성상 훨씬 많은 병력수와 화력을 갖춘 반란군측 정규전 부대들을 모두 이기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그리고 만약 특전사가 아니라 대규모의 [[보병부대]]나 [[기계화보병|기계화보병부대]]가 진압군으로 출동했더라도 서울 시내에서 현실적으로 대규모의 병력과 화력을 갖춘 아군끼리 대형참사를 야기시킬 치명적인 전투를 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그러나 제9공수특전여단이 특수부대로서의 장기를 활용해서 보병부대와의 정면 충돌이 아닌 기습으로 경복궁 제30경비단을 신속하게 장악하고 반란군 지도부를 싹 체포했다면 반란군측이 대규모 정규전 부대들을 미처 동원하기 전에 반란이 진압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주장도 있다. 반란군 측에서도 [[제1공수특전여단]] 소속의 얼마 안되는 병력이 국방부와 육군본부을 기습하여 [[노재현]] 국방부 장관을 위시한 대응군 지도부를 신속하게 체포함으로써 더 이상의 국군간 큰 충돌 없이 반란을 성공시켰듯이 말이다.][* 수도경비사령부에도 야포단이 있었고 경복궁에 포를 조준만 했을 뿐 쏠 수는 없었다.][* 제9공수특전여단의 출동 소식을 듣고 [[노태우]]가 자살까지 생각했다고 한다.] [[12.12 군사반란]]이 성공하고 [[전두환 정부]]가 들어선 1980년대 이후로는 제9공수특전여단 역시 [[하나회]]에서 철저히 장악하는 부대가 된다. 12.12 군사반란이 끝나고 며칠 후 윤흥기 준장이 경질되고 대신해서 하나회 출신인 [[이진삼]] 준장(육사 15기)이 [[여단장]]으로 부임했다.[* 같은 맥락에서 같이 장악되었던 부대가 [[제9보병사단]]이다.] 비단 제9공수특전여단 뿐 아니라 사실상 [[대한민국 육군]] 전체가 하나회에 의해 장악된다. 여담으로 현재 [[육군특수전사령부]] 휘하 5개 공수특전여단들 중 부대 역사 면에서는 가장 깨끗한 부대이기도 하다. 12.12에 동원되어 반란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제1공수특전여단]], [[5.18 민주화운동]] 당시 민간인 학살을 다수 저지른 [[제7공수특전여단]]과 [[제11공수특전여단]], 반란과 학살 모두에 가담한 [[제3공수특전여단]]과 제5공수특전여단 (현 [[국제평화지원단]])에 비하면 제9공수특전여단은 그러한 흑역사가 없다. == 예하부대 == === 여단 직할대 === * [[본부대]] * 장비정비대 * 정보통신대 * 특수임무대 === 제51특전대대 === === 제52특전대대 === === 제53특전대대 === === 제55특전대대 === == 출신인물 == === [[여단장]] === ||'''볼드체'''는 [[대장(계급)|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6> '''{{{#ffffff 역대 제9공수특전여단장}}}''' || || '''{{{#ffffff 역대}}}''' || '''{{{#ffffff 이름}}}''' || '''{{{#ffffff 계급}}}''' || '''{{{#ffffff 임관}}}''' || '''{{{#ffffff 비고}}}''' || '''{{{#ffffff 기타}}}''' || || 초대 || '''[[노태우]]'''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1기 ||前 [[국군보안사령관]], [[수도방위사령관]], 9사단장 ||제 13대 [[대한민국 대통령]] 역임 || || 02대 || 윤흥기 || 예) [[소장(계급)|소장]] || [[갑종간부후보생|갑종]] 35기 ||前 [[여단장]] || || || 03대 || '''[[이진삼]]''' || '''예) [[대장(계급)|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15기 ||前 [[육군참모총장]] || || || 00대 || 송유창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1기 ||前 [[육군부사관학교|부사관학교]]장 || || || 00대 || 박원동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4기 ||前 [[여단장]] || || || 00대 || [[이승호(군인)|이승호]]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38기 ||前 [[제205특공여단]]장 || || || 24대 || [[권삼]] || 예)[[소장(계급)|소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3기 ||前 [[제31보병사단]]장, [[육군동원전력사령관]] || || || 25대 || [[김용철(군인)|김용철]] || 예) [[준장]]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24기[* [[중앙대학교]]] ||前 [[여단장]] || [* 2014.11.04~] || || 26대 || 서영만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3기 ||前 [[특수전학교]]장 || [* ~2018.06.04] || || 27대 || [[문석호(군인)|문석호]] || 예)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5기 ||前 [[제2군수지원사령부|제2군수지원사령관]] || [* 2018.06.04~2019.12.18] || || 28대 || [[박성제(군인)|박성제]] || [[소장(계급)|소장]] || [[학사장교|학사]] 17기[* [[영남대학교]]] ||現 [[제37보병사단]]장 || [* 2019.12.28~2021.06.02] || || 29대 || [[김영섭(군인)|김영섭]] || [[준장]] || [[육군사관학교|육사]] 48기 ||前 [[여단장]] || [* 2021.06.02~2022.12.26] || || 30대 || [[강부봉|강부봉]] || [[준장]] || [[학생군사교육단|학군]] 33기[* [[동아대학교]]] ||現 [[여단장]] || [* 2022.12.26~현재] || === 장교/부사관 === * [[마블제이]][* [[학생군사교육단|ROTC]] 55기 중위 전역] * [[퉁퉁구구]] 2018년에 임관하여 2020년까지 이곳에 있다가, 허리디스크가 악화되어 [[제27보병사단]]에 전입, 2022년에 전역했다. 현재는 트위치 방송과 유튜브를 하고 있다. === 병 === * [[로복]] 취사병으로 복무. * [[지대한]] 특전병으로 복무했다. * [[박상철]] 55대대본부. * [[윤소하]] 특전병으로 복무했다. == 기타 == === 근무환경 === === 부대가 === >구름을 내려치는 번개와 같이 >보아라 피끓는 사나이 세계 >그렇다 너와 나는 베레모 사나이 >충성 한 가닥에 목숨을 건다 >아아 우리는 9여단 용사 > >하늘로 땅으로 적진 어디메뇨 >무찔러 이겼다 전우여 기뻐하라 >그렇다 너와 나는 베레모 사나이 >조국 위한 마음 이 몸 불살라라 >아아 우리는 9여단 용사 >----- >제9공수특전여단가 초대 여단장이었던 [[노태우]]가 [[https://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E&nNewsNumb=202112100009|직접 작사, 작곡했다.]] [youtube(pN98kHgPeBA)] === 부대영상 === [youtube(YE-PA0d08RA)] [youtube(j6Isj5L7n0k)] == 사건사고 == === 2015년 9월, 정연승 [[상사(계급)|상사]] 사망사건 === 2015년 9월, 9공수특전여단 정연승 상사(사망 후 [[원사(계급)|원사]]로 추서)가 출근 중 교통사고로 도로 위에 쓰러져 있는 여성을 발견하고 도우려다 신호 위반 차량에 치여 피해 여성과 함께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 2021년, 부실급식 사건 === 자신을 육군특수전사령부 제9공수특전여단의 한 장병이라고 소개한 제보자는 "우리 부대가 7월 초부터 [[인천국제공항]] 검역지원 임무를 시행하고 있다"며 "최근 검역지원 인원 중 확진자가 발생하여 격리를 시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공개된 사진에는 밥과 김치, 깻잎, 국 등이 보였고 국물에는 건더기가 거의 보이지 않았고, 가장 큰 반찬 칸은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dcbest&no=22455|비워져 있었다]]. * [[http://www.imaeil.com/page/view/2021091707311475632|"참다 참다 사진 찍었다"…부실 급식받은 육군 병사의 분노]], 매일신문, 2021-09-17 === 2023년, [[제9공수특전여단 상병 사망사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제9공수특전여단 상병 사망사건)] 2023년 4월 1일, 제9공수특전여단 소속 부대의 한 [[상등병|상병]]이 낮잠을 자던 중 급작스레 사망하였는데, 이후 여러 원인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여담 == * 원래 9공수특전여단은 [[국제평화지원단|5공수특전여단]] (현 [[국제평화지원단]])과 함께 [[인천광역시]] 부평에 위치해 있었는데, 1980년대에 현 위치인 인천광역시 [[남동구]]로 부대 주둔지를 이전했다. * [[레인보우 식스 시즈]]의 등장 오퍼레이터 [[도깨비(레인보우 식스 시즈)|도깨비]]가 이 부대 출신인 것으로 나온다. * 2000년 6월 5일 KBS1 에서 다루어졌다.[[https://youtu.be/ByeWJEuw6zg|#]]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육군특수전사령부/편제, version=265, paragraph=5)] [[분류:대한민국 육군]][[분류:육군특수전사령부]][[분류:여단]][[분류:대한민국의 특수작전부대]][[분류:12.12 군사반란/관련 인물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