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2018년]] 진행된 [[황룡사배 세계 여자바둑 대항전]] == 선발전 == 1R : '''김다영'''(흑 불계승) - 김혜민 / '''조혜연'''(흑 불계승) - 김채영 2R : '''김다영'''(백 1집반승) - 조혜연 그런데, 바둑TV에서는 황룡사'''정단과기'''배로 표기했는데, 이게 확정된 경우라면 17년도 이후대회 스폰철회설은 루머로 밝혀지게 된다. --그리고 그대로 갔다..-- == 2018년 대회 == 탈락자인 경우 맨 뒤+취소선 처리. 한국 : --최정 / 오유진 / 김다영 / 김미리 / 오정아-- 중국 : 위즈잉-- / 왕천싱 / 루이나이웨이 / 저우홍위 / 리허-- 일본 : --후지사와 리나 / 우에노 아사미 / 왕징이 / 셰이민 / 뉴 에이코-- '''3위 확정''' === 1라운드 (1대국 ~ 7대국) === 대회 장소 : 중국 장쑤성 장옌 기간 : 2018년 4월 9일 ~ 12일 제1대국 (4월 9일) - 한국 [[오정아]] : 일본 [[뉴 에이코]] 뉴 에이코의 254수 백 불계승으로 마무리되었다. 제2대국 (4월 9일) - 일본 [[뉴 에이코]] : 중국 [[리허]] 리허의 '''100수''' 백 불계승 제3대국 (4월 10일) - 중국 [[리허]] : 한국 [[김미리]] 리허, 197수 흑 불계승으로 2연승. 제4대국 (4월 10일) - 중국 [[리허]] : 일본 [[셰이민]] 리허, 180수 백 불계승으로 3연승. 제5대국 (4월 11일) - 중국 [[리허]] : 한국 [[김다영(바둑기사)|김다영]] 리허, 181수 흑 불계승으로 4연승. 사이버오로 관련 기사 댓글에서는 출전 순번 문제 + 한국 여자바둑리그의 효용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었다. 제6대국 (4월 12일) - 중국 [[리허]] : 일본 [[왕징이]] 리허, 195수 흑 불계승으로 5연승. 제7대국 (4월 12일) - 중국 [[리허]] : 한국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오유진, 백 2집반승. 그런데 중국룰에 의한 계가속도도 그렇지만 GS칼텍스배 중계 등의 문제로 '''저녁 5시'''(!!)에 중계가 됐다. 그리고 [[혼파망|결과나온]] [[충격과 공포|이후는...]]--네이버의 모 분은 대국 때까지만 해도 '오유진'''만''' 이기면 돼'라고 했다가, 이 대국 후반부에 와서는 '아 여바리 좀 틀어줘ㅠㅠㅠㅠㅠㅠㅠ 김채영 봐야된다고ㅠㅠㅠㅠㅠ'했던 건 개그-- === 2라운드 (8대국 ~ 14대국) === 대회 장소 : 중국 장쑤성 장옌 기간 : 2018년 6월 5일 ~ 8일 제8대국 (6월 5일) - 한국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 일본 [[우에노 아사미]] 226수 오유진, 백 불계승으로 2연승 제9대국 (6월 5일) - 한국 [[오유진(바둑기사)|오유진]] : 중국 [[저우홍위]] 200수 저우홍위 백 불계승. 한국/일본은 막판에 몰리게 됐다. 제10대국 (6월 6일) - 중국 [[저우홍위]] : 일본 [[후지사와 리나]] 177수 후지사와 리나 흑 불계승. 제11대국 (6월 6일) - 일본 [[후지사와 리나]] : 한국 [[최정]] --멸망전 or 단두대 매치가 되고 말았다-- 최정 승리. 일본은 탈락했다. 제12대국 (6월 7일) - 한국 [[최정]] : 중국 [[루이나이웨이]] 최정 백 불계승으로 2연승. 제13대국 (6월 8일) - 한국 [[최정]] : 중국 [[왕천싱]] 최정 흑 불계승으로 3연승. 제14대국 (6월 8일) - 한국 [[최정]] : 중국 [[위즈잉]] 위즈잉 백 4.5집 승으로 중국 우승.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황룡사배 세계 여자바둑 대항전, version=84)] [[분류:황룡사배 세계 여자바둑 대항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