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목차] == 종합 결과 == ||<-2> {{{#!wiki style="margin: -20px -10px; padding: 2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0deg, #E61E2B 50%, #000000 50%, 50%, #E61E2B 50%, #E61E2B);" [[울산광역시|[[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width=25px]]]] {{{+1 '''[[울산광역시|{{{#ffffff 울산광역시}}}]] [[기초자치단체장|{{{#ffffff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 || {{{#ffffff 정원[br] {{{+1 '''5'''}}}}}} || ||<|2> '''기호''' || '''정당''' ||<|2> '''의석수[br]{{{-1 (비율)}}}''' || || '''후보수''' || ||<|2> {{{#ffffff {{{+5 '''1'''}}}}}}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2> 0석[br]{{{-1 (0%)}}} || || 4 || ||<|2> {{{#ffffff {{{+5 '''2'''}}}}}} || [include(틀:국민의힘)] ||<|2> '''4석[br]{{{-1 (80.0%)}}}''' || || 5 || ||<|2> {{{#000000 {{{+5 '''3'''}}}}}} || [include(틀:정의당)] ||<|2> 0석[br]{{{-1 (0%)}}} || || 1 || ||<|2> {{{#ffffff {{{+5 '''4'''}}}}}} || [include(틀:진보당(2020년))] ||<|2> 1석[br]{{{-1 (20.0%)}}} || || 1 || ---- 옆 동네인 부산과 마찬가지로 '''현역 프리미엄이 전혀 먹히지 않았다.''' 다만 비교적 중량감이 낮은 후보가 출마했던 남구청장을 제외하면 40%p 이상을 얻으며 그래도 부산에 비해서는 나름 선전하였다. 한편 동구에선 진보당 김종훈 후보가 당선됨으로써 이번 지방선거에서 진보정당 및 원외정당이 배출한 유일한 기초단체장이 되었다. == 지역별 == === 중구청장 === ||<-4> [[|{{{+1 [[파일:중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중구(울산광역시)|{{{#ffffff {{{+1 '''중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태완|{{{#373a3c,#dddddd 박태완}}}]](朴泰完) || 38,822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0.58% || 낙선 || ||<|2> {{{#FFFFFF {{{+5 '''2'''}}}}}} || '''[[김영길(1962)|{{{#373a3c,#dddddd 김영길}}}]](金永吉)''' || '''56,843'''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9.41%''' || '''당선''' || ||<|2> --{{{#FFFFFF {{{+5 '''4'''}}}}}}-- || --정창화(鄭昌和)-- ||<-2><|2> 사퇴[* 김영길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사퇴[[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197552|#]]] || || --[include(틀:무소속)]-- || ||<|3> '''계''' || '''선거인 수''' || 181,055 ||<|3> '''투표율'''[br]54.34% || || '''투표 수''' || 98,388 || || '''무효표 수''' || 2,723 || ---- 전직 중구의원끼리의 매치, 결과는 김영길 후보가 20%p 가까이 격차로 낙승했다. === [[남구청장(울산)|남구청장]] === ||<-4> [[남구(울산광역시)|{{{+1 [[파일:남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남구청장(울산)|{{{#ffffff {{{+1 '''남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미영(정치인)|{{{#373a3c,#dddddd 이미영}}}]](李美永) || 44,914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3.83% || 낙선 || ||<|2> {{{#FFFFFF {{{+5 '''2'''}}}}}} || '''[[서동욱(1963)|{{{#373a3c,#dddddd 서동욱}}}]](徐東旭)''' || '''87,838'''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66.16%'''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267,930 ||<|3> '''투표율'''[br]50.30% || || '''투표 수''' || 134,763 || || '''무효표 수''' || 2,011 || ---- 전직 울산광역시의원끼리의 매치가 이뤄졌고, 결과는 '''더블 스코어''' 격차로 서동욱 후보가 '''싱겁게''' 3선에 성공했다. 한편 이미영 후보는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출마한 다른 지역에선 40%p 이상을 득표한 가운데 혼자서 33.83% 받는데 '''그쳤고''', 이는 남구가 보수화되었다는 걸 '''적나라하게 증명'''하는 선거 결과가 되었다.[* 실제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제20대 대통령 선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자치단체장 모두 남구가 [[중구(울산광역시)|중구]]보다 '''보수정당 득표율이 높았다.'''] 그나마 더불어민주당에게 의의가 있다면 다른 3곳은 현역 프리미엄이 붙은 반면, 이미영 후보는 울산광역시의원 경력이 전부인데도 불구하고 33.83%를 얻었다는 점이다. === [[동구청장(울산)|동구청장]] === ||<-4> [[동구(울산광역시)|{{{+1 [[파일:동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동구청장(울산)|{{{#ffffff {{{+1 '''동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천석|{{{#373a3c,#dddddd 정천석}}}]](鄭千錫)-- ||<-2><|2> 사퇴[* 후보직 사퇴.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105994?sid=102|#]] 다만 후보 단일화는 아니고 사법 리스크로 사퇴했다.]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 {{{#FFFFFF {{{+5 '''2'''}}}}}} || [[천기옥|{{{#373a3c,#dddddd 천기옥}}}]](千琪玉) || 30,233 || 2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45.16% || 낙선 || ||<|2> {{{#FFFFFF {{{+5 '''4'''}}}}}} || '''[[김종훈(1964)|{{{#373a3c,#dddddd 김종훈}}}]](金鍾勳)'''[* 진보 정당 단일 후보([[정의당]]-[[진보당(2020년)|진보당]]-[[노동당(대한민국)|노동당]]).] || '''36,699''' || '''1위''' || || [include(틀:진보당(2020년))] || '''54.83%'''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27,369 ||<|3> '''투표율'''[br]55.61% || || '''투표 수''' || 70,832 || || '''무효표 수''' || 3,900 || ---- '''이번 지방선거에서 원외 정당인 [[진보당(2020년)|진보당]] 후보가 기초자치단체장에 당선된 하나 뿐인 선거구다.''' 이는 울산광역시 동구가 울산광역시 북구, 창원시 성산구, 거제시 등과 같이 블루칼라 노동자가 집중된 지역으로 정의당, 진보당 등 진보 정당 지지세가 전국에서 가장 높은 곳이기에 가능한 지역의 특수성 때문이다. 게다가 인물론도 한몫했다. 여기서도 같이 치러진 [[울산광역시장]] 선거에서는 [[국민의힘]] [[김두겸]] 후보가 우세한 결과가 나온 것을 토대로 보면 10% 가량이 교차 투표를 한 셈이다.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사퇴는 후보 단일화가 아닌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199368|사법 리스크]] 때문이다. 후보 본인이 단일화가 아님을 명시적으로 언급했다. === 북구청장 === ||<-4> [[|{{{+1 [[파일:북구(울산광역시) CI_White.svg|width=30px]]}}}]] [[북구(울산광역시)|{{{#ffffff {{{+1 '''북구청장'''}}}}}}]]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동권|{{{#373a3c,#dddddd 이동권}}}]](李東權) || 34,843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0.02% || 낙선 || ||<|2> {{{#FFFFFF {{{+5 '''2'''}}}}}} || '''[[박천동|{{{#373a3c,#dddddd 박천동}}}]](朴千東)''' || '''44,062'''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0.60%''' || '''당선''' || ||<|2> {{{#000000 {{{+5 '''3'''}}}}}} || [[김진영(1964)|{{{#373a3c,#dddddd 김진영}}}]](金鎭泳) || 8,158 || 3위 || || [include(틀:정의당)] || 9.3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75,784 ||<|3> '''투표율'''[br]50.35% || || '''투표 수''' || 88,504 || || '''무효표 수''' || 1,441 || ---- 이번에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처럼 3자 구도로 이어진 가운데, 이번엔 [[박천동]] 후보가 [[어부지리]]가 아니라 넉넉한 격차로 승리를 거두었다. 반면 [[정의당]] 후보는 그 당시의 [[새정치민주연합]] 후보(11.99%)보다도 더 낮은 득표율(9.37%)을 거뒀다. [[진보당(2020년)|진보당]]이 동구청장이라도 얻은 것과는 대비되는 대목.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의 득표율을 합쳐도 국민의힘 득표율이 과반수라 당선될 가능성은 없다. === 울주군수 === ||<-4> [[|{{{+1 [[파일:울주군 CI_White.svg|width=30px]]}}}]] [[울주군|{{{#ffffff {{{+1 '''울주군수'''}}}}}}]]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선호(정치인)|{{{#373a3c,#dddddd 이선호}}}]](李先鎬) || 40,081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1.19% || 낙선 || ||<|2> {{{#FFFFFF {{{+5 '''2'''}}}}}} || '''[[이순걸|{{{#373a3c,#dddddd 이순걸}}}]](李洵杰)''' || '''57,216''' || '''1위''' || || [include(틀:국민의힘)] || '''58.80%'''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89,051 ||<|3> '''투표율'''[br]52.57% || || '''투표 수''' || 99,381 || || '''무효표 수''' || 2,084 ||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리턴매치가 벌어지게 되었다. 다만 무소속 후보의 출마 및 보수정당의 역대급 악재 속에서 치루어진 저번 지선과는 달리 1:1 구도가 이루어졌으며 보수 우위 구도로 재편된 탓에 국민의힘 이순걸 후보가 낙승을 거두었다. [[분류: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분류:울산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장]][[분류:울산광역시의 정치]]